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2784Y1 - 오이성장 보조구 - Google Patents

오이성장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784Y1
KR890002784Y1 KR2019860016140U KR860016140U KR890002784Y1 KR 890002784 Y1 KR890002784 Y1 KR 890002784Y1 KR 2019860016140 U KR2019860016140 U KR 2019860016140U KR 860016140 U KR860016140 U KR 860016140U KR 890002784 Y1 KR890002784 Y1 KR 8900027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cumber
opening
coupling
coupling means
cucumbe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6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309U (ko
Inventor
김효철
Original Assignee
김효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철 filed Critical 김효철
Priority to KR2019860016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784Y1/ko
Publication of KR8800073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3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7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784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20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 A01G13/27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protecting specific parts of plants, e.g. roots, trunks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20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 A01G13/28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protecting young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이성장 보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보조구에 유과가 감싸여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동 보조구에 장입된 유과가 생장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서의 Ⅲ-Ⅲ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줄기 맞춤부 2 : 통공
3 : 개구부 4 : 몸체
5 : 결합돌기 6, 6' : 결합구멍
7 : 통기구멍 8 : 결합설편
9 : 결합수단
본 고안은 오이성장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서, 유과가 구부러지지 않고 곧게 생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오이나 호박 또는 가지등의 과채류에 있어서, 특히 오이의 경우와 같이 수분의 함량이 많은, 과실이 가늘고 긴 과채류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한 생리적 불균형으로 인하여 유과가 착과후 성과로 생장하면서 굽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부려진 오이는 사용시 여러가지 결점을 갖고 있어 시장에서 하급품으로 취급되는 경향이므로 수확후 이러한 오이는 시장에 출하하지 않고 사료등으로 사용하게 되어 그 폐기율은 무려 20-25%의 막대한 양에 이르고 있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재배농가에서는 유과인 입구가 형성된 투명체의 P.E필름 포대를 유과에 씌어 재배한 후, 씌어진 포대와 오이를 함께 수확하여 출하한후, 소비자가 오이를 사용할 때 씌어진 포대를 찢어내고 사용하게 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오이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목적외에 오이를 충해 및 약해로부터 방지하고 수송도중 오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또다른 목적이 있었기 때문에 오이가 소비자의 손에 전달되기 까지 포대가 오이 외부에 씌어져 있어야 했으므로 재배농가에서의 포대의 회수와 재사용이 불가능했고, 또한 포대에서 오이를 꺼낼때 포대를 찢어내거나, 포대에 미리 내장된 나이론사를 따라 포대를 찢어 인출구를 형성해야 했기 때문에 포대의 재질이 얇은 P.E필름이 한정되어야 하는 제한이 가해져 있었다.그러나 이와 같이 얇은 P.E필름으로는 오이가 생장시 구부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없는 모순이 발생하게 되어 결국 지금까지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제거키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오이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그 재사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품가치가 높은 오이를 보다 낮은 생산원가로 재배 생산할 수 있게 하는 오이성장 보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구에 유과가 감싸여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보조구는, 상단의 줄기 맞춤부(1)와 하단의 통공(2)이 측면의 개구부(3)에 의하여 개폐가능케 형성되어 있고 비사용시에는 개구부(3)가 열려 있다가 개구부(3)를 닫았을때 보조구가 탄성을 유지하면서 결합되어 닫힐 수 있게끔 투명의 P.P 또는 아클릴수지등 경질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3)는 그 양단부가 보조구의 몸체(4)보다 조금 두텁게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는 결합수단(9)으로서의 수개의 결합돌기(5)가 돌출 형성되고, 다른 일단에는 상기 결합돌기(5)가 끼워 결합되는 결합구멍(6)이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4)의 전면에는 다수의 통기 및 배수공(7)이 형성되어 있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수개의 결합구멍(6')이 형성된 다수의 결합설편(8)이 개구부(3)의 일단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다른 일단에 돌출된 결합돌기(5)에 끼워 결합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9)에는 여러가지 공지의 결합수단들이 이 채용될 수 있음은 쉽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미설명부호 (10)은 오이의 유과, (11)은 오이, (12)는 오이줄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오이성장 보조구를 사용하여 오이를 재배하기 위해서는, 제1도에서와 같이 오이의 유과시에 보조구 몸체(4)의 개구부(3)를 열고, 이 개구부(3)를 통하여 유과(9)의 줄기(11)가 줄기맞춤부(1)에 감싸여 재치되고 유과(9)가 몸체(4)내에 감싸여지게 한후, 개구부(3)를 중심으로 하여 몸체(4)를 양쪽으로 누르고 결합돌기(5)를 결합구멍(6)내에 끼워서 개구부(3)의 양단부가 결합되게 한다.
이와 같이 보조구내에 장입된 오이의 유과(9)는 보조구가 곧은 원통관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생장과정에서 구부러지는 일이 없이 곧게 생장하게 되며, 수확기가 되어 오이(10)를 수확하기 위해서는 보조구가 씌어진 채로 오이(10)를 줄기에서 딴후, 결합돌기(5)를 결합구멍(6)으로부터 뽑은후 보조구의 몸체(4)는 그 탄성으로 인하여 개구부(3)가 양쪽으로 열려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개구부(3)를 통하여 또는 하측의 통공(2)을 통하여 오이(10)를 꺼내고 보조구는 다시 재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수개의 결합구멍(6')이 관통된 결합설편(8)이 개구부(3)의 일단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부(3)의 양단부를 결합할때 이 결합설편(8)을 잡고 결합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오이성장 보조구는 그 재질이 탄성을 가진 투명의 경질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유과를 감싸 넣고 성과를 꺼낼 수 있는 개구부(3)와 그양단부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이 동시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몸체(4)의 전면에 다수의 통기 및 배수공(7)이 형성되어 있어 오이(10)가 성장하는 데 보다 좋은 환경을 조성해 주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오이성장 보조구를 사용함으로써, 소비자는 곧게 자란 양질의 오이만을 구입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오이를 대량으로 재배 생산하는 농가에서는 본 고안 보조구의 저렴한 사용비 및 이용의 용이성에도 불구하고 성장불량 오이, 즉 구부러진 오이등을 유과시에 거의 완벽하게 교정하여 정상적인 곧게 자란 오이만큼 재배생산 해낼 수 있게 됨으로써, 우수등급을 획득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생산 수량의 획기적인 증대를 꾀할 수 있는 것이어서, 그 실용성은 물론이고 막대한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대략 원형 관형상으로 되고 상부에 가느다란 줄기 맞춤부(1)가 형성되어 다수의 통기공(7)이 형성된 몸체(4)와, 이 몸체(4)의 양단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개구부(3)와, 상기 개구부(3)의 양단에 개구부(3)를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 및 분리가 자유롭게 형성된 결합수단(9)과로 되는 오이성장 보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9)이, 상기 개구부(3)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결합돌기(5)와 다른 일단에 뚫려 형성된 결합구멍(6)과로 되는 오이성장 보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9)이, 상기 개구부(3)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결합돌기(5)와 다른 일단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수개의 결합구멍(6')이 형성된 다수의 결합설편(8)과로 되는 오이성장 보조구.
KR2019860016140U 1986-10-23 1986-10-23 오이성장 보조구 Expired KR8900027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140U KR890002784Y1 (ko) 1986-10-23 1986-10-23 오이성장 보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140U KR890002784Y1 (ko) 1986-10-23 1986-10-23 오이성장 보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309U KR880007309U (ko) 1988-06-27
KR890002784Y1 true KR890002784Y1 (ko) 1989-05-06

Family

ID=19256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6140U Expired KR890002784Y1 (ko) 1986-10-23 1986-10-23 오이성장 보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7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309U (ko) 198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84890A (en) Planting pot
EP0186344A2 (en) A shelter for trees
KR200365256Y1 (ko) 오이, 가지 등의 생육 재배기
KR890002784Y1 (ko) 오이성장 보조구
JP2832815B2 (ja) 果菜類の接木方法
CN105210709B (zh) 一种山药栽培使用的活动套筒
JP3577292B2 (ja) 山芋栽培器
KR200363812Y1 (ko) 농산물 재배용 포장재
KR100494531B1 (ko) 농산물 재배용 포장재
US4256046A (en) Plant cultivation devices and methods
KR200445751Y1 (ko) 과채류 열매 재배용기
CA2413776A1 (en) Harvester for harvesting crops
AU2007100624A4 (en) Plant container
CN104041307A (zh) 黄瓜的种植方法
CN219305479U (zh) 一种果树高位嫁接装置
JP3639343B2 (ja) 植物の株育成装置
SU1134136A1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 томатов
Unamma et al. Effects of tropical weeds on yield in white yam (Dioscorea rotundata Poir)
CN207665609U (zh) 果树育苗装置
KR940008106Y1 (ko) 이식 육묘용 포트
Aguiar et al. Eggplant production in California
SU1644754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сем н белокочанной капусты
JP3017903U (ja) 植物の株育成装置
KR100650979B1 (ko) 과채류 생육 재배 및 포장 용기
Van Os et al. Forcing asparagus in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610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6102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40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907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910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9101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4100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