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0813Y1 - 실방울의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실방울의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813Y1
KR890000813Y1 KR2019870005088U KR870005088U KR890000813Y1 KR 890000813 Y1 KR890000813 Y1 KR 890000813Y1 KR 2019870005088 U KR2019870005088 U KR 2019870005088U KR 870005088 U KR870005088 U KR 870005088U KR 890000813 Y1 KR890000813 Y1 KR 8900008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plet
operating
actual
gear
fix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50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9735U (ko
Inventor
유문경
김국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형제
유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형제, 유문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형제
Priority to KR20198700050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813Y1/ko
Publication of KR8800197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97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8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813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7/00Decorative or ornamental textile articles
    • D04D7/04Three-dimensional articles
    • D04D7/06Ball-like tufts, e.g. pomp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D02J3/02Modifying the surface by abrading, scraping, scuffing, cutting, or ni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실방울의 가공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설치상태를 일부절결하여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작동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일부절결하여 나타낸 확대 정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요부 작동상태를 일부절결하여 나타낸 측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사시도.
제7도의 (a)(b)(c)(d)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일부절결하여 나타낸 측면도.
제9도의 (a)와 (b)는 본 고안의 안내편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캠판
2' : 롯드 3 : 작동판
3' : 절단인 4 : 고정판
4' : 고정인 5 : 주동축
5' : 종동축 6 : 제1기어
6' : 제2기어 7 : 에어실린더
8 : 작동간 9 : 작동대
9' : 작동핀 10 : 원추돌기
10' : 고정축 11 : 안내간
11' : 안내편 11a : 제어면
11b : 굴곡면 12 : 적재부
12' : 지지체 13 : 탄편
14 : 고정간 14' : 경사홈
15 : 활주봉 16 : 고정편
본 고안은 봉재완구나 의류 또는 모자등에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실방울을 자동으로 규격과 모양을 일정하게 가공하는 한편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고안된 실방울의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이러한 류의 가공장치로는 국내 실용신안공보(공고번호 78-제452호)에 게재된 것과 같이 여러가닥의 실을 묶은후 그 양단부를 절단하게 되면 묶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여러가닥의 실이 확산되어 모양이 아름답지는 않으나 어느정도의 타원형에 가까운 형태가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그 중앙부로 심봉을 삽입하여 회전륜의 회전을 받아 실방울이 회전되게한 후 반달형으로 만곡된 커터로서 절단이 될 수 있도록한 것인바, 이는 그 방법이 비교적 원시적이어서 1개 가공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단일의 가공방법에 따른 비능률적인 생산시스템이기 때문에 대량생산에는 부적합 하였다.
또한 이러한 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다른 종류의 가공장치들은 심봉을 삽입한 실방울을 인위적으로 일일이 공급해 주어야만 되는 불편이 있어 불필요한 인력과 시간의 낭비로 비경제적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내의 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캠판(2)에 의해 롯드(2')가 상하로 왕복운동을 하여 작동판(3)의 절단인(3')과 고정판(4)의 고정인(4')이 교차될때 실방울( A)을 가공할 수 있도록된 통상의 것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인(4')과 절단인(3')에 일체로 지지편(6")을 형성하고 단턱(16')이 형성된 고정편(16)으로 고정시키어 주동축(5)에 체인(5a)으로 연결된 종동축(5')에 제1기어(6)를 축설하고, 본체(1)상부의 에어실린더(7)에 고정된 작동간(8)에 다수개 유설시킨 작동대(9)의 저부로는 자동핀 (9')을 고착하여 그 상단에는 직각방향으로 원추돌기(10)가 형성된 고정축(10')에 제2기어(6')를 추설하여 상기 제1기어(6)과 교합토록하여 안내간(1 1)의 저부로 각각 굴곡면(11b)과 제어면(11a)을 갖는 안내편(11')을 유설시키고 지지체(12')에 경사지게 설치한 적재부(12)의 저면으로 탄편(13)을 설치하며, 상기 작동핀(9')을 제어하면서 스스로 유동하는 활주봉(15)을 경사홈(14')이 형성된 고정간 (14)에 유설시켜 구형의 실방울(A)을 가공할 수 있도록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 A'는 아직 가공되지 않은 실방울, M은 주동축(5)을 구동시키는 모터P는 고정판(4)에 고정되어 작동판(3)의 작동을 안내하는 포스트, 4a는 상기 고정판(4)과 함께 포스트( p)를 지지하는 상부고정판, c는 작동간(8)의 양측 저면에 당접하여 그 작동을 돕는 활주대, D는 작동대(9)을 항상 서로 끌어당기도록 하기 위해 양측으로 설치한 인장스프링, D'는 활주봉(15)의 끝단에 설치한 스프링, E는 활주봉(15)을 유설시키기 위한 유설핀, F는 가공이 완료된 실방울(A)을 일정장소에 떨어뜨리기 위해 설치한 안내체를 각각 표시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된 본 고안은 어느정도 타원형으로 형성된 실방울(A')을 본체( 1) 상부에 지지체(12')로 고정된 적재부(12)내에 다수개 적재하게 되면 첨부도면 제8도에서 표현한 바와 같이 맨 밑쪽의 실방울(A')이 탄편(13)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에어실린더(7)의 작동으로 첨부도면 제7도의 (a)(b)(c)(d)에서 표현한 바와 같이 작동간(8)이 이동하면서 이와 함께 작동대(9)도 그 저부의 활주봉(1 5)의 제어를 받아 각각 작동을 하게 되는데, 이미 가공을 끝낸 실방울(A)을 원추돌기( 10)가 형성된 고정축(10')이 양측에서 지지하여 후퇴할때에 제1기어(6)와 제2기어( 6')가 분리되면서 실방울(A)의 회전이 차단되고 (b)의 위치까지 오게되면 작동대(9)의 저부에 고착된 작동핀(9')이 경사지게 설치된 활주봉(15)의 바깥축 경사면을 따라 서로 벌어지게 되므로 작동대(9)도 벌어지게 되어 가공한 실방울(A)을 그 밑쪽으로 떨어뜨리고 계속 후퇴하여 작동핀(9')이 활주봉(15)의 끝단에 이르러서는 인장스프링(D)의 인장력으로 순간적으로 오므라드는데, 이때의 위치가 적재부(12)의 저면에 설치된 탄면(13)의 상부로 가공되지 않은 실방울(A')이 재치된 위치인 것이므로 이 실방울(A')을 고정축(10')이 물어서 (c)와 같이 에어실린더(7)의 역작용으로 다시 전진하게 되고 작동핀(9')은 상기한 바와는 반대로 활주봉(15)의 내측면을 따라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는 첨부도면 제6도에서 표현한 것과 같이 활주봉(15)의 일측단의 저면부가 홈부로 형성되고 고정간(14)은 경사진 측면을 갖는 경사홈(14')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유설핀(E)의 유설 위치를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해주면 서로 대향한 활주봉(15)의 내측으로는 활주봉(15)이 유동되지는 않으나 외측으로는 경사면에 맞닿을 때까지의 범위내에서는 얼마든지 유동될 수 있으므로 작동대(9)의 작동핀(9')에 의해 활주봉(15)은 바깥측으로 벌어지게 되는, (d)의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절단인(3')과 고정인(4')의 중간에 위치하게 됨과 동시에 제2기어( 6')과 제1기어(6)에 교합하고 첨부도면 제3도에서 표현한 바와 같이 캠판(2)과 롯드( 2')의 운동으로 작동판(3)이 상하 왕복운동을 하게되어 실방울(A')을 가공하는 것이고 이상태에서는 에어실린더(7)가 정지상태를 유지하여 타이머(도시없음)에 의해 일정시간 경과후 복귀 작동케 되는 것이다.
이때 실방울(A')은 원추돌기(10)에 의해 압박되어 고정 지지되면서 정지된 위치에서 계속 체인(5a)으로 회전되었던 제1기어(6)와 작동대(9)에 의해 이동되는 제2기어(6')의 교합으로 고정축(10')이 회전하게 되어 이에물린 실방울(A')도 원활히 회전하여 실방울(A)을 구형으로 가공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가공이 완료되어 고정축(10')으로부터 실방울(A)이 분리되는 상태를 더욱더 상세히 설명하면 첨부도면 제8, 9도에서 표현한 바와 같이 작동대(9)가 후퇴하여 안내간(11)이 설치된 위치에 오게 될 때에 안내편(11')은 자체하중에 의하여 (a)의 상태에 있다가 실방울(A)이 후퇴하는 힘에 의해 핀을 중심으로 회전이 되는데, 처음에는 굴곡면(11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이 가능하나 나중에는 안내간(11)의 저면과 안내편(11')의 제어면(11a)이 당접하여 회전이 되지 않으므로서 실방울(A)의 후퇴를 억제하고, 이때 고정축(10')은 작동핀(9')의 작동으로 실방울(A)의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므로서 실방울(A)을 자유상태로 만들때에 안내편(11')에 걸리어 정확한 위치에 낙하시키고 본체(1)의 측부에 설치된 안내체(F)를 통하여 외부의 일정장소에 쌓이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고정축(10')은 첨부도면 제4도에서 표현한 바와 같이 실방울( A)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탄지스프링(10a)을 고정축(10')에 탄지하고 보조원추돌기(10b)를 형성하여 주었으므로 다소 큰 실방울(A)을 가공할 때에는 보조원추돌기(10b)에도 걸리게 하여 회전력을 높이므로서 원활히 가공할 수 있게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종래의 실방울 가공장치에 비하여 대량으로 가공할 수 있고 인위적인 공급용 할필요가 없어 인건비를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실방울의 크기에 관계없이 가동할 수 있으므로서 대량 가공능력을 향상시킨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본체내에 위치된 모터(M')의 구동으로 캠판(2)에 유설된 롯드(2')가 작동판( 3)에 고정된 절단인(3')을 상하 왕복케하여 실방울(A)을 고정인(4') 사이에서 구형으로 절단 가공할 수 있도록된 통상의 것을 구성함에 있어서, 에어실린더(7)에 고착된 작동간(8)의 전후진으로 이에 다수개 유설된 작동대(9)의 상면에 직각으로 축설된 고정축(10')의 내측단에는 일체로 원추돌기(10)를 형성하여 보조원추돌기(10b)를 탄지스프링(10a)으로 실방울(A')을 물리게한 상태에서 작동핀(9')이 활주봉(15)을 따라 안내되며 함께 전진케 하여 제1기어(6)와 제2기어(6')가 체인(5a)의 동력전달로 서로 교합되어 회전될때 실방울(A)이 회전되어 절단인(3')과 고정인(4')에 의해 가공된후 작동핀(9')이 활주봉(15)의 외측경사면에 의해 작동대(9)의 사이가 벌어짐과 동시 안내간(11)의 안내편(11')위치에서 가공된 실방울(A)을 낙하시키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방울의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인장스프링(D)으로 탄설된 작동대(9)의 일측은 제2기어(6')와 고정축(10')을 함께 회전하도록 축설하여 정지된 위치에서 회전되는 제1기어(6)와 교합될때 원추돌기(10) 내측으로 탄지스프링(10a)에 탄지된 보조원추돌기(10b)가 실방울(A')의 크기에 따라 그 사이의 폭이 변하게 위치되며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방울의 가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안내간(11)의 저부로 굴곡면(11b)과 제어면(11a)을 갖는 안내편(11')을 유설시켜 실방울(A')이 가공토록 전진할때는 회동이 자유롭게하고 가공후 후퇴될때는 제어면(11a)이 안내간(11) 저면에 당접하며 회동이 단속되어 실방울(A)의 후퇴를 정지시킴과 동시 낙하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방울의 가공장치.
KR2019870005088U 1987-04-10 1987-04-10 실방울의 가공장치 Expired KR8900008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5088U KR890000813Y1 (ko) 1987-04-10 1987-04-10 실방울의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5088U KR890000813Y1 (ko) 1987-04-10 1987-04-10 실방울의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9735U KR880019735U (ko) 1988-11-28
KR890000813Y1 true KR890000813Y1 (ko) 1989-03-25

Family

ID=19261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5088U Expired KR890000813Y1 (ko) 1987-04-10 1987-04-10 실방울의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8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9735U (ko) 198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4130A (en) Multi-needle double lock chain stitch tack, jump and thread trimming quilting method and apparatus
US4627368A (en) Embroidering station with schiffli-shuttles
DE2523706A1 (de) Tuftmaschine
DE3626311C2 (ko)
KR890000813Y1 (ko) 실방울의 가공장치
US3054149A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closure elements for slide fasteners
US3236426A (en) Bow forming machine and method
CN111020887B (zh) 一种自动钉扣机
EP1182287B1 (de) Blindstichnähvorrichtung
US4691535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joining a selected yarn to a yarn being knitted
CN111020903B (zh) 起缝剪线机构及其方法
CN112575458A (zh) 缝切一体机
CN209775997U (zh) 一种装饰亮片自动排图机的收带控制装置
CN2076024U (zh) 档案装订机
KR100770018B1 (ko) 장식사 제조장치 및 그 장식사
US3587946A (en) Method and machine for the manufacture of pom-pom bows
CN114310271A (zh) 一种汽车子母扣自动化装配机
JPH0219191A (ja) かつら用みの毛の自動製造装置
US5934212A (en) Two part sewing system for large work pieces
US3039408A (en) Apparatus for making slide fastener chain
CN109704148A (zh) 一种自动打扣机
CN111977465B (zh) 一种四面弹面料弹性纱线的加工方法及加工设备
CN221476523U (zh) 一种自动穿线的装订机
CN220685408U (zh) 一种带自跑纱嘴的双机头手套编织机
CN222294363U (zh) 一种纺织品钩边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7041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7041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13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906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