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0553B1 -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 Google Patents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553B1
KR890000553B1 KR1019860001766A KR860001766A KR890000553B1 KR 890000553 B1 KR890000553 B1 KR 890000553B1 KR 1019860001766 A KR1019860001766 A KR 1019860001766A KR 860001766 A KR860001766 A KR 860001766A KR 890000553 B1 KR890000553 B1 KR 890000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ltrasonic
signal
memory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17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70000907A (en
Inventor
긴지 구리야마
요시노리 미즈노
노리요시 이찌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메디코
기무라 히로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메디코, 기무라 히로가즈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메디코
Publication of KR870000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9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553B1/en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초음파 진단장치Ultrasonic Diagnostic Device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내지 제4도는 제1도의 각 부분의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 차아트.2 to 4 are timing charts showing the operation of each part of FIG.

제5도는 일실시예시의 프레임 메모리내의 데이터 위치의 설명도.5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data position in the frame memory in one embodiment.

제6도는 리니어주사와 콘벡스주사의 프레임 메모리내의 데이터 기억을 설명하는 도면.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data storage in frame memory of linear scan and convex scan;

제7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제8도는 프레임 메모리기입의 설명도.8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frame memory writin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진동자전환회로 2 : 정상회로1: oscillator switching circuit 2: normal circuit

3 : 딜레이소자 4 : 셀렉터3: delay element 4: selector

5 : 아날로그 처리회로 6 : A/D 변환기5: analog processing circuit 6: A / D converter

7 : 메모리회로 8 : 버퍼메모리7: memory circuit 8: buffer memory

9 : 프레임 메모리 10 : 정상제어회로9: frame memory 10: normal control circuit

11 : ROMA 12 : 카운터 A11: ROMA 12: Counter A

13 : 프레임 메모리 제어회로 14 : 리이드 라이트 셀렉터13 frame memory control circuit 14 lead write selector

15 :

Figure kpo00001
16 :
Figure kpo00002
15:
Figure kpo00001
16:
Figure kpo00002

17 : 카운터 B 18 : 카운터 C17: counter B 18: counter C

19 : 비교회로 20 : CRF19: comparison circuit 20: CRF

본원 발명은 초음파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움직임이 빠른 물체를 플리커(flicker)가 적은 분해능이 양호한 화상으로 관찰하는데 적합한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agnostic apparatus suitable for observing a fast-moving object with good resolution with low flicker.

복수개의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초음파의 송수신을 하여 화상을 구성하는 초음파 진단장치에 있어서, 분해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떤 주목점으로부터의 반사신호로서, 각 진동자로부터의 수신파의 위상을 제어하여 가산점에서 위상을 맞추는 일이 행해지고 있다. 이것을 통상 포오커싱(focusing)이라고 부르며, 상기 주목점을 포오커싱포인트라고 부르고 있다. 또, 상기 수신파의 위상제어는 예를들면 탭부착지연선(tap 付着遲延線)에 의해 필요한 지연 시간을 갖는 탭을 가산점에 접속해서 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은 회로를 정상회로라고 부르고 있다. 종래, 상기 포오커싱의 수법으로서, 고정포오커스법, 즉 피사체 표면의 근방에서 심부(深部)까지를 하나의 포오커싱 포인트에 맞춘 위상제어를 하는 방법 및 다단포오커스법, 즉 포오커싱포인트를 몇개 설정하고, 각각에 있어서 고정 포오커스법을 하여, 이들을 조합(組合)하여 하나의 초음파 비임신호로 하는 방법이 있지만, 전자의 방법은 포오커싱포인트 이외의 분해능이 악화되며, 또 후자의 방법에 있어서는 포오커싱포인트의 수만큼 송수신을 하기 때문에 화상을 형성하는 데 시간이 걸려, 화상이 어른거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것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다이내믹포오커스법이며, 송파1회에 대해 수신시 시간과 함께 순차포오커싱포인트를 변화시켜 가는 방법이다.In th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which transmits and receives ultrasonic waves by a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ors to form an image, in order to improve the resolution, as a reflected signal from a certain point of interest, the phase of the received wave from each vibrator is controlled to be phased at an addition point. Matching is done. This is commonly referred to as focusing, and the point of interest is called a focusing point. In addition, in the phase control of the received wave, for example, a tap having a delay time required by a tap attachment delay line is connected to an addition point. Such a circuit is called a normal circuit. Conventionally, as the focusing method, a fixed focusing method, i.e., a method of performing phase control in which the depth from the vicinity of a subject surface to a single focusing point and a multistage focusing method, that is, focusing There are methods of setting several points, performing a fixed focus method in each, and combining them to form one ultrasonic beam signal. However, the former method deteriorates resolution other than the focusing point. In this method, since the number of focusing points is transmitted and received, it takes a long time to form an imag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mage grows up. The dynamic focusing method proposed to improve this is a method of changing the sequential focusing point with time upon reception for one transmission wave.

종래, 이 종류의 장치에서 수파(受波) 다이내믹포오커스법을 하는 것으로서는 일본국 특개소 59-11223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정상회로(整相回路)를 2회로 준비하여, 한쪽을 폐로(閉路)하고, 다른쪽을 개로(開路)로 하며, 개로하고 있는 회로측에서 포오커싱용 지연소자를 전환하고, 소음이 출력에 나오지 않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것으로는 고가의 지연소자가 2배 필요해져서 정상회로 그 자체도 커지기 때문에, 장치가 대형화되고 또한 고가로 되는 결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in this type of apparatus, the wave dynamic focusing method is used to prepare two normal circuits a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9-112234, and one of them is closed. In the circuit, the other side was opened, and the delayed element for focusing was switched on the side of the open circuit so that noise did not appear at the output. However, this requires an expensive delay element twice, and the normal circuit itself is also enlarged, so that the device becomes large and expensive.

본원 발명은 전환소음을 아날로그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가 간단한 디지탈회로에서 처리하여, 염가이고 간단히 할 수 있는 수파다이내믹포오커스를 가능하게 한 초음파 진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process switching noise analogously, but to provide a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which enables inexpensive and simple sopa dynamic focus by processing in a digital circuit with simple control.

본원 발명은 포오커싱포인트를 전환할 때에 발생하는 소음을 프레임 메모리에 기입하지 않고, 소음에 의해 얻어지지 않은 데이터는 1프레임전의 같은 점의 데이터나, 인접하는 초음파 비임의 데이터 보간(補間)에 의해 보충하도록 하여 화상데이터가 부족되지 않게 양호한 화상을 표시하려고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write the noise generated when switching the focusing point into the frame memory, and the data not obtained by the noise is interpolated by the data of the same point before one frame or by data interpolation of adjacent ultrasonic beams. By doing so, it is intended to display a good image so that image data is not short.

다음에,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전자리니어주 사형의 초음파 진단장치이며, 정상부(整相部)가 하나 뿐일 때의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Nex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is embodiment is an electronic linear scanning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nd shows an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re is only one top.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의 블록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각 부의 타이밍차아트를 나타내고 있다. 제5도는 프레임 메모리내의 데이터, 제6도는 메모리내의 데이터의 리니어주사의 경우와 콘벡스주사의 경우의 비교이다. 제1도에 있어서, 정상제어회로(10)의 카운터 A (12)와 비교회로(19) 및 US클록, US프레임, R프레임, W프레임의 각 신호를 제의한 이외는 다이내믹포오커스에 의한 주사를 하지 않을 경우에도 필요한 표준의 구성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4 show timing difference arts of respective parts. 5 is a comparison between the case of linear scanning and the case of convex scanning of data in the frame memory, and FIG. 6. In FIG. 1, scanning is performed by dynamic focus except for counter A 12 of the normal control circuit 10, comparison circuit 19, and signals of US clock, US frame, R frame, and W frame. Even if you do not need the configuration of the standard.

그리고, 상기 US클록신호는 초음파 송신시의 심도거리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포오서킹포인트의 전환점은 이 클록신호에 따라 설정된다. US프레임신호는 초음파의 화상이 1화상분 구성될 때마다 상태가 고→저→고로 변화하는 신호이다. 예를들면, 1화상이 120개의 초음파비임에 의해 형성된다고 하면, 120회의 송수신 후에 바뀐다. 또, R프레임, W프레임의 각 신호는 프레임 메모리의 독출상태, 기입상태에 있어서 상기 US프레임신호에 대응하는 신호이다. 통상 CRT의 블랭킹시간을 프레임 메모리의 기입상태로 한다.The US clock signal corresponds to the depth distance at the time of ultrasonic transmission, and the switching point of the forcing point is set according to this clock signal. The US frame signal is a signal whose state changes from high to low to high whenever an ultrasound image is composed of one image. For example, if one image is formed by 120 ultrasonic beams, it is changed after 120 times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Each signal of the R frame and the W frame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 frame signal in the read state and the write state of the frame memory. Normally, the blanking time of the CRT is set to the write state of the frame memory.

초음파 신호는 진동 자선택회로(1)를 지나 복수의 딜레이소자(3)과 셀렉터(4)로 이루어진 정상회로(2)에 입력하고, 포오커싱포인트에 따른 지연량을 딜레이소자(3)에 의해 주어지며, 가산되어 하나의 초음파비임으로 된다. 지연량의 선택은 셀렉터(4)에 의해 행해진다. 셀렉터(4)를 제어하는 것은 정상제어회로(10)의

Figure kpo00003
(11)이다.The ultrasonic signal is inputted to the normal circuit 2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delay elements 3 and the selector 4 through the vibrating self-selection circuit 1, and the delay amount according to the focusing point is input to the delay element 3. It is given by and added to one ultrasonic beam. The selection of the delay amount is made by the selector 4. Controlling the selector 4 is controlled by the normal control circuit 10.
Figure kpo00003
(11).

여기에서의 동작을 제2도 타이밍차아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here will be explained based on the second timing difference art.

초음파의 송수는 초음파 동기신호(Y-SYNC)에 동기하고 있다. 초음파의 수신중, 카운터 A (12)는 US클록을 카운트하며,

Figure kpo00004
(11)은 상기 카운트수에 따라서 소정의 지연량의 지연소자(3)를 셀렉터(4)로 선택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
Figure kpo00005
(11)의 출력이 변화 할 때, 즉 포오커싱포인트를 변경하기 위해 탭부착지연선을 전환할 때, 초음파 신호에 전환소음이 발생한다.Feeding of the ultrasonic waves is synchronized with the ultrasonic synchronizing signal Y-SYNC. During the reception of the ultrasound, counter A 12 counts the US clock,
Figure kpo00004
(11)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the delay element 3 of the predetermined delay amount to the selector 4 in accordance with the count number. this
Figure kpo00005
When the output of (11) changes, that is, when switching the tapping delay line to change the focusing point, switching noise is generated in the ultrasonic signal.

이 전회소음이 발생하는 점(전환점)을 고정시키면, 정규의 초음파 비임의 데이터가 항상 얻어지지 않게 되기 때문에, 1화상이 구성될 때마다 즉 US프레임의 상태가고, 저로 변화할 때마다 상기 전환점을 변경한다. 또 같은 이유에 의해 인접하는 초음파비임끼리의 전환점을 변경한다. 이와같이 해서 화상의 1프레임마다, 및 인접한 초음파비임으로 전환소음이 같은 타이밍으로 발생하지 않도록, US프레임이 신호를 1비트 ROM의 입력 데이터로서 가해 둠으로써, 예를들면 US프레임신호가 저 일 때(A의 상태)는 최초로 전환점을 US클록신호의 세번째에 설정해 두고, US프레임신호가 고일 때(B의 상태)는 최초의 전환점을 US클록신호가 네번째에 설정해 둔다. 이것에 의해 1화상마다 전환소음의 발생점이 변경되며, 1화상전의 같은 점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Fixing the point at which the previous noise occurs (switching point) does not always obtain the data of the normal ultrasonic beam, so that each time a picture is composed, that is, the state of the US frame is changed, the switching point is changed every time. Change it. For the same reason, the switching points of adjacent ultrasonic beams are changed. In this way, the US frame adds the signal as input data of the 1-bit ROM so that the switching noise does not occur at the same timing for each frame of the image and adjacent ultrasound beams, for example, when the US frame signal is low ( In the state of A), the switch point is first set to the third of the US clock signal, and when the US frame signal is high (the state of B), the first switch point is set to the fourth of the US clock signal. As a result, the generation point of the switching noise is changed for each image, and data at the same point before one image can be used.

정상된 초음파비임신호는 아날로그 처리회로(5), A/D 변환기(6)를 지나 디지탈신호로 되어 메모리회로(7)의 버퍼메모리(8)에 일시 기억된다. 그 후, 카운터 B(17)에서 발생하는 프레임 메모리기입 어드레스 신호와, ROMB(15)에서 출력하는 기입제어신호

Figure kpo00006
에 의해, 초음파비임의 데이터는 상기 버퍼메모리(8)에서 프레임메모리(9)에 기억된다. 이 동작을 제3도로 의거하여 설명한다.The normal ultrasonic beam signal passes through the analog processing circuit 5 and the A / D converter 6 and becomes a digital signal and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buffer memory 8 of the memory circuit 7. Thereafter, the frame memory write address signal generated by the counter B 17 and the write control signal output by the ROMB 15
Figure kpo00006
By this, the data of the ultrasonic beams are stored in the frame memory 9 in the buffer memory 8. This opera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third degree.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의 기입시,

Figure kpo00007
신호는 저(L)로 되고 리이드라이트셀렉터(14)는 기입에드레스 신호 발생용의 카운터 B(17)의 출력을 프레임 메모리(9)에 어드레스로서 부여한다.
Figure kpo00008
(15)은 카운터 B(17)의 출력을 입력하여 데이터기입을 위한 제어신호
Figure kpo00009
를 발생하지만, 정상부에 발생한 전환소음과 대응하는 어드레스로 되면,
Figure kpo00010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그래서, 전환소음은 프레임 메모리(9)에 기입되지 않으며, 그 장소는 1프레임전의 데이터가 그대로 계속해서 기억된다. W프레임신호는 현재 기입되어 있는 데이터가 US프레임신호의 고(B의 상태)일 때냐, 저(A의 상태)일 때냐를 지시한다.Upon writing to the frame memory,
Figure kpo00007
The signal becomes low (L) and the lead write selector 14 gives the frame memory 9 an output of the counter B 17 for generating the write address signal as an address.
Figure kpo00008
15, a control signal for writing data by inputting the output of the counter B 17;
Figure kpo00009
Is generated, but when the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switching noise generated at the top is reached,
Figure kpo00010
No signal is generated. Therefore, the switching noise is not written in the frame memory 9, and the data of one frame before is continuously stored as it is. The W frame signal indicates whether the currently written data is high (state B) or low (state A) of the US frame signal.

프레임 메모리(9)에 기억된 초음파비임의 데이터는 카운터 C(18)에서 발생하는 프레임 메모리 독출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인접된 초음파비임의 데이터와 동시에 독출되어, 비교회로(19)에 입력된다.The data of the ultrasonic beam stored in the frame memory 9 is read out simultaneously with the data of the adjacent ultrasonic beams by the frame memory read address signal generated by the counter C 18 and input to the comparison circuit 19.

비교회로(19)에는 예를들면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B라고 하는 비임의 데이터가 필요할 때, 인접하는 A, C의 비임의 데이터로 동시에 프레임메모리에서 출력하고, 이 1점(b)에 있어서 a, b, c의 인접한 3개의 데이터가 입력된다. 이때, b는 전환소음에 의해 새로운 데이터가 얻어지지 않은 곳에서 1화상전의 데이터인 비교회로(19)에서는 a와 c의 상가(相加) 평균데이터와, 1프레임전의 데이터(b)를 비교하고, b점의 새로운 데이터를 b'로 하면, 예를 들어서 차(差)가 작을 때에는 b'=b, 차가 클 때에는

Figure kpo00011
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심장의 판막과 같은 움직임이 빠른 화상의 경우에는, 새로운 화상과 전의 화상의 데이터의 차가 크기 때문에 상가평균데이터를, 또 복부(腹部)와 같은 움직임이 적은 화상의 경우에는 전의 화상의 데이터와의 차가 적기 때문에, 1프레임전의 데이터에 의해 전환소음에서 얻어지지 않았던 새로운 데이터대신 데이터로서 보충한다. 이 출력이 CRT(20)에 표시된다. 다음에 제4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When the comparison circuit 19 requires, for example, a beam of B as shown in FIG. 5, the data of the beams of adjacent A and C are simultaneously output from the frame memory, and at this point (b). Thus, three adjacent data of a, b, and c are input. In this case, b is the comparison circuit 19 which is the data before one image where new data is not obtained due to the switching noise, and the average data of a and c is compared with the data b before one frame. If the new data at point b is b ', for example, when the difference is small, b' = b, when the difference is large,
Figure kpo00011
Outputs As a result, in the case of fast-moving images such as the valve of the heart,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data of the new image and the previous image is large, the average value data is added, and in the case of an image having less movement such as the abdomen, the data of the previous image Since the difference with is small, the data of one frame before is supplemented with data instead of new data which was not obtained by switching noise. This output is displayed on the CRT 20. Next, it demonstrates based on FIG.

프레임메모리의 독출시,

Figure kpo00012
신호는 고(H)로 되며, 리이드 라이트셀렉터(14)는 독출어드레스 발생용 카운터 C(18)의 출력을 프레임메모리(9)에 어드레스로서 부여한다.When reading frame memory,
Figure kpo00012
The signal becomes high (H), and the read write selector 14 gives the output of the read address generation counter C 18 to the frame memory 9 as an address.

카운터 C(18)의 출력은 프레임메모리(9)의 독출어드레스이지만 비임의 심도에 대응하고 있으며, 카운터 A(12)의 출력과 대응할 수 있다.

Figure kpo00013
(16)은 카운터 C(18)의 출력을 입력하여 전환소음으로 새로운 데이터를 기입하지 않은 곳, 즉 1화상전의 데이터가 남아 있는 곳이 되면, 출력을 고(H)로 하고, 그것을 받아 비교회로(19)는 상술한 비교동작을 한다. 출력 L일 때는 비교는 하지 않고, 그대로의 데이터가 출력된다. R프레임신호는 현재 독출하고 있는 데이터가 US프레임신호의 고(B의 상태)일 때냐, 저(A의 상태)일 때냐를 지시한다.The output of the counter C 18 is a read address of the frame memory 9 but corresponds to the depth of the beam and may correspond to the output of the counter A 12.
Figure kpo00013
(16) inputs the output of the counter C (18) and when the new data is not written by switching noise, i.e., where the data before one image remains, the output is set to high (H), and the comparison circuit is received. Reference numeral 19 performs the comparison operation described above. At output L, no comparison is made, and the data is output as it is. The R frame signal indicates whether the data currently being read is high (state B) or low (state A) of the US frame signal.

이상,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프레임 메모리에서의 기입과 독출을 제어하면 전환소음이 없는 수파다이내믹 포오커스에 의한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자리니어주사형 초음파 진단장치에서 정상부가 하나의 구성의 것으로 했지만, 초음파가 동시 2비임의 정상의 경우에도 2개로 되는 정상회로(2)에 대응해서

Figure kpo00014
(11)을 2개로 하여, 한쪽에는 US프레임신호, 또 한쪽에는 US프레임신호의 반전신호를 부여하면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writing and the reading in the frame memory are controlled, a good image by the sonic dynamic focus without switching noise can be obtained. In the above embodiment, in the electronic linear scanning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the top portion has a single configuration, but in response to the normal circuit 2 having two in the case where the ultrasonic waves are normally two beams,
Figure kpo00014
It is sufficient to have two (11), and to give a US frame signal to one side and an inverted signal of the US frame signal to one side.

또한, 프레임메모리(9)에의 기입제어도

Figure kpo00015
(15)을 역시 2개로 하면 된다.In addition, the write control to the frame memory 9 is also performed.
Figure kpo00015
(15) should be two again.

전자섹터주사와, 콘벡스주사의 경우는 리이어주사와 달리, 제6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리니어 주사형의 경우는 CRT의 주사선과 초음파비임의 심도가 대응하기 때문에, 같은 심도의 소음발생점이 CRT의 하나의 주사선에 대응하지만, 전자섹터주사나 콘벡스주사의 경우는 초음파비임에 의해 심도와 CRT의 주사선의 대응이 다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주사의 경우에는 비교회로(19)를 버퍼메모리(8)와 프레임메모리(9) 사이에 두고, 프레임메모리(9)에의 기입시에 똑같은 조작을 하면 된다. 단, 버퍼메모리는 양 옆의 비임데이터도 필요해지기때문에 최소한 3개가 필요해진다.Unlike in the case of electron scanning and convex scanning, as in the case of liar scanning, the linear scanning type corresponds to the depth of the CRT scan line and the ultrasonic beam, as shown in FIG. Corresponds to one scanning line, but in the case of electron sector scanning or convex scann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depth and the CRT scanning line differs depending on the ultrasonic beam. Therefore, in the case of such a scan, the comparison circuit 19 may be placed between the buffer memory 8 and the frame memory 9 to perform the same operation when writing to the frame memory 9. However, at least three buffer memories are required because the side beam data is also required.

다음에 이 경우에는 실시예를 제7도, 제8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7도는 제1도에 의한 실시예의 A/D 변환기(6) 이후의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In this case,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7 shows the circuit after the A / D converter 6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버퍼메모리 A(81), B(82), C(83)의 3개로 되며, 이들과 프레임메모리(9) 사이에 비교회로(19)가 접속된다.

Figure kpo00016
(27)은 A/D 변환기(6)에서 입력해 오는 비임데이터를 상기 3개의 버퍼메모리 A(81), B(82), C(83)의 어디에 기입하는가를 제어하는 신호
Figure kpo00017
를 발생한다. 초음파비임의 하나마다 기입을 하는 버퍼메모리 A(81), B(82), C(83)를 변경하도록
Figure kpo00018
를 순차 제어한다.There are three buffer memories A 81, B 82, and C 83, and a comparison circuit 19 is connected between them and the frame memory 9.
Figure kpo00016
A signal 27 controls where to write the beam data input from the A / D converter 6 into the three buffer memories A 81, B 82, and C 83.
Figure kpo00017
Occurs. To change the buffer memories A (81), B (82), and C (83) for writing to each of the ultrasonic beams.
Figure kpo00018
To control sequentially.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A/D 변환기(6)의 출력은 초음파비임마다 버퍼메모리 A(81), B(82), C(83)에 순차적으로 기입된다. 이것은 현재, 초음파비임의 몇 번째인가를 카운터 D(28)가 카운트하고, 그 출력을

Figure kpo00019
(27)이 판단하여, 상기 버퍼메모리의 어느 버퍼메모리에 기입하는지를 지시한다. 그리고 예를들면 제5도의 비임 (A), (B), (C)와 버퍼메모리(A), (B), (C)가 대응하고 있다고 하면, 비임(B)의 데이터를 프레임메모리(9)에 기입하기 위해, 버퍼메모리 A(81), B(82), C(83)의 3개에서 동시에 데이터가 독출되어, 비교회로(19)에 입력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The output of the A / D converter 6 is sequentially written to the buffer memories A 81, B 82, and C 83 for each ultrasonic beam. The counter D28 counts the number of times of the ultrasonic beam at this time, and outputs the output.
Figure kpo00019
(27) determines and instructs which buffer memory of the buffer memory to write. For example, if the beams (A), (B), and (C) of FIG. 5 correspond to the buffer memories (A), (B) and (C), the data of the beam (B) is stored in the frame memory (9). ), Data is read out simultaneously from three of the buffer memories A 81, B 82, and C 83, and inputted into the comparison circuit 19.

버퍼메모리 (A), (B), (C)의 독출어드레스신호는 카운터 E(29)에 의해 발생하지만, 프레임메모리(9)의 기입어드레스는 카운터 B(17)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독출어드레스신호와 대응하고 있다. 이때, 프레임메모리는 리이드모디화이라이트사이클이라고 하는 기입을 한다. 이 기입에 대해 제8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프레임 메모리(9)에 어드레스를 부여하면, 프레임메모리(9)는 그것을 받아, 내부에서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기입제어신호

Figure kpo00020
가 고(H)일 때, 프레임메모리(9)는 독출사이클로 메모리의 기억을 독출한다. 기입제어신호
Figure kpo00021
가 저(L)로 되면 프레임메모리(9)는 기입사이클로 주어진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억한다. 제8도에 있어서, 프레임메모리(9)가 어드레스를 유지, 즉 확인된 위치에서 다시 다음의 어드레스를 받기 까지의 동안중, 기입제어신호
Figure kpo00022
는 나중의 절반 쪽에 설정된다. 그래서 하나의 어드레스가 주어진 상태에서, 최초는 독출동작에 의해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독출하고, 그 후 기입동작을 한다. 이것을 리이드모디화이라이트사이클이라고 부른다. 이 리이드모디화이라이트사이클을 사용하여, 버퍼메모리 A(81), B(82), C(83)의 3개의 데이터가 비교회로(19)에 입력할 때, 비임(B)에 대응하는 화상전의 데이터를, 프레임메모리(9)에서 독출하여, 비교회로(19)에 입력한다. 그리고, 전환점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비교동작을 하며, 후반의 기입제어신호
Figure kpo00023
가 저(L)의 상태에서 비임(B)의 데이터로서 프레임메모리(9)에 기입하여 기억한다.The read address signals of the buffer memories (A), (B), and (C) are generated by the counter E (29), but the write address of the frame memory (9) is controlled by the counter B (17). Corresponds to the signal. At this time, the frame memory writes the read mode write cycle. This entry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When an address is given to the frame memory 9, the frame memory 9 receives it and holds it internally. Write control signal in this state
Figure kpo00020
When H is high, the frame memory 9 reads out the memory in the read cycle. Write control signal
Figure kpo00021
Becomes low, the frame memory 9 stores the data given in the write cycle in the memory. In FIG. 8, while the frame memory 9 retains the address, that is, receives the next address from the confirmed position again, the write control signal
Figure kpo00022
Is set later half. Thus, in the state where one address is given, first, data is read from the memory by a read operation, and then a write operation is performed. This is called lead modilite cycle. When the three data of the buffer memories A (81), B (82), and C (83) are input to the comparison circuit 19 by using the lead modulated light cycle, the image before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beam B is used. Data is read from the frame memory 9 and input to the comparison circuit 19. In the case of the switching point, the comparison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and the second write control signal
Figure kpo00023
In the low L state, the data is written into the frame memory 9 and stored as the data of the beam B.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경우는 프레임메모리(9)에 기입할 때에 비교동작을 하기 위해 전자섹터주사나 콘벡스주사에 적용할 수 있다. 물론 리니어주사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동시에 2비임의 정상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is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electronic sector scanning or convex scanning for comparison operation when writing to the frame memory 9. Of course, it can be applied to linear scanning, and at the same time, it is also possible to have 2 beams normal.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1프레임전의 데이터와 양 옆의 비임의 차의 대소만으로 비교하고 있었지만, 그 뿐만 아니라 1프레임전의 데이터나 양 옆의 보간데이터 그 자체의 대소도 비교조건으로 해도 된다.Incidentally, in the above embodiment, the data of one frame befor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beams on both side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but not only the data of one frame before and the interpolation data on both sides may be used as the comparison condition.

본 실시예에서는 1프레임전의 데이터와 비교하는 것을 양 옆의 비임의 보간데이터로 했지만, 한쪽만으로도 좋으며 더 많은 비임이라도 물론 좋다.In this embodiment, the interpolation data of the beams on both sides is compared with the data one frame before, but only one of them may be used, and more beams may be of course.

본원 발명에 의하면, 고가의 지연소자를 증가시키지 않고, 염가의 디지탈회로를 조금 추가해서 프레임메로리의 가입·독출을 제어하는 것 만으로 전환소음이 화상상에 표시되지 않고 간단히 수파다이내믹포오커스를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y perform the sonic dynamic focus without displaying the switching noise on the image by simply adding a little inexpensive digital circuit and controlling the addition and reading of the frame memory without increasing the expensive delay element. have.

Claims (2)

각 초음파 진동자로부터의 수신신호를 하나의 초음파신호로 포오커싱(focusing)하는 정상회로(整相回路)와, 상기 포오커싱포인트를 전환하기 위한 정상제어회로와, 상기 초음파신호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이 메모리의 독출 기입을 제어하는 메모리제어회로를 갖는 초음파 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상제어회로가 포오커싱포인트의 전환타이밍을 어긋나게 하는 수단과, 인접한 초음파신호와의 전환타이밍을 어긋나게 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제어회로가 포오커싱포인트 전환시의 소음으로 얻어지지 않았던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의 기입시, 또는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독출시에 1화상전의 데이터나, 인접하는 비임의 보간(補間)데이터에 의해 보충하여, 화상을 구성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장치.A normal circuit for focusing a received signal from each ultrasonic vibrator into one ultrasonic signal, a normal control circuit for switching the focusing point, and a memory for storing the ultrasonic signal And an ultrasonic control apparatus having a memory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reading and writing of the memory, wherein the normal control circuit shifts the switching timing of the focusing point and the switching timing of the adjacent ultrasonic signal. Interpolation of data before one image or adjacent beams at the time of writing to the memory or reading data from the memory control circuit which has not been obtained as noise at the time of focusing point switching. Vi) a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supplementing with data and constituting an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제어회로가 상기 1화상전의 데이터인지 인접하는 비임의 보간데이터인지의 선택을, 상기 2데이터의 차를 검출하여, 설정한 드레시호울드와의 비교에 의해 행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장치.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mory control circuit selects whether the data before the first image or the interpolation data of adjacent beams is detect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data and setting the comparison with the set threshold.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KR1019860001766A 1985-07-10 1986-03-12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Expired KR89000055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0300 1985-07-10
JP85-150300 1985-07-10
JP15030085 1985-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907A KR870000907A (en) 1987-03-10
KR890000553B1 true KR890000553B1 (en) 1989-03-21

Family

ID=15493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1766A Expired KR890000553B1 (en) 1985-07-10 1986-03-12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2106752A (en)
KR (1) KR890000553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106752A (en) 1987-05-18
KR870000907A (en) 1987-03-10
JPH0556738B2 (en) 199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3993A (e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therefor
EP0133026B1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4719509A (en) Video data interpolation apparatus
US5029006A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capable of enlarging and displaying a picture
US4257256A (en) Ultrasonic cross-sectional imaging apparatus
JP2584138B2 (en) Television system converter
US4797743A (en) Video memory control device
US4448201A (en) Digital scan converter
KR890000553B1 (e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US5181110A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capable of enlarging and displaying a picture
JP2705547B2 (en) Image reduction device
JPH0975350A (en) Ultrasonic diagnostic system
JPH069620Y2 (en) Ultrasonic diagnostic equipment
JP3473093B2 (en) Display system
JP2575251B2 (en) Field interpolator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motion compensation
JPS6240021B2 (en)
JPH0337193B2 (en)
JPS62179438A (en) Digital scanning converter
JPS6221537B2 (en)
JPS633617B2 (en)
JPH0126226B2 (en)
KR0157542B1 (en) Field frequency transmit circuit of tv
JPH1156835A (en) Ultrasonograph
JPH02135880A (en) Image pickup device
JPH0344772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603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9011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905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905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8905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1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4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8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4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8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0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2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2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2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20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20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0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3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0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