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700580A - 비동기식 어드레싱 다중 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동기식 어드레싱 다중 통신시스템Info
- Publication number
- KR880700580A KR880700580A KR870700262A KR870700262A KR880700580A KR 880700580 A KR880700580 A KR 880700580A KR 870700262 A KR870700262 A KR 870700262A KR 870700262 A KR870700262 A KR 870700262A KR 880700580 A KR880700580 A KR 8807005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tion
- satellite
- message
- monitor
- serie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 H04M9/00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with subscriber controlled access to a line, i.e. key telephone systems
- H04M9/003—Transmission of control signals from or to the key telephone set; signalling equipment at key telephone set, e.g. keyboard or display equip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38—Synchronous or start-stop systems, e.g. for Baudot code
- H04L25/40—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 H04L25/45—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electronic distribu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션 모니터 및 다중 전화 스테이션에서 사용되는 비동기식 어드레싱 장치를 갖는 간이 교환 전화 시스템의 블럭선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도의 간이 교환 전화 시스템에서 사용된 데이타 통신 프로토콜을 도시. 제 3 도는 "의사"UART 로서 동작하며 스테이션 모니터에서 UART와 직접 통신하는 각 스테이션에서 사용된 주 회로성분의 개략선도.
Claims (24)
- 비동기식 어드레싱 다중시스템으로써, 일련의 출력 메세지 블럭을 포맷팅하여 전송하고, 일련의 입력 메세지 블럭을 수신하여 해석하는 수단을 갖는 스테이션 모니터(10), 스테이션 모니터(10)에 동작식으로 응답하며 이와 병렬로 접속된 다수의 위성 스테이션(20,30) 및 직렬 입력 포트(331)및 직렬 출력 포트(338)를 구비하며, 상기 위성 스테이션은 스테이션 모니터(10)로 부터 나온 일련의 메세지 블럭을 수신하여 해석하고, 일련의 메세지 블럭을 포맷팅하여 스테이션 모니터(10)에 전송하는 통신수단(310 내지 353)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수단은 다수의 위성 스테이션 각각내에 컴퓨터(330)를 구비하며, 상기 컴퓨터는 수신 및 전송된 각 메세지 블럭을 어셈블리하는 직렬 레지스터 수단을 포함하고 직렬 포트를 통해 스테이션 모니터(10)와 함께 위성 스테이션에 직접 비동기식 통신을 제공하며, 상기 직렬 입력 포트 및 직렬 출력 포트 모두는 상기 직렬 레지스터 수단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어드레싱 다중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스테이션 모니터(10)는 또한 일련의 메세지 블럭의 포맷팅, 전송 및 수신을 타이밍하는 제 1클럭수단을 구비하며, 다수의 위성 스테이션(20,30)각각은 또한 일련의 메시지 블럭의 포맷팅, 전송 및 수신을 타이밍하는 제 2클럭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클럭수단은 서로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어드레싱 다중시스템.
- 제 2항에 있어서, 위성 스테이션 각각은 또한 위성 스테이션에 의한 메세지 블럭의 수신 및 전송을 제어하는 계수감소용 수단(320)을 구비하며, 상기 계수 감소용 수단은 제 2 클럭수단(310)에 응답하여 메세지블럭이 전송될때 직렬 포트(331,338)를 인에이블링하는 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어드레싱 다중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계수 감소용 수단(320)에 의해 공급된 클럭신호는 메세지 블럭을 구비한 데이타 전송속도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어드레싱 다중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메세지 블럭을 구비한 데이타를 전송하는 통신수단은 또한 직렬 출력 포트에 공급된 데이타가 위성 스테이션과 스테이션 모니터(10)를 상호연결시키는 2 선식 전송경로에 결합되도록 하는 제 1 광학 분리 수단(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어드레싱 다중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메세지 블럭을 구비한 데이타를 수신하는 통신수단은 또한 2 선식 통신경로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가 직렬 입력 포트에 결합되도록 하는 제 2 광학 분리기 수단(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어드레싱 다중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 각 위성 스테이션내의 통신수단은 또한 계수 감소용 수단(320)과 결합동작하여 위성스테이션에 의한 메세지 블럭의 수신 및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3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2 선식 전송경로를 통해 스테이션 모니터(10)로 부터 수신된 각 메세지 블럭의 제 1 데이타 비트의 수신을 검출하는 감지용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이 제 1 데이타 비트의 수신에 의해 계수 감소용 수단을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어드레싱 다중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330)은 또한 메세지 블럭이 로드되어진 직렬 레지스터 수단에 응답하여 스테이션 모니터(10)에 전송하는 인에이블링 수단(342)을 구비하며, 상기 인에이블링 수단은 직렬 출력 포트(338)로 부터의 데이타가 제 1광학 분리기(340)에 결합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어드레싱 다중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스테이션 모니터(10)로 부터 나온 일련의 입력 메세지 블럭수신에 응답한 후 다수의 위성 스테이션중 제 1 위성 스테이션은 일련의 메세지 블럭을 스테이션 모니터(10)에 다시 전달함으로써 응답하며, 상기 스테이션 모니터(10)는 제 1 위성 스테이션으로 부터의 메세지 블럭 수신동안 다른 스테이션으로 일련의 메세지블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어드레싱 다중시스템.
- 비동기식 어드레싱 통신 시스템으로서, 일련의 출력 메세지 블럭을 포맷팅하여 전송하는 수단을 갖는 스테이션 모니터(10), 스테이션 모니터(10)에 동작식으로 응답하며 이와 병렬로 접속된 위성 스테이션(20)을 구비하며, 상기 위성 스테이션 은 스테이션 모니터(10)로 부터 나온 메세지 블럭을 수신하여 해석하는 통신수단(310 내지 353)을 구비하며, 상기 통신수단은 위성 스테이션내에 컴퓨터(330)를 구비하며, 상기 컴퓨터는 각 메세지 블럭을 수신하여 어셈블리하는 직렬 입력 포트(331)및 직렬 레지스터 수단을 포함하며, 직렬 입력 포트를 통해 스테이션 모니터(10)로 부터 위성 스테이션에 비동기식 직접 통신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어드레싱 통신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 스테이션 모니터(10)는 또한 일련의 메세지 블럭의 포맷팅 및 전송을 타이밍하는 제 1 클럭수단을 구비하며, 위성 스테이션은 또한 일련의 메세지 블럭의 포맷팅 및 수신을 타이밍하는 제 2 클럭수단(310)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클럭수단은 서로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어드레싱 통신 시스템.
- 제 11 항에 있어서, 위성 스테이션은 또한 위성 스테이션에 의한 메세지 블럭의 수신을 제어하는 계수감소용 수단(320)을 포함하며, 상기 계수 감소용 수단은 제 2 클럭수단(31)에 응답하여 메세지 블럭이 수신될때 직렬 입력 포토(331)를 인에이블링하는 클럭 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어드레싱 통신 시스템.
- 제 12 항에 있어서, 계수 감소용 수단에 의해 공급된 클럭신호는 메세지 블럭을 구비한 데이타 수신속도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어드레싱 통시스템.
- 제 13 항에 있어서, 통신수단은 또한 계수감소용 수단(320)과 결합동작하여 위성 스테이션에 의한 메세지 블럭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3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스테이션 모니터부터 수신된 각 메세지 블럭의 제 1 데이타 비트의 수신을 검출하는 감지용 수단을 구비하며, 이 제 1 데이타 비트의 수신에 의해 게수감소용 수단을 인에이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어드레싱 통신시스템.
- 비동기식 어드레싱 다중시스템으로서, 일련의 출력 메세지 블럭을 포맷팅하여 전송하며 일련의 입력 메세지 블럭을 수신하여 해석하는 수단을 갖는 스테이션 모니터(10), 스테이션 모니터(10)에 동작식으로 응답하며 이와 병렬로 접속된 다수의 위성 스테이션(20,30), 직렬 입력 포트(331) 및 직렬 출력 포트(338), 수신된 메세지 블럭은 해석하며 출력 메세지 블럭을 포맷팅하는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위성 스테이션은 스테이션 모니터(10)로 부터 일련의 메세지 블럭을 수신하여 해석하고, 일련의 메세지 블럭을 포맷팅하여 스테이션 모니터(10)에 전송하는 통신수단(310 내지 353)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수단은 다수의 위성 스테이션 각각내에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회로는 수신 및 전송된 각 메세지 블럭을 어셈블리하는 직렬 레지스터 수단을 포함하며 직렬 포트를 통해 스테이션 모니터(10)와 함께 위성 스테이션에 비동기식 직접 통신을 제공하며, 상기 직렬 입력 포트 및 직렬 출력 포트 모두는 상기 직렬 레지스터 수단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어드레싱 다중시스템.
- 제 15 항에 있어서, 스테이션 모니터(10)는 또한 일련의 메세지 클럭의 포맷팅, 전송 및 수신을 타이밍하는 제 1클럭수단을 구비하며, 다수의 위성 스테이션 각각은 또한 일련의 메세지 블럭의 포맷팅, 전송 및 수신을 타이밍하는 제 2클럭수단(310)을 구비하며, 제 1 및 제 2 클럭수단은 서로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어드레싱 다중시스템.
- 제 16 항에 있어서, 각 위성 스테이션(20)은 또한 위성 스테이션에 의한 메세지 블럭의 수신 및 전송을 제어하는 계수 감소용 수단(320)을 포함하며, 상기 계수 감소용 수단은 제 2 클럭수단에 응답하여 메세지 블럭이 전송될때 직렬포트(331,338)를 인에이블링하는 클럭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어드레싱 다중시스템.
- 제 17 항에 있어서, 계수감소용 수단(320)에 의해 공급된 클럭신호는 메세지 블럭을 구비한 데이타 전송속도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어드레싱 다중시스템.
- 제 16항에 있어서, 메세지 블럭을 구비한 데이타를 전송하는 통신수단은 또한 직렬 출력 포트(338)에 공급된 데이타가 위성 스테이션을 스테이션 모니터(10)에 상호연결시키는 2 선식 전송경로상에 결합되도록 하는 제 1 광학 분리기 수단(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어드레싱 다중시스템.
- 제 19 항에 있어서, 메세지 블럭을 구비한 데이타를 수신하는 통신수단은 또한 2 선식 전송경로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가 직렬 입력 포트(331)에 결합되도록 하는 제 2 광학 분리기 수단(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어드레싱 다중시스템.
- 제 20 항에 있어서, 각 위성 스테이션내의 통신수단은 또한 계수 감소용 수단과 결합동작하여 위성 스테이션에 의한 메세지 블럭의 수신 및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2 선식 전송경로에 의해 스테이션 모니터(10)로 부터 수신된 메세지 블럭 각각의 제 1 데이타 비트의 수신을 검출하는 감지용 수단을 구비하며, 이러한 제 1 데이타 비트의 수신에 의해 계수감소용 수단(320)을 인에이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어드레싱 다중시스템.
- 제 21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또한 메세지 블럭이 로드되어진 직렬 레지스터 수단에 응답하여 스테이션 모니터(10)로 전송을 하기 위한 인에이블링 수단(342)을 구비하며, 인에이블링 수단은 직렬 출력 포트(338)로 부터 나온 데이타가 제 1 광학 분리기(340)에 결합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어드레싱 다중시스템.
- 제 16 항에 있어서, 스테이션 모니터(10)로 부터 나온 일련의 입력 메세지 블럭수신에 응답한 후 다수의 위성 스테이션(20,30)중 제 1 위성 스테이션은 일련의 메세지 블럭을 다시 스테이션 모니터(10)로 전송함으로써 응답하며, 스테이션 모니터(10)는 제 1 위성 스테이션으로부터 메세지 블럭 수신동안 다른 스테이션으로 일련의 메세지 블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어드레싱 다중시스템.
- 제 23 항에 있어서, 스테이션 모니터(10)에 의해 전송된 메세지 블럭은 4개의 8-비트 워드를 구비하며 각 위성 스테이션(20)에 의해 전송된 메세지 블럭은 3개의 7-비트 워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어드레싱 다중시스템.※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06/759,574 US4740957A (en) | 1985-07-26 | 1985-07-26 | Asynchronous addressable electronic key telephone system |
US759574 | 1985-07-26 | ||
PCT/US1986/001418 WO1987000713A1 (en) | 1985-07-26 | 1986-07-07 | Asynchronous addressable electronic key telephone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700580A true KR880700580A (ko) | 1988-03-15 |
Family
ID=25056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870700262A KR880700580A (ko) | 1985-07-26 | 1986-07-07 | 비동기식 어드레싱 다중 통신시스템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4740957A (ko) |
EP (1) | EP0232315A1 (ko) |
JP (1) | JPS63500486A (ko) |
KR (1) | KR880700580A (ko) |
WO (1) | WO198700071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34712A (en) * | 1986-03-26 | 1990-06-19 | Byrd Thomas R | Weighted objects with tether and means for twisting tether to raise and lower objects |
JP2761872B2 (ja) * | 1987-03-20 | 1998-06-04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多元情報交換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
ATE86419T1 (de) * | 1987-05-07 | 1993-03-15 | Siemens Ag | Ueberwachungssystem fuer ein lokales bus-netz in sternstruktur. |
NL8800124A (nl) * | 1988-01-20 | 1989-08-16 | Philips Nv | Werkwijze voor asynchrone duplex-datakommunicatie tussen twee stations betreffende bepaalde via een gemeenschappelijk kommunikatiekanaal te effektueren diensten en station voor het uitvoeren van deze werkwijze. |
US5918024A (en) * | 1996-05-08 | 1999-06-29 | Ericsson,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ingle channel communications |
DE60010327T2 (de) | 1999-12-08 | 2005-05-04 | ED & D, Inc., Oviedo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enden und empfangen von stromversorgung und daten mittels zeitmultiplexübertragung |
KR100351980B1 (ko) * | 1999-12-24 | 2002-09-12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범용 비동기 송수신기를 이용한 직렬 적외선 통신시하프-듀프렉스 통신 제어회로 |
JP6340574B2 (ja) * | 2013-06-04 | 2018-06-13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シリアル通信装置 |
US9246534B2 (en) | 2014-02-19 | 2016-01-26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Controling Tx/Rx mode in serial half-duplex UART separately from host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230999A1 (de) * | 1982-08-20 | 1984-02-23 | Philips Kommunikations Industrie AG, 8500 Nürnberg | Verfahren zur zugriffssteuerung bei einem nachrichtensystem |
DE3464185D1 (en) * | 1983-03-31 | 1987-07-16 | Toshiba Kk | Bus-configured local area network with data exchange capability |
-
1985
- 1985-07-26 US US06/759,574 patent/US4740957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6
- 1986-07-07 WO PCT/US1986/001418 patent/WO1987000713A1/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86-07-07 KR KR870700262A patent/KR88070058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86-07-07 EP EP86904626A patent/EP0232315A1/en not_active Withdrawn
- 1986-07-07 JP JP61503848A patent/JPS63500486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S63500486A (ja) | 1988-02-18 |
EP0232315A1 (en) | 1987-08-19 |
US4740957A (en) | 1988-04-26 |
WO1987000713A1 (en) | 1987-0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20002900B1 (ko) | 통신회로망 장치 | |
KR880001123A (ko) | 회로 스위치 정보 및 패킷 정보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 | |
KR970706691A (ko) | 데이터전송시스템(data transmission system) | |
EP0259315A1 (en) | Communication system | |
EP0840474A3 (en) | Reconfigurable transceiver for asymmetric communication systems | |
MY128864A (en) |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 |
KR880700580A (ko) | 비동기식 어드레싱 다중 통신시스템 | |
TW351894B (en) | Digital signal link | |
US3943348A (en) |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a data processing communication system | |
US4788717A (en) | Telephone line interface option module | |
EP0180822B1 (en) | Communication adapter for loop communications system | |
WO1987003764A1 (en) | Telephone line interface option module | |
JPS5840859B2 (ja) | デ−タ通信システム | |
US5689643A (en) |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asynchronous formatted data synchronously | |
JPS57135538A (en) | Series data transmission system | |
JPS62249542A (ja) | デ−タ転送方式 | |
JPS56763A (en) | Line connector | |
KR100416799B1 (ko) | 슬래이브 모드 소자간 유토피아 인터페이스방법 | |
KR830008233A (ko) | 단일라인 우선순위를 설립시키는 장치를 가지는 통신 멀티플렉서 | |
KR830008619A (ko) | 전화기 스위칭 시스템내의 원격 포오트 그룹에 호출을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 | |
KR100202993B1 (ko) | 통신포트와 백보드상의 코넥터간 정합장치 | |
KR100225043B1 (ko) | 인터럽트를 이용한 다중 직렬통신방법 및 직렬통신장치 | |
JPS6328147A (ja) | 光中間中継装置における同期方式 | |
KR970003136B1 (ko) | 전자교환기의 메세지 전송 인터페이스 모듈 | |
KR930004422B1 (ko) | 터미널의 키보드 연결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03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