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0220B1 - 전자식 회의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식 회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220B1
KR890000220B1 KR1019840003687A KR840003687A KR890000220B1 KR 890000220 B1 KR890000220 B1 KR 890000220B1 KR 1019840003687 A KR1019840003687 A KR 1019840003687A KR 840003687 A KR840003687 A KR 840003687A KR 890000220 B1 KR890000220 B1 KR 890000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screen
absolute number
screen data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3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0850A (ko
Inventor
튜우사꾸 이마이
후지오 세끼구찌
도모유끼 쬬오
노부마사 오오야
히또시 사또오
Original Assignee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811504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9275A/ja
Priority claimed from JP5811504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9261A/ja
Priority claimed from JP5811588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9263A/ja
Priority claimed from JP5824824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44090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filed Critical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0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220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2Systems for two-way working, e.g. 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1Bandwidth or redundancy reduction
    • H04N1/411Bandwidth or redundancy reduction for the transmission or storage or reproduction of two-tone pictures, e.g. black and white pictures
    • H04N1/413Systems or arrangements allowing the picture to be reproduced without loss or modification of picture-information
    • H04N1/417Systems or arrangements allowing the picture to be reproduced without loss or modification of picture-information using predictive or differential en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식 회의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회의시스템에서의 화면데이타전송의 개략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회의시스템에서의 절대번호 전송의 개략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회의시스템에서의 동작의 개별적 모우드의 개략 블록도.
제4a 및 4b도는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종래의 전자식 회의시스템의 개략 블록도.
제5a 및 5b도는 두개의 스테이션이 공통 절대번호가 부여된 공통 화면데이타를 가진 경우 또는 가지지 않은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회의시스템의 개략 블록도.
제6도는 화면데이타의 부가된 부분만이 한 스테이션에서 다른 스테이션으로 전송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회의시스템의 개략 블록도.
제7도는 한 스테이션이 개별동작 모우드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회의시스템의 개략 블록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회의시스템의 일반적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
제9도는 기억유니트, 절대번호 및 화면데이타 사이의 관계식을 예시하는 도표.
제10도는 제8도에 보여진 시스템에서 제어유니트의 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제11도는 제10도에 보여진 제어유니트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억유니트의 구조도.
제13a 및 13b도는 새로운 화면데이타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형성될때 과정의 순서를 예시하는 순서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억유니트의 구조도.
제15도는 부가 또는 교정이 원래의 화면데이타에 가해졌을 때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4개의 기억유니트를 예시하는 도.
제16a 및 16b도는 첨가 또는 교정이 존재하는 화면데이타에 가해졌을때 과정의 순서를 예시하는 순서도.
제17도는 제13a, 13b, 16a 및 16b에서 보여진 과정에서의 기억유니트 (7)의 각각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확인번호 결정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절대번호 제공유니트를 예시하는 블록도.
제20도는 제19도에 보여진 유니트에서의 절대번호 관리 기억장치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B, C : 스테이션
2, 3, 5, 11, 12, 16 : 데이타 입력유니트
XX, YY, ZZ, X, XXX, XXY, XXZ : 화면 SA, SB, SC, 7, 7' : 기억유니트
DA, DB, DC, 4, 4' : 표시유니트 6, 60, 60' : 제어유니트
F : 절대번호 190 : 절대번호 제공수단
31, 37, 198 : 식별수단 28, 28' : 화면데이타 수신수단
본 발명은 다수의 사무실 사이의 원격회의를 위한 전자식 회의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화면데이타의 관리 및 제어를 개선시킨 전자식 보오드(board)유니트를 채용한 원격 회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서로 멀리 떨어진 회의자들과 회의를 할 수 있는 장치로서, 전자식 보오드유니트가 회의전화나 회의 텔레비젼/전화 결합시스템의 대용품으로서 개발되어 왔다.
회의전화나 회의텔레비젼/전화 결합시스템은 원격회의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회의 전화시스템은 단지 음향신호만을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회의중 회의자들에게 스케치나 다른 필기된 자료를 공급할 수 없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회의텔레비젼/전화 결합시스템은 필기된 자료를 선택해서 그것을 영상신호, 즉 화면의 형태로 전송할 수 있어서 원격회의의 회의자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선택된 필기된 자료를 전송하기 위해선 전송선이 광대역폭을 가져야만 한다. 또한 선택 가능한 송신측 영역은 상당히 적다. 그러므로 회의텔레비젼/전화 결합시스템은 넓은 보오드위에 쓰여진 자료를 전송하는 것이 어렵다는 결점을 가진다. 그래서 넓은 영역을 가진 보오드위에 필기된 자료의 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고 수신 스테이션에 전송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전자식 보오드유니트가 제공되어 있다. 전자보오드유니트를 사용하는 전자식 회의시스템은 예를들면 펠트 펜(felt pen)이나 표시펜에 의해서 입력보오드, 예컨대 작은 탁자나 디지타이저(digitizer)위에 자료가 수기 (handwritter)되어서 수기된 입력데이타는 한 스테이션이나 극(이하 "스테이션"이라 함)에서 얻어진다. 수기된 입럭데이타는 원격스테이션에 전화선을 통해서 전달되고 수신된 화면은 CRT모니터나 프로젝터(projector)등의 표시 유니트상에 표시된다. 수기된 입력데이타는 음성신호와 함께 전송가능하기 때문에 전자보오드유니트의 사용은 원격회의의 회의자들에게 큰 도움이 된다.
또한 전자보오드유니트를 채용한 전자식 회의시스템에서, 칼라 데이타를 수기 입력데이타에 포함시킴으로써 칼라화면이 칼라화면 표시유니트에 의해 표시 가능하다. 또한 표시된 자료는 하드카피(hard copy)로서 기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원격회의에서 회의자 각각은 기억유니트(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로부터 화면데이타를 수신하는 각각의 화면 표시유니트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회의를 수행한다. 이 경우에 모든 화면 표시유니트상에 동시에 같은 화면을 표시하는 것이 흔히 필요하다. 이같은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데이타는 회의자에 의해서 보통 미리 형성되며 스테이션에 기억유니트에 기록된다. 화면데이타는 또한 각각의 화면 표시유니트에 전송선을 통해 전달되어 각각의 기억유니트에 기록된다. 회의중에 회의자중 한사람이 화면 표시유니트상에 표시할 화면의 공통 화면번호를 지정할 때, 같은 화면이 그 이외의 다른 화면 표시유니트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리 형성 및/또는 기록된 화면데이타에 수정을 가할때, 새로운 화면번호가 제공되고 등록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호 멀리 떨어진 다수국의 각 기억유니트에 동일 화면데이타를 기록하고, 동일 화면데이타에 화면 표시유니트에 공통인 화면번호(절대번호)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전자식 회의시스템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전자보오드유니트를 채용한 종래 전자식 회의시스템에는, 제1의 스테이션에서 쓰여진 화면의 화면데이타는 그 스테이션에만 쓰일 수 있는 화면번호가 제공된다. 제1의 스테이션에서 형성된 화면데이타가 제2의 스테이션으로 전달되고 제2스테이션내의 기억유니트내에 기억될때, 종래 방식에서는 화면데이타는 제1스테이션에 제공된 화면번호와는 다른 화면번호가 제공되었다. 그러므로 동일 화면데이타가 각 스테이션에서 상위한 화면번호를 가진다. 따라서 다른 스테이션에서 동일 화면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은 어렵다. 다른 스테이션에 동일 화면을 동시에 표시하기 위하여 제1의 스테이션에 표시된 화면의 화면데이타는 다른 스테이션으로 이송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것은 높은 전송용량을 가진 전송선을 요구하거나 전송속도를 제한한다.
동일 화면데이타가 각 스테이션에서 공통으로 제어되도록 설사 서로 원격한 스테이션의 개별적인 기억유니트에 기억된 동일 화면데이타에 공통 절대번호가 주어질 때라도 이미 공통 절대번호가 부여된 현재 화면데이타에 부가나 수정을 할때, 또다른 단점이 발생된다. 즉 이 경우에는 부가되거나 수정된 화면데이타는 원래의 화면데이타의 번호와 다른 절대번호를 가진다. 그러므로 화면데이타중 부가되고 수정된 부분이 다른 스테이션에 전송될때, 부가되고 수정된 부분이 비록 아주 적더라도 전체 화면데이타가 전송되어야만 한다.
이것은 또한 높은 전송용량을 가진 전송선을 요구하거나 전송속도를 제한한다. 더우기 동일 화면이 다른 스테이션에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하더라도, 상위한 화면이 스테이션중 하나에 표시되는 것이 종종 필요하다.
따라서, 동일 화면데이타가 스테이션의 기억유니트에 기억되었을때 동일 화면데이타를 한 스테이션에서 부터 다른 스테이션을 정송함없이 동일 화면데이타에, 모든 스테이션에 공통인 절대번호를 제공함으로써 동일 화면이 상위한 스테이션에 동시에 표시되는 다수의 스테이션 사이에의 원격회의를 위한 전자식 회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스테이션에서 동일 화면데이타에 수정이나 부가될때 화면데이타중 수정되거나 부가된 부분만이 미분(differential)데이타로서 한 스테이션에서 다른 스테이션으로 전송되며 수정되거나 부가된 화면데이타의 부분이 원래의 전체 화면데이타를 재전송함이 없이 다른 스테이션내에 동일 화면데이타에 부가되는 상기와 같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스테이션의 각각이 그 모우드 동작 즉 공통 모우드와 개별모우드를 가지며 이들 모우드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되며, 한 스테이션이 공통 동작모우드에 있을때 공통 모우드내의 나머지 다른 스테이션에 표시된 화면과 동일 화면이 그 스테이션에 표시되고, 반면에 한 스테이션이 개별동작 모우드내에 있을 때는 그 스테이션에 개별적으로 규정된 화면이 공통 모우드내의 그외의 다른 스테이션에 표시된 화면으로 부터 독립적으로 표시되는 상기와 같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화면데이타의 관리 및 제어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원격 스테이션 사이의 전송선의 필요한 전송 용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데이타 전송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개별 기억유니트에 확인번호를 부여하는 편리한 시스템이 제공된 상기와 같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의 목적을 얻기 위하여 각 스테이션이 화면데이타를 입력하는 데이타 입력유니트 ; 다수 화면의 화면데이타를 기억하는 기억유니트 ; 같은 시간에 각각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유니트 ; 및 데이타 입력유니트로 부터 입력되거나 다른 스테이션으로 부터 전송되는 화면데이타의 기억동작을 제어하며, 표시유니트상에 표시동작을 제어하며, 기억유니트내에 기억된 화면데이타의 다른 스테이션으로의 전송동작을 제어하며, 및 다른 스테이션으로 부터 전송 화면데이타를 수신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데이타 입력유니트, 기억유니트, 및 표시유니트에 접속된 제어유니트를 갖추고 있는 다수 스테이션 사이에서 원격회의를 위한 전자식 회의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스테이션에서, 제어유니트는 화면의 화면데이타가 한 스테이션내의 데이타입력유니트로 부터 입력되었을때 화면데이타에 제1절대번호를 제공하는 절대번호 제공수단 ; 제1절대번호를 스테이션들중 다른 스테이션으로 전송시키는 절대번호 전송수단 ; 다른 스테이션이 제1절대번호와 동일한 번호를 가지지않았을 때만 다른 스테이션에 제1절대번호가 부여된 화면데이타를 전송시키는 화면데이타 전송수단; 화면데이타가 다른 스테이션에 형성될때 다른 스테이션으로 부터 제2절대번호를 받는 절대번호 수신수단; 기억유니트가 다른 스테이션으로 부터의 제2절대번호와 동일번호를 기억하느냐 않느냐를 식별하는 식별수단 ; 식별수단에 의한 식별의 결과를 다른 스테이션으로 전송시키는 식별결과 전송수단과 ; 및 다른 스테이션에서 제2절대번호가 제공된 화면데이타를 수신하는 화면데이타 수신수단으로 이루어지며, 다른 스테이션은 식별결과 전송수단으로 부터 받은 정보에 응하여 제2절대번호를 가진 화면데이타를 전송하기에 적합하며, 이 정보는 기억유니트가 제2절대번호와 같은 번호를 기억하지 않았다는 것을 말해주며 ; 따라서 각 스테이션내의 각 기억유니트에 기억된 동일 화면의 동일 화면데이타는 연결된 스테이션에서 동일 절대번호에 의해 관리된다.
한 스테이션의 제어유니트는 한 스테이션에 제공되거나 다른 스테이션으로 부터 전송된 절대번호를 한 스테이션의 기억유니트에 기록하는 기록제어수단 ; 표시될 화면에 대응하는 절대번호를 규정하는 절대번호 규정수단과; 기억유니트에서 화면데이타의 어드레스를 탐색함으로써 표시될 화면의 화면데이타를 읽는 판독제어수단을 더욱 포함하고 있으며, 이 어드레스는 절대번호 규정수단에 의해 규정된 절대번호에 대응한다.
각 스테이션의 기억유니트는 절대번호를 기억하는 제1영역과, 일대일 대응으로 절대번호에 대응하는 기억하는 다수의 화면의 화면데이타를 기억하는 제2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절대번호의 각각은 절대번호가 원래 기억된 기억유니트를 식별하기 위한 제1번호와 표시될 화면의 화면데이타의 기억유니트내의 어드레스를 규정하는 제2번호로 이루어진다.
더우기 절대번호의 각각은 제3번호를 포함하는 절대번호에 대응하는 화면에 부가의 번호를 나타내는 제3 번호를 포함한다.
데이타 입력유니트에 의해서 부가가 제1스테이션에 표시될 화면에 행하여 졌을때, 절대번호 제공수단은 새로운 화면 데이타중 부가부분에 대응하는 새로운 절대번호를 형성한다.
절대번호 전송수단은 새로운 절대번호를 제2스테이션으로 전송하며, 화면 데이타 전송수단은 새로운 화면데이타가 부가부분은 다른 스테이션으로 전송시킨다
더우기 전자식 회의시스템은 다른 스테이션이 공통동작 모우드상태에 있을때 다른 스테이션에 표시된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한 스테이션의 절대번호 규정수단에 의해 다른 스테이션과 독립적으로 규정된 절대번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한 스테이션에 표시하는 개별동작 모우드 사이에서 제1스테이션의 동작을 개폐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한다.
기억유니트는 각각의 절대번호가 위치번호의 하나에 대응하는 기억유니트내에 기억된 다수의 위치번호를 기억하며, 절대번호 규정수단의 위치번호의 소망하는 하나를 규정함으로써 원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기억유니트는 각각의 위치번호가 같은 제1, 제2 및 다른 제3번호에 대응하는 다수의 위치번호을 기억하며, 절대번호 규정수단의 위치번호의 원하는 하나를 규정함으로써 부가 또는 수정을 포함하는 원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전자식 회의시스템은 더우기 기억유니트를 초기화하는 초기화 수단을 포함하는 기억유니트를 식별하는 제1번호를 결정하는 제1번호 결정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제1번호는 초기화에 필요한 시간에 따라서 결정된다.
제1번호는 초기와에 필요한 시점으로부터 얻어지는 소정의 하위 비트에 근거해서 결정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 설명으로 부터 더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하기 전에, 본 발명에 의한 원격 회의시스템의 근본기능이 제1도 내지 9도를 참고하여 기술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회의시스템의 화면 데이타 전송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제1도에서 서로 멀리 떨어지 3개의 국 환언하면 스테이션 A, B 및 C 가 도시되어 있다. 모든 스테이션에는 각각이 동일 화면을 표시하는 표(XXX)로 예시된 표시 유니트(DA,DB및 DC)가 제공되어져 있다. 화면(XXX)이 원래 스테이션(A)에서 형성되었을 때, 스테이션(A)은 화면(XXX)의 화면 데이타를 스테이션(B 및 C)에 전송시킨다. 그러면 스테이션(B 및 C)은 그들의 표시유니트 (DB및 DC)상에 동일 화면(XXX)을 표시한다. 이것이 원격 회의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 기능이며, 후에 상술할 본 발명에 따라 성취되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회의시스템의 절대 번호 전송의 개략 블록도이다. 제2도에서 세개의 원격 스테이션(A, B 및 C)은 표시유니트(DA, DB및 DC)에 부가해서 기억유니트 (SA, SB및 SC)를 가진다. 기억유니트(SA, SB, SC) 예컨대 플로피 디스크이다. 이러한 기억유니트(SA, SB및 SC)에 기억된 내용은 각각 참고부호(CA, CB및CC)로 표시된 바와 같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스테이션(A)에 기억유니트(SA)는 기호(XXX)에 의해 도시된 화면의 화면 데이타를 기억한다. 스테이션(C)에서 기억유니트(SC)는 또한 기호(XX)에 의해 도시된 것과 동일한 화면의 화면 데이타를 기억한다. 그러나 스테이션(B)에는 기억유니트(SB)는 처음에는 화면(XX)의 동일 화면 데이타를 기억하지 않는다. 각 스테이션(A 및 C)에서 화면(XX)의 화면 데이타는 절대번호(A-1)가 부여되어 있다. 회의의 주제가 화면(XX)에 연관될 때, 그리고 화면(XX)이 모든 스테이션에 표시되어 있을때, 스테이션(A)은 절대번호(A-1)를 스테이션(B 및 C)으로 전송한다. 스테이션(C)은 그것이 스테이션(A)으로 부터 전송된 절대번호(A-1)와 동일한 절대번호를 가졌다는 것을 확인한다. 그러나 스테이션(B)은 절대번호(A-1)를 가지지 않으며 스테이션(B)일 절대번호(A-1)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스테이션(A)에 알려준다. 다음에 스테이션(A)은 화면(XX)의 화면데이타를 단지 스테이션(B)에만 전송시키고,그러면 스테이션(B)는 스테이션(A)으로 부터 전송된 화면 데이타에 의해서 그 표시유니트(DB)에 화면(XX)을 표시한다. 스테이션(C)은 그 기억유니트(SC)로 부터의 화면 데이타에 의해서 그 표시유니트(DC)상에 화면(XX)을 표시한다. 그래서 모든 스테이션에 공통되는 절대번호로 화면 데이타를 번호붙임에 의해, 다른 스테이션으로 부터 전송된 번호와 동일한 절대번호를 가졌을 때, 화면 데이타는 다른 스테이션으로 전송될 필요가 없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회의시스템의 동작의 개별동작 모우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제3도에서 회의의 다른 주제는 화면(YY)에 관한 것이며, 그 화면데이타는 절대번호(A-2)가 부여되어 있다. 이 경우에 화면(YY)의 화면데이타는 기억유니트(SA)의 위치번호(2)에만 기억되어 있다. 표시유니트(DA)는 기억유니트(SA)의 화면데이타에 따라서 화면(YY)을 표시한다. 스테이션(A)은 화면(YY)의 화면 데이타를 스테이션(B 및 C)에 전송한다. 스테이션(C)에서, 스테이션(A)으로부터 전송된 화면 데이타는 표시유니트(DC)내로 입력되며 화면(YY)은 그 위에 기억된다. 화면 데이타는 기억유니트(SC)에 입력되어 그 안에 기억된다. 그러나 스테이션(B)내에는 스테이션(A)으로 부터 전송된 화면 데이타가 기억유니트(SB)로만 입력되며, 그안에 기억된다. 표시유니트(DB)는 절대번호(A-1)가 부여된 화면(XX)을 표시하며 절대번호(A-2)가 부여된 화면(YY)을 표시하지 않는다. 즉 이 경우에 스테이션(B)은 개별동작 모우드를 선택하며, 스테이션(C)은 공통 동작모우드를 선택한다. 스테이션(B)의 기억유니트(SB)가 지금 화면(YY)의 화면테이타를 기억하기 때문에, 기억유니트(SB)의 내용은 회의의 진행과 일치한다. 그래서 그 기억유니트내에 기억된 어느 소망의 화면도 표시되도록 규정될 수 있는 개별적인 모우드, 또는 모든 스테이션에 공통인 화면이 표시되는 공통 모우드를 어떠한 스테이션도 선택할 수 있다.
제4a및 4b도는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종래의 전자식 회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어떠한 절대번호도 한 화면의 화면데이타의 각각에 붙여지지 않았다. 단지 내용의 번호, 또는 기억유니트의 위치번호가 각 화면데이타에 제공되어져 있다. 내용의 번호들, 즉 위치번호는 각 기억유니트내에 순차적으로 제공되어 있다. 제4a도에서는 스테이션(A 및 B)은 통신선(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스테이션(A)은 표시유니트(DA) 및 플로피 디스폭(Fa)를 포함한다. 플로피디스크(Fa)는 위치번호("1")에 화면(XX)의 화면데이타를 기억한다. 플로피디스크(Fb)는 화면(XX)의 동일 화면데이타를 그 위치번호 "1"에 위와같이 기억시킨다. 이 경우에 스테이션(A 및 B)에 위치번호 (" 1 ")를 할당함에 의해서, 동일 화면(XX)이 표시유니트(DA및 DB)양쪽에 다 표시된다. 그러나 제4b도에 도시되었듯이, 플로피디그크(Fa)가 다른 플로피디스크(Fc)로 대치되었다고 가정하면 표시유니트(DA)는 원래 화면(XX)과는 다른 화면(ZZ)을 표시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플로피 디스크가 그 위치번호(" 1 ")에 화면(ZZ)의 화면 데이타를 기억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종래의 기술에서 내용의 동일번호가 다른 스테이션에 지정되었다 할 때라도 표시된 화면은 반드시 동일하지는 않다.
제5a 및 5b도는 두개의 스테이션이 공통의 절대번호를 가진 공통화면을 가지거나 가지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회의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화면의 각 화면 데이타가 절대번호(b-1-1 또는 c-1-1)로 번호 붙혀져 있다. 도시되었듯이 각각의 절대번호는 세개의 기호로 이루어지는데, 즉 b 또는 c등의 제1기호, 제1기호 다음의 제5a도와 5b도에서 "1"에 해당하는 제2기호, 그리고 제5a 및 5b도에서 "1"에 해당하는 제2기호 다음의 제3기호로 이루어진다. 제1기호는 대응하는 화면데이타가 원래 형성되고 기억된 플로피 디스크를 확인하며 ; 제2기호는 확인된 플로피 디스크의 위치번호를 표시하며 ; 제3기호는 원래의 화면데이타에 가해진 수정의 번호를 표시한다. 그래서 제3기호는 편집기호로 언급되기도 한다.
제5a도에서 제5b도와의 유일한 차이점은 각 기억유니트(FB및 FC)에 기억된 각 화면데이타는 3개의 기호로 이루어진 절대번호로 붙여져 있다. 동작에서 화면(XX)의 화면데이타는 먼저 스테이션(B)에서 형성되고 절대번호(b-1-1)로 플로피디스크(FB)에 기억되어 있다. 제1기호("b")는 이 화면데이타가 원래부터 플로피디스크(FB)에 기억되었다는 것을 표시한다. 제2기호("1")는 이 화면데이타가 플로피 디스크(FB)의 위치("1")에 기억 되었다는 것을 표시한다. 제3기호("1")는 이 화면데이타가 제1편집이거나 어떠한 수정도 이 화면데이타에 가해지지 않았다는 것을 표시한다. 스테이션(B)내의 키보드(보여지지 않음)상에 제2기호를 규정함으로써, 절대번호(b-1-1)를 가진 화면 데이타는 표시유니트(DB)에 입력되고 하면(XX)은 거기 표시된다. 절대번호(b-1-1)는 또한 전송선(1)을 통해서 스테이션(A)으로 전송된다. 스테이션(A)에서 스테이션(B)으로 부터 전송된 번호(b-1-1)와 같은 절대번호가 찾아진다. 만일 같은 절대번호가 제5a 도의 경우에서와 같이 플로피디스크(Fc)에서 발견되지 않는다면, 스테이션(B)은 절대번호(b-1-1)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타를 스테이션(A)으로 전달한다. 스테이션(A)은 스테이션(B)으로부터 전송된 화면 데이타에 기초한 화면을 표시하며, 동시에 기억유니트(Fc)내의 적당한 빈 위치내로(제5a도에서 위치번호(2)내로) 대응하는 절대번호(b-1-1)를 가진 화면번호를 기억한다.
만일 제5b도에서 도시되었듯이 플로피디스크(Fc)가 미리 절대번호(b-1-1)를 가진 화면 데이타를 기억했다면, 스테이션(B)으로 부터전송된 번호(b-1-1)와 같은 절대번호가 발견된다. 그러면 스테이션(B)은 스테이션(A)으로 부터의 정보에 응해서 화면데이타를 전송하지 않는다. 제5a 및 5b도에서, 절대번호에서의 제3기호는 쓰이지 않았다. 제3기호의 효과적인 사용은 제6 및 7도를 참고하여 기술된다.
제6도는 화면 데이타의 부가된 부분만이 한 스테이션에서 다른 스테이션으로 전송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회의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제6도에서 스테이션(A)의 플로피디스크(Fc)는 이미 절대번호(c-1-1)를 가진 화면 데이타와 절대번호(b-1-1)를 가진 화면 데이타를 기억한다. 스테이션(B)의 플로피디스크(Fb)는 미리 절대번호(b-1-1)를 가진 화면 데이타를 기억한다.
먼저 화면(XX)은 플로피 디스크(Fc및 F 1 666)에 기억된 절대번호(b-1-1)를 가진 화면 데이타에 의하여 표시유니트(DA및 DB)양쪽에 다 표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새로운 화면(AZ)이 예컨대 스테이션(B)의 표시된 화면(XX)에 부가되어야만 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화면(Z)의 화면(B)의 화면 데이타는 스테이션(B)에 형성되고 플로피디스크(FB)의 원래 절대번호(b-1-1)에 대해 위치번호("1")의 영역중 빈 영역에 새로운 절대번호(b-1-2)로 기억된다. 새로운 화면이 원 화면(XX)에 부가되는 부분이라는 것을 표현하기 위하여, 새로운 화면 데이타의 제3기호는 "2"로 정정되고, 제1 및 제2기로("b", "1")는 원래 지정된 대로 남아있다.
절대번호(b-1-2)를 가진 화면 데이타의 부가 부분은 스테이션(A)에서 화면 데이타의 부가부분이 수신되었을때, 그것은 플로피 디스크(Fc)의 원래 절대번호(b-1-1)에 대한 위치번호("2")의 영역내의 빈 영역에 기억된다. 그래서 절대번호(b-1-1, b-1-2)를 지정해 줌으로써, 정정된 화면(XXZ)이 표시유니트(DA및 DB)양쪽에 표시된다. 절대번호(b-1-1, b-1-2)는 스테이션(B)내의 위치번호("1") 또는 스테이션(A)의 위치번호("2")를 규정함으로써 지정된다.
제7도는 한 스테이션이 동작의 개별동작 모우드하에 있게되는 전자식 회의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제7도에서 플로피 디스크(Fc및 Fb)의 기억된 내용은 제6도에 도시되었듯이 플로피 디스크(Fc및 Fb)의 마지막 단계의 기억된 내용과 처음에는 같다. 즉 플로피 디스크(FC)는 미리 절대번호(c-1-1, b-1-1, b-1-2)를 가진 화면 데이타를 기억한다.
또한 플로피디스크(Fb)는 절대번호(b-1-1, b-1-2)를 가진 화면 데이타를 미리 기억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의의 주제가 바뀌어서 화면(YY)이 표시되어야만 할 때, 표시유니트(DA)는 절대번호(c-1-1)를 가진 화면 데이타를 페치(fetch)해서 화면(YY)을 표시한다. 더우기 절대번호(c-1-1)를 가진 화면 데이타는 스테이션(B)으로 전송되고 예컨대 플로피 디스크(Fb)의 위치번호(2)의 영역내에 기억된다. 그러나 스테이션(B)은 표시된 화면(XXZ)이 표시유니트(DB)상엔 유지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요구하는 개별 동작모우드를 선택한다.
그래서 절대번호(c-1-1)를 가진 새로운 화면 데이타가 스테이션(A)으로 부터 전송되었다 할지라도, 화면(YY)은 개별동작 모우드하에서는 스테이션(B)에 표시되지 않는다. 절대번호(c-1-1)를 가진 화면 데이타는 플로피 디스크(Fb)에만 기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회의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조이다. 제8도에서 한쪽의 스테이션에 있는 제1시테이션(1)은 전화선등의 통신선(1)을 통해 제2스테이션 (1')에 연결되어 있다. 제1스테이션(1)은 수기된 데이타를 입력시키는 디지타이저 유니트(digitizer unit)(2), 현재의 서류를 입력시키는 스캐너 유니트(scanner unit)인 서류 입력 유니트(3), 수기된 데이타 또는 서류를 표시하는 모니터나 프로젝터 (projector)와 같은 표시유니트(4), 동작명령을 입력시키는 키보드유니트(5), 제어유니트(6) 및 화면 데이타를 화일하기 위한 플로피나 자기디스크 같은 기억유니트(7)로 이루어져 있다. 디지타이저 유니트(2)는 태블리트(tablet) 즉 전자보오드가 제공되어진다. 디지타이저 유니트(2)는 펜등에 의하여 규정된 좌표 데이타를 출력하며, 따라서 문자 또는 도면이 디지타이저 유니트(2)에 의하여 그려질때 디지타이저(2)상의 펜의 좌표는 계속적으로 출력된다.
디지타이저 유니트상의 좌표와 표시유니트(4)상의 좌표간에 대응이 한번 이루어지면 디지타이저 유니트(2) 상에 그려진 문자 또는 도면은 표시유니트(4)상에 직접 표시된다. 제어 유너트(6)는 디지타이저 유니트(2)로 부터 표시유니트(4)상의 표시위치로의 좌표데이타 변환을 제어하도록 동작하여 제10도에 도시된 화면 메모리(26)상에 "1" 과 "0"을 기입하도록 한다. 디지타이저(2)의 구성은 공지되었으며, 예컨대 "자계결합을 사용한 새로운 디지타이저"(1980년 12월 16일 발행, 사단법인 전자통신학회간행)에 기술되었다. 서류 입력유니트(3)는 일반적으로 이메지스캐너라 부르며, 그에 대한 일반적 구성은 상기 논문에 도시되었다. 이메지 스케너에 의한 서류의 판독은 팩시밀리에 의한 판독과 아주 유사하다. 즉 광원으로 부터의 광을 종이에 투사하여 종이로 부터 반사된 공을 이메지 센서(CCD)로 수신함으로씨 종이상에 정보가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여기서 종이와 이메지 센서 및 광원으로 구성되는 판독 유니트는 모터등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제8도에 도시된 제어유니트(6)는 또한 모터등에 제어하며, 이메지 센서(2)의 스캐닝 동작을 제어한다. 키이보오드 유니트(5)와 표시유니트(4)간의 상호관계는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었다. 기억유니트(7)는 디지타이저(2), 서류 입력유니트(3) 또는 키이보드 유니트(5)로 부터의 좌표 데이타를 기억하는 예컨대 플로피 디스크이다.
동작에서 화면 데이타(X)가 처음에 디지타이저 유니트(2)또는 서류유니트(3)로 부터의 입력에 의해 제1스테이션(1)에서 형성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절대번호(F)가 뒤에 상술되었듯이 화면 데이타(X)에 주어진다. 화면 데이타(X) 및 그 절대번호(F)는 기억유니트(7)의 위치번호(n)에 기억된다. 전술했듯이 절대번호(F)는 3개의 표기, 즉 화면 데이타가 처음에 기억되는 기억유니트(7)를 확인하는 제1기호, 기억유니트(7)의 기억된 화면 데이타의 위치를 표하는 제2기호 및 원래의 화면 데이타(X)에 만들어질 정정의 번호를 표시하는 제3기호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화면 데이타가 처음으로 기억되는 기억유니트(7)의 위치번호(n)는 제2기호와 같다.
제9도는 위치번호(L), 절대번호(Ab) 및 화면 데이타(PD)사이의 관계식을 도시하는 표이다. 제9도에 도시되었듯이 위치번호(1)의 영역은 절대번호(Fa) 및 그 대응 화면 데이타(A)를 기억하고 ; 위치번호(2)의 영역은 절대번호(Fb) 및 그 대응하는 화면 데이타(B)를 기억하며 ; 위치번호(n)의 영역은 절대면호(F) 및 그 대응하는 화면 데이타(X)를 기억한다.
위치번호(1,2,‥n,‥‥ )는 화면 데이타의 형성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주어진다.
제8도로 돌아가서 표시유니트(4 및 4')양쪽에 화면 데이타(X)의 화면을 동시에 표시하기 위하여, 키보드 유니트(5)를 이용하여 오퍼레이터는 화면 데이타(X)가 원래 형성된 스테이션내에서 위치번호(n)와 같은 제2번호(n)를 입력시킨다. 키보드(5)의 입력에 응해서 제어유니트(6)는 화면 데이타(X) 및 그 대응하는 절대번호(F)를 판독한다. 그러면 화면 데이타(X)가 표시유니트(4)로 입력되고, 거기서 화면 데이타(X)의 화면이 표시된다. 제어유니트(6)는 통신선(1)을 통해서 제2스테이션(1')에 절대번호(F)를 동시에 전송한다. 그러면 제2스테이션(1')은 절대 번호와 동일한 번호를 기억유니트(7')에서 찾는다.
만일 절대번호(F)가 기억유니트(7')에서 발견된다면, 제2스테이션(1')의 제어유니트(6')는 기억유니트(7')가 이미 절대번호(F)를 기억하고 있다는 것을 제1스테이션의 제어유니트(6)에 알려준다. 이 경우에 기억유니트(7')는 절대번호(F)에 대응하는 화면 데이타(X)를 판독하고 이것을 표시유니트(4')에 입력시킨다. 그래서 화면 데이타(X)와 동일 화면은 표시유니트(4 및 4')양쪽에 표시된다.
만일 절대번호(F)가 기억유니트(7')에서 발견되지 않는다면, 제어유니트(6')는 기억유니트(7')가 절대번호(F)를 기억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제어유니트(6)에 알려준다. 이 경우에 제어유니트(6)는 자동적으로 절대번호(F)에 대응하는 화면 데이타(X)를 제어유니트(6')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유니트(6')는 화면 데이타(X)에 절대번호(F)를 부여하고 기억유니트(7')에 부여된 절대번호(F) 및 전송된 화면 데이타(X)를 기억시키고, 또한 표시유니트(4')에 화면 데이타의 화면을 표시한다. 그래서 화면 데이타(X)의 동일 화면은 표시유니트(4및4')양쪽에 표시된다. 기억유니트(7')의 위치번호(n')와 절대번호(F)사이의 관계식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제2스테이션(1')에 있는 오퍼레이터는 키보드 유니트(5')로부터 번호(n')를 입력시킴으로써 양쪽 표시유니트에 표시될 화면 데이타(X)의 화면을 지정할 수 있다.
그래서 공통 절대 화면번호(F)를 가진 화면 데이타는 제어유니트(6 및 6')에 의해 표시유니트(4 및 4')상에 동시에 표시된다. 또한 제8도에 보인 전자식 회의시스템에서 기억유니트(7 및 7')에 기억된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부가 또는 수정이 디지타이저 유니트(2 또는 2')에 의해 화면이 표시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원래의 화면(a)은 제3번호(1)를 가진 절대 화면번호(F)를 가지도록 한정된다. 화면의 부가 또는 수정된 부분은 b로서 지정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새로운 화면은 a+b로서 주어진다. 화면(b)에 대한 절대번호는(X')로서 주어지며 원래의 화면(a)에의 부가 또는 수정이 수행되는 스테이션에서 기억유니트(7 또는 7')에 기억된다. 새로운 절대번호에서, 제1 및 제2번호는 각각 원래 절대번호에서의 것과 같다.
그러나 새로운 절대번호(X')의 제3번호, 즉 2는 원래의 절대번호의 제3번호(1)와는 다르다. 부가 또는 수정이 행하여져 제1스테이션의 현재 화면으로 되는데, 이것은 제2스테이션이 새로운 절대번호(X')로 제공된 화면 데이타를 가지지 않게된다. 제2스테이션(1')이 새 절대번호(')로 제공된 화면 데이타의 전송을 요구한다면, 부가 또는 수정된 부분인 화면(b)에 대한 화면 데이타만이 전송된다. 화면(b)에 대한 화면 데이타의 양은 화면(a)에 대한 원래 화면 데이타와 비교해서 일반적으로 상당히 적기 때문에, 화면(a+b)에 대한 새로운 화면 데이타가 전송되었을 때에 비해서 전송효율은 매우 높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유니트(6)의 좀 더 상세한 구성을 보여준다. 제10도의 제어유니트(6)에서 수기된 데이타입력부분(HDI)(11)은 디지타이저 유니트(D)(2)로 부터의 입력데이타를 제어해서 디지타이저 유니트(2)로 부터의 좌표 입력의 데이타가 일정한 길이를 가진 팩킷(packet)으로 편집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입력데이타는 제2스테이션(1')에 전송될 통신 데이타로서 미분 벡터 코우드로 변환되며, 스위치(13)및 OR게이트(20)를 통해서 전송부분(T)(27)으로 전송된다.
서류 입력부분(DI)(12)은 서류판독기(DR)(3)로 부터의 입력을 제어한다. 제2번호 Q번호화부분(14)은 기억유니트(7)에 기억될 화면 데이타의 위치를 표시하는 제2번호를 구성한다. 절대번호 번호화부분(15)은 기억유니트(7)에 기억될 화면에 대한 절대번호를 형성한다. 절대번호가 결정되었을 때, 또한 절대번호가 제2번호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2번호도 결정된다
번호 부가부분(18)은 번호화부분(14 및 15)으로 부터의 절대번호 및 제2번호를 가진 세화면 데이타를 준다. 세 화면 데이타는 디지타이저의 유니트(2) 또는 서류판독기(3)에 의해 형성되고 수신부(28) 및 OR게이트(17)를 통해 제2스테이션(1')으로부터 전송된다.
키보드 입력부(16)는 키보드 유니트(5)상에 있는 10진법키나 기능키를 통해 입력된 데이타를 구별해낸다. 번호 검지부(DET)(19)는 키보드 유니트(5)상에 "페이지", "다음페이지"등의 기능 키로부터 입력된 데이타를 표시될 화면의 화면 데이타를 규정하는 번호로 변환한다.
HDI(11)와 DI(12)는 기억유니트(7)와 전송부(27)와의 인터페이스이며, 이들은 각각 입력신호를 기억유니트(7)와 전송부(27)에 대한 적당한 형태의 신호로 변환한다. 키이보오드 입력부(KBI 16)는 컴퓨터 분야에서 잘 알려진 키이보오드 인터페이스이다
스위치(13)는 예컨대 전자 스위치에 의하여 실현되는 공지장치이다.
전송부분(27)는 데이타를 다른 오피스로 전송하며 수신부(28)는 다른 오피스에서 데이타를 수신한다. 각종 전송 포멧은 당분야에서 공지되었으며 본 발명과 직접관련이 없는 FSK 변조 또는 베이스밴드 전송등이 가능하다. 번호화부(14,15)는 번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예컨대 카운터에 의하여 실현가능하다.
번호부가부(18)는 제2번호를 기억하는 영역과 절대번호를 기억하는 다른 영역을 갖는 예컨대 레지스터에 의하여 실현된다.
기입제어부(24)와 판독제어부(25)는 일반적으로 플로피 디스크 장치에 사용되는 판독부와 기입부이다.
화면 메모리부(26)는 CRT상에 표시된 위치에 대응하는 어드레스를 갖는 메모리이다. 화면 데이타는 CRT 상에 표시될 위치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에 기입된다.
번호검출부(19)는 ROM을 포함하는 코드변환기이다. KBI(16)의 출력과 동일한 어드레스에 의하여 ROM 을 억세스함으로써 변환된 내용이 ROM으로부터 판독될 수 있다. 그러면 키보드 유니트(5)에 의해서 특정된 번호는 판독제어부(RC) (25)로 공급된다. 판독제어부(25)는 절대번호 및 그 대응 화면데이타를 읽기 위해 기억유니트(7)를 억세스한다.
절대번호 관리부(AS)(21)는 제1스테이션이 공통 동작모우드하에 있을때 절대번호를 관리한다. 즉 공통 동작모우드에서, 절대번호 관리부(21)는 판독제어 유니트(25)에 의해서 기억유니트(7)로 부터 읽혀진 공통 절대번호를 공통 모우드 관리 레지스터(23)내로 기록시킨다. 그러면 공통 모우드 관리 레지스터(23)내에 기억된 절대번호는 제2스테이션 (1')으로 전송된다. 또한 공통 동작모우드에서 절대번호가 제2스테이션(1')으로 부터 전송되었을때, 절대번호 관리부(21)는 기억유니트(7)가 제2스테이션(1')으로 부터의 절대번호와 동일한 번호를 기억하고 있는가를 식별한다.
기록제어부(24)는 화면 데이타 및 그 절대번호를 기억유니트(7)내의 화면 데이타 영역 및 인덱스 영역에 각각 기록한다. 판독제어부(25)는 기억유니트(7)의 화면 데이타영역내의 어드레스를 찾는데, 이 어드레스는 키보드유니트(5)로 부터 입력된 제2번호 또는 수신부(28) 및 절대번호 관리부(21)를 통해서 제2스테이션(1')으로 부터 전송된 절대번호에 대응한다. 어드레스가 발견되었을 때, 판독제어부(25)는 화면 데이타를 읽어서, 그 데이타가 OR게이트(29)를 통해 화면 기억부(26)로 그리고 OR게이트(20)를 통해 전송부(27)로 각각 전송된다. 화면 기억부(26)는 입력데이타를 현상하고 그것을 비데오 신호로 변환시킨다. 그러면 비데오신호는 CRT모니터등의 표시유니트에 공급된다. 제2도에 보여진 제어유니트(6)의 동작은 다음에 좀 더 자세히 기술된다. 제2스테이션(1')에 있는 제어회로(6')에 있는 각 부분은 제10도의 대응부의 번호와 수직대시의 결합(예컨대 DR3')으로서 명세서에 나타나있다.
수기된 데이타 입력부(11)또는 서류입력부(12)로 부터의 데이타는 스위치(13), OR게이트(17), 및 번호 부가부(18)를 통해서 기입제어부(24)로 전송되고 기입제어부(24)에 의해서 기억유니트(7)에 기억된다. OR게이트(17)의 출력은 또한 OR게이트(29)를 통해 화면기억부(26)내로 기억되며, 표시유니트(4)상에 표시된다.
더우기 스위치 (13)의 출력은 OR게이트(20)를 통해서 출력이 제2스테이션(1')으로 전송되는 전송부(27)내로 입력된다. 이 경우에 제2번호(n) 및 절대번호(F)는 제2번호 번호화부(14) 및 절대번호 번호화부(15)에 의해 각각 제공되며, 번호부가부(18)에 의해서 화면 데이타에 부가된다.
제2번호(n)를 포함한 절대번호(F)를 가진 화면 데이타는 기억유니트(7)에 기억된다. 절대번호(F)는 기억유니트(7)를 확인하는 제1번호, 확인된 기억유니트의 위치번호를 표시하는 제2번호 및 수정의 번호를 표시하는 제3번호로 이루어져 있다. 키보드 유니트(5)로 부터 번호(n)를 지정함으로써 주어진 "화면 표시요구"명령에 응하여 제2번호(n)를 포함하는 절대번호(F)는 키보드 입력부(16), 번호검지부(19), 판독제어부(25)및 기억유니트(7)로 이루어진 경로를 통해 기억유니트(7)로 판독된다. 또한 절대번호(F)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타는 판독제어부(25)에 의해 기억유니트(7)로 부터 읽혀진다. 판독 화면 데이타는 OR게이트(29)를 통해서 화면기억부(26)내로 이송된다. 그래서 절대번호(F)에 대응하는 화면이 표시유니트(4)상에 표시된다.
또한 화면은 나중에 자세히 언급하겠듯이 제2스테이션(1')으로부터 제2스테이션(1')이 절대번로(F)와 동일한 번호를 가졌느냐에 대한 정보를 제1스테이션(1)'이 제2스테이션(1')으로부터 받은 후에 표시유니트(4)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제2스테이션(1')의 절대번호(F)의 찾는 동작후에 표시가 일어나며, 표시가 표시유니트(4 및 4')양쪽에 거의 동시에 실행되기 때문에 이러한 나중 표시동작은 앞의 것보다 유리하다. 그러므로 이하에서 후자 표시동작이 기술 될 것이다.
한편 판독 절대번호(F)는 OR게이트(20) 및 전송부(27)로 이루어진 경로를 통해 판독 제어유니트(25)로 부터 제2스테이션(1')으로 전송된다. 제2스테이션(1')에서, 수신된 절대번호(F)는 수신부(28') 및 절대번호 관리부(21')를 통해서 공통 모우드 관리 레지스터(23')내에 설정되고; 절대번호(F)에 대응하는 화면 데이타는 절대번호 관리부(21'), 판독제어부(25') 및 기억유니트(7')로 구성된 경로를 통해 탐색된다.
절대번호(F)에 해당되는 화면 데이타가 제2스테이션의 기억유니트(7')에 나타날 때, 제1스테이션(1)은 절대번호 관리부(21'), 통신 응답 제어부(22') 및 전송부(27')로 이루어지는 경로를 통하며 번호(F)와 동일한 절대번호를 기억유니트(7')가 기억하고 있다는 것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동시에 탐색된 화면 데이타의 화면은 기억유니트(7'), 판독제어부(25'), OR게이트(29') 및 화면 기억부(26')로 이루어지는 경로를 통해 표시유니트(4')에 표시된다. 한편 제1스테이션에서 이러한 화면 데이타의 존재에 대한 정보가 수신부(28)에서 수신되었을 때, 절대번호 관리부(21), 판독제어부(25) 및 기억유니트(7)로 이루어지는 경로를 통해 화면 데이타가 앞서 기술한 후자 표시동작의 경우에 억세스되며 ; 기억유니트(7), 판독제어부(25), OR게이트(29) 및 화면기억부(26)로 구성되는 경로를 통해 표시유니트(4)상에 표시된다.
절대번호(F)에 대응하는 화면 데이타가 제2스테이션(1')의 기억유니트(7')에 존재하지 않을 때, 제1스테이션(1)은 절대번호 관리부(21'), 통신 응답 제어부(22') 및 전송부(27')로 구성되는 경로를 통하여 절대번호(F)로 주어진 화면 데이타를 기억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정보를 받는 제1스테이션(1)은 수신부(28),절대번호 관리부(21), 판독제어부(25) 및 기억유니트(7)로 구성되는 경로를 통해 절대번호(F)를 가진 화면 데이타를 요구하고 ; 기억유니트(7), 판독제어부(25), OR게이트(20) 및 전송부(27)로 구성되는 경로를 통하여 판독 화면 데이타가 제2국(1')으로 전송된다. 동시에 전술한 후자 표시동작에서, 기억유니트(7)로부터 판독된 화면데이타는 판독제어부(25) 및 OR게이트(29)를 통해 화면기억부(26)로 전송된다. 그래서 절대번호(F)에 해당하는 화면은 표시유니트(4)상에 표시된다.
제2스테이션(1')에서, 이미 수신된 절대번호(F)는 기억유니트(7')의 인덱스 영역내에 빈 위치에 기억된다.또한 제1스테이션(1)으로 부터 전송된 화면 데이타는 수신부(28'), OR게이트(17'), 번호부가부(18') 및 기입 제어부(24')로 구성되는 경로를 통해 기억유니트(7')의 화면데이타영역으로 기억된다. 동시에 수신부(28'), OR게이트(17' 및 29') 및 화면기억부(26')로 이루어지는 경로를 통해 화면 데이타의 화면이 표시유니트(4')상에 표시된다. 그래서 서로 멀리 떨어져 있을 때라도 표시유니트(4 및 4')양쪽다에 동일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제 화면 데이타중 부가되고 수정된 부분의 전송이 기술될 것이다.
절대번호(F)가 제1스테이션(1)으로 부터 제2스테이션(1')으로 전송될때, 위에 언급했듯이 기억유니트(7')가 이미 수신된 절대번호(F)와 동일번호를 기억했느냐를 구별하기 위하여 기억유니트(7')에서 조사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견지에 의하면, 설령 수신된 절대번호(F)와 완전히 같은 절대번호가 기억유니트(7')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할지라도, 만일 제1번호 및 제2번호가 각각 수신된 절대번호의 것과 같고 만일 제3번호만이 다르다면, 절대번호(F)에 해당하는 전체 화면 데이타를 전송시키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예를들면 제2스테이션의 기억유니트(7')에 기억된 절대번호내의 제3번호가 제1스테이션(21)으로 부터 전송된 절대번호(F)내의 제3번호(m)보다 더 적을때, 제2스테이션은 제1스테이션(1)으로 하여금 제3번호(n)와 (n)사이의 차이에 대응하는 화면 데이타를 전송하도록 요구한다. 이러한 전송요구는 절대번호 관리부(21'), 통신 응답 제어부(22') 및 전송부(27')로 이루어지는 경로를 따라 이루어진다.
전송요구에 응하여, 제1스테이션(1)의 제어유니트(6)는 판독제어부(25)에 의해 기억유니트(7)로 부터의 차이점에 대응하는 미분화면 데이타를 판독하며, OR게이트(20) 및 전송부(27)를 통해 제2스테이션(1')으로 판독된 데이타를 전송한다. (1)수신시에 절대번호 관리부(21)는 수신부(28)에서 수신된 절대번호(F)를 수신하고, 다음에 판독제어부(25)를 구동하여 기억유니트(7)에 기억된 절대번호를 판독한다. 기억유니트(7)에서 판독된 절대번호는 판독제어부(25)에서 절대번호 관리부(21)로 전송된다. 절대번호 관리부(21)는 절대번호(F) 와 판독된 절대번호를 비교하여 번호(F)가 판독절대 번호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번호(F)가 판독번호중 어느것과도 일치하지 않을때 절대번호 관리부(21)는 통신 응답 제어부(22)에 지시하여"대응화면데이타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제2오피스에 송신한다.
번호(F)가 절대번호중 하나와 일치할때 부분(21)은 부분(22)에 지시하여 "대응 화면 데이타가 존재한다"는 정보를 송신하고, 더우기 판독제어부(25)가 절대번호(F)와 대응하며 기억유니트(7)에 이것된 화면데이타를 화면메모리(26)상에 전개하도록 지시한다. (2)전송시에 절대번호 관리부(21)는 판독제어부(25)에서 송신된 절대번호(F)를 수신한다. 번호(F)는 부분(27)을 통하여 제2오피스로 송신된다. 절대번호는 절대번호 관리부(21)에서 공통모우드 관리 레지스터(21)로 송신되고, 절대번호 관리부(21)에서 공통모우드관리부(23)로 전송되어 그안에 기억된다. 절대번호 관리부(21)는 대응화면 데이타가 수신부(28)로부터 제2오피스에 존재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기다린다.
부분(21)에 "대응화면 데이타가 제2오피스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수신할때 부분(21)은 부분(25)을 구동하여 기억유니트(7)에 기억된 절대번호(F)의 화면 데이타를 부분(20,27)을 통하여 제2오피스로 전송하고, 화면 메모리(26)내의 화면 데이타를 처리한다.
부분(21)은 "대응화면 데이타가 제2오피스에 존재한다"는 정보를 수신할때 부분(21)은 부분(25)을 구동하여 화면 메모리(26)내의 화면 데이타를 처리한다.
제2스테이션(1')과 제3스테이션(보여지지 않음)사이의 회의동안 절대번호(F)에 해당하는 화면데이타에 부가 또는 수정이 만들어졌을때, 새로운 절대번호(F)가 새로운 화면 데이타의 부가 또는 수정된 부분에 제공된다. 원래의 절대번호(F)와 새로운 절대번호(F1)사이의 차이는 제3번호(m)에만 위치한다. 즉, 새 절대번호(F1)의 새로운 제3번호는 (m+1)과 같다. 제1스테이션이 제2스테이션(1')과 제3스테이션 사이의 이러한 회의에 참석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제1스테이션은 새로운 절대번호(F1)를 가지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 원 절대번호(F)가 제1스테이션 (1)으로 부터 제2스테이션이 새로운 절대번호(F1)를 가지지 않았다는 것을 인식한다.
그러면 제2스테이션(1')은 절대번호 관리부(21'), 통신 응답 제어부(22') 및 전송부(27')로 이루어지는 경로를 통하여 미분 화면 데이타가 제2스테이션(1')으로부터 제1스테이션(1)으로 전송될 것이라는 사실을 제1스테이션 (1)에 알려줌으로써 제1스테이션(1)에 정보를 전송한다. 동시에 새로운 절대번호(F1)에 해당하고 기억유니트(7')에 기억된 미분 테이타는 판독제어부(25'), OR게이트(20') 및 전송부(27')로 이루어지는 경로를 통해서 제1스테이션(1)으로 전송된다.
제10도를 참고한 상기 설명은 동일 화면이 표시유니트(4 및 4')양쪽다에 표시되는 공통모우드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공통 동작모우드에서, 스테이션중 어느하나에 입력된 새로운 수기된 데이타는 표시유니트(4 및 4')양자상에 공통으로 표시되는 화면에 대응하는 화면 데이타에 부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부가에 의해 얻어지는 새로운 화면 데이타는 상기 기술에서 보여지듯이 새로운 공통 화면데이타로서 관리된다.
그렇게해서 공통으로 표시된 화면을 사용하는 회의 중에, 예를들면 제1스테이션에서, 단지 시작하는 스테이션(1)의 화면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억유니트(7)에 존재하는 다른 화면을 표시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오퍼레이터는 키보드 유니트(5)로부터 개별 모우드로 스위칭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시키고 현재 화면데이타중 하나를 제2번호로 지정한다. 이것은 표시유니트(4)상에 표시되는 원하는 화면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화면은 제2스테이션(1')의 표시유니트(4')상에 표시되는 화면에 부적절하다. 제1스테이션(1)의 이러한 개별 모우드에서 제어유니트(6 및 6')가 쓰여질때, 표시유니트(6')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화면 데이타는 제1스테이션(1)으로 전송되지 않는다.
그러나 설령 스테이션중 하나가 개별 모우드에 있다 할지라도, 공통 동작모우드에 대한 화면의 화면데이타는 모든 스테이션에 기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테이션중 하나가 개별 동작모우드하에 있을 때, 공통 동작모우드하의 다른 스테이션내에서 형성된 수기된 데이타는 개별모우드하의 스테이션으로 우선적으로 전송되고 자동적으로 그 스테이션의 기억유니트내에 기억된다, 상기 언급된 동작은 제11도에 예시된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제11도는 제8도에 보여진 시스템에서 제어유니트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제10도에 보여진 제어유니트(6)와 제11도에 보여진 제어유니트(60)사이의 차이는 제어유니트(6)의 소자(11 내지 29)와, 제어유니트(60)가 더우기 AND게이트(30), 공통 모우드 식별부(CMD)(31), AND게이트(32 내지 35), OR게이트(36) 및 공통 모우드 리세트(reset) 식별부(CMR)(37)를 포함한다는 점에 있다.
공통모우드 식별부(31)의 출력
Figure kpo00001
은 AND게이트(34)의 한 입력단, AND게이트(35)의 반전 입력단, AND게이트(30)의 한 입력단, AND게이트(32)의 한 입력단 및 AND게이트(33)의 한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다. 키보드 입력부(16)는 세 개의 출력단을 가지는데, 제1출력단은 번호검지부(19)에, 제2출력단은 공통 모우드 리세트 식별부(37)의 한 입력단에 연력되어 있다. 공통모우드 리세트 식별부(37)의 출력한
Figure kpo00002
은 공통모우드 식별부(31)의 다른 입력단과 절대번호 관리부(21)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부(13)의 출력단은 AND게이트의 다른 입력단에 연결되어진다. 판독제어부(25)의 출력단은 AND게이트(30,32및 35)의 다른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다. AND게이트(32)의 출력단은 OR게이트(29)의 한 입력단에 연결되어있다. OR게이트(29)의 출력단은 AND게이트(34)의 다른 입력에 연결되어 있다. AND게이트(34및 35)의 출력은 OR게이트(36)를 통해 화면기억부(26)에 연결되어 있다. AND게이트(33)의 출력단은 OR게이트(17)의 한 입력에 연결되어 있는 반면에 수신부(28)의 출력단은 OR게이트(17)의 다른 입력단에 연결되어진다. AND게이트(30)의 출력단이 OR게이트(20)의 다른 입력에 연결되어 있는 한편, AND게이트(33)의 출력단은 또한 OR게이트(20)의 한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다.
부분(31)은 예컨대 플립플롭에 의하여 실현되며, 부분(16)으로 부터의 개별 모우드를 나타내는 신호(D)에 응하여 "0"을 출력한다.
부분(31)의 출력이 "0"인때 화면은 부분(25,32,29,34,36,26)을 포함하는 통로를 통하여 표시될 것이며, 이 통로는 비록 부분(32,34,36)이 제1도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부분(25,35,36,26)을 포함하는 통로를 통하여 표시될지라도 제10도에 도시된 통로와 대체로 동일하다.
이것은 부분(31)의 출력이 "0"이때, 게이트(32)가 오프로 되고, 게이트(35)가 온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이 모드에서 부분(21,23)의 동작과 관계없이 표시된다.
부분(31)의 출력이 "1"인때 화면은 제10도에 도시된 것과 거의 동일한 통로를 통하여 표시된다. 그러므로 동작은 제10도를 참고로 하여 기술된 것과 동일하다
공통 모우드 리세트 식별부(37)가 KBI(16)로부터 공통 모우드 신호를 수신할 때 그의 출력(
Figure kpo00003
)은 부분(31)을 "1"로 리세트한다. 출력(
Figure kpo00004
)은 또한 부분(21)을 구동하여 절대번호(F)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부분(21)이 다음에 부분(25)을 구동하여 화면메모리(26)내의 부분(7)에 기억되어 있으며 절대번호(F)와 대응하는 화면 데이타를 처리한다.
제11도에 보여진 제어유니트(605) 동작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될 것이다.
제8도에 보인 전자식 회의시스템의 제어유니트(6 및 6)가 제11도에 보여진 제어유니트(60 및 60')에 의해서 교체된다고 가정해 보자.
제어유니트(60')의 공통 동작모우드는 상기한 제어유니트(6)의 동작과 유사함으로 기술하지 않겠다.
공통모우드 식별부(31)는 키보드 입력부(16)의 출력
Figure kpo00005
에 응하여 AND게이트(30,32,33,34 및 35)를 제어한다. "공통모우드 설정명령"또는"개별모우드 설정명령"이 키보드 유니트(5)에 입력될 때, 출력
Figure kpo00006
이 얻어진다.
공통모우드에 제1스테이션(1)과 제2스테이션(1')사이의 회의중에 개별동작모우드가 예컨대 제1스테이션(1)에서 요구될때, 제1스테이션의 오퍼레이터는 키보드 유니트(5)에 "개별모우드 설정명령"을 입력시킨다. 그러면 키보드 유니트(16)의 출력
Figure kpo00007
과 공통모우드 식별부(31)로 이루어지는 경로를 통해, 공통모우드 식별부(31)의 출력
Figure kpo00008
은 논리 "0"으로 된다. 그러므로 AND게이트(33)는 오프(off)되고, 디지타이저 유니트(2) 또는 서류입력부(3)로 부터의 입력된 데이타는 제어유니트(60)로 들어가는 것이 금지된다. 또한 AND게이트(34)가 오프되어서 수신부(28),OR게이트(17), 및 OR게이트(29)를 통해 수신된 화면데이타도 화면기억부(26)로 들어가는 것이 금지된다. 한편 반전입력을 가진 AND게이트(35)는 오프된다.
다음에 제1스테이션(1)에 있어 오퍼레이터는 예컨대 키보드 유니트(5)에 있는 "전면" 또는"다음면"같은 기능키를 눌러서, 표시될 화면에 해당하는 소망의 제2번호를 특정한다. 번호검지부(16)는 원하는 제2번호를 검지한다. 검지된 번호에 기초해서, 판독제어부(25)는 표시될 화면의 화면데이타를 억세스한다. 그렇게 얻어진 화면데이타는 AND게이트(35) 및 OR게이트(36)를 통해 화면기억부(26)로 전송된다. 그래서 공통 동작모우드에 있는 제2스테이션(1')에 표시될 화면과는 상위한 소망의 화면은 표시유니트(4)상에 표시된다. 그 한 입력단에 "0"을 수신하는 AND게이트(30)가 닫혔기 때문에, 화면데이타는 제2스테이션(1')으로 전송되지 않는다.
개별모우드로부터 공통모우드로의 리세트 동작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제1스테이션에 있는 오퍼레이터는 키보드 유니트(5)상의 리세트키를 누른다. 키보드 입력부(16)는 공통모우드 리세트 식별부(37)에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키보드 유니트(5)로부터 데이타를 식별하여, 그 출력
Figure kpo00009
에 신호("1")를 설정한다. 공통모우드 식별부(31)가 공통모우드 리세트 식별부(37)의 출력
Figure kpo00010
으로 부터 신호("1")를 받을때, 그 출력은 "0"에서 부터 "1"로 된다. 그리하여 AND게이트(30,32,33 및 34)가 열리고 AND게이트(35)가 닫힌다. 또한 출력
Figure kpo00011
으로 부터의 신호("1")는 절대번호 관리부(21)에 공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통동작모우드가 수행된다.
공통 동작모우드에서, 키보드 유니트(5)에 의해 특정된 화면데이타가 판독제어부(25), AND게이트(32), OR게이트(29), AND게이트(34), 화면기억장치(25) 및 표시유니트(4)로 이루어지는 경로를 통해 탐색되고 표시된다. 탐색된 화면데이타는 또한 판독제어부(25),AND게이트(30), OR게이트(23) 및 전송부(27)를 통해 제2스테이션(1')으로 전송된다. 또한 만일 제2번호가 키보드 유니트(5)에 의해 특정되지 않는다면, 출력 B으로 부터의 신호("1")에 응하여 절대번호 관리부(21)는 공통모우드에 해당하는 절대번호를 판독하기 위해 공통모우드 관리 레지스터(31)를 억세스한다. 판독된 절대번호에 기초해서, 판독제어부(25)는 기억유니트(7)로 부터의 대응하는 화면 데이타를 판독한다. 판독된 화면데이타는 AND게이트(32), OR게이트(29), AND게이트(34) 및 OR게이트(36)를 통해서 화면기억부(26)로 전송된다. 그래서 공통모우드에 있는 화면은 표시유니트(4)에 표시된다.
제1스테이션(1)의 개별 동작모우드 동안 공통동작모우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제2스테이션(1')으로 화면데이타가 전송될때, 수신부(28), OR게이트(17), 번호부가부(18) 및 기입제어부(24)로 구성되는 경로를 통해서 제2스테이션(1')으로부터의 화면데이타는 기억유니트(7)내의 공통모우드에 대해 존재하는 화면데이타에 기억되고 부가된다. AND게이트(34)가 개별동작모우드내에 닫혀있기 때문에, 제2스테이션(1')으로부터 전송된 화면 데이타는 개별적 모우드에서 표시될 화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래서 개별동작모우드 동안이라 하더라도, 공통모우드에 대해 존재하는 화면데이타는 기억유니트(7)에서 수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스테이션(1)에 개별적 모우드에서부터 공통모우드로 리세트 될때, 표시유니트(4)상에 표시된 화면은 수정된 화면, 즉 제2스테이션(1')에 표시된 것과 동일 화면이 될 수 있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기억유니트의 구조를 보여준다. 제12도에서 기억유니트(7)는 확인번호 기억영역(71), 위치번호 기억영역(72), 절대번호 기억영역(73) 및 화면데이타 기억영역(74)을 가진다. 확인번호 기억영역(71)은 확인을 위해 개별적 기억유니트(7)에 주어지는 확인 기억유니트(7)에 주어지는 확인번호(ID)를 기억한다.
기억유니트(7)가 다른 기억유니트로 대치되었을때, 즉 플로피 디스크가 새로운 것으로 바뀌어졌을때, 확인번호도 또한 바뀐다.
위치번호 기억영역(72)은 위치기록(LR)을 기억한다. 각 위치기록(LR)은 위치번호(L) 및 제1포인터(Pointer)(P1)로 구성되어 있다. 각 위치기록(LR)에서 위치번호(L)에 대응하는 원래의 화면데이타에 수정이나 부가가 되었을때, 부가적인 제1조인터(P1'P2"‥‥‥)가 있을 수 있다.
절대번호 관리영역(73)은 절대번호 기록(AR)을 기억한다. 각 절대변호 기록(AR)은 절대번호(Ab)및 제2포인터(OP2)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절대번호는 전에 기술했듯이 제1번호(N), 제2번호(M)및 제3번호(n)로 구성되어 있다.
절대번호(MNn)에 대응하는 현재 화면 데이타에 부가 또는 수정이 되었을 때, 새로운 절대번호 기록이 화면데이타의 부가 또는 수정부에 대해 형성된다.
새로운 절대번호 기록은 제12도에 기술되었듯이 새로운 절대번호 NM(n+1) 및 새로운 제2포인터 (P2')를 가진다.
새로운 화면데이타가 더 수정되었을때 더 새로운 절대번호 NM(n+2)및 더 새로운 제2포인터 (P2")를 가진 더 새로운 절대번호 기록이 형성된다. 화면데이타 기억영역(74)은 각각 화면의 번호에 해당하는 화면데이타를 기억한다.
제1포인터(P1,P1',P1",‥‥‥)의 각각은 절대번호 기록(AR)의 한 어드레스, 예컨대 시작 어드레스를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제2포인터(P2,P2',P2",‥‥‥)의 각각은 화면데이타의 어드레스, 예컨대 시작 어드레스를 표시한다.
동작에서 위치번호(L)가 지정되었을때, 제1포인터(P1,P1',P1",‥‥‥)에 의해 지적된 절대번호 L가 탐색되고,제2포인터(P2,P2',P2",‥‥‥)에 의해 지적된 화면 데이타가 인출된다. 그래서 위치번호(L)에 의해 지정된 화면이 표시된다.
위치번호(L)에 해당하는 화면에 아무런 수정도 가해지지 않았다면, 제1포인터(P1)에 의해 지적된 단일 절대번호 기록이 찾아지고 제2포인터(P2)에 의해 지적된 단일 화면 데이타가 인출된다.
아무런 대응 절대번호를 가지지 않은 위치번호, 즉 빈 위치에 대해 대응하는 제1포인터 (P1)는 값("0")을 가진 것으로 가정 된다.
제13a 및 13b도는 새로운 데이타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되었을때 공정의 순서를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제13a 및 13b도에서 번호, 예컨대 N1과 같은 확인번호(ID)가 단계(S1)에서 기억유니트(7)의 확인번호 기억영역(71)에 주어진다.
단계(S2)에서, 값("0")을 가진 제1포인터(P1)에 대응하는 빈 위치번호(L)가 기억유니트(7)의 위치번호 기억부(72)내에서 찾아진다. 찾아진 빈 위치번호가 M1과 같다고 가정하자.
단계(S3)에서, 새로운 화면 데이타를 형성하기 위한 엔트리(entry)가 제1스테이션(1)에서 또는 제2스테이션(1')에서 출발되느냐를 결정하는 식별이 수행된다.
만일 디지타이저 유니트(2)또는 서류판독기(3)에 의해서 엔트리가 제1스테이션(1)에서 시작된다면, 제4단계(S4)에서, 새로운 화면 데이타에 대응하는 절대번호가 N,M,1)으로 결정된다. 절대번호(N1,M11)에서, 제1번호(N1)는 새로운 화면 데이타가 원래부터 기억유니트(7)내에 기억되어 있었다는 것을 표시하고 ; 제2번호 M1은 새로운 화면 데이터가 기억유니트내의 위치번호(M1)에 의해 특정된 영역내에 기억되어 있다는 것을 표시하며 ; 제3번호(1)는 편집의 숫자가 1과 같다는 것,즉 아무런 부가나 수정도 새로운 화면 데이타에 가해지지 않았다는 것을 표시한다.
단계(S5)에서, 제2스테이션(1')이 결정된 절대번호(N1M11)에 대해 알려진다.
단계(S6)에서, 절대번호 기억영역(73)내의 빈 영역이 찾아진다.
단계(S7)에서, 단계(S6)에서 발견되는 빈 영역의 예컨대 시작영역을 표시하는 제1포인터(P1)는 위치번호 (M1)를 가진 위치번호 기록내에 설정된다.
단계(S8)에서, 화면데이타 영역(74)의 빈 영역이 찾아진다.
단계(S9)에서, 단계(S8)에서 발견되는 화면데이이타 영역의 빈 영역의 예컨데 시작 어드레스를 표시하는 제2포인터(P2)가 절대번호(N1M11)를 가진 절대번호 기록내에 설정된다.
마지막으로 단계(S10)에서, 새로운 화면 데이타가 제2포인터(P2)에 의해 표시된 화면 데이타 영역(74)의 영역내에 기록된다.
단계(S3)에서,만일 새로운 화면을 형성하는 엔트리가 제1스테이션에서 시작되지 않았다면, 그때는 단계(S11)에서, 엔트리가 제2스테이션(1')에서 시작되었느냐를 결정하는 식별이 수행된다.
만일 엔트리가 제2스테이션(1')에 의해 시작되었다면, 단계(S12)에서, 제2스테이션(1')은 제1스테이션(1)에 제2스테이션(1')내에 형성된 예컨대 N2M21의 절대번호에 대해 알려준다. 절대번호(N2M21)에서, 제1번호(N2)는 새로운 화면 데이타가 원래 확인번호(N2)를 가진 기억유니트(7')내에 기억되었다는 사실을 표시하고 ; 제2번호(M2)는 새로운 화면 데이타가 기억유니트의 위치번호(M2)에 기억되어 있다는 것을 표시하며 ; 제3번호(1)는 편집의 번호가 1과 같다는 것을 표시한다
단계(S13)에서, 절대번호 기억영역(73)의 빈 영역이 찾아진다.
단계(S14)에서, 제1포인터(P1)가 단계(S7)와 비슷한 방법으로 설정된다.
단계(S15)에서, 화면 데이타영역(74)의 빈 영역이 찾아진다.
단계(S16)에서, 제2포인터(P2)가 단계(S9)와 비슷한 방법으로 설정된다.
단계(S16)후에, 단계(S10)가 수행된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기억 유니트의 구조를 보여준다. 제12도와는 달리 제14도에는,기억유니트(7)가 위치번호 기억영역(72)을 가지지 않는다. 대신 절대 번호기억영역(73')은 각각이 위치번호(L),절대번호(Ab) 및 절대번호(Ab)에 대응하는 화면 데이타의 어드레스를 표시하는 포인터로 구성된 절대번호 기록을 기억한다. 부가 또는 수정이 존재하는 화면 데이타에 가해졌을때, 포인터의 숫자는 증가할 것이다. 제14도에 보인 구조는 절대번호를 가진 화면 데이타를 또한 기억할 수 있다.
제15도는 부가 또는 수정이 원래의 화면 데이타에 가해졌을 때 일어나는 문제를 설명하기위해 네 개의 기억 유니트를 예시하는 그림이다. 제15도에서, 네 개의 기억유니트는 각각 확인번호(N1,N2,N3및 N4)를 가진다.모든 기억 유니트는 절대번호(N1M11)로 주어진 동일 화면 데이타를 원래부터 기억한다. 절대번호(N1M11)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타는 화면(XX)에 대응한다. 제15도의 상부부분에 예시된 새로운 화면(XXY)을 표시하기 위하여 확인번호(N1및 N2)를 가진 기억유니트내에 기억된 화면데이타가 수정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새로운 절대번호(N1M12)가 확인번호(N1및 N2)를 가진 이러한 기억유니트내에 기억된다.
제3번호가 2고 수정된 점을 유의하라.
또한 화면(XXY)과는 다른 새로운 화면(XXZ)과는 다른 새로운 화면(XXZ)을 표시하기 위하여 확인번호(N3및 N4)를 가진 기억유니트내에 기억된 화면 데이타가 수정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만일 화면(XXY)에 대한 동일 절대번호(N1M22)가 확인번호(N3및 N4)를 가진 이러한 기억유니트내에 또한 기억된다면, 새로운 절대번호(N1M12)가 다른 화면(XXY 및 XXZ)에 대응한다는 기대하지 않았던 결과가 생긴다.
따라서 제15도의 하부에 도시되었듯이, 절대번호(N1M12)와는 다른, 예컨대 (N3M32)와는 다른, 새로운 절대 번호가 확인번호(N3및 N4)를 가진 기억유니트 내에 기억되어야만 한다.
제16a 및 16b도는 부가나 수정이 현재 화면 데이타에 가해졌을 때 과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제16a도 및 16b도에서, 표시된 화면은 절대번호(N3M31내지 N3M3n)에 대응한다. 또한 수정이 확인번호(N1)를 가진 기억유니트(7)에서 만들어진다고 가정된다.
단계(S1)에서, 확인번호(N1)가 확인번호 기억영역(71)에서 발견된다.
단계(S2)에서, 절대번호(N3M3n)에 해당하는 위치번호가 위치번호 기억영역(72)에서 탐색된다. 탐색된 위치번호는 M4라고 가정된다.
단계(S3)에서, 부가나 수정을 만드는 엔트리가 제1스테이션(1) 또는 제2스테이션(1')에서 시작하느냐를 결정하기 위한 식별이 수행된다.
만일 부가나 수정이 제1스테이션(1)에 만들어진다면, 단계(S4)에서, 화면 데이타의 부가나 수정된 부분에 해당하는 절대번호가 제15도에 참고해서 언급된 것과 같은 이유로, 절대번호(N3N3(n+1))와는 다른 N1M4(n+1)로서 결정이 된다. 절대번호(N1M4(n+1))에서, 제1번호(N1)는 화면데이타의 부가 또는 수정부분이 확인번호(N1)를 가진 기억유니트(7)내로 기록되었다는 것을 표시하고; 제2번호(M4)는 엔트리가 위치번호(M4)에 의해 규정된 영역에서 수행된다는 것을 표시하며 ; 제3번호(n+1)는 제3번호(n)를 가진 원래의 화면데이타와 비교해서, 부가 또는 수정딘 부분이 편집번호(1)를 가진다는 것을 표시한다.
단계(S4내지 S13)는 제16a 및 16b도에서 제1스테이션에서 형성된 절대번호가 N1M4(n+1)이고 제2스테이션(1')으로 부터 받은 절대번호가 N2M5(n+1)이라는 사실을 제외하고는 제13a 및 13b도의 단계(S4내지 S13)와 비슷하다.
제17도는 제13a, 13b, 16a 및 16b도에서 보여진 과정에서 기억유니트(7)의 각각의 상태를 보여준다.
제17도에서, ①은 제13b도의 단계(S9)후의 상태를 보여주고 ; ②는 제13b도의 단계(S16)후의 상태를 보여주고 ; ③은 제16a도의 단계(S1)후의 상태를 ; ④는 제16b도의 단계(S9)후의 상태를 ; 그리고 ⑤는 제16b도의 단계(S16)후의 단계를 보여준다.
예를 들면 ①은 확인번호(N1)가 확인번호 기억영역에 기억되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 절대번호(N1M11)를 특정하는 제1포인터(P1)는 위치번호 기억영역(72)내의 위치번호(M1)를 포함하는 위치번호 기록에 기억되며; 절대번호(N1M11)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타를 규정하는 제2포인터(P2)는 절대번호(N1M11)를 포함하는 절대번호 기록(record)내에 기억된다.
상태 ②는 상태 ①와 비슷해서 여기에 기술되지 않는다.
상태 ③는 절대번호(N3M32 내지 N3M3n)를 지적하는 부가의 제1포인터 (P1'‥‥‥ 및 P1 (--))가 있어야만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화면데이타를 지적하는 부가 제2포인터 (P2'‥‥‥P2 (--))가 있어야만 한다. 이것은 원래의 절대번호(N3M31)에 대응하는 화면에의 부가 또는 수정의 번호가 (N-1)이라는 것을 뜻한다. 다른 상태(③ 내지 ⑤)는 상태 ①의 이해와의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다.
제1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인번호 결정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그림에서, 5도는 키보드 유니트, 7은 기억유니트(예컨대, 플로피디스크), 181은 타이머, 182는 타이머 제어유니트, 183은 레지스터, 184는 확인번호 결정유니트, 185는 초기테이타 형성유니트, 186은 화일 구성유니트, 그리고 187은 기억유니트를 위한 기록유니트이다.
이러한 예에서, 기억유니트(7)에 대한 확인번호는 작동프로그램이 기억유니트(7)내로 기억되었을 때 기억유니트(7)의 초기화(inintialization)를 사용함으로써 주어진다.
즉 수동동작에 의한 키보드 유니트(5)의 전력공급의 켜짐에 반응하여, 타이머(181)는 소정의 시계신호로 세기 시작한다. 타이머가 소정의 번호를 계수한 후에, 잉여 캐리어(overflow carrier)를 제공하기 위해 이것이 넘쳐 흐르는데, 여기서부터 타이머는 "0"으로 부터 계수를 반복하기 위해 제시동한다.
타이머 제어 유니트(182)가 기억유니트(7), 예컨대 플로피디스크가 수동으로 장착되었다는 것을 검지했을 때, 타이머 제어유니트(182)는 타이머(181)의 계수동작을 정지시키고 타이머(181)가 그 내용을 출력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시킨다. 그래서 타이머(5)의 온(ON)과 기억유니트(7)의 장착사이의 기간을 나타내는 타이머(181)의 내용이 레지스터(183)내에 쓰여진다.
레지스터(183)의 하부 중요 비트의 소정의 번호는 확인번호 결정유니트(184)로 출력된다. 그러면 확인번호 결정유니트(184)는 기억유니트(7)의 확인번호로서 레지스터(183)로 부터 입력된 값을 결정한다.
수동으로 한 기억유니트를 장착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은 보통 다른 기억유니트를 수동으로 장착시키는데 필요한 시간과는 다르며, 특히 마이크로초의 수준에서는 다르다. 그러므로 레지스터(183)의 하부 의미비트는 기억유니트의 확인번호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렇게 해서 결정된 확인번호, 예컨대 N1은 초기 데이타 형성유니트(185)로 전송된다. 화일 구성유니트(186)는 개동작 프로그램같은 기억유니트(7)를 시작시키는데 필요한 데이타를 기억하는데, 그것은 동작시스템의 한 부분이며 기억유니트(7)를 실제적으로 사용가능하게 만드는 응용 프로그램의 한 부분이다. 초기 데이타 형성유니트(185)는 화일 구성유니트(186)로 부터의 데이타와 확인번호 기억유니트(184)로 부터의 확인번호를 포함하는 초기 데이타를 형성한다.
초기 데이타는 기입유니트(187)로 출력된다. 기입유니트(187)는 초기데이타 형성유니트(185)로 부터의 초기데이타를 사용함으로써 기억유니트(7)를 시작시킨다.
그래서 기억유니트에 대한 확인번호는 소정의 번호를 반복적으로 계수하는 타이머를 사용해서 결정되며, 타이머는 전력공급의 켜짐에 반응하여 수동적으로 시작되고, 기억유니트의 장착에 응하여 수동적으로 멈춘다. 타이머에 의해 계수된 값의 하부비트의 소정번호는 기억유니트에 대한 확인 번호로서 사용되기 위하여 추출되며, 그래서 개별적 확인번호가 개별 기억유니트에 제공된다.
확인번호를 기억유니트에 제공하는 상기 실시예가 한 예이다. 각각의 확인번호의 개별성이 확인 되는 한, 확인번호를 제공하는 어떠한 장치도 사용될 수 있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절대번호 제공유니트를 예시하는 불록도이다. 특히 제19도에 보여진 절대번호 제공유니트(190)는 제2번호 번호화부(14), 절대번호 번호화부(15), 번호 부가부(18), 절대번호 관리부(21), 통신응답제어부(22) 및 공통모우드 관리레지스터(23)의 실시예에 해당한다. 제19도에서, 디지타이저 유니트(2), 키보드 유니트(5), 기입제어부(24), 판독제어부(25) 및 화면기억부(26)는 제10및 11도에 보여진 것과 같다. 참고번호(7)는 제10 및 11도에 보여진 기억유트(7)와 같은 기억유니트를 나타낸다.
제19도에 보인 절대번호 제공유니트(190)는 확인번호기억부(ID (191), 위치번호 관리부(L.NO)(192), 절대번호 관리기억장치(A.S.MEM)(193), 절대번호 기억장치(194), 다음 제2번호 형성부(195), 제1스위치(196), 게이트(197), 엔트리가 제1스테이션(1)에서 시작하느냐 제2스테이션(1')에서 시작하느냐를 식별하는 식별부(198), 제2스위치(199), 절대번호를 전송하는 출력선(200), 새로운 절대번호 기억장치(201), 탐색부(202), 현재 제2번호 기억부(203), 과거 절대번호 기억장치(204), 가산기(205), 제2스테이션(1')으로 부터의 신호선(206), 데이타 요구부(207), 대응부(208)및 제2스테이션(1')으로의 정보선(209)으로 이루어진다.
제19도에서, 판독제어부(25)는 확인번호 기억부(191)내에 그것을 기억시키기 위해서 기억유니트(7)의 확인번호를 판독한다. 또한 부분(25)은 기억유니트(7)내에 기억된 화면의 화면 데이타에 각각 대응하는 모든 위치번호를 판독하며, 위치 번호 관리부(192) 및 절대번호 관리기억장치(193)에 그것을 기억한다. 더우기 판독제어부(25)는 절대번호 관리기억장치(193)에 그것을 기억시키기 위해서 기억유니트(7)내에 기억된 모든 절대번호를 판독한다. 그래서 절대번호 관리기억장치(193)는 위치번호(L)와 제20도에 보여진 표의 형태로 위치번호(L), 제1번호로 구성된 절대번호의 각각 제2번호 및 제3번호에 각각 대응하는 절대번호(Ab)를 기억한다.
절대번호 제공유니트(190)의 동작은 다음 3개의 모우드(I,II및 III)에 기술된다. I :새로운 화면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절대번호 기억장치(194)내에 기억될 대응하는 절대번호는 아래와 같이 결정된다.
(1) 수동으로 키보드 유니트(5)를 동작시킴으로써, 새로운 화면을 형성하는 명령이 제공되어 그 제1의 출력(51)이 로직("1")이 된다.
(2) 확인번호 기억부(191)에 기억된 확인번호, 즉 사용되는 기억유니트(7)에 대응하는 확인번호는 절대번호 기억장치(194)내에 제1번호 기억부내에 설정된다.
(3) 빈위치가 위치번호 관리부(192)에서 탐색된다. 빈 위치가 탐색되었을 때, 그 대응하는 위치번호가 다음 제2번호 형성부(195)로 전송되어, 위치번호와 같은 제2번호를 절대번호 기억장치(194)의 제2번호 기억부내에 세트시킨다.
(4) "1"과 같은 제3번호는 절대번호 기억장치(194)내의 제3번호 기억부에 세트된다. 그래서 새로운 절대번호가 절대번호 기억장치(194)에 형성된다.
(5) 키보드 유니트(5)의 제1출력(51)에 응하여, 제1스위치(196)가 절대번호 기억장치(194)의 출력을 선택한다.
(6) 키보드 유니트(5)의 제1출력(51)에 응하여 게이트(197)의 출력은 식별부(198)에 로직("1")을 제공하여, 식별부(198)의 출력이 새로운 화면을 형성하는 엔트리가 제1스테이션(1)에 작용한다는 것을 가리키는 로직("1")으로 유지 된다.
(7) 식별부(198)의 제1출력(51)에 응하여, 제2스위치(199)는 제1스위치(196)의 출력을 선택한다.
(8) 디지타이저 유니트(2)상에 새로운 화면을 그림으로써, 새로운 화면 데이타가 화면기억부(26)내에 기억된다. 결과적으로 절대번호 기억장치(194)에 기억된 절대번호는 출력선(200)상에 얻어지고, 대응하는 화면 데이타는 화면기억부(26)내에 기억된다. II : 제1스테이션 (1)에 현재 화면을 최신것으로 하기 위해, 대응하는 새로운 절대번호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1) 수동으로 키보드 유니트(5)를 작동함으로써, 수정될 화면에 대응하는 제2번호가 특정되고, 그래서 (2)특정된 제2번호가 제2출력선(52)을 통해 위치번호 관리부(192)로 보내진다. 수신된 제2번호에 응하여, 위치번호 관리부(192)는 수신된 제2번호와 동일한 제2번호를 가진 절대번호(193)을 찾기 위해 탐색부(262)를 필요로 한다. 또한 위치번호 관리부(192)는 특정된 제2번호를 현재 제2번호 기억부(203)에 알려준다.
(3) 절대번호 관리기억장치(193)에서, 탐색부(202)는 수신된 제2번호에 대응하는 절대번호를 찾는다. 절대번호가 발견되었을매, 탐색부(202)는 발견된 절대번호를 판독제어부(25)로 보낸다. 그러면 판독제어부(25)는 수신된 절대번호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타를 읽고, 화면데이타가 규정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 형성되는 화면 기억부(26)로 공급된다. 탐색부(202)에 의해 발견된 절대번호는 또한 과거 절대번호 기억장치(204)로 보내지고, 정보선(209)을 따라 제2스테이션(1')으로 보내진다.
(4) 확인번호 기억부(191)의 확인번호는 새로운 절대번호 기억장치(201)의 새로운 제1번호 기억부내에 기억되고, 현재의 제2번호 기억부(203)내에 기억된 특정된 제2번호는 새로운 제2번호 기억부에 기억된다. 하나가 부가부(205)에 의하여 과거 절대번호 기억장치(204)에 기억된 제3번호에 더해진다. 부가부(205)의 출력은 새로운 절대번호 기억부(201)내의 제3번호 기억부에 공급된다.
(5) 키보드 유니트(5)의 제1출력(51)의 "0"에 응하여, 제1스위치(196)는 새로운 절대번호 기억부(201)로 부터의 출력을 선택한다.
(6) 화면을 수정하기 위한 키보드 유니트(5)의 수동동작에 응하여, 식별부(198)의 출력이 로직("1")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새로운 화면이 형성되었을 때 상기하였듯이, 제2스위치(199)는 제1스위치(196)의 출력을 선택한다.
(7) 표시될 화면에 부가나 수정을 가함으로써, 디지타이저 유니트(2)에 의해, 화면데이타의 부가 또는 수정부가 화면기억부(26)에 기억된다. III : 절대번호가 제2스테이션(1')으로부터 제1스테이션()으로 보내졌을 때, 절대번호 제공유니트(19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1) 제2스테이션(1')으로부터의 신호가 게이트(197)를 통해서 식별부(198)로 공급되어, 그 출력이 절대번호가 제2스테이션(1')으로 부터 받아졌다는 것을 표시하는 로직("0")으로 유지된다.
(2) 제2스테이션(1')으로부터의 신호는 신호선(206)을 따라서 탐색부(202)에 공급된 절대번호를 포함한다. 탐색부(206)는 절대번호 관리기억장치(193)에서, 수신된 절대번호와 동일한 절대번호를 탐색한다. 절대번호가 절대번호 관리기억장치(193)에서 발견되지않을때, 탐색부(202)는 데이타 요구부(207)에 신호를 제공해서 데이타 요구부(207)는 화면 데이타에 대한 요구를 제2스테이션(1')로 보낸다. 데이타요구부(202)로 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제2스테이션(1')은 화면데이타를 전송하는데, 이것은 화면기억부(26)에 의해 수신되고 현상된다.
절대번호가 절대번호 관리기억장치(193)내에서 발견될 때, 발견된 절대번호에 대응하는 화면 데이타가 판독 제어부(25)에 의해 기억유니트(7)로부터 판독되고, 화면기억부(26)에 전송된다.
(3) 제2스테이션(1')으로부터 전송된 절대번호는 과거 절대번호 기억장치(204)내로 설정된다.
(4) 식별부(198)의 출력에서 로직("0")에 응하여, 제2스위치는 과거 절대번호 기억장치(204)의 출력을 선택한다. 결과적으로 제2스테이션(1')으로부터 보내진 절대번호는 출력선(200)에서 얻어지고 대응하는 화면데이타는 화면기억부(26)에 기억된다
결과적으로 세가지 단계 I, II 및 III의 상기 기술로 부터 보였듯이, 표시될 화면에 대응하는 화면 데이타는 화면기억부(26)내에 기억되고, 대응하는 새로운 절대번호는 출력선(200)에 출력된다.
대응부(208)에서, 화면기억부(26)에 의해 현상된 화면데이타와 출력선(200)상의 절대번호가 합쳐져서, 기입제어부(24)를 통해, 합성된 데이타가 기억유니트(7)내에 기입된다.
또한 출력선(200)상에 얻어진 새로운 절대번호는 절대번호 관리기억장치(193)내로 기록된다.
상기로 부터,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 화면데이타가 멀리 떨어진 각각의 스테이션에 기억되었을 때 동일 화면데이타를 한 스테이션에서 다른 스테이션으로 더 전송함이 없이 다른 스테이션에서 동시에 표시될 수 있는 개선된 전자식 회의시스템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더우기 한 스테이션의 동일 화면 데이타에 수정이나 부가가 가해졌을 때, 모든 원래의 화면데이타를 전송시키지 않고도 단지 화면데이타의 수정 또는 부가부가 시작 스테이션으로부터 다른 스테이션으로 전송된다.
더우기 각국은 두 모우드, 즉 공통모우드 및 개별 모우드중 하나를 선택할 수가 있다.
더우기 기억유니트에 대한 확인번호가 쉽게 주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화면데이타의 개선된 간단한 관리와 제어로 원격한 스테이션 사이의 전송선의 전송용량이 감소될 수 있으며, 전송선상의 데이타 전송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사상으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도 다양한 변화와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11)

  1. 각 스테이션이 화면 데이타를 입력시키는 데이타 입력유니트(11,22) 다수 화면의 화면 데이타를 기억하는 기억유니트(7) ; 동시에 상기 화면 각각을 표시(display)하는 표시 유니트(4) : 데이타 입력유니트(11,22), 기억유니트(7) 및 표시유니트(4)에 연결되며, 데이타 입력유니트(11,22)로 부터 입력되거나 다른 스테이션으로 부터 전송된 화면 데이타의 기억동작을 제어하며, 표시유니트(4)상에의 표시동작을 제어하며, 기억유니트(7)내에 기억된 화면데이타를 다른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하며, 및 다른 스테이션으로 부터 전송된 화면데이타의 수신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6)를 가지는 다수의 스테이션사이의 원격회의용 전자식 회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에서 상기 제어유니트(6)는 화면의 화면데이타가 스테이션중 일스테이션내의 데이타 입력유니트(11,22)로부터 입력되었을 때 화면 데이타에 제1절대번호를 제공하는 절대번호 제공수단(15,18) : 제1절대 번호를 스테이션중 다른 스테이션으로 전송시키는 절대 번호 전송수단(20,27) ;다른 스테이션이 제1절대번호와 동일한 번호를 가지지 않을 때만 제1절대번호를 가진 화면 데이타를 다른 스테이션으로 전송시키는 화면데이타 전송수단(21,25,23,20,27) 화면데이타가 상기 다른 스테이션에 형성될때 다른 스테이션으로부터 다른 절대번호를 수신하는 절대번호 수신수단(28,21) ; 기억유니트가 다른 스테이션으로 부터의 다른 절대번호와 동일한 번호를 기억하고 있느냐를 식별하는 식별수단(21) ; 식별수단(21)에의한 식별의 결과를 다른 스테이션으로 전송시키는 식별결과 전송수단(22) : 및 식별결과 전송수단(22)으로부터 수신되며, 기억유니트(7)가 다른 절대번호와 동일한 번호를 기억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에 응하여 다른 절대번호를 가진 화면 데이타를 전송시키는데 적합한 다른 스테이션에서 다른 절대번호를 가진 화면데이타를 수신하는 화면데이타 수신수단(28)으로 이루어지며, 각 스테이션의 각 기억유니트(7)에 기억된 동일 화면의 동일 화면데이타가 연결된 스테이션에서 동일 절대번호에 의해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회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 스테이션의 제어유니트(6)는 일 스테이션에서 제공되거나 다른 스테이션으로 부터 전송된 절대번호를 일 스테이션내의 기억유니트(7)에 기입하는 기입 제어수단(24) ; 표시될 화면에 대응하는 절대번호를 규정수단(5,16,19), 및 절대번호 규정수단(5,16,19)에 의해 규정된 절대번호에 대응하는 기억유니트(7)내의 화면데이타의 어드레스를 탐색함에 의해, 표시될 화면의 화면데이타를 판독하는 판독제어수단(7)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회의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각 스테이션에 있는 기억유니트(7)는 절대번호(F)를 기억하는 제1영역, 및 일대 일 대응의 형식으로 절대번호에 대응하는 다수 화면의 화면데이타(A, B, C‥‥‥‥)를 기억하는 제2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절대번호의 각각은 절대번호가 원래 기억된 기억유니트(7)를 식별하는 제1번호, 및 표시될 화면의 화면 데이타의 기억유니트(7)내의 어드레스를 규정하는 제2번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회의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절대번호의 각각은 제3번호를 더욱 포함하며, 제3번호는 제3번호를 포함하는 절대번호에 대응하는 화면의 편집번호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회의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데이타 입력유니트(11, 22)에 의하여 일 스테이션에 표시될 화면에 부가가 가해졌을때, 절대번호 제공수단(15,18)은 새로운 화면 데이타의 부가 부분에 대응하는 새로운 절대번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회의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절대번호 전송수단(20, 27)은 새로운 절대번호를 다른 스테이션으로 전송하고, 화면데이타 전송수단(21, 25, 23, 20, 27)은 새로운 화면 데이타의 부가부분을 다른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회의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공통 동작모우드내에 있을 때 다른 스테이션에 표시될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제1스테이션에 표시하는 공통 동작모우드와, 일 스테이션의 절대번호 규정수단(5, 16, 19)에 의해 다른 스테이션과 독립적으로 규정된 절대번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일 스테이션에 표시하는 개별 동작모무드 사이에 상기 제1스테이션의 동작을 스위칭하는 스위칭수단(13)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회의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기억유니트(7)는 다수의 위치번호를 기억하고, 절대번호의 각각은 위치번호중 하나에 대응하는 기억유니트(7)내에 기억되며, 절대번호 규정수단(5, 16, 19)내의 위치번호중 소망의 하나를 규정함으로써 소망의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회의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기억유니트(7)는 각각이 동일한 제1 및 제2번호와 상이한 제3번호를 가지는 절대번호의 일그룹에 대응하는 다수의 위치번호를 기억하며, 절대번호 규정수단(5, 16, 19)내의 위치번호중 소망의 하나를 규정함으로써, 부가 또는 수정을 포함한 소망의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회의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기억유니트(7)를 식별하는 상기 제1번호를 결정하며 상기 기억유니트(7)를 초기화하는 초기화 수단을 포함하는 제1번호 결정수단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1번호는 초기화에 필요한 시간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1호의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번호는 초기화에 필요한 시간으로 얻어지는 소정의 하부비트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회의시스템.
KR1019840003687A 1983-06-28 1984-06-28 전자식 회의시스템 Expired KR890000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15048 1983-06-28
JP???58-115048 1983-06-28
JP58115045A JPS609275A (ja) 1983-06-28 1983-06-28 電子黒板における差分デ−タ伝送方式
JP58-115045 1983-06-28
JP58115048A JPS609261A (ja) 1983-06-28 1983-06-28 電子黒板における画面情報管理方式
JP???58-115045 1983-06-28
JP58-115884 1983-06-29
JP58115884A JPS609263A (ja) 1983-06-29 1983-06-29 電子黒板の動作モ−ド管理方式
JP???58-115884 1983-06-29
JP58248248A JPS60144090A (ja) 1983-12-30 1983-12-30 画面管理制御方法
JP???58-248248 1983-12-30
JP58-248248 1983-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850A KR850000850A (ko) 1985-03-09
KR890000220B1 true KR890000220B1 (ko) 1989-03-10

Family

ID=27470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3687A Expired KR890000220B1 (ko) 1983-06-28 1984-06-28 전자식 회의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654483A (ko)
EP (1) EP0130018B1 (ko)
KR (1) KR890000220B1 (ko)
CA (1) CA1229937A (ko)
DE (1) DE348302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7435A (en) * 1984-09-21 1988-02-2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S61201549A (ja) * 1985-03-04 1986-09-06 Toshiba Corp 電話端末メツセ−ジ通信方式
FR2580095A1 (en) * 1985-04-05 1986-10-10 Uap Incendie Accidents Method and device for acquisition, local archiving or long range transmission, with possible remote archiving, and the subsequent reproduction, from the local archiving or the remote archiving, of documents constituted by texts and/or images
US4736407A (en) * 1986-04-08 1988-04-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Computer assisted graphic teleconferencing method and apparatus
US4910604A (en) * 1986-05-21 1990-03-2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US4878242A (en) * 1986-07-25 1989-10-31 Ricoh Corporation Teleconferencing system
JPH01105654A (ja) * 1986-07-25 1989-04-24 Ricoh Corp 遠隔会議システム
JPS63196160A (ja) * 1987-02-09 1988-08-15 Nec Corp フアクシミリ通信方法
JPH01125187A (ja) * 1987-11-10 1989-05-1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会議システム
US5008853A (en) * 1987-12-02 1991-04-16 Xerox Corporation Representation of collaborative multi-user activities relative to shared structured data objects in a networked workstation environment
US4974173A (en) * 1987-12-02 1990-11-27 Xerox Corporation Small-scale workspace representations indicating activities by other users
JPH0714189B2 (ja) * 1988-02-17 1995-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静止画像伝送装置
US5107443A (en) * 1988-09-07 1992-04-21 Xerox Corporation Private regions within a shared workspace
US5206934A (en) * 1989-08-15 1993-04-27 Group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computer conferencing
JP2791146B2 (ja) * 1989-11-15 1998-08-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ータ処理装置
GB9007790D0 (en) * 1990-04-06 1990-06-06 Lines Valerie L Dynamic memory wordline driver scheme
JP2865827B2 (ja) * 1990-08-13 1999-03-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会議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蓄積方法
US5339389A (en) * 1991-12-31 1994-08-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er selectable lock regions
US5339388A (en) * 1991-12-31 1994-08-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ursor lock region
US5337407A (en) * 1991-12-31 1994-08-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users in a collaborative computer-based system
US5515491A (en) * 1992-12-31 1996-05-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mmunications within a collaborative data processing system
JP3439804B2 (ja) * 1993-01-28 2003-08-25 株式会社リコー テレライティング端末装置
US5818616A (en) * 1993-08-23 1998-10-06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ference system
US5729687A (en) * 1993-12-20 1998-03-17 Intel Corporation System for sending differences between joining meeting information and public meeting information between participants in computer conference upon comparing annotations of joining and public meeting information
US5525764A (en) * 1994-06-09 1996-06-11 Junkins; John L. Laser scanning graphic input system
US5737740A (en) * 1994-06-27 1998-04-07 Numonic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electronic documents
US5619555A (en) * 1995-07-28 1997-04-08 Latitude Communications Graphical computer interface for an audio conferencing system
US6219045B1 (en) * 1995-11-13 2001-04-17 Worlds, Inc. Scalable virtual world chat client-server system
US6728784B1 (en) * 1996-08-21 2004-04-27 Netspeak Corporation Collaborative multimedia architecture for packet-switched data networks
JP3483430B2 (ja) * 1997-06-09 2004-01-06 富士通株式会社 ポーリング方法及び端末装置
US7139102B2 (en) 2000-05-02 2006-11-21 Ricoh Company, Ltd.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mote-scan image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ame
US7933642B2 (en) 2001-07-17 2011-04-26 Rud Istvan Wireless ECG system
JP4288879B2 (ja) * 2001-09-14 2009-07-01 ソニー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070055941A1 (en) * 2005-09-08 2007-03-08 Bhakta Dharmesh N Method and apparatus to selectively display portions of a shared desktop in a collaborative environm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9744A (en) * 1967-06-16 1970-07-07 Bell Telephone Labor Inc Apparatus for connecting visual telephone sets in a conference arrangement
US4414621A (en) * 1977-06-13 1983-11-08 Canadian Patents & Development Ltd. Interactive visual communications system
IT1119498B (it) * 1979-11-19 1986-03-10 Cselt Centro Studi Lab Telecom Sistema di scambio e diffusione di informazioni per mezzo della rete telefonica di distribuzione alla utenza
JPS5999576A (ja) * 1982-11-30 1984-06-08 Toshiba Corp 画像情報記憶検索システム装置
US4524244A (en) * 1983-08-05 1985-06-18 Cygnet Technologies, Inc. Digital and voice telecommunica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30018B1 (en) 1990-08-22
EP0130018A2 (en) 1985-01-02
KR850000850A (ko) 1985-03-09
DE3483025D1 (de) 1990-09-27
CA1229937A (en) 1987-12-01
US4654483A (en) 1987-03-31
EP0130018A3 (en) 1986-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0220B1 (ko) 전자식 회의시스템
US4736407A (en) Computer assisted graphic teleconferencing method and apparatus
US7761510B2 (en) Conference system for enabling concurrent displaying of data from conference presenter and conference participants
US20070250315A1 (en) Downline Transcription System Using Automatic Tracking And Revenue Collection
JPS5999576A (ja) 画像情報記憶検索システム装置
JPH03291717A (ja) 階層指示、包含指示および階層包含指示入力装置
JPS60223266A (ja) 情報フアイル装置
JP2003296236A (ja) 情報処理装置、サーバ装置およびデータ出力方法
JPH0572149B2 (ko)
JPH0795372A (ja) 電子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
JPH0230624B2 (ko)
JP2601949B2 (ja) 通信会議システム
JP3199498B2 (ja) 画像通信装置
JPH0276461A (ja) 電子ファイルシステム
JPH05327707A (ja) マルチメディア通信会議装置
JP2548522B2 (ja) 画情報送信装置
JPH0125471B2 (ko)
JPH06121142A (ja) 画像通信装置
JPH098948A (ja) 情報伝送システム装置及びその送信先メニュー表示方法
JPH03260875A (ja) 画像情報ファイル装置
JP3258386B2 (ja) マルチメディア端末装置の電子電話帳
JPH0129337B2 (ko)
JPH0583459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H04250529A (ja) 操作マニュアル作成装置
JPH0535800A (ja) 画像検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403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4031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