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1450B1 - 3기능을 가진 공기펌프 - Google Patents

3기능을 가진 공기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450B1
KR890001450B1 KR1019850008649A KR850008649A KR890001450B1 KR 890001450 B1 KR890001450 B1 KR 890001450B1 KR 1019850008649 A KR1019850008649 A KR 1019850008649A KR 850008649 A KR850008649 A KR 850008649A KR 890001450 B1 KR890001450 B1 KR 890001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ir
piston rod
air pump
soc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8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182A (ko
Inventor
황잉충
Original Assignee
황잉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잉충 filed Critical 황잉충
Priority to KR1019850008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1450B1/ko
Publication of KR870005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450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3/00Pumps actuated by muscle power, e.g. for inf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18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hand tools, e.g. erasing kn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0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 F04B39/001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with valve arranged in the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0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 F04B39/00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piston r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7/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tyre pressure or the pressure in other inflated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3기능을 가진 공기펌프
1. 제1도는 본 발명의 3기능을 가진 공기펌프의 일 실시태양의 분해 사시고 ; 제2도는 본 발명의 3기능을 가진 공기펌프의 일 실기태양의 사용하지 않을 시의 측면도 ;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 제4도는 본 발명의 3기능을 가진 공기펌프의 일 실시태양이 펌프로 사용시 공기 흡입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제5도는 본 발명의 3기능을 가진 공기펌프의 일 실시태양이 펌프로 사용시 공기 주입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제6도는 본 발명의 3기능을 가진 펌프의 일 실시태양이 공기압 측정구로 사용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피스톤 롯드
3 : 소케트 4 : 공기주입용 바늘
5 : 작동레버 6 : 전방슬리브
7 : 후방 뚜껑 8 : 볼펜튜브
11 : 공기 흡배구 14 : 씨일링
21 : 슬리브 22 : 공기 흡입구
23 : 흡입밸브 24 : 스폰지
25 : 필터체 26 : 씨일링
27 : 스피링 32 : 공기통로
33 : 구멍 34 : 씨일링
35 : 스틸볼 37 : 패킹환
38 : 씨일링 51 : 연결롯드
52 : 스프링 61 : 삽입체
62 : 고정환
본 발명은 공기 주입용 펌프, 공기압 측정구 및 필기구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3기능을 가진 펌프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스포츠화의 신발창에 매설된 공기쿠션백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동시에 주입된 공기압도 측정할 수 있고, 도한 볼펜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를 가진 휴대용 공기펌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기 주입용 펌프의 기능만을 가진 것은 이미 상품화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자가 특허를 허여받은(또한, 특허출원증에 있는 것도 있음)공기쿠션 신발에 적합하게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펌프는 제안된 바 없기 대문에 자전거용 수동식 또는 족답식 공기펌프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펌프로는 공기쿠션신발에 공기를 주입시에 주입된 공기압을 조절 및 측정을 할 수 있는 측정계기가 없기 대문에 공기압의 불균형이 생기게 된다. 즉, 좌, 우 신발창에 매설된 공기쿠션백의 공기압의 높고 낮음의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소정의 공기압으로 맞출수가 없어서 신발창의 사전에 설정된 탄력성에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공기펌프는 공기쿠션 신발용으로는 부적합한 것이 었다. 또 다른 종류의 족답식 공기펌프로는 다이얼식 공기압 계기가 부착되어 있어서 주입되는 공기의 압과 그 양을 알 수 있으나, 이는 주로 운동경기용 볼이나 차량의 타이어에 공기를 주입할시에 사용토록 된 것이어서,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운동경기 중이나 또는 훈련중에 이를 휴대하여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것이었다.
따라서, 공기쿠션 신발을 착용시에는 이에 주입된 공기압의 조절을 미리 기억하고 있다가 미리 대처를 하여야 하며, 예컨대, 집에서 외출하기전에 신고 있는 공기쿠션신발의 공기 주입이나 공기압을 측정할 것을 잊었을 경우에는 이 신발에 공기 주입이나 공기압 조절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이었다. 더우기, 종래의 공기펌프로서 공기쿠션신발에 공기를 주입시키거나, 배출시키거나, 또는 공기압을 조절할 시에는 공기주입용 바늘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수동식 또는 족답식 펌프가 있다고 하여도, 공기주입용 바늘이 없으면 아무 쓸모가 없게 되는 것이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볼대 공기쿠션 신발에만 전용할 수 있고, 소형으로 휴대하기에 간편한 공기펌프가 필요로 하게 된것이다. 따라서, 공기쿠션 신발을 착용한 사람이 그 신발의 탄력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그 신발창에 매설된 공기쿠션백에 공기를 주입 및 배출시킬 수 있고,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으며, 종래의 수동식 도는 족답식 공기펌프가 가지고 있는 휴대의 불편함과 이들이 고가인 결점들을 해소시킨 공기펌프를 제공하는 데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자가 창안한 본 발명의 공기펌프는 본 발명자가 특허를 획득한 또는 선출원중에 있는 수종이 공기쿠션 신발에 공기의 주입, 배출, 측정등을 편히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특이한 구성으로 볼펜과 같은 필기구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3가지의 기능을 가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을 첨부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3기능을 가진 공기펌프의 일 실시태야의 분해사시도로서, 하우징(1), 퍼스톤 롯드(2), 소케트(3), 공기주입용 바늘(4), 예컨대 만년필등을 주머니등에 꽂을때 사용하는 클립의 역할도 하며, 배출밸브 역류용 작동레버(5) 및 전방 슬리브(6)등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면, 상기 각 구성부위별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전방 끝단부(첨부도면에서 좌측을 전방, 우측을 후방으로 정한 것임. 이하 동일하게 사용함)에 소공을 천설하되, 이의 직경을 이 소공을 통하여 왕복동하는 피스톤 롯드(2)의 직경보다는 근소하게 크게 하며, 이 하우징(1)의 타탄부 즉, 후방단부는 완전 개구시킨다. 또한, 하우징(1)의 전방단부의 부근에 공기흡배구(11)를 천설하여 이를 통하여 피스톤 롯드(2)를 인발할 시에 이 피스톤롯드(2)와 하우징(1)의 내부사이의 주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이와 반대로 피스톤 롯드(2)를 하우징(1)내부로 인입 시킬시에는 공기를 외부로부터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의 전방단부에 천설된 소공의 내측으로 씨일링(14)을 삽착시키며, 이 씨일링(14)의 내경은 상기 피스톤 롯드, (2)의 외경보다 근소하게 작게 하며, 또한, 하우징(1)의 후방단부, 즉 개구단부의 외면에는 외나사부(12)를 형성하여 이에 후방 뚜껑(7)으로 나사결합시키며, 이 뚜껑(7)으로 공기주입용 바늘(4)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이 뚜껑(7)의 중심부에 상기 바늘(4)의 외경보다 약간 큰 구멍을 천설하고, 그리고, 상기 하우징(1)의 후방단부에서 약간 전방측으로 2개의 소편(13)을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부착시켜서 이 사이에 배출밸브 역류용 작동레버(5)를 회동자재로 상기 하우징(1)의 길이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으로 설치하고, 이 작동레버(5)는 본 발명의 공기펌프를 휴재시에 주머니등에 꽂을 수 있는 클립의 역할도 수행하는 것이며, 작동레버(5)의 일단에는 연결 롯드(51)가 연계되어 이의 선다부가 하우징(1) 및 이 하우징(1)에 삽착된 소케트(3)를 관총하여 배출밸브의 스틸볼(35)의 사염에당접토록 하고, 또한 상기 작동레버(5)의 일단과 하우징(1) 사이에 상기 연결롯드(51)가 삽입되게 스피링(52)을 탄설시켜서 이 스프링(52)의 탄성력으로 상기 작동레버(5)가 원위치에 정치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배출밸브 역류용 작동레버(5)의 일단을 손으로 상방으로 당기면, 이에 연동되어 이 작동레버(5)의 타단부는 연결롯드(51)를 하우징(1)내측으로 압압하게 된다. 이 연결롯드(51)의 선단부에는 스틸볼(35)의 상부가 위치되어서 이스틸볼(35)을 후방으로 밑게되어 배출밸브는 개방되고, 이때에 공기 주입용 바늘(4)이 공기쿠션화희 신발창에 매설된 공기쿠션백에 꽂아 있다면, 이 공기쿠션백에 공기가 배출되고, 이에따라 이 공기쿠션백의 공기압을 측정할 수 있데 된다. 이에 대하여서 상세한 것을 후술한다.
다음, 피스톤 롯드(2)는 중공 롯두로 구성괴고, 이의 전방부에 외나사를 형성하여 이에 슬리브(21)를 나사결합시키고, 또한 전방부의 내면에 내나사를 형성하여 이에 볼펜튜브(8)의 선단부를 나사결합시켜서 볼펜팁(8)이 표출되게 하여 이 볼펜튜브(8)가 피스톤 롯드(8)의 내부에 위치토록 이 볼펜튜브(8)의 외경이 피스톤 롯드(8)의 내경보다 작게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슬리브(21)의 후방측으로 상기 피스톤 롯드(2)에 수개의 공기 흡입구(22)0를 천설하여 이 피스톤 롯드(2)가 인발시에 이를 통하여 외부공기를 흡입토록 한다.
상기 피스톤 롯드(2)의 후방단부는 확개되어 마치 트렙펫의 입처럼 확개부가 형성되고, 이 내부는 공간부로 되어 있고 피스톤 롯드(2)의 후방부가 피스톤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이 내부에 일방통행인 흡입밸브 조립체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 롯드(2)를 하우징(1)의 전방측으로 일반시키면, 피스톤 롯드(2)의 내부와 연통이 되며, 이 확개된 확개부가 상기 하우징(1)의 내벽과 섭접되어 피스톤의 역할을 행하게 되며, 이 내부로 일방통행인 흡입밸브(23), 스폰지(24), 필터체(25) 및 활한상체인 씨일링(26)을 순차적으로 삽입시키고 상기 씨일링(26)의 외주연부가 상기 하우징(1)의 내벽과 섭접토록하여서 이 피스톤 롯드(2)의 후방부가 피스톤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이 내부에 일방통행인 흡입밸브 조립체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 롯드(2)를 하우징(1)의 전방측으로 일반시키면, 피스톤 롯드(2)의 후방측으로 하우징(1)내부에 진공상태가 발생하기 대문에 흡입력이 생기게 되어서 이 흡인력이 일방통행인 흡입밸브(23)을 내향으로 흡인이동시켜서 개방되어 피스톤 롯드(2)의 내부외 이와 연통된 공기 흡임구(22)를 통하여 외부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개방된 흡입밸브(23)를 통하여 외부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개방된 흡입밸브(23)를 통하여 피스톤 롯드(2)의 후방측으로 하우징(1)내부에 공기가 충입되어진다.
이 피스톤 롯드(2)를 다시 하우징(1)내부로 인입시키면 상기 하우징(1)내부에 충입된 공기압에 의하여 상기 흡입밸브(23)는 페색되고, 이 충입된 공기는 후술하는 소케트(3)에 고정된 공기 주입용 바늘(4)을 통하여 배출된다. 또한, 하우징(1)의 내부에 이 하우징(1)의 전방단부에 삽착된 씨일링(14)과 피스톨 롯드(2)의 후방단부에 피스톤 역할을 하는 확개부 사이에 스피링(27)을 탄설하여 상기 피스톤 롯드(2)가 하우징(1)의 전방단부로 자연적으로 인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피시톤 롯드(2)를 인발하여 외부공기를 흡입시에는 상기 스프링(27)이 압축되어 에너지가 축적되고, 공기를 주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 롯드(2)를 다시 하우징(1)내부로 인입시킬 시에 상기 스프링(27)에 축적된 에너지로 그 만큼 힘이 적게 소용된다.
또한, 이 피스톤 롯드(2)의 외면에는 눈금을 설정하여 공기압을 측정할 시에 사용하고, 또한 이 피스톤 롯드(2)의 내부에 이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볼펜튜브(8)가 삽입되고 이의 볼펜팁(81)이 피스톤 롯드(2) 및 슬리브(21)의 선단부로부터 표출되어서 볼펜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게된다.
또한, 필요한 따라서는 상기 볼펜튜브(8)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피스톤 롯드(2)의 전방단부를 그냥 페색시켜도 되는 것이며, 이 때에 페색시킬 시에 공기흡입구를 형성시키면 상기한 공기 흡입구(22)는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롯드(2)에 상기한 확개부의 전방으로 수개의 구멍을 천설하여 이를 피스톤 롯드(2)의 내부와 연통시키면, 이 피스톤 롯드(2)와 하우징(1)내벽사이에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이 이 구멍과 상기한 공기 흡입구(22)를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한 공기흡배구(11)는 불필요하게 된다.
다음, 공기주입용 바늘(4)을 수장시킬 수 있고, 이를 사용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내부에 일방향으로만 통행이 가능한 배출밸브가 내설된 소케트(3)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소케트(3)는 하우징(1)의 후방부에 삽착되며, 이 내부의 중심부에 공기 통로(32)를 형성하되, 그 내경이 상호 상이한 3개의 구멍의 연접으로 되어 있고, 이소케트(3)의 상부로 제일 작은 구멍과 중간구멍 사이에 상기 통로(32)와는 직교되는 구멍(33)을 천설하고, 이에 씨일링(331)을 삽착시켜서 전술한 연결롯드(51)를 삽입시켜서 이를 하우징(1)의 외부로 표출시켜서 전술한 작동레버(5)의 일단에 연계시키고, 상기 씨일링(331)은 상기 구멍(33) 및 연결 롯드(51)를 통한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일 작은 구멍과 중간 구멍의 단차면에 씨일링(34)을 삽착시키고 이 상면에 상기 제이 작은 구멍의 직경보다 약간 큰 스틸볼(35)을 당접시키고 이 스틸볼(35)의 후축과 상기 통롤(32)을 후방에 위치하는 제일 큰 구멍에 삽착된 패킹환(37)사이에 스프링(36)을 탄설하여 이 스프링(36)의 탄성력으로 항시 스틸볼(23)이 상기 작은 구멍을 씨일링(34)을 사이에 두고 페색하여 일방향으로만 통행되는 배출밸브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하우징(1)의 외면에 회동자재로. 설치된 작동레버(5)의 일단과 연제된 연결롯드(51)가 하우징(1)을 관통하여 상기 씨일링(331)이 삽착된 구멍(33)을 통하여 하우징(1)의 내측으로 밀게되면, 스틸볼(35)은 스프링(36)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후퇴되어 개방되기 때문에 공기를 역류시킬 수도 있는 것이며, 씨일링(38)은 상기 패킹환(37)의 후면에 삽착되어 상기 통로(32)의 후방부의 제일 큰 구멍을 밀봉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공기주입용 바늘(4)의 목부분이 상기 통로(32)의 후방부의 제일 큰 구멍에 삽착되고, 이에 후방 뚜껑(7)을 끼울 수 있도록 이의 중심부에 상기 바늘(4)의 외경보다 약간 큰 구멍을 천설하여 이를 통하여 상기 바늘(4)을 끼우고 상기 하우징(1)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외나사부(12)에 나사결합시켜서 상기 통로(32)와 이 바늘(4)의 중심공과는 연통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소케트(3)의 길이는 이 내부에 설치된 스틸볼(35)에서 소케트(3)의 후방끝단부 즉 하우징(1)의 끝단부까지의 길이가 상기 바늘(4)의 길이보다 더 길게하여서 바늘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이 바늘(4)을 반대방향으로 상기 통로(32)에 삽입시켜서 상기 뚜껑(7)을 나사결합시키면 상기 바늘(4)은 이 통로(32)내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시에는 상기 뚜껑(7)을 풀고 바늘(4)을 꺼내서 이를 반대방향으로 즉, 바늘(4)이 외부로 돌촐되게 하여 이 바늘(4)에 뚜껑(7)의 중심부에 바늘(4)의 외경보다 그 직경이 약간 크게 천설된 구멍에 끼우고 상기 하우징(1)의 외사부(12)에 나사결합시켜 공기를 주입하거나, 또는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또는 공기압 측정구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한 배출밸브를 개방시켜 공기를 역류시키는데 사용하는 작동레버(5)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작동레버(5)는 예컨데, 만년필등을 주머니등에 걸때 사용되는 클립의 역할을 하는 것과 마찬기지로 본 발명의 공기 펌프를 소형으로 하여 휴대시에 이를 주머니등에 걸시에 편리하게 사용토록한 것이다. 이미, 하우징(1)을 설명할 시에 작동레버(5)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작동레버(5)는 하우징(1)의 후방부에서 약간 상방으로 위치되고, 이의 일단에는 연결롯드(51)를 연계시켜서 상기 하우징(1)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천설된 구멍과 이와 대응되게 천설된 소케트(3)의 구멍(33)에 통하여 소케트(3)내부에 탄설된 스틸볼(35)의 상면측으로 출몰이 되게 하고, 상기 연결 롯드(51)가 연계되는 작동레버(5)의 일단과 상기 하우징(1)의 외면사이에 스피링(52)을 탄설하여 항시 소정위치 있게 하고, 작동레버(5)의 일단을 상향으로 잡아당기면(작동레버(5)의 타단을 압압하거나)이에 연동되어 상기 연결 롯드(51)의 선단부가 상기 스틸볼(35)의 상면과 접촉됨과 동시에 이 스틸볼(35)이 스프링(36)의 탄성력을 대항하여 후퇴시켜서 상기 스틸볼(35)로 구성된 일방향으로만 통행되는 배출밸브를 개방시키게 되어 공기는 역류되어 공기압을 측정시에 사용하게 된다.
다음, 전방 슬리브(6)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전방 슬리브(6)는 관체로 되어 있고, 의 후방의 개구부 내부로 전술한 피스톤 롯드(2)의 전방단부에 나사결합된 슬리브(21)가 삽착이 자재로워서 본 발명의 공기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볼펜으로 사용시에 이의 뚜껑으로 사용하여 볼펜팁(81)을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이 전방 슬리브(21)의 전방단부에는 수개의 돌편으로 환상체를 형성한 삽입체(61)가 돌설되고, 이의 선단부로 갈수록 그외경이 적어지도록 하며, 또한 이의 외면에 나사를 형성시켜서 이와 나사결합되는 고정환(62)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펌프를 사용시에는 상기 전방 슬리브(6)를 상기 피스톤 롯드(2)의 전방부에 나사결합된 슬리브(21)으로 부터 빼어내어 이를 반대방향으로 하고, 상기 고정환(62)을 적당량 풀면 상기 삽입체(61)는 선단부로 갈수록 그 외경이 적어지기 대문에 이 삽입체(61)는 확개되어서 이 내부, 즉 상기 삽입체(61)의 내부로 상기 슬리브(21)를 삽입시키고 고정환(62)을 회동시키면 조일수록 상기 슬리브(21)는 확고하게 고정되어 이에 따라 피스톤 롯드(2)도 전방 슬리브(6)에 고정되어서(마치 손잡이와 드라이버대가 분리된 드라이버를 결합시와 같다) 본 발명의 공기펌프를 작동시에 손잡이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 본 실시태양의 작동을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태양의 구성을 설명하면서 이에 작동도 `부위별로 설명하였기 때문에 여기서는 첨부도면에 따라 간략하게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의 공기펌프를 사용하지 않을 시의 측면도 및 이의 단면도로서, 전방 슬리브(6)가 본 발명의 공기펌프이 전방부에 즉, 피스톤 롯드(2)의 전방부에 나사결합된 슬리브(21)에 삽착되어 있고, 공기 주입용 바늘(4)은 사용상태와는 반대방향으로 하우징(1)의 후방부에 삽착된 소케트(3)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3도에서 전방 슬리브(6)을 탈착시키면, 볼펜튜브(8)의 볼펜팁(81)이 표출되어 볼펜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제4도는 공기의 흡입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전방 슬리브(6)를 피스톤 롯드(2)의 전방부에 나사결합된 슬리브(21)로 부터 탈착하여 이를 반대방향으로 하여 이 전방 슬리브(6)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체(61)에 나사결합된 고정환(62)을 적당향 푼 후에 상기 삽입체(61)의 내부로 상기 피스톤 롯드(2)의 나사결합된 슬리브(21)를 삽입시킨 후에 다시 고정환(62)을 조이면 상기 전방슬리브(6)가 상기 슬리브(21)를 통하여 피스톤 롯드(2)에 고정되어 손잡이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1)의 후방부에 나사결합된 후방 뚜경(7)을 풀고, 소케트(3)내부에 삽입된 공기주입용 바늘(4)을 꺼내서 이의 목부분을 소케트(3)의 통로(32)의 끝부위의 구멍에 삽입 시켜서 상기 후방 뚜껑(7)의 중심부 천설된 구멍이 상기 바늘(4)의 외경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이 구멍에 바늘(4)을 삽입 시켜서 상기 뚜껑(7)을 하우징(1)의 외나사부(12)에 나사결합 시켜서 이바늘(4)이 하우징(1)으로 부터 돌출상태로 고정되어 이를 예컨대, 공기쿠션 신발창에 매설된 공기쿠션백에 삽입시킨다. 이때에 상기 공기쿠션백에 공기가 있어도 이 공기는 누출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상기 공기쿠션백에 있는 공기가 상기 바늘(4)을 통하여 소케트(3)의 통로(32)로 인입되어 스틸볼(35)의 후면으로 상기 인입된 공기와 또한 스프링(36)의 탄성력으로 압압하게 되어서 상기 통로(32)의 제일 작은 구멍을 씨일링(34)을 사이에 두고 밀페시켜서 공기는 역류되지 않게된다.
이때에 피스톤 롯드(2)를 인발시키면, 이 피스톤 롯드(2)의 후방과 상기 스틸볼(35)의 전방사이의 하우징(1)내부에 진공 상태가 되어지고, 이 진공상태로 상기 스틸볼(35)은 더욱 더 밀페상태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 롯드(2)의 후방부의 피스톤 역할을 하는 확개부 내부에 삽입된 흡입밸브(23)가 이와 인접된 스폰지(24)를 압압하게 되어 상기 흡입밸브(23)는 후방으로 약간 후퇴이동되어 개구상태가 되면서 피스톤 롯드(2)의 내부 통로와 이와 연통되게 천설된 공기흡입구(22)를 통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게 되어 상기 하우징(1)에 충입되어지고, 또한 상기 피스톤 롯드(2)와 하우징(1)사이게 충입된 공기는 하우징(1)에 천설된 공기 흡배구(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제5도는 하우징(1)의 내부에 충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상태를 나타낸것으로, 피스톤 롯드(2)의 인발을 소정위치에서 정지시키면, 상기한 스폰지(24)의 원상복귄로 흡입밸브(23)는 다시 페색되고, 이때에 피스톤 롯드(2)를 하우징(1)의 내부로 밀레되면 상기 흡입밸브(23)는 충입딘 공기압으로 더욱 페색되어지는 반면에 소케트(3)의 상부에 페색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스틸볼(35)은 상기 충입된 공기압으로 이의 후면에 탄설된 스프링(36)의 탄성력을 대항하여 상기 스틸볼(35)을 후퇴시키서이 스틸볼(35)로 구성된 배출밸브는 개구상태로 되어 소케트(3)의 통로(32)를 통하여 바늘(4)의 중심공을 거쳐서 예컨대, 공기쿠션화의 신발창에 매설된 공기쿠션백에 공기가 주입되어진다. 이러한 작동을 반복하여 예컨대, 공기쿠션화의 신발창에 소정압으로 공기를 충입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톨 롯드(2)가 하우징(1)내부로 인입될 시에 하우징(1)의 내벽과 피스톤 롯드(2)사이의 공간부는 점차적으로 확장되어 이에 따라서 공기가 하우징(1)에 천설된 공기 흡배구(11)를 통하여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롯드(2)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인발될 시에는 하우징(1)의 전방단부 내측에 삽착된 씨일링 (14)과 피스톤 롯드(2)의 일단 끝부에 형성되고 피스톤 역할하는 확개부 사애에 탄설된 스프링(27)이 압축되어 탄성력이 축적되고, 피스톤 롯드(2)를 다시 하우징(1)의 내부로 밀시에 이 측적된 탄성력이 소모되어 펌프작동이 더욱 편리하게 된다. 다음, 제6도는 예컨대, 공기쿠션화의 신발창의 충입된 공기압을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우선, 공기주입용 바늘(4)을 예컨대, 신발창에 매설된 공기쿠션백에 찌르면, 이 공기쿠션백에 충입된 공기는 바늘(4)의 중심공을 통과하여 소케트(3)의 내부 통로(32)로 인입되지만, 이 통로(32)의 상부측을 스틸볼(35)이 스프링(36)의 탄성력으로 폐색시키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 공기는 정체되어진다.
이때에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레버(5)의 일단을 상향으로 잡아당기면, 이 작동레버(5)의 타단은 하향되어 이에 연계된 연결 롯드(51)의 선단부가 하우징(1) 및 소케트(3)의 내측으로 인입되어져서 이 연결 롯드(51)의 선단부가 스틸볼(35)의 상면으로 이동되어 스틸볼(35)은 이에 탄설된 스프링(36)과 상기 통로(32)에 충입된 공기압에 향하여 투퇴됨과 동시에 상기 통로(32)의 상부측에 위치된 제일 작은 구멍이 개방상태로 된다.
상기 통로(32)의 상부측의 스틸볼(35)의 이동으로 개방됨에 따라 이 통로(32)에 이미 충입된 공기는 이의 상부측의 통로(32)를 통과하여 하우징(1)의 내부로 들어간다. 즉, 전술한 제5도의 공기 주입시와는 공기흐름이 반대로 역류되는 것이며, 이 공기압으로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삽착된 피스톤 롯드(2)의 하측단부의 피스톤 역할을 하는 확개부를 밀게되어 이 피스톤 롯드(2)는 상기한 스프링(27)을 압축하면서 하우징(1)으로 부터 상승시키되 이 하우징(1)에 유입된 공기압의 해당되는 만큼 인발시키게 되고 이때에 피스톤 롯드(2)의 외면에 표식된 눈금을 보면 공기압을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5)의 일단을 놓으면 상기한 스프링(52)의 탄성력으로 자동레버(5)은 원위치로 복귀되고, 이의 타단에 연계된 연결 롯드(51)도 연동되어 연걸 롯드(51)의 선단부가 상기 스틸볼(35)은 상면에서 이탈되어지며, 이에 따라 스틸볼(35)은 상기한 스피링(36)의 탄성력으로 상기 통로(32)의 상부측을 폐색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때에 측정이 끝났기 때문에 공기주입용 바늘(4)을 신발창으로 부터 빼어내면 되고, 참고로 이 신발창은 바늘(4)을 찌르는 부분이 지정되어 있어서 이 부분에 바늘(4)을 빼고 삽입됨에 따라 공기가 누출되지 않게 되었다. 또한, 상기 공기쿠션화의 신발창의 공기압을 측정시에 하우징(1)의 내벽과 피스톤 롯드(2)사이에 충입된 공기의 배출 또는 흡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에 천설된 공기흡배구(11)를 통하여 이루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같이, 특히 공기쿠션화의 신발창에 공기의 주입, 공기압의 측정 및 볼펜과 같은 필기구로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소형으로 휴대하기가 편리하기 때문에 그 실용성 및 기능이 탁월헌 공기펌프인 것이다.

Claims (9)

  1. 중공체의 전방단부에 소경이 천설되고 이의 이면에 씨일링이 삽착되며 이의 주연부에 수개의 공기흡배구를 천설하며, 후방단부는 개구시키고 이의 외면에 외나사부를 형성한 하우징과, 중공체의 전방부의 외면에 슬리브가 나사결합되고 이의 내부로 볼펜팁이 표출되게 볼펜튜브가 내삽되며, 이의 전방부에 수개의 공기흡입구가 천설되며 후방부에확개부를 형성하여 이 내부로 흡입밸브, 스폰지, 필터체, 씨일링이 삽착되고 이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하우징의 씨일링과 상기 확개부 사이에 스프링으로 탄설되는 피스톤 롯드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의 내부에 삽착되고 이의 내부에 복수개의 구멍의 연접으로 형성된 통로를 가지며 이의 상부에 스틸볼을 스피링으로 탄설하여 이의 끝단부에 패킹환, 씨일링을 삽착시켜 이를 후방 뚜겅으로 상기 하우징의 외나사부에 나사결합 시키고 상기 스틸볼의 측방으로 씨일링이 삽착되는 구멍이 친설된 소케트와, 상기 소케트의 내부의 통로에 수장시킬 수 있고 상기 후방 뚜껑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공기주입용 바늘과, 상기 소케트의 측방구멍에 출몰자재로 삽입되는 연결 롯드의 일단이 상기 스틸볼과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시켜 이에 스프링을 탄설하여 연계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방에 회동자재로 설치된 작동레버와, 상기 피스톤 롯드에 나사결합된 슬리브와는 그 일측은 삽탈이 자재롭고 타측은 고정환이 나사결합된 삽입체로 삽입 고정시킬 수 있는 전방 슬리브로 구성된 3기능을 가진 공기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에 나사결합되는 후방 뚜껑의 중심부에 천설된 구멍이 상기 공기주입용 바늘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구성된 3기능을 가진 공기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롯드의 외면에 눈금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3기능을 가진 공기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롯드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의 전방단부에 천설된소공보다 약간 작게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 롯드의 후방부에 형성한 확개부와 이 내부로 삽착된 씨일링의 외주연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섭접하도록 구성된 3기능을 가진 공기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에 삽착된 상기 소케트의 후방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단부가 일치됨과 동시에이 후방단부와 상기 소케트의 내부 통로의 상부에 탄설된 상기 스틸볼의 후면사이의 공간부에 상기 공기주입용 바늘을 수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3기능을 가진 공기펌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롯드의 내경이 상기 볼펜튜브의 외경보다 크게 구성된 3기능을 가진 공기펌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롯드의 내부에 상기 볼펜튜브의 삽입시키지 않고 이의 전방단부를 폐색시켜서 이에 공기흡입구를 천설하여 구성된 3기능을 가진 공기펌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롯드의 외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벽사이에 충입된 공기가 상기 피스톤 롯드의 왕복이동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에 천설된 상기 공길흡배구를 통하여 흡입배출하도록 구성된 3기능을 가진 공기펌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롯트의 확재부 전방에 수개의 구멍을 천설하여 상기 피스톤 롯드의 내부통로와 연통 시켠서 구성된 3기능을 공기펌프.
KR1019850008649A 1985-11-19 1985-11-19 3기능을 가진 공기펌프 Expired KR890001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8649A KR890001450B1 (ko) 1985-11-19 1985-11-19 3기능을 가진 공기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8649A KR890001450B1 (ko) 1985-11-19 1985-11-19 3기능을 가진 공기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182A KR870005182A (ko) 1987-06-05
KR890001450B1 true KR890001450B1 (ko) 1989-05-03

Family

ID=1924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8649A Expired KR890001450B1 (ko) 1985-11-19 1985-11-19 3기능을 가진 공기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45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182A (ko) 1987-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2242B2 (en) Pump
US4583917A (en) Pressure regulating and monitoring device
US6953326B2 (en) Air pump having air cylinder/manual dual charging mode
US6814552B2 (en) Pump capable of releasing excessive air
TWI540254B (zh) Rotating the pressure gauge
US5433136A (en) Hand pump with handle storage compartment
CN103836239B (zh) 美式嘴与法式嘴双用风嘴头
CA2234131A1 (en) Locking structure for securing a fluid transfer tube
US3410299A (en) Valve for inflatable article
KR890001450B1 (ko) 3기능을 가진 공기펌프
TWI720770B (zh) 可變壓力打氣筒
US6968734B2 (en) Pen-shaped tire pressure gauge
US3902517A (en) Pump and valve assembly for pressurizing fuel tanks for portable stoves, lanterns and the like
US4873864A (en) Pressure gauge with a movable interior scale
US20030178092A1 (en) Universal inflator
US4599903A (en) Air conditioner refrigerant check guide
CN205766089U (zh) 一种带卷尺的墨斗
CN208042877U (zh) 一种具有自充气功能的预储气式气枪
US20060034719A1 (en) Inflator with inflation and deflation effects
US2017435A (en) Pressure gauge
CN218802181U (zh) 充气补胎工具组
CN222728532U (zh) 一种内部气压可调式网球储存罐
CN212375970U (zh) 一种脚踏装置及应用其的水箱
CN108317065B (zh) 一种可调气压的内增压打气筒
JPH0716055Y2 (ja) 空気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3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405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4050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