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14734A - 증폭기 - Google Patents
증폭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80014734A KR880014734A KR1019880006088A KR880006088A KR880014734A KR 880014734 A KR880014734 A KR 880014734A KR 1019880006088 A KR1019880006088 A KR 1019880006088A KR 880006088 A KR880006088 A KR 880006088A KR 880014734 A KR880014734 A KR 8800147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input terminal
- terminal
- amplifier
- outpu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68—Combinations of amplifiers, e.g. multi-channel amplifiers for stereophonic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8—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 H03F1/083—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in transistor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1)
- DC(직류) 전압성분을 포함하는 입력신호(Vi)를 받기 위한 하나의 신호입력단(4), 하나의 극성의 입력을 받기 위한 제1입력단(1a), 제1의 입력단(1a)의 반대편에서 다른 극성의 입력을 받기 위한 제2의 입력단(1b), 출력단(1c)를 가지며, 상기 제1의 입력단(1a)가 상기 하나의 신호입력단(4)에 접속되어 있는 차동입력 전치증폭기(1), 하나의 극성의 입력을 받기 위한 제1의 입력단(2a), 상기 제1의 입력단(2a)의 반대편에서 다른 극성의 입력을 받기 위한 제2의 입력단(2b), 증폭회로(100, 700)의 제1의 출력신호(Vbo)를 얻는 제1의 출력단(5)를 가지며, 상기 제1의 입력단(2a)가 상기 전치증폭기(1)의 상기 출력단(1)의 출력단(1c)와 제2의 입력단(1b) 사이에 접속된 제1의 저항(24), 제2의 저항(25)와 하나의 콘텐서(23)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치증폭기(1)의 제2의 입력단(1b)와 접지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콘덴서(23)은 접지에 접속되는 직렬회로, 직렬회로의 접속점(22)와 상기 신호입력단(4) 사이에 접속된 제3항의 저항(21), 상기 신호입력단(4)를 거쳐서 상기 입력신호를 받기 위한 제1의 입력단(3a), 제2의 입력단(3b) 및 증폭회로(100, 700)의 제2의 출력 신호를 얻는 제2의 출력단(6)을 가지며, 제2의 증폭기(3)의 상기 제2의 입력단(3b)가 기준전압으로써 제1과 제2의 증폭기(2, 3)에 상기 접속점에서 나타나는 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직렬회로의 접속점에 상기 제1의 증폭기(2)의 상기 제2의 입력단(2b)와 함께 접속되어 있는데 제2의 차동입력 증폭기(3)을 포함하는 증폭회로(100, 700).
-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또 상기 제2의 증폭기(3)의 제1의 입력단(3a)와 상기 입력신호(Vi)를 받기 위해 신호입력단(4)에 접속된 제1의 입력단((16a), 상기 기준전압을 받기 위한 직렬회로의 접속점(22)에 접속된 제2의 입력단(16b), 증폭회로(200)의 제3의 출력신호를 얻는 제3의 출력단(17)을 갖는 제3의 차동입력 증폭기(16)을 포함하는 증폭회로(200).
-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또 상기 전치증폭기(1)의 출력단(1c)에 접속된 제1의 입력단(26a), 직렬회로의 접속점(22)에 접속된 제2의 입력단(26b) 및 증폭회로(400)의 제4의 출력신호를 얻는 제4의 출력단(27)을 갖는 제4의 차동입력 증폭기(26), 상기 제4의 차동입력 증폭기(26)에 병렬로 접속되며 전치 증폭기(1)의 출력단 (1c)에 접속된 제1의 입력단(30a)와 상기 기준 전압을 받기 위해 직렬회로의 접속점(22)에 접속된 제2의 입력단(30b)를 갖는 제5의 차동입력 증폭기(30)을 포함하는 증폭회로(400).
-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또 상기 전치증폭기(1)의 출력단(1c)에 접속된 제1의 입력단(26a), 상기 기준전압을 받기 위한 직렬회로의 접속점(22)에 접속된 제2의 입력단(26b), 증폭회로(300)의 제3의 출력신호를 얻는 제3의 출력단(27)을 갖는 제3의 차동입력 증폭기(26)을 포함하는 증폭회로(300).
-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또 상기 전치증폭기(1)의 출력단(1c)와 상기 제1의 증폭기(2)의 제2의 입력단(1b)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제4의 저항(11)을 포함하는 증폭회로(500).
-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또 상기 전치증폭기(1)의 출력단(1c)와 상기 제1의 증폭기(2)의 제2의 입력단(1b)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제4의 저항(11)을 포함하는 증폭회로(600).
-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에 있어서, 또 상기 전치증폭기(1)의 출력단(1c)와 상기 제1의 증폭기(2)의 제2의 입력단(1b)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제4의 저항(11)을 포함하는 증폭회로(700).
- DC(직류) 전압성분을 포함하는 입력신호(Vi)를 받기 위한 하나의 신호입력단(4), 하나의 극성의 입력을 받기 위한 제1입력단(1a), 제1의 입력단(1a)의 반대편에 있는 제2의 입력단(1b), 출력단(1c)를 가지며, 상기 제1의 입력단(1a)가 상기 하나의 신호입력단(4)에 접속되어 있는 차동입력 전치증폭기(1), 하나의 극성의 입력을 받기 위한 제1의 입력단(2a), 상기 제1의 입력단(2a)의 반대편에서 다른 극성의 입력을 받기 위한 제2의 입력단(2b), 증폭회로(88, 1100)의 제1의 출력신호(Vbo)를 얻는 제1의 출력단을 가지며, 상기 제1의 입력단(2a)가 상기 전치증폭기(1)의 상기 출력단(1c)에 접속되어 있는 제1의 차동입력증폭기(2), DC(직류) 부귀한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전치증폭기(1)의 출력단(1c)와 제2의 입력단(1b) 사이에 접속된 제1의 저항(24), 상기 전치증폭기(1)의 제2의 입력단(1b)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하나의 콘덴서(23), 상기 신호입력단(4)와 접속점(22) 사이 및 상기 콘덴서(23)의 하나의 단자와 상기 전치증폭기(1)의 상기 제2의 입력단(1b) 사이에 접속된 제2의 저항(21), 상기 신호입력단(4)를 거쳐서 상기 입력신호를 받기 위한 제1의 입력단(3a), 제2의 입력단(3b) 및 증폭회로(800, 1100)의 제2의 출력 신호를 얻는 제2의 출력단을 가지며, 제2의 증폭기(3)의 상기 제2의 입력단(3b)가 기준전압으로써 제1과 제2의 증폭기(2, 3)에 상기 접속점(22)에서 나타나는 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전치증폭기(1)의 상기 제2의 입력단(1b)와 상기 콘덴서(23)의 하나의 단자 사이에 상기 접속점(22)에 상기 제1의 증폭기(2)의 제2의 입력단(2b)와 함께 접속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증폭회로(800, 1100).
- 특허청구의 범위 제8항에 있어서, 또 상기 제2의 증폭기(3)의 제1의 입력단(3a)와 상기 입력신호(Vi)를 받기 위해 신호입력단(4)에 접속된 제1의 입력단(16a), 상기 기준전압을 받기 위한 상기 접속점(22)에 접속된 제2의 입력단(16b), 증폭회로(900)의 제3의 출력신호를 얻는 제3의 출력단을 갖는 제3의 차동입력 증폭기(16)을 포함하는 증폭회로(900).
- 특허청구의 범위 제8항에 있어서, 또 상기 전치증폭기(1)의 출력단(1c)에 접속된 제1의 입력단(26a), 상기 기준전압을 받기 위해 상기 접속점(22)에 접속된 제2의 입력단(26b) 및 증폭회로(1000)의 제4의 출력 신호를 얻는 제4의 출력단을 갖는 제4의 차동입력 증폭기(26)을 포함하는 증폭회로(1000).
- 특허청구의 범위 제9항에 있어서, 또 상기 전치증폭기(1)의 출력단(1c)에 접속된 제1의 입력단(26a), 상기 접속점(22)에 접속된 제2의 입력단(26b) 및 증폭회로(1100)의 제4의 출력 신호를 얻는 제4의 출력단을 갖는 제4의 차동입력 증폭기(26), 상기 제4의 차동입력 증폭기(26)에 병렬로 접속되며, 전치증폭기(1)의 출력단(1c)에 접속된 제1의 입력단(30a)와 상기 기준전압을 받기 위해 상기 접속점(22)에 접속된 제2의 입력단(30b)를 갖는 제5의 차동입력 증폭기(30)을 포함하는 증폭회로(1100).※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2130682A JPH07105677B2 (ja) | 1987-05-27 | 1987-05-27 | 増幅器 |
JP62130681A JPH07105676B2 (ja) | 1987-05-27 | 1987-05-27 | 増幅器 |
JP62-130681 | 1987-05-27 | ||
JP130682 | 1987-05-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14734A true KR880014734A (ko) | 1988-12-24 |
KR900008756B1 KR900008756B1 (en) | 1990-11-29 |
Family
ID=26465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8806088A KR900008756B1 (en) | 1987-05-27 | 1988-05-24 | Amplifier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4871976A (ko) |
KR (1) | KR900008756B1 (ko) |
CA (1) | CA1284189C (ko) |
DE (1) | DE3818142A1 (ko) |
GB (1) | GB2205210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9529401D1 (de) * | 1995-05-22 | 2003-02-20 | St Microelectronics Srl | Hochpassfilter, insbesondere für die Offsetunterdrückung in einer Verstärkerkette |
DE19916902B4 (de) * | 1999-04-14 | 2015-08-20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Verstärkereinrichtung mit veränderbarer Arbeitspunkteinstellung sowie Verwendung der Verstärkereinrichtung |
TW579576B (en) * | 2001-10-24 | 2004-03-11 | Sanyo Electric Co | Semiconductor circuit |
US7323886B2 (en) * | 2004-08-16 | 2008-01-29 | Ying Lau Lee | Linear capacitance measurement and touchless switch |
CN100544195C (zh) * | 2004-08-16 | 2009-09-23 | 李应流 | 线性电容测量和非接触开关 |
US7498822B2 (en) * | 2004-08-16 | 2009-03-03 | Ying Lau Lee | Linear capacitance measurement and touchless switch |
US7639075B2 (en) * | 2007-03-02 | 2009-12-29 | Realtek Semiconductor Corporation | Wide-band adjustable gain low-noise amplifier |
JP2021175124A (ja) * | 2020-04-28 | 2021-11-01 | キオクシア株式会社 | 半導体集積回路及び半導体記憶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2411Y2 (ko) * | 1980-09-22 | 1989-04-11 | ||
CA1233818A (en) * | 1981-03-09 | 1988-03-08 | David J. Gilman | Guanidine derivatives as histamine h-2 receptor antagonists |
GB2175473A (en) * | 1985-05-17 | 1986-11-26 |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 D.c. block capacitor circuit |
-
1988
- 1988-05-24 KR KR8806088A patent/KR90000875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8-05-24 GB GB8812244A patent/GB2205210B/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8-05-26 CA CA000567839A patent/CA1284189C/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8-05-26 US US07/200,127 patent/US4871976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8-05-27 DE DE3818142A patent/DE3818142A1/de active Gran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4871976A (en) | 1989-10-03 |
DE3818142C2 (ko) | 1991-09-19 |
GB2205210B (en) | 1991-04-24 |
DE3818142A1 (de) | 1988-12-08 |
KR900008756B1 (en) | 1990-11-29 |
GB8812244D0 (en) | 1988-06-29 |
GB2205210A (en) | 1988-11-30 |
CA1284189C (en) | 1991-05-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10016139A (ko) | 액티브필터 | |
KR900008763A (ko) | 궤환부하를 이용한 증폭회로 | |
KR870009543A (ko) | 차동 증폭 회로 | |
KR950013018A (ko) | 교차 결합 트랜지스터를 가진 차동 증폭기를 구성하는 주파수 보상 회로 | |
KR850700191A (ko) | 제곱회로 | |
KR880014734A (ko) | 증폭기 | |
KR860002102A (ko) | 샘플 및 홀드회로 | |
KR870002694A (ko) | 증폭회로 | |
KR830005761A (ko) | 가변부하 임피던스 이득제어증폭기 | |
KR920019064A (ko) | 전압증폭회로 | |
KR890003114A (ko) | 전류 미러 회로 | |
KR940020692A (ko) | 집적 회로 증폭 장치(integrated circuit amplifier arrangements) | |
ES418979A1 (es) | Un dispositivo de circuito de conmutacion. | |
KR900001117A (ko) | 자동 이득 제어회로 | |
KR910007238A (ko) | 증폭 회로 | |
KR830009689A (ko) | 신호레벨 제어회로 | |
KR910021007A (ko) | 증폭기 | |
KR880005741A (ko) | 증폭기 | |
KR900004096A (ko) | 증폭회로 | |
KR910003918A (ko) | 증폭 장치 | |
KR880010425A (ko) | 셈플홀드회로 | |
KR840008728A (ko) | 에미터 플로워형 sepp 회로 | |
KR950704855A (ko) | 능동 임피던스 종단 회로(active impedance termination) | |
KR910003916A (ko) | 증폭기 장치 | |
SE9101459D0 (sv) | Limiterande foerstaerka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805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805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0103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04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105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105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31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411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511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611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711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811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911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011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11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11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11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11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1123 Year of fee payment: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112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