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80007780A - 금속성분의 회수방법 - Google Patents

금속성분의 회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7780A
KR880007780A KR870014619A KR870014619A KR880007780A KR 880007780 A KR880007780 A KR 880007780A KR 870014619 A KR870014619 A KR 870014619A KR 870014619 A KR870014619 A KR 870014619A KR 880007780 A KR880007780 A KR 880007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dried
mineral
lignite
tempera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870014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낵키 필립
크릭톤 해밀톤 케니쓰
스튜어트 버커난 알랜
보우들러 케이쓰
Original Assignee
아이.알.낸키벨
시 알 에이 서비시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알.낸키벨, 시 알 에이 서비시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아이.알.낸키벨
Publication of KR880007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780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61/00Obtaining metals not elsewher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금속성분의 회수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11)

  1. 티타늄, 지르코늄 및/또는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광물로부터 염화물로 금속성분을 회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광물과 주로 전단력을 갈탄에 가해줌에 의해 제조한 습한 가소성 덩어리의 합성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합성혼합물을 압축시켜 압축 덩어리를 형성하고, 상기 압축 덩어리를 건조시키고, 그리고 상기 건조 및 압축된 덩어리를 가열하여 전류된 덩어리를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건류된 덩어리를 염소하에서 가열시켜 티타늄, 지르코늄 및/또는 마그네슘의 염화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분의 회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혼합물을 먼저 미세하게 분쇄된 상기 광물을 갈탄과 혼합하고 그리고 그후 상기 광물과 갈타의 혼합물에 상기 전단력을 가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분의 회수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혼합물을 갈탄에 미세하게 분쇄된 상기 광물을 첨가시킴과 동시에 그것에 전단력을 가해줌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성분의 회수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갈탄에 먼저 주로 전단력을 가해줌으로써 습한 가소성 덩어리를 형성하고, 그리고 그 후 미세하게 분쇄된 상기 광물을 상기 가소성 덩어리와 혼합시켜 상기 합성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성분의 회수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은 일메나이트, 루우틸, 지르콘 및 마그네사이트로부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분의 회수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된 덩어리를 주위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분의 회수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류된 덩어리는 상기 건조 및 압축된 덩어리를 500 내지 900℃ 범위의 온도로 가열시켜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뷴의 회수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은 지르코늄 및/또는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그리고 상기 건류된 덩어리는 상기 건조 및 압축된 덩어리를 약 900℃에서 가열시킴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분의 회수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류된 덩어리를 500 내지 1000℃ 범위의 온도에서 염소 존재하에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분의 회수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은 티나늄을 함유하고 그리고 상기 건류된 덩어리는 500 내지 650℃ 범위의 온도에서 염소 존재하에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분의 회수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은 지르코늄 및/또는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그리고 상기 건류된 덩어리는 960 내지 980℃의 온도 범위에서 염소 존재하에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분의 회수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870014619A 1986-12-18 1987-12-18 금속성분의 회수방법 Withdrawn KR8800077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H9567 1986-12-18
AUPH956786 1986-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780A true KR880007780A (ko) 1988-08-29

Family

ID=3771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70014619A Withdrawn KR880007780A (ko) 1986-12-18 1987-12-18 금속성분의 회수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KR (1) KR880007780A (ko)
BR (1) BR8706886A (ko)
DD (1) DD279662A5 (ko)
IN (1) IN169020B (ko)
MY (1) MY102268A (ko)
NZ (1) NZ222730A (ko)
PH (1) PH25253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02268A (en) 1992-05-15
NZ222730A (en) 1990-08-28
BR8706886A (pt) 1988-07-26
PH25253A (en) 1991-03-27
IN169020B (ko) 1991-08-17
DD279662A5 (de) 1990-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7511947L (sv) Forbrenning av en vatten-i-olja-emulsion innehallande kolpulver
KR950016682A (ko) 뜸쑥 제조 방법
KR890010072A (ko)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880007780A (ko) 금속성분의 회수방법
NO852360L (no) Fremgangsmaate til fremstilling av deponerbare produkter fra miljoeskadelige saltblandinger.
BR8907582A (pt) Aglomerados sinterizados com alto teor de titanio
KR930002272A (ko) 건물 보호용 다기능 분말 및 그 제조 방법
KR890017193A (ko) 소성경량골재의 제조방법
ES441867A1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piezas de construccion en forma de placa o cordon.
Hannaker et al. Chlorination of Metallurgical Composites
KR910020126A (ko) 무취금속안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Raith et al. Fibrous chlorite and muscovite from the Kaisersberg graphite mine, Styria, Austria
SU147519A1 (ru) Способ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керам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SU125507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доломитовых и доломитомагнезитовых изделий со свободной известью
KR870010199A (ko) 중질유와 석탄 혼합물에 의한 철광석의 직접환원 및 가탄방법
MX164932B (es) Produccion de elementos y compuestos mediante deserpentinizacion de roca ultramafica
KR870005056A (ko) 콘크리트 제품의 이형제 제조방법
Willhoft Extraction of Aluminum From Minerals
DK0385493T3 (da)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chlorsilicater samt deres anvendelse
US368552A (en) Adolph
GB1268520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thods of utilizing a combustible binder in the treatment of conglomerate ores, ceramic products and the like
KR910007442A (ko) 즉석 배추 된장국의 제조방법
KR890006281A (ko) 맥반석의 가공방법
KR920019411A (ko) 천연 퍼어라이트(perlite)를 이용한 수분 흡착제의 제조방법
KR940021451A (ko) 이산화 규소 함유물질을 주원료로 한 건자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12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