[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4177B1 - 실내공간의 내장 및 칸막이 구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내공간의 내장 및 칸막이 구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177B1
KR890004177B1 KR1019830005954A KR830005954A KR890004177B1 KR 890004177 B1 KR890004177 B1 KR 890004177B1 KR 1019830005954 A KR1019830005954 A KR 1019830005954A KR 830005954 A KR830005954 A KR 830005954A KR 890004177 B1 KR890004177 B1 KR 890004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plate
wall
ceiling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5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045A (ko
Inventor
멜호른 발프강
Original Assignee
멜호른 발프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580658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89000417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멜호른 발프강 filed Critical 멜호른 발프강
Publication of KR840007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2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 E06B3/827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of metal without an internal frame, e.g. with exterior panels substantially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inishing Wall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실내공간의 내장 및 칸막이 구조시스템
제1a도 및 제1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구조시스템의 사시단면도.
제2a도 및 제2b도는 단일층 벽체를 위한 하부형철의 측단면도.
제2c도는 이중벽체를 위한 하부형철의 측단면도.
제3a도는 복식캡형철로 형성된 연결형철의 단면도.
제3b도는 또다른 연결형철의 사시도.
제4도는 출입문을 위에서 본 약평면도.
제5a도는 문틀을 천장부재에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제5b도는 출입문을 위한 캡형철의 단면도.
제6a도 및 제6b도는 출입문을 위한 두개의 문의 약평면도.
제7도는 창문틀의 약평면도.
제8a도 및 제8b도는 창문틀의 두가지 연결형철의 단면도.
제8c도는 연결형철의 부분정면도.
제9a도 및 제9b도는 두개의 커텐레일의 측단면도.
제10a도 및 제10b도는 천장판넬의 평면도와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
제11a도, 제11b도 및 제11c도는 천장부재의 정면도, 측단면도 및 횡단면도.
제11d도는 천장부재의 배치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제11e도 및 제11f도 천장부재의 지지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제12a도-제12c도는 벽체의 형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제13a도 및 제13b도는 제12a도 및 제12b도에 따른 두개의 벽체의 종방향 및 모퉁이 연결을 보여주는 평면도.
제13c도는두개의 벽체 외측 모퉁이 연결을 보여주는 평면도.
제13d도는 모퉁이 연결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제14a도는 오차조정형철을 가지고 있는 벽체연결을 보여주는 평면도.
제14b도는 오차조절형철을 가지고 있는 벽체연결의 형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제15a도 및 제15b도는 문틀의 형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제16도는 차단벽 연결을 보여주는 평면도.
제17도는 건조공간과 다습공간 사이의 차단벽을 보여주는 약측단면도.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천장면과 하나의 바닥면을 가지고 있는 실내공간을 내장하고 칸막이하는 구조시스템에 관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평판형부재로 조립하는 벽 및 천장을 가지며 이러한 부재는 압연형철로 형성하여 천장 또는 바닥에 설치된 지지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평판형 부재의 측면연부는 파지를 형성하여 벽 또는 천장을 보강하여 주고, 인접된 평판형부재의 파지부와 결합되게 되어있다.
그러한 구조시스템은 독일 특허 DE-AS 1937443호 및 DE-OS 2340909호에 의하여 이미 알려져있다. 그러나 상기 공지의 방법은 이중벽에 있어서 지지체를 제작하기에는 매우 곤란하며, 파지부는 평판부재의 축조높이가 높을때 또는 진동이 발생하는 건물지역에 설치할때는 안전한 지지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때그때의 요구에 적응하여 이중벽의 간단한 설치도 가능케하고 칸막이를 간단하고 저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적합한 구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가) 각 벽체는 공기의 방법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형질로 형성된 지지형철(支持型鐵)상에 지지되며, 상기 지지형철은 고정장치에 의하여 바닥과 견고히 결합되어 있으며, 나) 각 벽체의 종측연부에는 일측면이 벽체와 결합하게 되어 있는 대략 U자형 파지부를 형성하고, 이때 평판면으로 향한 공간부를 가지고 있는 상기 U자형 파지부의 연장부가 평판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가 연결할 벽체의 다른쪽 종측연부에 형성된 결합부속으로 삽입되게 되었으며, 그 결합부는 하나의 커다란 U자형 형철의 연장부에 평행하게 형성된 지지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형철의 단부측판에는 한개의 직각판이 지지판쪽으로 향하여 형성하여 그의 단부측판이 지지판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단부측판은 파지부의 중간복판의 길이에 상응하는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다) 천장부재를 지지하기 위하여 천장지지체와 결합하게 되어있는 연결형철들이 벽체의 천장쪽 경계연부에 형성되어있다.
본 발명의 특징을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a도는 바닥면(35)과 천장(105) 및 외벽(107)으로 구획된 실내구조 시스템(60)의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바닥면(35)과 천장(105)은 예를들어 선박의 철갑판으로 이루어지고, 외벽(107)은 철판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조시스템(60)은 수직벽(40),(41)들로 이루어지고, 그 벽체(40),(41)들은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수평천장부재(48)와 결합되어 있다 천장부재(48)를 지지하기 위하여 천장걸고리(46)들이 부착되어 있으며, 그 걸고리(46)들을 지지레일(47)을 이용하여 천장(105)에 고정된다. 벽체(40),(41)들은 바닥면(35)의 하부형철(下部型鐵)(37),(38)위에 지지되어 있다. 천장부재(48)와 판넬부재(73)에 의하여 천장부재측면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판넬부재(73)는 조립된 일련의 천장부재(48)들을 위한 폐쇄(밀폐)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판넬부재에는 조명상자 또는 공조닥트(空調duct)(106)를 장치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내에 급수 및 가스 공급시설을 위한 배관공사를 통합하는것이 가능하며, 이때 조명장치 또는 공조장치의 설비는 구조시스템(60)의 조립 마지막단계에 이루어져야 한다. 벽재(40),(41)와 천장부재(48)들은 외측금속판(109)이 부착되어 있어서 그 사이에 방음단열층(10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음단열층(108)은 유리섬유, 석면 또는 발포단열재로 이루어진다.
제1b도는 또 다른 공간형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때 외벽(107)에는 창문(97a)이, 복도의 측면벽에는 금속제출입문(1),(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천장부재(48)들이 직접 벽체(40),(41)위에 지지되어 있다. 하부형철(37),(38)들은 제1a도의 모양과 같이 굽도리(36)로 덮여있다.
벽체(41)를 위한 하부형철(37)은 철판으로 성형된 U자형 압연형철이다. (제2a도). 상기 하부형철(37)의 측판(112),(113)들은 벽체(41)를 위한 고정판의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형철(37)을 직접 바닥면(35)위에 부착하거나 또는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바닥면(35)과 하부형철(37)사이에 스페이서 또는 받침판(56)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금속벽판(109)에 접촉하고 있는 측판(113)은 그 상단부가 바깥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상기 굴곡부분은 스페이서부재(55)의 역할을 하므로서 벽체(41)를 하부형철(37)에 조립할때 그 벽체(41)의 뒷면으로 부터 항상 약간의 간격을 띄우게 된다. 따라서 천장을 지지할 두겹대형철(coping 型鐵)을 벽체(41)의 상단부에 용이하게 씌울수 있다. 방음단열층(108)측면에 접촉되는 측판(112)은 중간판(114)에 대하여 90도 보다 큰 각도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벽체(41)를 하부형철(37)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제2c도는 이중벽체(40)을 위한 하부형철(48)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하부형철(38)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접합부재(50)에 의하여 나란히 설치되어있는 두개의 형철(54)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형철(54)은 단면이 대략 U자형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접합부재(50)는 상기 두 형철(54)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판(53)의 상단연부가 서로 각도를 이루어 부착되어 있는 대형연부(帶型緣部)(57)에 의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두개의 형철(54) 사이에는 접합부재(50)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므로 이중벽체(40)와 벽체(41) 상단부에 각각 천장부재(48)를 지지하기 위한 연결형철을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두개의 하부형철(54)의 내측판(53)들은 바닥판(52)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고, 외측판(51)들은 바닥판(52)에 대하여 90도 보다 큰각도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형철(37)에 있어서와 같이 이중벽체(40)을 형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벽체(41)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굽도리(36)를 이용하여 바닥면(35)의 바닥판 또는 장판에 부착하므로서 외측판(51)을 덮을 수 있다. 상기 하부형철(38)은 마찬가지로 받침판(56)과 같은것을 사용하여 바닥면(35)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판(56)들은 상기 하부형철(37)에 있어서와 같이 하부형철(38)과 함께 용접하여 바닥면(35)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바닥면(35)이 강철판으로 이루어져 있을때는 받침판(56)과 함께 하부형철(37),(38)들을 바닥면(35)에 용접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제 또는 나사를 사용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제3a도는 이중벽체(40) 및 벽체(41)의 상단부에 연결형체로서 사용되는캡형철(65)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캡형철(65)은 U자형 형철(66)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U자형 형철에는 천장부재(48)를 연결하기 위한 죄임고정형철(42)이 형성되어 있다. 복도와 같은 협소한 공간을 위한 천장부재(48)를 지지하기 위하여 벽체(40),(41)의 상단부에 연결형철(64)로서 사용할 천장지지형철(67)을 착설할 수도 있다(제3b도). 상기 천장지지형철(67)은 벽체(40),(41)의 상단부와 결합될 U자형형철(68)로 이루어져 있고 그의 한쪽 각판(脚板)(69)에는 수평판 (7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수평판(70)의 가장자리는 직립연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판(70)위에 천장부재(48)가 지지된다. 상기수평판(70)과 천장부재(48)사이에는 방화재료로 되는방화판을 부착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형철(64)을 천장걸고리(46) 또는 천장지지레일(47)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U자형 형철(68)에 구멍(113)이 뚫린 다수의 지지판(111),(112)이 부착된다.
제4도는 철문(1),(2)을 가지고 있는 칸막이벽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칸막이벽은 벽체(41)로 형성된 이중벽(4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출입구(85) 양쪽벽(40)의 벽체연결형철(166)문틀(9)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문(1),(2)은 밀폐형철(15)에 밀착하여 닫혀진 상태로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밀폐형철(15)은 문틀(9)의 돌출형철(91) 내측에 장치되어 있다.
높이가 실내공간과 높이와 같은 높은 출입구(85)에 있어서는 천장지지형철(67) 및 캡형철(65)을 상기 벽체연결형철(166)에 부착하고 천장부재(48)를 결합할 수 있다(제5a도). 필요하다면 벽체연결형철(166)과 문틀(9) 사이의 접촉연부에 캡형철(89)을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캡형철(89)은 U자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때 측판(90)(제5b도)을 사용하여 구조시스템(60)과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6a도 및 제6b도는 각각 철문으로 이루어지는 문(1),(2)의 두가지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제6a도의 문(1)은 평평한 철판(5)(6)으로 싸여있는 보강틀(3)을 가지고 있다. 상기 보강틀(3)은 빙둘러 성형된 형판(10)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형판(10)의 한쪽 끝은 U자형 중자형철(中子型鐵)(22)이 형성되어 있고 그의 한쪽 각판(24)은 U자형 단면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U자형 단면부(25)의 단부판(28)은 금속판(5)과 인접되어 있다. 상기 중자형철(22)의 길다란 각판(26)의 단부에 직각으로 단부판(27)이 형성되어 있고, 그 단부판(27)은 금속판(6)과 인접되어 있다. 상기 금속판(5)은 U자형 단면부(25)의 내측복판(內側服板))(29)에 리베트(20)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금속판(6)의 단부에는 마찬가지로 평단부가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자형철(22)의 중간복부(30)에 접하고 있고 리베트(20)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중자형철(22)과 금속판(6)의 연부는 요부(16)를 형성하여 그 속에 충전재(14)를 끼우게 되어 있다. 상기 충전제(14)는 측면이 탄력성을 갖는 충전판으로 성형되어 내측복판(29) 부분의 리베트(20)를 덮어주고 있다. 따라서 상기 충전재(14)는 금속판(5,6)을 보강틀(3)에 부착시키기 위한 리베트 결합체의 리베트(20)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다. 문짝(12)의 내측공간부분은 방음방화재료로 충전된다.
제6b도에 도시한 문(2)은 이중절곡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중절곡문은 마찬가지로 보강틀(4)을 가지고 있으며, 그 단부에는 금속판(7)(8)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상기 보강틀(4)은 압연형판(11)으로 성형되어 대략 중간부분에 U자형 중자형철(23)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중자형철(23)의 장각판(長脚板)(26)의 단부를 직각으로 구부려 단부판(27)을 형성하여 절곡결합에 의하여 금속판(7)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절곡결합부(32)는 압연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중자형철부(23)의 단각판(短脚板)(24)에는 U자형 단면부(25)가 형성되어 있고, 그의 단부판(28)은 절곡결합부(21)에 의하여 금속판(8)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중자형철부(23)는 동시에 요부(16)를 형성하여 충전재(14)를 결합하게 되어 있다. 문틀(9)의 요부에 충전재(15)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문짝(13)을 두개의 평판부에서 문틀에 밀폐시켜 충분한 방음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문짝(13)의 내부에는 방화 및 방음특성을 갖는 방음단열재(31)를충전한다.
제7도는 벽체(40),(41)에 형성되는 창문틀(97)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창뭍틀(97)은 두개의 수직 연결형철(92),(93)과 여러칸의 형철로 형성된 두개의 수평커턴레일(98),(99)로 이루어져 있고, 그 수평커턴레일에 복판(95)에 형성된 상자모양의 프레임(94)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복판(95)에는 고정형철(42) 또는 삽입형철(43)이 형성되어 있다(제8a도-제8c도). 제9a도 내지 제9c도에서 프레임(94)에는 점선으로표시한 것과 같은 구멍(96),(96)이 뚫려있어서 나사를 집어넣어 고정작업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이 구멍(96),(96a)에다가 특별한 착설부재를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커텐레일 형철(98),(99)에 형성되어 있는 여러개의 격실의중의 한개의 격실(100)에다가 길이방향으로 절개홈(100)을 만들어서 그속에 장착되어 밀고당기게 되어 있는 고정롤러와 커텐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커텐레일(98),(99)의 칸막이에 돌출멈춤쇠(102)를 형성시켜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커텐레일(98),(99)의 칸막이 형철과 연결형철(92),(93)에는 덮개 웨브(103)를 형성하여 벽(40),(41)의 접촉부분에 박히게 되어있다.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덮개웨브(103)의 단부(104)가 가늘어지게 형성되있다.
제10a도-제10c도는 천장부재의 특별한 형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 천장부재는천장판넬(115)로 형성되어 하나의 구형형철(128)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에는 방음단열층이 충전된다. 상기 구형형철(128)의 양쪽단부(116)(117)에는 각각 U자형의 모서리(118)(119)를 형성하여 상기 구형형철(128) 양측을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종측면(120)(121)에는 각각 L자형 연부(122)(124)를 형성하고 있다. 이 연부(122)(124)들은 구형형철(128)의 종방향 보강역할을 하는 한편 방음단열층(108)을 고정시켜줄 뿐만아니라 여러개의 천장판넬(115)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로서의 역할을 하게된다. 이때 연부(122)는 바깥쪽으로 향한 연부판(123)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또 한쪽의 연부(124)는 파지부(126)를 형성하여, 이때 연부판(127)은 내측으로 구부리고 다시 바깥쪽으로 절곡하여 파지판(125)을 형성하였다. 여러개의 천장판넬(115)을 연결하여 천장을 조립할때 한쪽 천장판넬(115)의 연부판(123)은 다른 천장판넬(115)의 파지판(125)과 내측연부판(127)으로 이루어지는 파지부(126)속으로 삽입되게 되어있다. 이렇게하여 천장판렐(115)을 충분히 고정시킬 수 있고, 천장판넬(115)들은 양측단부(116)(117)과 연결형철(64)(제3b도)의 수평판(70)위에 얹히게된다. 천장조립에 있어서 그때그때 마지막 천장판넬(115)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마지막 두개의 천장판넬(115)을 포개어가지고 천장의 마지막 빈공간위에 올려놓고 맨마지막 천장판넬(115)을 잡아당겨 조립공사를 끝내게 되어 있다.
제11a도-제11d도는 실내구조시스템(60)을 위한 건축부재들을 도시하였으며, 상기 구조시스템(60)은 높이가 약 4.5m로서 비교적 높고, 폭이 3m되는 비교적 큰 자체지지폭에 있어서도 충분한 견고성을 제공한다. 만약 천장부재의 폭을더욱 증가시켜야할 경우에는 천장부재를 천장걸고리(46)에 매다는 것이 요망된다.
제11a도-제11c도에 도시한 천장부재(48)는 단부(175)(176)의 단부형철(177)(178)에 각각 형성된 지지판(183)(184)을 가지고 있는 금속판(17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판(184)(184)들은 내측모서리(185)(186)에 의하여 보강되어 있다. 상기 단부형철(177)(178)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187)은 방음단열층(108)으로 충전된다. 상기 지지판(183)(184)는 상이한 길이로 형성시켜서 조립측의 허용오차는그때그때 서로 인접한 천장부재(48)의 지지판(183)(184)를 이동시키므로서 접합부(181) 부분에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83)(184)은 이때 서로 포개어지며, 한쪽 천장부재(48)의 단부형철(177)은 다른쪽 천장부재(48)의 단부형철(178)위에 포개어진다(제11d도).
천장부재(48)들은 연결형철(64)(제3b도)위에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엘보우브라켓트(173)위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엘보우브라켓트(173)는 천장모서리부분의 벽체(40)(41)에 추박된다.(제11e도 및 제11f도). 각 엘보우브라켓트(173)의 지지판(179)의 단부에 모서리를 구부려올린 모서리턱(180)은 지지판(179)을 쟁반모양으로 형성시킬 수 있게 하여 스펀지 고무와 같은 재료로 되는 방음단열판(182)을 깔수 있다.
상기 엘보우브라켓트(173)는 나사(156)를 사용하여 벽체(40)(41)에 부착시킬 수 있다.
제12a도는 벽체(41)의 평면도로서 그 벽체(41)의 단부에 파지부(131)와 결합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131)는 대략 U자형형철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의 연장부(133)는 대략 U자형형철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의 연장부(133)는 벽체(41)의 평판(130)에 직각을 이루어 부착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131)의 단부(135)는 연장부(133)에 평행을 이루고 중간복판(134)에 대하여 작각을 이루고, 금속평판(130)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132)는 U자형형철(137)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의 한쪽 측판은 지지판(136)으로 형성되어 상기 평판(130)에 직각으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136)은 상기 연장부(133)와 평행하게 그리고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U자형형철(137)의 단부측판(138)에는 직각판(139)이 형성되어 있고, 그 단부측판(140)은 상기 지지판(136)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U자형형철(137)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결합부(132)의 직각판(139)과 파지부(131)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은 방음단열층(108)으로 충전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평판(130)위에도 방음단열층(108)을 부착하고, 이때 파지부(131)쪽으로 향한 부분의 평판부는 방음단열층(108)로 충전하지 않으므로서 이 부분에다가 인접된 벽체(41)의 U자형형철(137)의 직각판(139)을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제12b도 및 제12c도는 단부재(44)(45)로 형성된 두개의 벽체(41)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단부재(44)의 양측에 각각 결합부(132)와 삽입부(4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49)는 모퉁이 결합시에 인접된 벽체(41)의 결합부(132)속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단부재(45)는 양쪽단부에 각각 파지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제13a도 및 제13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두개의 서로 인접된 벽체(41)의 파지부(131)와 결합부(132)를 단순히 서로 삽입하므로서 종방향 뿐만아니라 바깥모퉁이에 결합될 수 있다. 파지부(131)와 결합부(132)사이의 파지작용이 벽구조의 충분한 견고성을 부여하기에 불충분한 경우 추가적으로 리벳트연결을 할 수도 있다. 연결부분에 있어서 공간부위는 적절히 방음단열층(108)으로 충전시킨다.
제13c도는 내측모퉁이 연결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때 두개의 인접된 벽체(41)의 파지부(131)와 결합부(132)의 연결은 모퉁이형철(143)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모퉁이 형철(143)은 U자형 기초형철(154)로 이루어지며,그의 한쪽측판(146)을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고 파지부(144)의 형성을 위하여 단부가 지지판(147)를 가지고 있다. 한개의 내측모퉁이 (142)에 있어서 파지부(131)와 결합부(132)는 기초형철(145)과 지지판(147)사이에 유지된다. 상기 모퉁이형철(143)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리벳트 또는 나사를 사용하여 결합부(132) 또는 파지부(131)와 함께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모퉁이형철(143)을 측판(146)에 조립하기 전에 먼저 구멍(153)을 뚫어놓는다.
양쪽단부에 형성된 파지부(131)와 결합부(132)사이의 벽체(41)에 수직으로 벽체(41)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또하나의 벽체(41)를 부착해야할 경우에는 그 벽체(41)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오차조절형철(148) 또는 (154)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차조절형철(148)은 단면이 Z자형으로 형성되었고, 하나의 지지판(152)을 가지고 있어서 그 지지판(152)은 예를들어 리벳트연결장치를 사용하여 벽체(41)의 평판(13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52)에는 직각부(150)가 형성되어 있고, 그 직각부(150)는 삽입구(149)를 형성한다. 따라서 부착할 벽체(41)의 파지부(131)가 상기 삽입구(149)로 삽입될 수 있다(제14a도).
한 벽체(41)의 결합부(132)를 다른 벽체(41)에 부착해야할 경우에는 또 하나의 오차조절형철(154)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 오차조절형철(154)은 지지판(155)을 가지고 있으며, 그의 한쪽끝에는 파지부(131)가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차조절형철(154)은 나사(156)를 사용하여 벽체(41)의 평판(130)과 결합된다. 또한 나사(156)로 결합하는 대신에 리벳트로 연결할 수 있다. 다른 벽체(41)를 부착할때는 결합부(132)를 오차조절형철(154)의 파지부(131)위로 부터 밀어넣으므로서 이루어진다(제14b도).
제15a도 및 제15b도는 두개의 문틀(9)(9a)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문틀(9)은 두개의 문틀연결형철(157)(158)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단부(159)(160)(161)(162)에는 번갈아서 각각 결합부(132)와 파지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131) 및 결합부(132)에는 또다른 형철을 연결부로서 연결되거나 또는 또다른 벽체(41)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문틀(9a)은 두개의 문틀연결형철(163)(164)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문틀연결형철(163)(164)은 각각 번갈아서 형성된 파지부(131) 내지 결합부(132)를 갖는 하나 문걸림턱(165)과 마찬가지로 번갈아서 형성된 결합부(132) 내지 파지부(131)를 갖는 하나의 벽체연결형철(16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문틀연결형철(163)(164)은 리벳트(151) 또는 나사(156)를 사용하여 문걸림턱(165)과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6도는 하나의 차단벽(169)을 파지부(131)와 결합부(132)사이의 벽체(41)에 연결시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1벽체(41)에 대하여 수직으로 부착된 차단벽(169)의 제2벽체(41)를 지지하기 위하여 단면이 Z자형 기초형철로 이루어지는 연결형철(171)이 부착되어 있으며, 공간부(149) 아래에 있는 연결형철(171)의 한쪽단부에는 직각브라켓트(150)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쪽 단부에는 파지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131)는차단벽(169)의 벽체(41)의 결합부(132)속으로 삽입되게 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149)속에는 차단벽(169)의 제2벽체(41)의 파지부(131)가 삽입된다. 제1벽체(41)를 평판(130)과 연결시키는 것은 나사(156)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나사들은 직각부(150)의 단부와 차단벽(169)의 벽체(41)의 파지부(131)를 통하여 조여준다.
제17도는 차단벽(74)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때 다습공간(76)을 건조공간(75)으로부터 차단시킨다. 건조공간의 벽체(41)는 하부형철(37)위에 설치되어 있다. 바닥면(35)위에 고정시킨 지지벽(77)에 스페이서부재(55)가 인접되어 있으며, 그 지지벽(77)위에 스페이서형철(78)이 부착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페이서형철(78)에 U자형 상부지지형철(79)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지지형철(79)은 스페이서형철(78)위로 부터 끼우게 되어 있다. 하부지지형철(80)위에는 다습공간쪽의 벽체(41)를 올려놓고, 이대 금속판(109)은 스페이서형철(78)에 부착시킬 수 있다. 지지형철(80)과 다습공간쪽의 벽체(41)사이에는 방음단열층(81)을 설치한다. 상기 지지형철(80)과 다습공간쪽의 벽체(41) 하부에는 하부구조(82)를 형성하고,그 하부구조(82)는 형틀콘크리트구조물 또는 성형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구조(82)와 다습공간쪽의 벽체(41)의 표면(83)은 타일로 바르거나 방수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

Claims (30)

  1. 적어도 하나의 천장과 바닥을 가지고 있는 실내공간을내장하고, 칸막이를 하는구조시스템에 있어서, 평판형 부재로 조립되는벽과 천장을 가지며, 상기 평판형 부재는 압연형철로 형성하여 천장 또는 바닥에 설치된 지지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평판형부재의 측면연부는 파지부를 형성하여 벽 또는 천장을 보강하여 주고, 인접된 평판부재의파지부와 결합하게 되어 있으며, 가) 각 벽체(40),(41)는 공지의 방법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형철로 형성된 받침대 모양의 하부형철(37)(38)상에 지지되며, 상기 하부형철은 바닥면(35)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바닥면과 견고히 결합되어 있으며, 나) 각 벽체(40),(41)의 종측연부에는 일측면이 벽체와 결합하게 되어 있는 대략 U자형의 파지부(131)를 형성하고 이때 평판쪽으로 향한 공간부를 가지고 있는 상기 U자형 파지부(131)의 연장부(133)가 평판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131)는 연결한 벽체(40),(41)의 다른쪽 종측연부에 형성된 결합부(132)속으로 삽입되게 되어 있으며, 그 결합부(132)는 연장부(133)에 평행하게 형성된 커다란 U자형 형철(137)의 측판(138)에는 그 단부에 하나의 직각판(139)이 상기 지지판(136)쪽으로 형성되어 그의 단부측판(140)이 지지판(136)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단부 측판(140) 파지부(131)의 중간복판(134)의 길이에 상응하는 간격을 띄우고 형성되어 있으며, 다) 천장부재(48)를 지지하기 위하여 천장지지체와 결합하게 되어 있는 연결형철(63),(64)이 벽체(40),(41)의 천장쪽 경계연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내장 및 캄막이 구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단일벽체(41)를 위한 하부형철(37)은 보통 U자형 단면을 갖는 한장의 철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며,그 측판(112),(113)들 사이로 벽체(41)가 삽입되고, 이때 금속판(109)과 접촉하는 측판(113)은 그 단부가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있고, 방음단열층에 접촉하고 있는 측판(112)은 중간판(114)에 대하여 90도보다 큰 각도로 설치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 및 칸막이 구조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이중벽체(40)를 위한 하부형철(38)은 접합부(50)의 양쪽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단면이 대략 U자형으로 되는 두개의 형철(54)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의 내측 측판(53)들은 바닥판(52)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고, 외측측판(51)들은 바닥판(52)에 대하여 90도보다 큰각도를 이루어 형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 및 칸막이 구조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하부형철(37),(38)의 밑면에는 받침판(56)들이 부착되어 있고, 그 받침판(56)들은 하부형철(37),(38) 및 바닥면(35)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 및 칸막이 구조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벽체(40),(41)의 천장모서리에는 캡형철(65)이 연결형철(63)로서 설치되어 있고, 그 캡형철(65)은 벽체(40),(41)와 결합된 U자형철(66)을 이루고 있으며, 그 U자형형철(66)에는 천장부재(48)을 위한 고정형철(42)이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구조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벽체(40),(41)의 천장모서리에는 천장부재(48)를 지지하기 위하여 연결형철(64)로서 천장지지형철(6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천장지지형철(67)은 벽체(40),(41)와 결합된 U자형철(68)로 이루어져 있고, 그의 한쪽각판(69)에는 직립연부(61)를 갖는수평판(7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판(70)위에는 천장부재(48)을 위한 밑받침으로서 방화재료로 되는 단열부재(71)가 부착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부재(48)들은 방음단열층(108)으로 충전된 구형형철로 되는 천장판넬(115)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쪽단부의 측면(116),(117)에는 각각 U자형 절곡부(118),(119)가 형성되어 있고, 그의 종측면(120),(121)에는 각각 L자형 모서리(122),(1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L자형 모서리(122)는 단부판(123)을 형성하고 있어서 인접된 천장판넬(115)의 파지부(126)와 결합하게 되어 있고, 상기 또 하나의 L자형 모서리(124)는 단부판(127)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파지판(125)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벽체(40),(41)의 설치에 있어서 그 벽체(40),(41)의 모퉁이 또는 측면 모서리에 출입구(85)를 형성하기 위하여 파지부 또는 결합부를 가지고 있는 연결형철이 형성되어 있고, 그 연결형철에는 중공형철로 형성된 문틀(9),(9a)이 고정되어있으며, 그 문틀(9),(9a)에는 출입구쪽으로 형한 돌출형철(91)이 형성되어 그속에 충전재(15)를 충전하게 되어있고, 문(1),(2)이 닫혀졌을때 그 충전재(15)와 접촉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문(1),(2)은 보강틀(3),(4), 평탄한 압연형철(10),(11), 금속판 또는 내화성 프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프라스틱은 문짝(12),(13)을 문틀(9),(9a)에 밀폐하는 충전재(14)에 적합한 요부(16)를 형성하기 위하여 변형된 표면을 가지고 있으며, 그 표면에 외측금속판(5),(6),(7),(8)이 접촉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구조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틀(3),(4)은 상기 금속판(5),(6),(7),(8)의 절곡단부 (17),(18)에 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틀(3),(4)은 금속판(5),(6),(7),(8)의 절곡단부(17),(18)의 단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5),(6)은 절곡된 문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구조시스템.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틀(3),(4)은 접합연결 또는 스카프연결에 의하여 금속판(5),(6),(7),(8)의 가장자리부분과 결합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틀(3),(4)은 U자형 중자형철부(22),(23)를 갖는 평판부(10),(11)로 이루어지며,그의 단축판(14)에는 평판부(10),(11)의 한부분 단면부(25)가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의 장측판(26)에는 단부(27)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판(27)과 U자형부분(25)의 단부판(28)은 금속판(5),(6),(7),(8)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구조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철(22)의 중간복판(30)과 U자형부분(25)은 금속판(5),(6)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시스템.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측의 연결형철(88)은 캡형철(65)과 천장지지형철(67)을 이용하여 천장부재(48)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조립구조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평판부재를 연결형철(92),(93)과 연결하며, 상기 연결형철(92),(93)은 설치물의 지지를 위한 결자형 구멍(96),(96a)과 파지부 또는결합부(42),(43)가 있는 한쪽측면에 형성된 측판(95)를 갖는 상자모양의 프레임(9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벽체(40),(41)내에 창문을 설치하기 위하여 그 벽체를 창문틀(97)과 결합하며, 그 창문틀(97)은 두개의 수직연결형철(92),(93)과 커텐레일(98),(9)로서 형성된 두개의 수평다격실 형철로 이루어지고, 다격실형철은 나사를 이용하여 주위의 벽체(40),(41)와 결합하며, 이때 상기 다격실형철의 적어도 한개의 격실(100)에는커텐을 상기 격실속에서 미닫이식으로 설치한 고정롤러들과 연결시키기 위하여 길다란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구조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다격실형철에는 조립보조장치로서 복판모양의 멈춤쇠(10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구조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커텐레일(98),(99)의 다격실형철과 연결형철(92),(93)에는 인접된 벽체(40),(41)를 덮는 덮개 웨브(103)가 형성되며, 그 덮개 웨브(103)는 끝이 가늘어지게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구조시스템.
  22. 제6항에 있어서 내부모퉁이(142)를 결합부(133)상에 형성하기 위하여 하나의모퉁이형철(143)을 밀어넣고, 결합부(132)에 고정시키며, 상기 파지단부(144)속으로 벽체(41)의 파지부(131)를 삽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모퉁이형철(143)은 결합부(132)의 U자형철(137)위로 밀어올릴수 있는 U자형 기본형철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측면판(146)에 파지부(131)의 지지를 위한 직각절곡 지지판(14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시스템.
  24. 제22항 도는 제23항에 있어서 제2벽체 (41)를 제1벽체(41)에 대하여 수직으로 고정시키고, 그의 파지부(131)과 결합부(132)사이의 평판부재(13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단면이 Z자형인 오차조절형철(148)을 형성하고, 제1평판부재(130)로부터 반대쪽으로 향한 공간부(149)속으로 제2벽체(41)의 파지부(131)를 삽입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구조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벽체(41)를 직각으로 제1벽체(41)에 고정시키고 파지부(131)와 결합부(132)의 사이로 제1벽체(41)의 평판부재(13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오차조절형철(154)를 형성하고, 그 오차조절형철(154)은 하나의 지지판(155)으로 이루어지며, 그의 단면부에 파지부(131)가 직각으로 형성하며, 그 위로 제2벽체(41)의 결합부(132)를 밀어넣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시스템.
  2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9)은 문틀형철(157),(158)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의 단부(159),(160),(161),(162)에 번갈아서 각 각 결합부(132)내지 파지부(131)가 형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시스템.
  2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9a)은 문틀연결형철(163),(164)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문틀(9a)은 각각 번갈아서 형성된 파지부(131)내지 결합부(132)를 갖는 문걸림턱(165)과 각각 번갈아서 형성된 결합부(132)내지 파지부(131)를 갖는 벽체연결형철(166)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리벳트 결합(151) 및 나사결합(156)으로 연결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구조시스템.
  28. 제22항에 있어서 차단벽(169)을 벽체(40),(41)에 형성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파지부(131)를 갖는 Z자형 지지판(170)으로 이루어지는 연결판(171)에 벽체(40),(41)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때 Z자형 공간부(149)속으로 또하나의 벽체(41)의 파지부(131)를 삽입할 수 있고, 파지부(131)속으로 다른 벽체(41)의 결합부(132)속으로 삽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제1벽체(41)의 평판부재(130)의 파지부를 갖는 Z자형 지지판(170)은 나사결합(156)또는 리벳트결합(151)에 의하여 평판부재(130)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벽체(40),(41)의 천장쪽 단부(172)에 지지판(179)위에 부착할 수 있는 방음단열판(182)을 갖는 직각 브라켓트(173)가 부착되며, 그위에 천장부재(48)를 올려 놓을 수 있고, 이때 측연부(175),(176)에 단부형철(177),(178)을 부착하여 천장부재(48)를 횡연결할 때는 한 천장부재(48)의 단부형철(177)을 다른 천장부재(48)의 연부에 겹치게 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구조시스템.
KR1019830005954A 1982-12-16 1983-12-15 실내공간의 내장 및 칸막이 구조시스템 KR890004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246531.9 1982-12-16
DE3246531 1982-12-16
DE3317208A DE3317208C2 (de) 1982-12-16 1983-05-11 Wandelement zur Auskleidung und Aufteilung eines mindestens eine Deckenfläche und Bodenfläche aufweisenden Raumes
DEP3517208.0 1983-1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045A KR840007045A (ko) 1984-12-04
KR890004177B1 true KR890004177B1 (ko) 1989-10-23

Family

ID=25806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5954A KR890004177B1 (ko) 1982-12-16 1983-12-15 실내공간의 내장 및 칸막이 구조시스템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EP (1) EP0111857B1 (ko)
KR (1) KR890004177B1 (ko)
AU (1) AU564697B2 (ko)
BG (1) BG49724A3 (ko)
DD (1) DD210240A5 (ko)
DE (1) DE3317208C2 (ko)
ES (1) ES528144A0 (ko)
FI (1) FI83114C (ko)
GR (1) GR79730B (ko)
HU (1) HU186632B (ko)
IE (1) IE54912B1 (ko)
IL (1) IL70464A (ko)
PL (1) PL142457B1 (ko)
TR (1) TR22161A (ko)
WO (1) WO1984002368A1 (ko)
YU (1) YU462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282824A7 (de) * 1988-05-24 1990-09-26 Industriekooperation Schiffbau Feuer- und schallhemmende tuer
EP0950604A3 (de) 1998-04-06 2000-07-12 Lethe Metallbau GmbH Bauelement zur Erstellung von Wänden und/oder Decken, insbesondere auf Schiffen
FR2784649B1 (fr) 1998-10-14 2000-12-22 Alstom Technology Procede de montage d'un cloisonnement sur une paroi de local d'habitation de navire, et elements de raccord correspondants
DE29919825U1 (de) 1999-11-12 2000-01-27 Lethe-Metallbau GmbH, 21129 Hamburg Bauelement zur Erstellung von Wänden, insbesondere von Innenwänden, und/oder Decken, insbesondere auf Schiffen
WO2016135759A1 (en) * 2015-02-26 2016-09-01 FINCANTIERI S.p.A Separation structure between two cabins with double wall and air gap, in particular between passenger cabins
CN206914574U (zh) * 2017-07-10 2018-01-23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舱室用顶槽结构的固定结构
NO345137B1 (en) * 2018-07-13 2020-10-12 Arild Hardeng Wet room element, wet room with said element for use in the floor, wall and roof,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wet room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958744A (ko) * 1950-03-17
US1508871A (en) * 1923-04-24 1924-09-16 Bloedow Henry Sheet-metal building
FR1084617A (fr) 1953-02-01 1955-01-21 échalas
FR1201640A (fr) 1958-07-08 1960-01-04 Rhone Soc Ind Chimique Du élément de construction
DE1921484U (de) 1964-05-08 1965-08-12 Siebau Siegener Stahlbauten G Stapelgeraet fuer hohe regate.
FR1450442A (fr) 1964-12-31 1966-08-26 Isolation Thermique Et Acousti Panneau pour faux-plafonds
FR1443971A (fr) 1965-04-13 1966-07-01 Assise de plancher insonorisante
DE1951653U (de) 1966-09-09 1966-12-15 Wilhelm Bernzen Einhaenge-deckenplatte.
FR1528069A (fr) * 1967-04-28 1968-06-07 Construction préfabriquée démontable destinée à constituer des locaux divers
DE1937443B2 (de) * 1969-07-23 1975-03-27 Hans-Juergen B. 2117 Tostedt Fischer Wand- und Deckenteile zur Bildung von Raeumen
AU1107070A (en) * 1970-01-09 1971-07-15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uilding structures
DE2025556C3 (de) * 1970-05-26 1975-07-31 Rhein-Main Wellpappe Gmbh & Co Kg, 6234 Hattersheim Messestand od.dgl
DE2340909A1 (de) 1973-08-13 1975-05-28 Fischer Hans Juergen B Innenausbau zur ausbildung von raeumen in schiffskoerpern
SE7315190L (ko) * 1973-11-08 1975-05-09 Gullfiber Ab
BE817525A (nl) 1974-07-11 1974-11-04 Verbeteringen aan plafondtegels
DE2514259C2 (de) 1975-04-01 1987-04-09 Wolfgang Dipl.rer.pol. 3100 Celle Haacke Dachkonstruktion mit plattenförmigen Isolierstoffbauelementen sowie Abstandhalter für die Dachkonstruktion
US4038796A (en) * 1975-12-23 1977-08-02 Eckel Industries, Inc. Wall panel assembly
DE2827837A1 (de) * 1977-07-19 1979-02-08 Haironville Forges Stapelbare platte fuer die herstellung von zweischaligen isolierten waenden
US4245446A (en) 1978-07-14 1981-01-20 Alcan Aluminum Corporation Fusible panel clip
BE892894A (nl) * 1982-04-19 1982-10-19 P V B A Bolckmans Prefab-syste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045A (ko) 1984-12-04
IE832979L (en) 1984-06-16
PL245159A1 (en) 1984-08-13
ES8406612A1 (es) 1984-08-01
IL70464A0 (en) 1984-03-30
IE54912B1 (en) 1990-03-14
AU2331684A (en) 1984-07-05
FI843216A (fi) 1984-08-15
GR79730B (ko) 1984-10-31
IL70464A (en) 1986-11-30
TR22161A (tr) 1986-07-04
YU245283A (en) 1986-04-30
DE3317208C2 (de) 1985-12-19
DD210240A5 (de) 1984-06-06
HUT35751A (en) 1985-07-29
FI83114B (fi) 1991-02-15
AU564697B2 (en) 1987-08-20
EP0111857B1 (de) 1986-11-12
PL142457B1 (en) 1987-10-31
BG49724A3 (en) 1992-01-15
ES528144A0 (es) 1984-08-01
DE3317208A1 (de) 1984-06-20
FI83114C (fi) 1991-05-27
EP0111857A1 (de) 1984-06-27
YU46279B (sh) 1993-05-28
WO1984002368A1 (en) 1984-06-21
HU186632B (en) 1985-08-28
FI843216A0 (fi) 1984-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3121B2 (en) Dry partition wall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a dry partition wall system of this kind
US4674250A (en) Modular building panel
US4813193A (en) Modular building panel
US4176504A (en) Weather proof sandwich panel floor attachment device
US5893248A (en) Insulating panel and method for building and insulating a ceiling structure
US5233808A (en)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EP0666949B1 (en) Board wall system
KR890004177B1 (ko) 실내공간의 내장 및 칸막이 구조시스템
US2795305A (en) Wall construction
EP0462790B1 (en) A building and building method
FI69674C (fi) Saett att resa en byggnad samt anordning foer utfoerande av sattet
JPH08246601A (ja) 壁パネルおよび外壁構造
US3665664A (en) Building panel and structure constructed therewith
JPH0626166A (ja) 目地構造
CA1133674A (en) Prefab building panel structures
US1969125A (en) Building system
SU1564296A1 (ru) Блок-контейнер
KR102186625B1 (ko) 건축용 판넬
JP2011214320A (ja) 建物の防水構造
IT8948700A1 (it) Struttura ad elementi modulari componibili, per la costruzione di facciate continue di edifici e/o per rivestimento a cappotto isolante di murature esistenti.
JPH05321396A (ja) 構築物用パネル
JP4047289B2 (ja) Pcカーテンウォ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物
JP4664083B2 (ja) 軸組工法におけるファイヤーストップ構造
JPH03176554A (ja) 建築用パネル
JPH054382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31215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312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312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9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9092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1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00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