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3990Y1 - 자동차용 보조 백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보조 백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990Y1
KR890003990Y1 KR2019850010355U KR850010355U KR890003990Y1 KR 890003990 Y1 KR890003990 Y1 KR 890003990Y1 KR 2019850010355 U KR2019850010355 U KR 2019850010355U KR 850010355 U KR850010355 U KR 850010355U KR 890003990 Y1 KR890003990 Y1 KR 890003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view mirror
case
hook
mirror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0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3786U (ko
Inventor
안교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
윤용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 윤용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
Priority to KR2019850010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990Y1/ko
Publication of KR8700037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7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990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보조 백미러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정면도.
제3도는 제1도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1도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볼록거울
3 : 고정갈고리편 4, 4' : 고정갈고리
7 : 유동편 8 : 물림갈고리
9 : 손잡이부 10 : 힌지
11, 12 : 구멍 13 : 스프링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용 백미러의 일측에 부착하여 자동차운전시 후측방에 나타나는 맹점(BLIND SPOT)을 해소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자동차용 보조 백미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조 백미러는 볼록거울을 직접 양면테이프나 또는 접착제에 의하여 본체 백미러의 일측에 고정상태로 부착시키도록 된 것인바, 이러한 종래것은 야간운행시와 같이 보조 백미러가 별로 소용되지 않을때에도 백미러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어 오히려 운전에 방해가 되기도 하고 또한 접착제나 테이프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기온의 변화에 의한 열팽창 또는 수축이나 차체진동에 의하여 보조 백미러가 본체 백미러로부터 쉽게 탈락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또 한편, 종래에도 기존 백미러에 대체용의 백미러를 착탈가능하게 구비한 것이 제외된 바 있으나 착탈가구성이 복잡하여 필요시 신속용이하게 착탈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이것은 백미러 전체를 대체시키는 것이므로 부분적인 맹점해소용에는 적용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전술의 종래 맹점해소용 보조백미러가 필요시 착탈이 불가능하고 또한 쉽게 탈락되는 결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보조 백미러를 독자의 케이스에 정착함과 함께 그 케이스에 착탈이 매우 용이한 갈고리를 구비하여 그 갈고리에 의해 보조백미러를 안정되게 본체에 부착되게 함은 물론 필요시 간단히 떼어낼 수 있도록 형성하므로서 안전운행에 기여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인데, 이를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1) 전면에 볼록거울(2)을 착설하고 케이스(1)의 후측벽(1')내면 하방에 양측 고정갈고리(4) (4')가 구멍(5)을 통해 밖으로 빠져 나오도록 고정갈고리편(3)을 볼트나 리벳트등의 부착구(6) (6')로 고정부착하며 케이스(1)의 후측벽(1')내 상방에 물림갈고리(8)를 구비하여 케이스(1)를 본체 백미러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한 것에 있어서, 물림갈고리(8)를 손잡이부(9)를 갖는 유동편(7)과 일체로 형성하고 유동편(7)의 내단부 틀힌지(10)로 유동가능하게 유착하여 물림갈고리(8)와 손잡이부(9)가 케이스(1) 연부에 뚫린 구멍(11) (12) 밖으로 각각 일정길이 돌출되게하며 그 유동편(7)에 스프링(13)을 탄력설치하여서 된 것으로 도면중 부호 14는 본체 백미러를 표시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케이스(1)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부(9)를 상향 유동시키면 스프링(13)을 신장시킴과 함께 유동편(7)이 힌지(10)를 지축으로 상향유동하게 되므로 이에 일체로 여설된 물림갈고리(8)도 상향유동하여 하부고정갈고리(4) (4')와의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때 벌어진 상하의 갈고리(8) (4) (4')를 이용하여 본체 백미러(14)의 우측단에 케이스(1)를 걸어 붙인다음에 손잡이부(9)를 놓으면 스프링(13)의 탄력에 의하여 유동편(7)이 하향 유동하면서 물림갈고리(8)가 본체 백미러(13)를 꽉 물어주어 케이스(1)가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1)에 착설된 볼록거울(2)이 본체 백미러(14)의 우측단에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그 부분에서의 후방관찰 맹점부위를 해소시키므로 주간 운행시 안전운행을 가능하게 해준다.
한편, 야간에 시내운행시와 같은 경우에는 볼록거울이 물상을 축소반사시키는 것에 의하여 주간과는 달리 후방측 물상을 뚜렷히 식별하는 것이 곤란하고 그 볼록거울이 차지하고 있는 본체의 거울면이 가려져 있는 결과를 초래하여 오히려 후방관차에 장해 요인이 되는 경우가 있는바, 이러한 경우 본 고안에 의하면 손잡이부(9)를 상향 조작하면 물림갈고리(8)가 쉽게 벌어져 간단히 볼록거울(2)을 본체 백미러(14)로부터 떼어낼 수 있으므로 그 보조 백미러가 부착되어 있던 부위까지도 반사편으로 사용할 수 있어 야간안전 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 백미러에 보조백미러를 부착시킬때 착탈이 용이한 갈고리 구성에 의하여 부착시키므로서 부착시 부착력이 강하여 쉽게 떨어지지 않게되고 또한 불필요시에는 쉽게 떼어낼 수 있어서 안전운행에 기여할 수 있는 개선된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Claims (1)

  1. 볼록거울(2)이 부착된 케이스(1)를 케이스(1)의 후측벽(1') 상하로 돌출시킨 고정갈고리(4) (4')와 물림갈고리(8)에 의하여 본체 백미러에 착탈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물림갈고리(8)를 손잡이부(9)를 가지는 유동편(7)과 일체로 형성하고 물림갈고리(8)와 손잡이부(9)가 구멍(11) (12)내에서 스프링(13)으로 탄력지지되면서 유동 가능하도록 유동편(7)의 내단부를 힌지(10)로 유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백미러.
KR2019850010355U 1985-08-13 1985-08-13 자동차용 보조 백미러 Expired KR890003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0355U KR890003990Y1 (ko) 1985-08-13 1985-08-13 자동차용 보조 백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0355U KR890003990Y1 (ko) 1985-08-13 1985-08-13 자동차용 보조 백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786U KR870003786U (ko) 1987-03-30
KR890003990Y1 true KR890003990Y1 (ko) 1989-06-15

Family

ID=19244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0355U Expired KR890003990Y1 (ko) 1985-08-13 1985-08-13 자동차용 보조 백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9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786U (ko) 198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4953B1 (ko) 차량 탑승자 구속장치의 가스백용 덮개
US3791337A (en) Signaling device
GB2063970A (en) Vehicle Hazard Warning Device
KR890003990Y1 (ko) 자동차용 보조 백미러
US2709945A (en) Anti-glare curtain for automobile rear view mirrors
FR2786809B1 (fr) Dispositif d'entrainement d'au moins un rideau d'occultation du panneau coulissant d'un toit ouvrant pour automobile
FR2768197B1 (fr) Fixation auto-liberante au serrage, notamment pour une aile plastique d'un vehicule automobile
RU92010574A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контроля чистоты ветрового стекла автомобиля
JPH07332Y2 (ja) 自動車の幌取付構造
KR200143073Y1 (ko) 트럭용 글로브박스 장착구조
JPH0420694Y2 (ko)
DE59308131D1 (de) Zusatzaussenspiegel
KR970006816Y1 (ko) 자동차의 방풍유리 부착구조
KR970001045Y1 (ko) 자동차용 룸 미러의 체결구조
KR19980023377U (ko) 자동차 스티커 보관함 구조
KR960006435Y1 (ko) 차양구조를 갖는 썬바이져(Sun Visor)
KR100680547B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글래스 홀더 결합구조
JPS6223311Y2 (ko)
KR200215625Y1 (ko) 자동차용 룸 미러
KR0157776B1 (ko) 착탈이 용이한 백미러용 가스켓
KR0119177Y1 (ko) 자동차의 룸미러
KR19980056653A (ko) 자동차용 플랩 고정장치
KR19980017408U (ko) 자동차용 백미러
KR960022125A (ko) 자동차 스페어타이어의 고정구조
GB2253821A (en) Vehicle wing mirr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5081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5081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80915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90117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51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9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912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912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4100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