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2538Y1 - 훌로어용 콘센트 박스 - Google Patents

훌로어용 콘센트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538Y1
KR890002538Y1 KR2019860009705U KR860009705U KR890002538Y1 KR 890002538 Y1 KR890002538 Y1 KR 890002538Y1 KR 2019860009705 U KR2019860009705 U KR 2019860009705U KR 860009705 U KR860009705 U KR 860009705U KR 890002538 Y1 KR890002538 Y1 KR 8900025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lid
head
outlet box
frame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9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421U (ko
Inventor
박기훈
Original Assignee
우성강건 주식회사
송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강건 주식회사, 송정환 filed Critical 우성강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09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538Y1/ko
Publication of KR8800034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4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538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훌로어용 콘센트 박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을 훌로어에 매설하였을때 사용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와 동일로서 사용치 않을때는 예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센트박스 2 : 하부받침틀
3 : 뚜껑 4 : 몸체부
6 : 뚜껑부 8 : 덮개판
9 : 상·하높이 조절볼트 10 : 외틀체
11 : 두부좌(頭部座) 12 : 내틀체
13 : 나사마개 17 : 전선인입공
18 : 괘지홈 19 : 괘지돌기
24 : 핀 30 : 반구상돌기
32 : 반구상요홈
본 고안은 고층건물 등의 훌로어에 매설되는 전화나 전기배선에 연결된 콘센트를 외관상 미려하게 보호 수납토록 된 콘센트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로는 콘센트 박스 몸체를 분할 가능한 조립체로 구성함과 아울러, 상부에는 별도의 개·폐 자재한 뚜껑을 유설한 것에 의하여, 훌로어에 매설 후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콘센트에 플럭의 삽탈을 용이하게 하였고, 또한 그다지 홀로어 표면상으로도 돌출되지를 않아서 외관상 미려함은 물론, 콘센트 사용시와 비(非)사용시 각 부품간의 교환설치를 용이하게 한 것이다.
종래부터 근자에 이르기 까지 훌로어용 콘센트 박스가 많이 공급되어져 있기는 하지만, 이들 모두는 훌로어에 매설시 훌로어의 표면으로 부터 콘센트 삽입구가 개방된 상태로 많이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상을 물론, 사람들의 발에 걸리거나하여 활돌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였고, 또한 훌로어에 일단 매설하면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훌로어를 수리할 경우 훌로어의 고저 변화에 따라서 콘센트박스 전체를 교체 설치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콘센트박스를 덮고 있는 상부덮개는 볼트등에 의하여 본체에 완전 체결하는 식이였기 때문에 플럭들을 콘센트에 삽입하여 사용하거나 불사용하거나 플럭 삽탈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야만 덮개를 개방할 수 있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으며, 더우기 훌로어를 물로서 청소할 시 물이 훌로어 상부로 돌출된 콘센트 박스의 개방된 플럭 삽입구를 통하여 박스내의 콘센트내로 유입되어지는 것으로 인해 누전등의 사고 위험을 초래케 한다고 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들을 해소코져 안출한 것으로, 첫번째 목적은 콘센트 박스를 훌로어 내부에 완전하게 몰입되게 매설되도록 한 구성에 의해 콘센트 박스의 상부와 훌로어의 표면부와 거의 수평으로 이루어지게끔하여 외관상 미려하게 함과 아울러, 사람의 활동시 발등에 걸리지 않도록 함에 있고, 두번째 목적은, 콘센트 박스의 본체를 상호 분할 조립가능한 조립체로 구성하여 훌로어에 매설 후에도 훌로어 높이 변화에 응하여 콘센트 박스의 높이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고, 세번째 목적은 콘센트 박스 상부에는 핀으로서 일단을 추지하여 개·폐자재하게 뚜껑을 장착한 구성으로, 콘센트에의 플럭 삽탈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물로서 홀로어를 청소할 시에도 뚜껑이 고무팩킹과 함께 긴밀하게 닿혀져 있는 관계로 인해 청소용 물이 콘센트 박스 내의 콘센트 내로 유입되거나, 혹은 습기등이 발생되는 것을 억지하여 누전등으로 인한 사고를 제거한 것에 있으며, 네번째 목적은 콘센트 박스의 분할조립체 구성을 인하여 콘센트 사용시에는 개·폐가능하게 일단이 추지된 뚜껑을, 콘센트를 사용치 않을때는 덮개판 구성품을 볼트 등으로서 완전 체결토록하여, 콘센트 박스에 있어서 상호구성품의 교환을 사용 가능케 한 것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홀로어(20)에 매설되는 콘센트 박스(1)는 하부의 4각통형상의 받침틀(2)과, 이 받침틀(2)상에 재치되는 4각형상의 몸체부(4)와, 이 몸체부(4)상에 수납 재치되는 뚜껑부(6)와 덮개판(8)으로 크게 구성되며, 전기한 받침틀(2)의 상부에는 제2도에서 1점쇄선으로 표시한 콘센트(22)가 수용장착되도록 4각형으로 절재한 개구부(5)가 천설됨과 아울러, 개구부(5)의 좌·우측 가장자리에의 각 모서리부에는 상·하 높이 조절 볼트(9)가 각각 상하로 진퇴할 수 있도록 나합되며, 내부가 사각형상으로 천설된 4각형의 몸체부(4)의 내주벽에는 재치부(7)가 턱을 이루며 일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재치부(7)의 각모서리 하면쪽으로는 상하 높이 조절 볼트(9)의 두부가 안착되도록 한 두부좌(頭部座)(11)가 형성되고, 뚜껑부(6)는 중앙부분이 개방되도록 천설되며 내측일부를 제외한 각 내측부에 걸림턱(15)이 형성됨과 아울러, 일측걸림턱(15)에는 소정 간극을 두고 괘지홈(18)이 형성되며 4각형상의 중앙이 개방된 외틀체(10)와, 이 외틀체(10)의 걸림턱(15)상으로 재치수납되며 선단부분으로는 나사마개(13)에 의해서 개방 및 폐쇄되도록 형성한 전선인입공(17) 및 중간부분으로는 일단 이 핀(24)에 의해서 개·폐가능하게 추지된 뚜껑(3)이 유착되며, 일측으로는 전기한 외틀체(10)의 괘지홈(18)에 괘삽되도록 한쌍의 괘지돌기(19)가 돌출형성된 내틀체(12)로 이루어지며, 뚜껑(3)의 선단면에는 양측으로는 반구형돌기(30)가, 중앙부분에는 반구상요홈(3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25)(25)……는 볼트공을, (27)(27)……은 볼트를 각각 표시한 것이며, 이들은 본 고안의 콘센트 박스(1)를 상호 결합시 이용된다. (26)은 플럭을, (28)은 전화나 전기배선을,(29)는 홀로어 내장재를 표시한 것이며, 또한 도면상에는 표시를 생략하였으나, 뚜껑(3)과 내틀체(12),외틀체(10)와 몸체부(4)와의 각 사이에는 밀폐부재인 고무팩킹을 설치하여 액체들의 유입으로 인한 습기 발생을 방지하여 누전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콘센트 박스(1)를 건물의 훌로어(20)에 매설하는 공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하 높이조절볼트(9)가 각각 체결된 하부받침틀(2)을 소정위치의 골조물 상에 재치한 후 볼트 구멍(25)에 볼트(27)를 관통 체결한다.
다음에 훌로어(20)의 높이(타일을 부착시킨 상태의 훌로어의 높이)를 어느 정도까지의 높이로 할 것인가를 인지한 후 하부 받침틀(2)의 상부에 체결된 각 상·하 높이조절볼트(9)를 조절하고, 그 다음 상·하 높이조절볼트(9)의 두부위에 몸체부(4)를 올려놓되 몸체부(4)하면에 형성된 두부좌(11)에 상·하높이조절볼트(9)의 두부가 각각 안착되게 한다(제2, 3도 참조). 이렇게 한 후 세멘트몰탈을 타설하되 몸체부(4)에 타일(29)한장 두께만큼의 거리를 남겨 놓으면되다. 이상이 훌로어(20)에 매설되는 콘센트 박스(1)에 있어서 하부 받침틀(2)과 몸체부(4)에 대한 설명이고, 이렇게 하여 콘센트 박스(1)에 있어서 일부분 설치가 종료되면, 몸체부(4)의 내측벽을 따라서 형성된 재치부(7)상에 덮개판(8)이나, 내틀체(12)와 외틀체(10)가 조립된 뚜껑부(6)을 결합한 후 각 볼트구멍(25)으로 볼트(27)를 체결하여 조립하면 되는바, 콘센트(2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덮개판(8) 대신에 외틀체(10)를 먼저 몸체부(4)의 상연부에 재치한 후 각 일치된 볼트구멍(25)으로 볼트(27)를 사용하여 체결고정 후 내틀체(12)의 일측부의 괘지돌기(19)가 외틀체(10)의 걸림턱(15)일부에 형성된 괘지홈(18)으로 괘지되도록 하여 조립을 실시한다.
이때 뚜껑부(6)는 훌로어(20)의 바닥 표면으로 부터 대략 0.5mm정도 윗쪽으로 돌출되지만, 사람들이 활동함에 있어 발에 걸리거나 하는 등의 지장은 초래하지 않는다(제2도의 것은 실제보다 확대도시한 것이므로 돌출되어 보이는 것임). 조립은 이와 같은 순서로 행하여지나, 해체시에는 상기와 역순으로 뚜껑부(6)에서 부터 순서대로 해체하면 콘센트 박스(1)를 용이하게 분할 할 수가 있다.
훌로어(20)에 콘센트 박스(1)의 설치가 끝나면 콘센트(22)에 플럭(26)을 삽입하는바, 이때는 먼저 내틀체(12)의 일단이 핀(24)에 의해서 추지된 상태로 폐쇄되어 있는 뚜껑(3)을 선단부분을 잡고서 윗쪽으로 개방(제2도)한후, 이때 생기는 개방부를 통하여 플럭(26)을 집어 넣어서 콘센터(22)에 삽입한다. 플럭(26)에 연결된 전선(28)은 내틀체(12)에의 선단부에 체결된 나사마개(13)를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 등으로 해체하여 이탈시킨 후 그때 생기는 전선인입공(17)으로 통하여 외부로 인출하여, 그후 뚜껑(3)을 닫으면 된다.
뚜껑(3)을 덮더라도 뚜껑(3)을 선단에 반구상 요홈(32)이 형성되어 있어서 전선(28)에는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고서 내틀체(12)에 닫혀짐과 아울러, 훌로어(20)와 수평면을 대략 이루게 되고, 뚜껑(3)은 반구형 돌기(30)로 인하여 내틀체(12)에 견고하게 닫혀진다.
한편, 플럭(26)은 콘센트(22)로 부터 뽑을시에는 뚜껑(3)만 개방하여 용이하게 시행할 수가 있는바, 종래의 뚜껑부가 볼트 등으로 체결하는 식의 콘센트 박스의 경우, 플럭 삽탈시 일일이 볼트를 해체하여 시행한다고 하는 불편이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덮개판(8)은 콘센트(22)를 사용하지 않을시 이용하는 것으로, 덮개판(8)을 몸체부(4)의 재치부(7)에 수용재치되도록 한 후, 일치된 볼트구멍(25)을 통하여 볼트(27)로서 체결 고정하면 되는 것이고, 이때도 종래의 경우는 훌로어의 바닥 표면으로 부터 덮개판이 많이 돌출되었지만, 본 고안의 콘센트 박스(1)에 있어서는 콘센트 사용하지 않을시 폐쇄하는 덮개판도 훌로어(1)의 타일(29) 표면과 동일 평면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사람들의 활동에 전연 지장을 초래치 않는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훌로어에 설치시 외부표면으로 돌출되지를 않아서 행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음과 아울러 외관상 미려하며, 더우기 매설후 받침틀에 뚜껑이 설치되어 있어서 콘센트에 플럭 삽탈이 용이하다고 하는 잇점을 보유하고 있다.

Claims (1)

  1. 상면에 콘센트(22)장착용 개구부(5)가 천설되며, 개구부 모서리의 각 일측에는 상·하높이조절볼트(9)가 나합된 4각상 자형 하부받침틀(2)과, 상·하높이조절볼트(9)의 두부에 재치되도록 대응위치 하면에는 두부좌(頭部座)(11)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주벽으로는 재치부(7)가 형성되고 중앙이 천공된 4각형상의 몸체부(4)와, 몸체부의 상연부에 괘지되며, 내주벽의 일부에 걸림턱(15)이 형성됨과 아울러 일측 걸림턱에는 괘지홈(18)이 형성된 중앙이 개방된 4각형상의 외틀체(10)와, 이 외틀체내에 수납되며, 선단부에 천공되어서 나사마개(13)로 폐쇄된 전전인입공(17)과 외측 일부에 돌설된 괘지돌기(19)와 일단이 핀(24)으로서 추지되며 선단면에는 반구상 돌기(30) 및 요홈(32)이 형성된 뚜껑(3)을 보유하는 내틀체(12)로 이루어진 뚜껑부(6)와, 전기한 몸체부의 재치부(7)상에 수납채지되는 덮개판(8)으로 부터 분해 조립 가능하게 구성된 훌로어용 콘센트 박스.
KR2019860009705U 1986-07-07 1986-07-07 훌로어용 콘센트 박스 Expired KR8900025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705U KR890002538Y1 (ko) 1986-07-07 1986-07-07 훌로어용 콘센트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705U KR890002538Y1 (ko) 1986-07-07 1986-07-07 훌로어용 콘센트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421U KR880003421U (ko) 1988-04-13
KR890002538Y1 true KR890002538Y1 (ko) 1989-04-29

Family

ID=19253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9705U Expired KR890002538Y1 (ko) 1986-07-07 1986-07-07 훌로어용 콘센트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53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421U (ko) 198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94693A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ion box cover
KR102156593B1 (ko) 콘센트 보호함
KR890002538Y1 (ko) 훌로어용 콘센트 박스
DE4013457C2 (de) Anschluß- und Aufhängevorrichtung für Deckenleuchten
JP3664137B2 (ja) 浴室のドア枠取付け構造
JP2750031B2 (ja) フロアパネル用床コンセント装置
JP3591276B2 (ja) 分電盤
JP2604861Y2 (ja) 電気接続箱
JPH082211Y2 (ja) 便器洗浄用水タンクにおける排水弁の取付け構造
JP2669730B2 (ja) インナーコンセントの取り付け構造
JPH0970108A (ja) 分電盤
JPH0119533Y2 (ko)
KR0140146Y1 (ko) 덮개 일체형 매립용 전기배선 박스
JPH0531944Y2 (ko)
JP3210726B2 (ja) フロア用コンセント
JPH0346417Y2 (ko)
JPS5915210Y2 (ja) 防水取付装置
JP2957855B2 (ja) 洗濯機
JP2567090Y2 (ja) 洗面化粧台
JPS6022731Y2 (ja) 分電盤構造
JP2549474B2 (ja) 浴室ユニットにおける浴槽の取付構造
JPH0274107A (ja) 配線器具の化粧構造
JPS5926745Y2 (ja) 配線器具用防水装置
JPH019102Y2 (ko)
KR200357693Y1 (ko) 단자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6070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6070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19870608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32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907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908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9080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89201001340;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J2001 Appeal

Decision date: 19910430

Appeal identifier: 1989201001340

Request date: 19891229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3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429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5112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