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0326B1 - 미분연료 버너의 노즐팁 및 와류방지판 - Google Patents

미분연료 버너의 노즐팁 및 와류방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326B1
KR890000326B1 KR1019840002119A KR840002119A KR890000326B1 KR 890000326 B1 KR890000326 B1 KR 890000326B1 KR 1019840002119 A KR1019840002119 A KR 1019840002119A KR 840002119 A KR840002119 A KR 840002119A KR 890000326 B1 KR890000326 B1 KR 890000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rtex
nozzle tip
flow passage
furnace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2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8492A (ko
Inventor
그루샤 죤
Original Assignee
컴버스쳔 엔지니어링 인코포레이티드
엘든 하몬 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컴버스쳔 엔지니어링 인코포레이티드, 엘든 하몬 루터 filed Critical 컴버스쳔 엔지니어링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40008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8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326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5/00Disposition of burners with respec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to one another; Mounting of burners in combustion apparatus
    • F23C5/02Structural details of mounting
    • F23C5/06Provision for adjustment of burner position during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00Burners for combustion of pulverulent fuel
    • F23D1/02Vortex burners, e.g. for cyclone-type combus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7/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air supply
    • F23C7/02Disposition of air supply not passing through bu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00Burners for combustion of pulverulent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1/00Burners adapted for particulate solid or pulverulent fuels
    • F23D2201/10Nozzle tips
    • F23D2201/101Nozzle tips til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Of Fluid Fuel (AREA)
  • Pre-Mixing And Non-Premixing Gas Burn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미분연료 버너의 노즐팁 및 와류방지판
제1도는 접선연소식인 로의 평면개략도.
제2도는 3개의 주입장치의 세트에서, 본 발명에 따른 노즐팁을 갖는 상부의 탄-공기 주입장치 및 종래기술의 노즐팁을 갖는 하부의 두 개의 탄-공기 주입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의 선(2-2)을 절취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팁을 갖는 한개의 탄-노즐 주입장치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팁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팁인 제4도의 선(5-5)을 절취한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팁에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 3 : 가상원
10 : 주입장치 12 : 탄분 사관
14 : 제2공기 도관 16 : 축
18 : 바람상자 20 : 격실
26 : 차폐판 28 : 종래의 노즐팁
30 : 본 발명의 노즐팁 32 : 내곽
34 : 외곽 36 : 출구단부
38 : 입구단부 40 : 판수단
41 : 제1와류 방지판 42 : 제2와류 방지판
43 : 도입단부 44 : 궤도단부
45 : 제1부분 46 : 간격유지판
47 : 제2부분 50 : 환상 흐름통로
52 : 제1흐름통로 54 : 제2흐름통로
56 : 중심공간 60, 70 : 탄-공기류
80 : 저압영역
본 발명은 미분탄 연소로용 연료버너의 저부하 작동을 개량한 것으로서, 특히 접선연소식과 같은 공지 방법으로 미분연료-공기 혼합물을 로내로 주입하는 저부하에서 작동하는 연료-공기 주입장치를 개량한 것이다.
오늘날 변동하는 전기수요의 관점에서, 평일의 낮에는 그 수요가 최고에 달하고 밤이나 주말에는 최소로 떨어지는데, 이러한 전기수요에 따라 수요가 최고조에 이를때는 꽉찬 부하로 작동시키고 수요가 떨어지면 저부하로 낮춰서 작동시킴으로써 통상적인 탄연소 증기발생기 보일러의 주기를 맞췄다.
이러한 형태의 작동을 계속함에 따라 전기사용에서 탄연소 증기발생기로에서 발생한 기류는 저부하에서 작동할 때 탄화염의 안정을 필요로 하므로 저부하 작동중에 부수적으로 연소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천연가스나 오일을 다량 사용해 왔다. 안정시키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연료를 점화시키는 것은 중요하며, 전기수요가 최저인 동안 10 내지 15퍼센트의 부하에서 500메가와트로 탄연소 증기발생기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매일 11,000갤론의 오일이 필요로 하게 된다.
통상적인 증기발생기로에서 탄과 같은 미분연료를 연소시키는 일반적인 방법중 한가지는 주지된 접선분사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에서 미분탄은 로의 코너에 위치한 연료-공기 주입장치인 버너를 통하여 로내로 일차공기류로서 도입된다. 상기 주입 장치로부터 방출된 연료-공기류는 접선방향으로 분사되어 로의 중간에 가상원을 이룬다. 이것은 들어오는 탄을 연속적으로 연소시키는 근원으로서 작용하는 화염공을 형성한다. 각각의 연료-공기 주입장치는 공기에 혼합된 미분탄을 로에 보내는 연료분배관, 공기를 부수적으로 로에 보내는 연료분배관을 둘러싸는 제2공기도관 및 연료분배판의 출구단부에 선회식으로 설치된 노즐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형적인 노즐팁은 서로 격리된 관계에서 축방향으로 배치된 내곽과 외곽을 포함하며, 연료분배관주로부터 로내로 방출되는 미분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통하는 내곽내의 제1흐름통로와 제2공기도관으로부터 로내로 방출되는 2차 공기를 통하여 내곽과 외곽사이의 환상 공간내의 제2흐름통로로 정의된다. 전형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와류 방지판은 노즐팁의 축에 평행한 내곽에 배치되어 내곽내의 흐름통로가 다수의 부통로로 분기된다. 노즐팁은 상향 또는 하향으로 경사져 연료와 공기 혼합물의 방향은 미합중국 특허 제2,863,875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표면의 출구에 전형적으로 배치된 열교환 표면에서 발생한 과열된 증기의 온도를 조정하는 수단으로서 상향 또는 하향의 연료분배관으로부터 로내로 방출된다.
접선연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동안, 화염은 한쪽 코너에서 형성되는데 연소에너지를 코너의 하류와 코너에 측면으로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방사된 화염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공급한다. 부하가 떨어짐에 따라 각각의 코너에서 방사된 화염은 짧아지고, 연속하여 코너의 하류에서 필요한 연소 에너지는 감소된다. 그 결과 천연가스나 오일과 같은 보조 연료는 미분탄-공기류에 인접한 각각의 코너에 주입하여 부수적인 연소 에너지를 공급하여야 하며 그로 인하여 화염이 갑자기 정지하고 이에 따른 단위트립이 발생하지 않는다.
탄-연소버너를 저부하에서 사용함으로써 수반되는 다른 문제점은 분쇄기가 전형적으로 전천후 부하에서 공기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며 작동 해야 하는 것이다. 로의 부하가 떨어지면 분쇄기에서 분쇄된 탄의 양은 비례하여 감소되고, 반면 주입장치를 통하여 분쇄기로부터 로내로 미분탄을 운송하는데 사용되는 주공기의 양은 거의 일정하여 연료/공기의 비율이 작아진다. 로내의 부하가 전기수요가 적은 동안 소기의 수준으로 떨어지면 연료/공기의 비율은 미분탄과 주공기의 혼합물이 연소를 안정화 시키기에 너무 약하여 연소에너지를 보조할 필요없이는 안정되지 않는 정도에서 감소된다.
저부하로 탄-연소보일러를 작동시키는동안 보조연료를 연소시키는 한 방법은 미합중국 특허 제4,252,069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분기된 탄버킷을 사용하는 개량된 연료-공기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안정화를 위한 보조연료를 사용할 필요없이 저부하에서 작동시킬 수 있는 미분탄-연소로를 제시하고 있다. 그 내용에서 분기된 탄버킷은 탄분배관에 선회식으로 설치된 독립적인 상부 및 하부 노즐을 맞추는데, 상부 및 하부 노즐은 독립적으로 경사질 수 있다. 로가 전기수요가 최저인 동안 저부하에서 작동하면, 탄분배관으로부터 방출되는 주공지 및 미분탄류는 상부 및 하부 노즐로 분기되어 상부노즐이 상향으로, 하부노즐이 하향으로 경사짐에 따라 독립적으로 로내로 주입된다. 이즈음, 연소를 안정시키는 포켓은 멀리 펼쳐진 탄-공기류사이의 공간에서 발생된 지역적인 저압영역에 형성된다. 고온 연소생성물은 저압영역내로 재순환 되는데,이로 인하여 유입되는 연료는 충분한 보조연소에너지로서 화염을 안정시키게 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2,608,168호에 기재된 보조 노즐팁은 비록 저부하 작동에서의 연소라기보다는 저휘발성 탄의 연소에 관한 것이지만 연소의 안정도를 개선한 것이다. 상기 특허에는 평행하게 두개로 갈라진 그러나 부흐름통로와는 격리외어 떨어진 내곽내로 한정되는 흐름통로를 갖는 탄분배관에 선회식으로 설치된 탄버킷이 설명되어 있다. 이차공기는 내곽 및 외곽사이의 흐름통로와 내곽내에 평행하지만 격리되어 떨어진 부통로 사이에 형성된 중심채널을 통하여 탄분배관을 둘러싸는 제2공기 도관으로부터 로내로 방출된다. 연소는 내곽의 격리된 흐름통로로부터 방출된 탄-공기 혼합물 사이의 잡촉 영역을 늘리고 이차공기류를 막아서 개선한다.
그러나 상기 노즐팁에 여전히 문제점은 남아 있다. 저부하의 작동에서 개량된 연소 안정성을 보이는 비교적 간단한 설계의 노즐팁이 필요로 부상된 것이다. 또한, 그러한 노즐팁을 용이하게 제조 또는 주조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미분 연료 연소로 상의 버너를 위한 노즐팁을 저부하에서의 로작동중 에서도 연소안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노즐팁은 버너로부터 로내로 흐르는 미분연료와 이송공기의 혼합물이 통하는 흐름통로로 제한되는 개단부 내곽, 버너로부터 로내로 흐르는 연소 보조공기가 통하는 그 사이의 환상흐름통로로 한정되며 내곽을 격리된 상태에서 둘러싸는 개단부외곽 및 흐름이 억제되는 통로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분기되는 방식으로서 내곽의 입구로부터 내곽의 출구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흐름통로 내로 통하는흐름통로를 분할하기 위하여 내곽내에 배치된 판수단을 포함한다. 버너로부터 방출되는 탄-공기의 혼합물은 내곽으로 통하는 제1흐름 통로를 통하여 로내로 향하는 일차류와 내곽의 제2흐름통로를 통하여 로내로 향하는 이차류 내로 판수단에 의해 갈라진다. 따라서 탄-공기의 혼합물은 두개의 기류로 갈라져 로내로 주입된다. 이즈음, 연소를 안정시키는 포켓은 노즐팁의 내곽을 통하여 분기되는 제1및 제2흐름통로 사이에 형성된 공지의 바로 밑에서 로내의 펼쳐지며 갈라지는 탄-공기류 사이에 발생된 지역적인 저압영역에서 형성된다. 탄은 상기 포켓에 집중되고 고온의 연소 생성물은 화염으로부터 포켓내로 복귀하여 유입연료에 의한 부연소에너지가 화염을 안정시키게 된다.
판수단은 입구에서 내곽의 흐름통로를 가로질러 배치된 도입단부와 출구에서 내곽의 흐름통로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궤도 단부와 함께 내곽에 배치된 적합한 제1및 제2와류 방지판을 포함한다. 제1및 제2와류 방지판은 내곽의 입구 단부에서 라인을 따라 모이고 내곽의 출구단부를 향하여 분기되는 방식으로 외부로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및 제2와류 방지판은 제1와류 방지판 및 내곽에 의해 결합된 제1흐름통로와 제2와류 방지판 및 내곽에 의해 결합된 제2흐름통로 내로 내곽을 통하여 흐름통로를 분기시킨다. 제1및 제2흐름 통로는 노즐팁을 통하는 방향으로 향하여 흐름이 억제되는 제1및 제2분기되는 와류 방지판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해 분리된다. 따라서 저압재순환 영역은 내곽을 통하여 분기되는 제1및 제2흐름통로로부터 로내로 방출됨에 따라 분기되는 연료-공기류 사이의 노즐팁의 공간 바로밑의 로내에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연소 안정성은 와류 방지판에 스캘롭된 궤도단부를 설치하여 더 향상될 수 있다. 와류 방지판의 궤도단부는 내곽을 통하여 흐름통로를 가로질러 측면과 측면의 관계에서 와류 방지판의 도입 단부로부터 외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길이방향으로 연신된 스트립의 와류 방지판의 궤도 단부를 형성함으로써 적합하게 스캡롭된다. 궤도단부 스트립의 제2부분사이에서 교대로 배치된 궤도단부의 제1부분은 한 방향에서 와류 방지판의 유도 단부로부터 떨어져서 방사상으로 굽어지고, 반면 궤도단부 스트립의 제2부분은 궤도단부 스트립이 와류 방지판의 도입단부로부터 떨어져서 굽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 와류 방지판의 도입단부로부터 떨어져서 굽어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스켑롭된 단부는 분기되는 흐름통로로부터 방출되는 연료-공기류 사이의 경계와 경계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난류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와류 방지판의 궤도단부를 따라 형성되어 미분연료와 고온연소생성물의 혼합물이 노즐팁의 공간의 하류 바로 밑에서 노내에 형성된 저압 재순환 영역내로 이끌어져 연소의 안정성은 더욱 향상된다.
통상적인 미분연료를 연소시켜 증기를 발생시키는 보일러로에 일반적으로 사용된 각종 연소방법에 다수의 서로 다른 버너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주내에서 적용되는 것으로서,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접선연소식에 활용하는 미분탄 연소로에 채택한 형태인 미분탄-공기 주입장치를 실시예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접선연소식에서, 미분탄 및 공기는 로(1)에서 4개의 코너에 배치된 탄-공기 주입장치(10)를 통하여 로내로 도입된다. 탄-공기 주입장치(10)는 미분탄과 공기류가 화염공이라 불리는 소용돌이 화염을 일으키도록 로(1)의 중심의 가상원(3)에 접선되도록 배향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의 탄-공기 주입장치(10)큰 축방향의 격실(20,20')에 의해 격리된 수직기둥에서 로의 코너에 배설되어 있다. 격실(20')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축방향의 공기격실은 오일 또는 가스버너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으며, 종래에는 저부하에서 로를 작동시킬 때 탄화염을 안정시키는 데 부수적인 점화에너지가 필요함에 따라 보일러의 개시 및 예열에 사용되었다.
각각의 탄-공기 주입장치(10)는 상기 장치를 통하여 연장되는 분사관(12), 로내로 통하는 통로 및 탄분사관(12)과 통로를 둘러싸고 소위 바람상자라 불리는 공기 공급플리넘(18)으로 연결된 제2공기도관(14)을 포함한다. 공기 송급처로 유입된 미분탄은 탄을 건조하고 대체하는 파쇄기와 같은 공급처로부터 탄-분사관(12)을 통하여 로내에 장입된다. 2차 공기는 각각의 탄분사관(12)로부터 방출된 미분탄과 송급 공기류를 기류가 둘러쌈에 따라 제2공기도관(14)을 통하여 로내에 유입된다. 부수적으로 연소공기는 축방향의 공기격실(20)을 통하여 바람상자(18)로부터 로내로 유입된다.
각각의 탄분사관(12)에는 탄버킷으로서 종종 관련되는 노즐팁이 형성되어 있는데, 노즐팁은 탄-분사관(12)에 선회축으로 배치되어 탄분사관(12)의 길이 방향의 측에 횡단인 축에 대해 경사져 미분탄과 공기의 혼합물이 로내의 화염공의 위치를 조정하는 수단으로서 하향 또는 각도에서 로내로 유입되어 그 온도는 증기발생기(비도시)에 과열증기 생성하는데, 1944년 11월 28일 크라이싱거의 다수에게 허여된 발명의 명칭이 "연소영역조정"인 미합중국 특허 제2,363,875호에 조정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노즐팁(28)은 탄분배관(12)에 통상적으로 배치된 종래 노즐팁의 전형적인 표본이다.
종래기술의 전형적인 노즐팁(28)은 개단부인 내곽을 포함하는데, 내곽은 미분탄과 송급공기의 혼합물이 탄분배관(12)으로부터 격리된 개단부 내곽에 의해 싸여진 로내로 통하는 흐름통로로 제한되며, 2차 공기가 제2공기도관(14)으로부터 로내로 통과하는 통로사이의 환상 흐름통로로 제한된다. 내곽 및 외곽은 축(16)에 대해 경사질 수 있도록 선회핀에 의하여 탄분배관(12)의 출구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차폐판(26)은 노즐팁과 탄분배관(12)에 평행한 축을 따라 종래의 노즐팁(28)의 내곽에 배치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평행하고 연속적인 기저류로 세분된 단일기류로서 탄분배관(12)으로부터 로내로 통하는 미분탄과 공기의 통로인 내곽내에 두 개다 그 이상의 평행한 흐름통로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종래 기술의 노즐팁을 구비한 로를 저부하로 작동하면 연소하는 불안정 해지고 천연가스나 오일같은 보조 연료가 노즐팁(28)으로부터 방출되는 단일 탄-공기류의 안전한 연소를 위하여 충분한 부수적인 점화로서 연소시키지 않으면 안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저부하에서의 안정한 연소는 저부하 작동동안 본래의 개량된 점화능을 갖는 노즐팁(30)을 사용하여 이룰 수 있다. 노즐팁(30)은 개단부 내곽(32), 내곽을 둘러싸며 격리되어 있는 개단부 외곽(34)및 내곽의 내부를 제1및 제2흐름통로 분할하기 위하여 내곽에 배치된 판수단(40)을 포함한다. 내곽(32)은 로내로 열린 출구단부(36)와 탄분배관(12)의 출구단부주위에 적합하게 설치된 입구 단부(38)를 가져서 미분탄 및 방출된 공기를 수취한다. 환상 흐름통로(50)는 내곽(32)과 외곽(34)사이로 한정되며, 여기를 통하여 부수적인 연소공기가 제2공기도관(14)으로부터 로내로 통과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판수단(40)은 흐름이 방해되는 지점을 통하여 그 사이에 형성된 영역을 피하는 분기식으로내곽(32)의 입구단부(38)로부터 외곽(34)의 출구단부(36)로 연장되는 각각의 제1및 제2흐름통로(52, 54)내로 흐름통로를 분할하기 위하여 내곽(32)내에 배치된다. 노즐팁은 흐름이 억제되는 중심공간(56)의 상·하에 격리되어 놓인 내곽(32)을 통하여 흐름통로(52, 54)를 분기시키는 두개의 격리되고 별개인 것으로 하여 저부하작동에서도 바라는 바 목적인 개량된 점화능을 달성한다. 도면에서 명확히 알 수 있듯이, 탄분배관(12)으로부터 노즐팁(30)으로 방출되는 미분탄 및 공기의 흐름은 두 개의 부분으로 갈라진다. 한부분은 상향하여 로내로 방출되는 노즐팁(30)의 제1흐름 통로(52)를 통하여 로내로 연결되며, 반면 미분탄 및 송급공기류의 다른 부분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향하여 로내로 방출되는 노즐팁(30)의 제2흐름 통로(54)를 통하여 로내로 연결된다.
연소를 안정케하는 영역으로서 작용하는 저압영역(80)은 분기되는 탄공기류(60, 70)사이의 중심 공간(56)의 하류인 노즐팁(30)의 출구에서 로내에 형성된다. 기류(60, 70)로부터의 탄압자는 분기되는 탄-공기류(60, 70)로부터 저압영역(80)으로 이끌어 진다. 연소하는 동안 형성된 고온연소 생성물의 부분이 저압영역(80)내를 재순환하기 때문에 점화는 안정되고, 분기되는 탄-공기류(60,70)로부터 저압영역(80)내로 연속적으로 통하는 연소용 탄입자를 위한 충분한 연소에너지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서, 판수단(40)은 내곽(32)의 내부가 제2와류 방지판(42)과 내곽(32)에 의해 결합된 제1와류 방지판(41), 내곽(32) 및 제2흐름 통로(54)에 의해 결합된 제1흐름통로(52)내로 분할 되도록 내곽(32)내에 배치된 제1및 제2와류 방지판을 포함한다. 각각의 와류 방지판(41, 42)은 입구단부(38)에서 내곽(32)의 흐름통로를 횡단하여 배치된 도입단부(43)와 출구단부(36)에서 내곽(32)의 흐름통로를 횡단하여 연장되는 궤도단부(44)를 갖는다. 제1및 제2와류 방지판(41, 42)은 내곽(32)의 입구단부(38)에서 라인을 따라 모이고 외부로 분기되어 연장되는데, 내곽(32)의 출구단부(36)를 향하여 약 20˚이며 흐름이 억제되는 중심공간(56)사이로 한정된다.
점화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4,5및 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및 제2와류 방지판(41, 42)의 궤도단부(44)를 스캘롭하여 점화능을 더욱 향상시킨다. 제1및 제2와류 방지판(41, 42)의 궤도단부(44)를 스캘롭하기위하여, 궤도단부(44)는 내곽(32)의 흐름 통로를 횡단하며 면과 면의 관계로 와류 방지판의 도입단부(43)로부터 외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길이방향으로 연신된 스트립을 포함한다. 제1및 제2와류 방지판의 도입단부로부터 외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궤도 단부의 스트립에서 제1부분(45)은 다른 방법으로 궤도단부 스트립의 제2부분(47)사이의 내곽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또한 궤도단부 스트립의 제2부분(47)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굽어져 제1및 제2와류 방지판(41,42)상에 적합하게 스캘롭된 궤도단부가 형성된다. 궤도단부 스트립의 제1부분(45)은 한방향에서 각각의 와류 방지판의 도입 단부(43)로부터 방사상으로 적합하게 굽어지고, 반면 궤도단부 스트립의 제1부분(47)은 제1부분(45)이 굽어진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각각의 와류방지판의 도입단부(43)로부터 적합하게 굽어진다.
각각의 와류 방지판(41, 42)상에 스캘롭된 궤도 단부를 형성함으로써 난류 영역이 그 사이에 형성된 저압 재순환 영역(80)에서 각각의 탄-공기류(60, 70)사이의 공유영역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난류공유영역은 탄 및 공기가 탄 및 공기류에서 이끌어지며 저압 제순환영역(80)에서 고온 연소 생성물과 완전지 혼합되어 점화능은 더욱 향상하게 된다.
또한 적합하기로는 제5도 및 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궤도단부 사이의 공유영역을 따라 궤도단부 스트립의 인접한 제1및 제2부분(45, 47)사이를 횡단하는 연장된 간격유지판(46)을 설치하여 무화연료와 송급공기가 인접하여 갈라지는 궤도 단부스트립(45, 47)사이에 형성된 공유영역을 가로질러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당량의 무화연료와 송급공기가 분기되는 궤도단부스트립(45, 47)을 통하여 중심공간(56)로 흐르면 분기되는 탄-공기류(60, 70)사이의 저압 재순환 영역이 형성되는 것은 그 효과에 역행하게 되는 것이다. 부언하면, 와류 방지판(41, 42)은 노즐팁(30)의 내곽(32)에 배열되어 제5도 또는 교차 배열된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캘롭된 궤도단부 부분은 선배열내에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서로 용접된 판금속의 각종 조각으로 제조함에 따라 와류 방지판(41, 42)은 또한 공지된 주조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부언하며, 내곽(32)을 통하여 흐르는 탄흐름 내에 와류 방지판의 수명은 1982년 11월 2일 발명의 명칭이 "미분탄 버너를 위한 노즐팁"으로 차프샤이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356,975호에 따라 탄화규소 또는 질소경화와 같은 비교적 내마모성의 재료로 구성된 유도단부(43)및 주지된 스테인리스강과 같이 비교적 고온에 견디는 재료로 구성된 궤도단부(44)로 하여 와류 방지판(41, 42)을 제조함으로써 향상된다.
접선 연소로에 탄-공기 주입장치를 사용한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자체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노즐팁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주내에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에 의해 용이하게 수정될 수 있으며 미분탄 또는 다른 분쇄된 고체를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미분연료 연소로의 버너를 위한 노즐팁에 있어서, 미분연료와 이송공기가 버너로부터 로내로 통하는 흐름통로 사이로 한정되며 입구단부와 출구단부를 갖는 개단부 내곽, 내곽을 격리된 상태로 둘러싸며 보조공기가 버너로부터 로내로 통하는 환상흐름통로 사이로 한정되는 개단부외곽 및 흐름이 억제되는 통로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분기시키는 방법으로내곽의 입구단부로부터 내곽의 출구단부로 연장되는 제1및 제2흐름 통로로 통하는 흐름통로를 분기시키기 위하여 내곽내에 배치된 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연료 버너의 노즐팁 및 와류 방지판.
  2. 제1항에 있어서, 판수단은 내곽내에 배치된 제1및 제2와류 방지판을 포함하는데, 제1및 제2와류 방지판은 각각 입구 단부에서 내곽의 흐름 통로를 가로질러 배치된 유도단부와 출구단부에서 내곽의 흐름통로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궤도단부를 가지며, 내곽의 입구에서 라인을 따라 모여 내곽의 출구단부를 향하여 분기되는 방식으로 외부로 연장되고, 제1와류 방지판과 내곽에 의해 결합된 제1흐름통로와 제2와류 방지판과 내곽에 의해 결합된 제2흐름통로내로내곽을 경유하여 흐르는 흐름통로를 분기시키는 수단으로서 공간영역에서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연료 버너의 노즐팁 및 와류 방지판.
  3. 제1항에 있어서, 제1및 제2와류 방지판은 약20˚의 각도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연료 버너의 노즐팁 및 와류 방지판.
  4. 제2항에 있어서, 제1및 제2와류 방지판의 각 궤도단부는 스캘롭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연료 버너의 노즐팁 및 와류 방지판.
  5. 제4항에 있어서, 제1및 제2와류 방지판의 궤도단부는 내곽의 흐름통로를 가로질러 평행으로 제1및 제2와류 방지판의 각 유도단부로부터 외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길이방향으로 연신된 스트립으로 형성되며, 궤도 단부스트립의 제1부분은 궤도단부 스트립의 제2부분 사이에 교대로 배치되고 제1및 제2와류 방지판의 각 유도단부로부터 떨어져서 방사상으로 굽어져서 제1및 제2와류 방지판의 스캘롭된 궤도단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연료 버너의 노즐팁 및 와류 방지판.
  6. 제5항에 있어서, 궤도단부 스트립의 제2부분은 궤도단부 스트립의 제1부분이 제1및 제2와류 방지판의 각 유도단부로부터 떨어져서 방사상으로 굽어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제1및 제2와류 방지판의 각 유도단부로부터 떨어져서 방사상으로 굽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연료 버너의 노즐팁 및 와류 방지판.
  7. 제6항에 있어서, 공유영역을 따라 궤도단부 스트립의 인접한 제1및 제2부분사이에 횡단으로 배치된 다수의 간격유지판이 포함되어 미분연료와 이송공기가 궤도단부 스트립의 인접하여 분기되는 제1및 제2부분사이에 형성된 공유영역을 가로질러 흐르지 않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연료 버너의 노즐팁 및 와류 방지판.
  8. 제7항에 있어서, 제1및 제2와류 방지판의 유도단부는 약20˚의 각도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연료 버너의 노즐팁 및 와류 방지판.
KR1019840002119A 1983-04-22 1984-04-21 미분연료 버너의 노즐팁 및 와류방지판 Expired KR8900003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8755283A 1983-04-22 1983-04-22
US487552 1983-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492A KR840008492A (ko) 1984-12-15
KR890000326B1 true KR890000326B1 (ko) 1989-03-14

Family

ID=2393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2119A Expired KR890000326B1 (ko) 1983-04-22 1984-04-21 미분연료 버너의 노즐팁 및 와류방지판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129001B1 (ko)
JP (1) JPS59205510A (ko)
KR (1) KR890000326B1 (ko)
AU (1) AU567340B2 (ko)
CA (1) CA1230783A (ko)
DE (1) DE3472154D1 (ko)
ES (1) ES531781A0 (ko)
IN (1) IN161339B (ko)
MX (1) MX158316A (ko)
ZA (1) ZA8417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1029B2 (ja) * 1988-02-23 1998-08-27 バブコツク日立株式会社 微粉炭バーナ
FR2689211B1 (fr) * 1992-03-30 1994-05-06 Stein Industrie Busette orientable en materiau refractaire pour injection d'air et de combustible dans les bruleurs de chaudieres de centrales thermiques.
US5315939A (en) * 1993-05-13 1994-05-31 Combustion Engineering, Inc. Integrated low NOx tangential firing system
GB9322016D0 (en) * 1993-10-26 1993-12-15 Rolls Royce Power En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olid fuel burners
CA2167341C (en) * 1995-01-17 2000-03-21 Joel Vatsky Tiltable split stream burner assembly with gasket seal
KR100325948B1 (ko) * 1999-04-22 2002-02-27 김병두 보일러의 미분탄 공급 노즐팁 어셈블리
JP5271680B2 (ja) * 2008-12-05 2013-08-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旋回燃焼ボイラ
JP5344897B2 (ja) * 2008-12-12 2013-11-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旋回燃焼ボイラ
JP2010139182A (ja) * 2008-12-12 2010-06-24 Mitsubishi Heavy Ind Ltd 旋回燃焼ボイラ
JP5344898B2 (ja) * 2008-12-12 2013-11-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旋回燃焼ボイラ
JP2011127836A (ja) * 2009-12-17 2011-06-30 Mitsubishi Heavy Ind Ltd 固体燃料焚きバーナ及び固体燃料焚きボイラ
JP5374404B2 (ja) 2009-12-22 2013-12-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燃焼バーナおよびこの燃焼バーナを備えるボイラ
CN101718431B (zh) * 2009-12-28 2011-03-23 上海交通大学 电站燃煤锅炉直流燃烧器喷口结构
CN107250668A (zh) 2015-03-31 2017-10-13 三菱日立电力系统株式会社 燃烧器以及具备该燃烧器的锅炉
EP3279562B1 (en) * 2015-03-31 2020-08-19 Mitsubishi Hitachi Power Systems, Ltd. Combustion burner and boiler
JP6642912B2 (ja) 2015-09-11 2020-02-12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焼バーナ及びこれを備えたボイラ
JP6632841B2 (ja) * 2015-09-11 2020-01-22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焼バーナ及びこれを備えたボイラ
CN116576460A (zh) * 2023-04-19 2023-08-11 大唐东北电力试验研究院有限公司 一种适用于切圆燃烧锅炉的稳燃型燃烧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4814C (de) * 1927-04-12 1930-08-08 Adolf Steinbrueckner Kohlenstaubbrenner mit Zusatzluftzufuehrung und mit innerem Verteilkoerper fuer das Brennstoffluftgemisch
US2608168A (en) * 1949-10-21 1952-08-26 Comb Eng Superheater Inc Dual nozzle burner for pulverized fuel
DE913092C (de) * 1951-04-06 1954-06-08 Kohlenscheidungs Ges Mit Besch Brenner fuer Kohlenstaub od. dgl. feinverteilten Brennstoff
DD127792A1 (de) * 1976-08-20 1977-10-12 Gerd Boche Kohlenstaubbrenner,insbesondere fuer dampferzeuger
US4252069A (en) * 1979-04-13 1981-02-24 Combustion Engineering, Inc. Low load coal bucket
JPS5735366A (en) * 1980-07-03 1982-02-25 Nec Corp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8503424A1 (es) 1985-02-16
CA1230783A (en) 1987-12-29
ZA841738B (en) 1984-10-31
MX158316A (es) 1989-01-23
KR840008492A (ko) 1984-12-15
AU567340B2 (en) 1987-11-19
AU2711584A (en) 1984-10-25
EP0129001A1 (en) 1984-12-27
ES531781A0 (es) 1985-02-16
IN161339B (ko) 1987-11-14
JPS59205510A (ja) 1984-11-21
JPH0225086B2 (ko) 1990-05-31
DE3472154D1 (en) 1988-07-21
EP0129001B1 (en) 1988-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0326B1 (ko) 미분연료 버너의 노즐팁 및 와류방지판
US4634054A (en) Split nozzle tip for pulverized coal burner
KR830002141B1 (ko) 분할노즐 저부하 탄바켙
EP1530005B1 (en) Solid fuel burner and related combustion method.
US5685242A (en) Pulverized coal combustion burner
JP2544662B2 (ja) バ―ナ―
KR100709849B1 (ko) 농축된 석탄 스트림의 NOx 감소성 연소 방법
US4274343A (en) Low load coal nozzle
US4412496A (en) Combustion system and method for a coal-fired furnace utilizing a low load coal burner
BG64878B1 (bg) Горелка за твърдо гориво и метод за регулиране нагоренето, осъществявано от горелката за твърдо гориво
KR20020000758A (ko) 접촉 연소 시스템 작동 방법
US4471703A (en) Combustion system and method for a coal-fired furnace utilizing a louvered low load separator-nozzle assembly and a separate high load nozzle
US4434727A (en) Method for low load operation of a coal-fired furnace
CA1205684A (en) Burner register assembly
US4570549A (en) Splitter for use with a coal-fired furnace utilizing a low load burner
US6145450A (en) Burner assembly with air stabilizer vane
CA1228796A (en) Low pressure loss burner for coal-water slurry or fuel oil
US12270541B2 (en) Combustion system for a boiler with fuel stream distribution means in a burner and method of combustion
EP0017721B2 (en) Low load coal bucket and method of operating a pulverised coal-fired furnace
JP2954628B2 (ja) 微粉炭バーナ
JP2740201B2 (ja) 微粉炭バーナ
JP2776575B2 (ja) 微粉炭燃焼装置
WO2018142772A1 (ja) 燃焼バーナ及びこれを備えたボイラ
JPH08285231A (ja) 低NOx微粉炭バーナと微粉炭燃焼装置
JPS5913825A (ja) 分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303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