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80014271A - 압력변환기 - Google Patents

압력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14271A
KR880014271A KR1019880006188A KR880006188A KR880014271A KR 880014271 A KR880014271 A KR 880014271A KR 1019880006188 A KR1019880006188 A KR 1019880006188A KR 880006188 A KR880006188 A KR 880006188A KR 880014271 A KR880014271 A KR 880014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capillary
pressure transducer
fill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6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033B1 (ko
Inventor
워레함 윌리암
Original Assignee
로저이·브루크스
다이니스코,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054,936 external-priority patent/US4829827A/en
Priority claimed from US07/185,856 external-priority patent/US4858471A/en
Application filed by 로저이·브루크스, 다이니스코, 인크 filed Critical 로저이·브루크스
Publication of KR880014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4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03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02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king use of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e.g. of potentiometers, electric circuits therefor, e.g. bridges, amplifiers or signal conditioning
    • G01L9/04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king use of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e.g. of potentiometers, electric circuits therefor, e.g. bridges, amplifiers or signal conditioning of resistance-strai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07Fluidic connecting means
    • G01L19/0046Fluidic connecting means using isolation membra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0001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elastically deformable gauges by electric, electro-mechanical,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G01L9/0002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elastically deformable gauges by electric, electro-mechanical,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us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력변환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유체가 충전된 압력변환기(fluid filled pressure transducer)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
제1a도는 선단 충전부품(snout filler pieco)의 사용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력 변환기의 부분 확대 단면도,
제2도는 감지부재(sensing member)의 상세를 도시하는 제1도의 2-2선 단면도,
제2a도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직선으로 배치된 택일적인 배치를 도시하는 제2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부분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 단면도.

Claims (43)

  1. 가늘고 긴 관통 통로를 갖는 가늘고 긴 프레임, 프레임 통로를 통해 신장하며 프레임의 1단부에 인접한 1단부에서 종료하는 모세관, 모세관과 연통하는 챔버를 프레임으로 한정하며 프레임의 상기 1단부에 있는 커플러, 프레임의 타단부에 배치되며 모세관을 수용하기 위한 통로를 그 곳에 가지며 상기 감지 챔버에 인접한 감지 표면을 형성하는 비교적 얇은 벽을 한정하는 감지 챔버를 그 속에 갖는 감지 부재, 상기 감지 챔버 내에 배치된 충전수단, 및 상기 벽에서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압력 변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표면이 감지 부재의 요부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모세관이 상기 감지 챔버와 모세관 사이의 유체 연통을 허용하기 위해 그 축과 대략 횡방향으로 그것을 관통하여 신장하는 통로를 갖는 압력변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비교적 얇은 벽이 압력 반응감지 표면을 가지며 상기 감지수단이 상기 감지 표면상에 배치된 1개 이상의 가지 게이지로 구성되는 압력 변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반응 감지 표면이 모세관 길이와 대략 평행하게 신장하는 압력 변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반응 감지 표면이 대략 평탄한 압력 변환기.
  6. 제5항에 있어서, 감지 부재가 대략 원통형이며 상기 요부가 모세관에 가깝게 인접한 평탄한 표면을 형성하는 압력 변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챔버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이며 모세관이 감지 챔버를 통해 신장하고 감지 부재의 요부의 중간 거리에 있는 횡방향 구멍을 갖는 압력 변환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챔버가 단일의 원통형 보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충전수단이 단일의 원통형 충전봉으로 구성되는 압력 변환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이 감지부재의 정부 및 저부 단부에 고정되는 압력 변환기.
  10. 제9항에 있어서, 모세관의 고정이 용접에 의해 행해지는 압력 변환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이 상기한 얇은 벽의 압력 반응 감지 표면상에 배치된 1조의 스트레인 게이지로 구성되는 압력 변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제2조의 스트레인 게이지도 포함하며, 상기 제1조의 스트레인 게이지가 압축스트레인을 측정하고 제2조의 스트레인 게이지가 인장 스트레인을 측정하는 압력 변환기.
  13. 제1항에 있어서, 커플러 챔버의 적어도 1측부를 형성하며 커플러 챔버내에 있는 충전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 부품이 프레임의 것보다 실질적으로 낮은 팽창 계수를 갖는 변환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부품이 프레임의 것보다 실질적으로 낮은 팽창계수를 갖는 압력 변환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부재가 703내지 3,516㎏/㎠(10,000내지 50,000 psi)의 압력 범위에서 작동하기에 적합한 압력 변환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챔버가 여러개의 통로로 구성되며 상기 충전 수단이 분리된 여러개의 충전봉 수단으로 구성되는 압력 변환기.
  17. 제16항에 있어서, 또한 충전관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 수단이 상기 각 모세관과 충전관을 수용하기 위해 분리된 단부 부재들과 일체로 구성되는 압력 변환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모세관이 상기 감지 챔버내로 신장하는 압력 변환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과 충전과이 상기 감지 챔버내로 신장하는 압력 변환기.
  20. 제19항에 있어서, 3개의 통로 챔버가 마련되는 충전봉 수단이 신장된 모세관과 충전관 사이의 감지 첨버 중간 통로내에 배치되는 압력 변환기.
  21. 가늘고 긴 관통통로를 갖는 가늘고 긴 프레임, 프레임 통로를 통해 신장하며 프레임의 1단부에 인접한 1단부에서 종료하는 모세관, 모세관과 연통하는 챔버를 프레임으로 한정하며 프레임의 상기 1단부에 있는 커플러, 프레임의 타탄부에 배치되며 모세관과 유체 연통하는 감지 챔버의 적어도 1부를 형성하는 내부 통로를 한정하는 수단과 상기 감지 챔버에 인접한 비교적 얇은 벽에 의해 형성된 감지 부재상에 감지 표면을 한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감지 부재, 모세관과 커플러 챔버 및 감지 챔버를 충전하는 거의 비압축성인 액체, 상기한 얇은 벽에서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표면상에 배치된 게이지 수단, 및 감지 부재와 모세관 사이에 액체 밀봉을 유지함으로써 비압축성 액체가 모세관을 경유하여 직접 감지 챔버로 연결되도록 모세관을 감지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모세관이 감지 챔버 통로와 모세관 사이에 유체 연통을 유지하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통로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감지 챔버내로 신장하는 그 부분을 갖는 압력 변환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모세관의 단부가 개방되는 압력 변환기.
  23. 제21항에 있어서, 또한 감지 챔버의 통로내로 신장하는 충전관을 포함하며 상기 모세관과 충전관이 나란히 평행하게 배치되는 압력 변환기.
  24. 제21항에 있어서, 커플러 챔버내에 충전 부품을 포함하는 압력 변환기.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한 얇은 벽에 인접 배치된 감지 챔버가 상기 모세관과 상기한 얇은 벽 사이에 형성되는 압력 변환기.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가 충전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통로를 그 속에 갖는 압력 변환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챔버가 상응하는 여러개의 충전봉을 수용하기 위한 여러개의 통로를 갖는 압력 변환기.
  28. 제21항에 있어서, 모세관의 축과 횡방향으로 신장하는 통로를 한정하며 모세관과 감지 챔버 사이의 유체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횡방향 통로가 모세관 직경과 필적하는 길이를 갖는 압력 변환기.
  29. 제28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모세관에 인접한 상기 감지 챔버내에 배치된 1개 이상의 충전봉 수단을 포함하는 압력 변환기.
  30. 프레임, 플임을 통해 신장하는 모세관 및 모세관을 수용하기 우한 보어를 갖는 감지 요소를 포함하는 액제가 충전된 압력 변환기에서 감지 요소를 모세관에 액체 밀봉되게 고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감지 요소의 본체의 1개 이상의 그 속의 통로를 마련하고, 1개 이상의 단부 부재를 마련하며, 모세관을 단부 부재에 용접하고, 충전 수단을 마련하며, 본체의 통로내에 충전수단을 배치하고, 액체 밀봉 결합을 위해 본체와 단부 부재를 함께 용접하는 단계들로 구성되는 감지 요소를 모세관에 액체 밀봉되게 고정하기 위한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또한 제2 단부부재 및 관련된 충전관을 마련하고, 충전관을 제2 단부부에 용접하며, 제2 단부부재를 본채의 반대 단부에 용접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모세관이 상기 감지 부재 통로내로 신장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3. 제30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한 적어도 1개 이상의 단부 부재내에 역시 고정된 충전관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4. 프레임, 프레임을 통해 신장하는 모세관 및 모세관을 수용하기 위한 보어를 갖는 감지 요소를 포함하는 액체가 충전된 압력 변환기에서 감지 요소를 모세관에 액체 밀봉되게 고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감지요소의 본제에 1개 이상의 그 속의 통로를 마련하고, 1개 이상의 단부 부재를 마련하며, 모세관의 일부가 상기 본제 통로내로 신장할 수 있게 하면서 모세관을 단부 부재에 고정하고, 액체 밀봉 결합을 위해 본체와 단부 부재를 함께 고정하는 단계들로 구성되는 감지 요소를 모세관에 액체 밀봉되게 고정하기 위한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또한 제2단부 부재 및 관련된 충전관을 마련하고, 충전관을 제2단부 부재에 고정하며, 제2단부 부재를 본체의 반대 단부에 고정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또한 충전 수단을 마련하고 본제의 통로내에 충전 수단을 배치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
  37. 가늘고 긴 관통 통로를 갖는 가늘고 긴 프레임, 프레임 통로를 통해 신장하며 프레임의 1단부에 인접한 1단부에서 종료하는 모세관, 모세관과 연통하는 챔버를 프레임으로 한정하며 프레임의 상기 1단부에 있는 커플러, 프레임의 타단부에 배치되며 모세관을 수용하기 위한 통로를 그 속에 가지며 상기 감지 챔버에 인접한 감지 표면을 형성하는 비교적 얇은 벽을 한정하는 감지 챔버를 그속에 갖는 감지 부재, 적어도 모세관과 감지 챔버를 충전하는 액체, 및 상기 감지 챔버내에 배치되며 상기 모세관의 일부를 포함하는 충전수단을 포함하는 압력 변환기.
  3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수단이 상기 춘전관 일부에 인접한 상기 감지 챔버내에 배치된 충전부를 포함하는 압력 변환기.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과 그 일부가 연속적인 압력 변환기.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챔버가 단일 보어로 구성되며 상기 충전수단이 단일 충전봉으로 구성되는 압력 변환기.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가 원통형이며 상기 충전봉이 마찬가지로 원통형인 압력 변환기.
  42. 가늘고 긴 관통 통로를 갖는 가늘고 긴 프레임, 프레임 통로를 통해 신장하며 프레임의 1단부에 인접한 1단부에서 종료하는 모세관, 모세관과 연통하는 챔버를 프레임으로 한정하며 프레임의 상기 1단부에 있는 커플러, 프레임의 타단부에 배치되며 모세관을 수용하기 위한 통로를 그속에 가지며 상기 감지 챔버에 인접한 감지 표면을 형성하는 비교적 얇은 벽을 한정하는 감지 챔버를 그 속에 갖는 감지 부재, 및 적어도 모세관과 감지 챔버를 충전하는 액체를 포함하며, 상기 모세관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감지 챔버를 충전하며 상기한 얇은 벽과 상기 모세관 일부 사이에 형성된 액체가 충전된 감지 지역을 한정하기 위해 상기 감지 챔버내로 신장하는 그 일부를 갖는 압력 변환기.
  43. 제40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모세관 일부에 인접하는 상기 감지 챔버내에 배치된 충전부재를 포함하는 압력 변환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80006188A 1987-05-27 1988-05-26 압력 변환기 Expired - Lifetime KR970000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054,936 US4829827A (en) 1985-01-07 1987-05-27 Pressure transducer
US054,936 1987-05-27
US185,856 1988-04-25
US07/185,856 US4858471A (en) 1985-11-14 1988-04-25 Pressure transduc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271A true KR880014271A (ko) 1988-12-23
KR970000033B1 KR970000033B1 (ko) 1997-01-04

Family

ID=26733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6188A Expired - Lifetime KR970000033B1 (ko) 1987-05-27 1988-05-26 압력 변환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292839B1 (ko)
JP (1) JPH01124733A (ko)
KR (1) KR970000033B1 (ko)
CA (1) CA1321483C (ko)
DE (1) DE3884052T2 (ko)
DK (1) DK283188A (ko)
FI (1) FI91445C (ko)
NO (1) NO174176C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8753A (en) * 1970-07-28 1972-07-25 Microdot Inc Pressure transducer
US4369659A (en) * 1980-08-11 1983-01-25 Bofors America, Inc. Pressure transducer
US4679438A (en) * 1985-01-07 1987-07-14 Dynisco, Inc. High pressure transducer
US4712430A (en) * 1986-04-04 1987-12-15 Dynisco, Inc. Pressure transdu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174176B (no) 1993-12-13
FI882459L (fi) 1988-11-28
NO882287L (no) 1989-03-13
KR970000033B1 (ko) 1997-01-04
JPH01124733A (ja) 1989-05-17
FI91445B (fi) 1994-03-15
DE3884052T2 (de) 1994-01-20
FI91445C (fi) 1994-06-27
DE3884052D1 (de) 1993-10-21
EP0292839B1 (en) 1993-09-15
NO174176C (no) 1994-03-23
EP0292839A2 (en) 1988-11-30
DK283188A (da) 1988-11-28
EP0292839A3 (en) 1990-06-27
NO882287D0 (no) 1988-05-25
CA1321483C (en) 1993-08-24
FI882459A0 (fi) 1988-05-25
DK283188D0 (da) 198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10394A (ko) 압력 변환기
KR960011394A (ko) 온도측정장치에 있어서의 온도측정센서 소자
SE8204489D0 (sv)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amortisseurs hydrauliques
FR2624235B1 (fr) Manchonnage elastique a remplissage de fluide comportant des moyens de limitation de la deformation elastique des extremites axiales de l'element elastique definissant la chambre de reception de pression
US4679438A (en) High pressure transducer
US4369659A (en) Pressure transducer
US4680972A (en) Pressure transducer
US20140109661A1 (en) Pressure gauge
KR880014271A (ko) 압력변환기
SE8502941D0 (sv) Kennare
JPH022552U (ko)
US4858471A (en) Pressure transducer
US4556473A (en) Flow through type glass electrode
SE8002137L (sv) Tryckgivare
US4200205A (en) Fluid reservoirs for tandem master cylinders
KR880001478A (ko) 탠덤 마스터 실린더
CA1289770C (en) High pressure transducer
KR860004253A (ko) 압력 변환기
ATE254724T1 (de) Druckspeicher
JP2556935Y2 (ja) 流体封入マウント装置
SU1024766A1 (ru) Датчик давлени
JPS6059839U (ja) 液圧緩衝器
SU117014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параметров напр женного состо ни горного массива
JPS61174613U (ko)
JPH02110730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805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303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805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6120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512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