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861B1 - Writing utensils - Google Patents
Writing utensil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80001861B1 KR880001861B1 KR1019850009887A KR850009887A KR880001861B1 KR 880001861 B1 KR880001861 B1 KR 880001861B1 KR 1019850009887 A KR1019850009887 A KR 1019850009887A KR 850009887 A KR850009887 A KR 850009887A KR 880001861 B1 KR880001861 B1 KR 8800018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n
- shaft
- knock
- clip
- outer cylin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의 요부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펜과 펜호울더 및 가이드부재의 분해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en and pen holder and the guide member.
제3(a)도는 노크부의 사시도.3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knock part.
제3(b)도 내지 제3(d)도는 제3(a)도의 노크부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3 (b) to 3 (d) are front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knock portion in FIG. 3 (a).
제4도는 필기구의 클립부 외관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ip portion of the writing instrument.
제5도는 제1도의 Ⅴ-Ⅴ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제6도는 제5도의 동작도.6 is an operation diagram of FIG.
제7도는 제5도의 Ⅶ-Ⅶ선 단면도.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5. FIG.
제8도는 제6도의 Ⅷ-Ⅷ선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 of FIG.
제9(a)도 내지 제9(e)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루의 각종부위의 작동설명도이다.9 (a) to 9 (e) are explanatory views of operations of various parts of the writing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외통 2 : 노크축1: outer cylinder 2: knock shaft
3,4,5 : 펜호울더 6 : 슬릿트3,4,5 Pen holder 6: Slit
7 : 푸시핀(push pin) 8 : 가이드부재7: push pin 8: guide member
9 : 안내편 10 : 중심공9: guide 10: the central hole
11 : 가이드핀 12 : 가이드홈11: guide pin 12: guide groove
13,14,15 : 펜축 16 : 걸림편13,14,15: Pen shaft 16: Hanging piece
17 : 선택링 18,19 : 고정링17:
20 : 스프링 21,22,23 : 마아크(mark)20:
25 : 제동기구 26 : 압입부25
27 : 제동판 28 : 축끼움구멍27: braking plate 28: shaft hole
28a : 스토퍼끼움구멍 29 : 걸림편28a: stopper hole 29: locking piece
30 : 스토퍼 31 : 클립30: stopper 31: clip
32 : 클립기초부 33 : 묻힘편32: clip foundation 33: buried piece
34 : 돌기부 35 : 걸림홈34: projection 35: locking groove
36 : 클립설치구멍 37 : 지우개수납부36: clip mounting hole 37: eraser housing
38 : 지우개 39 : 노크캡38: eraser 39: knock cap
본 발명은 샤아프펜슬이나 볼펜과 같은 필기구의 노크(knock)부를 개량한 것으로, 특히 더블 노크식의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종래의 샤아프펜슬등에 있어서는 외통이나 펜축선단의 선단캡내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그 선단캡으로 부터 출몰하게 되는 필심가이드와, 이 필심가이드에 끼워지는 필심이 단계적으로 차례로 출몰시켜 지도록 된 더블 노크식으로 된 필기구로서 여러가지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pencil and the like, the lead guide inserted into the outer cap or the tip cap of the pen shaft tip to be reciprocat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emerged from the tip cap, and the lead inserted into the lead guide step by step As a double-knock writing instrument, there were various structure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필기구에 있어서의 더블 노크 기구는 예컨대 회전캠등을 사용하고 있음을 따라 그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있었고 그 때문에 조립하는 데에도 상당한 수고가 따라 제조비용이 높아지게 되고, 또한 노크조작을 할때에 오동작이나 고장이 발생하기 쉬울뿐만 아니라 회전캠등을 원통내에 설치하기 위해서 원통직경을 크게 해야함은 물론 특히 필심을 집어넣기 위해서도 노크조작을 해야만 하여 만일 노크조작을 하지않은 채로 포켓트등에 휴대하면 옷을 더럽히게 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However, the double knock mechanism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writing implements has a complicated structure due to the use of a rotary cam, for example, and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due to considerable effort in assembling. When operating, it is not only easy to malfunction or breakdown, but also to increase the cylinder diameter in order to install the rotary cam in the cylinder, and to knock in particular, the pocket must be operated without knocking. If you carry it on your back,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dirty clothes.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그 구성부품 수가 적어 구성이 간편하고 이에 따라서 비용절감을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포켓트등에 필기구를 넣어 끼울때 클립의 벌어지는 동작에 의해 펜선단이 자동적으로 외통내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휴대시에 옷등을 더럽히게 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위한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mall number of components, which is easy to configure and thu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In particular, when the pen is inserted into a pocket or the like, the pen tip is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clip.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riting instrument for automatically allowing the user to enter the outer cylinder so that the clothes and the like are not polluted at the time of carrying.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필기구는 펜축이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외통과, 이 외통의 후측내부에 그 기초부를 축방향 및 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시킨 클립, 상기 외통내로 축방향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펜축이 이동에 따라 후퇴방향으로 탄지되는 노크축, 상기 외통 후측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노크축이 관통되어 미끄럼 이동시에 탄성변형되는 제동수단 및 상기 노크축에 설치되어 노크시에 상기 제동수단을 전방으로 관통 시켜 필기위치에서 그 제동수단의 전단부에 끼워맞춰지는 한편, 상기 클립이 이동됨에 따라 탄성변형되는 제동수단에 의해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해제되게 되는 스토퍼로 구성된 특징을 갖고 있다.The composite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an outer cylinder in which the pen shaft is slidably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clip attached to the rear inner side of the outer cylinder so as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radial direction, axial sliding into the outer cylinder. The knock shaft is inserted into the movable shaft so that the pen shaft is held in the retreat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and the brake shaft penetrates the knock shaft while being installed in the rear side of the outer cylinder and is elastically deformed at the sliding movement. The stopper penetrates the braking means forward and fits to the front end of the braking means in the writing position, and is released in the fitted state by the braking means elastically deformed as the clip is moved. have.
따라서 위 설명내용과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노크축을 강하게 노크하면 이 노크축과 함께 스토퍼가 전진하여 제동수단을 통과하고, 필기위치에서 상기 제동수단의 선단부에 스토퍼가 끼워맞춰 짐에 따라 상기 노크축이 필심송출 위치에서 고정되게 된다. 이렇게 고정된 상태에서 클립을 이동시키면 제동수단이 탄성변형하여 상기 스토퍼의 끼워맞춰진 상태에 해제되고, 이에 따라 노크축과 함께 펜축이 탄발력으로 후퇴함에 따라 펜선단이 외통내로 들어가게 된다. 또 필기구를 포켓등에 넣고자 할때에도 클립을 벌려서 끼우게 될때 그 동작에 의해 펜선단이 자동적으로 외통내에 넣어지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knock shaft is strongly knocked, the stopper advances with the knock shaft and passes through the braking means, and the knock shaft is fitted as the stopper is fitted to the distal end of the braking means at the writing position. It is fixed at the pen delivery position. When the clip is moved in this fixed state, the braking means is elastically deformed and released in the fitted state of the stopper. As a result, the pen tip is retracted with elasticity and the pen tip enters the outer cylinder as the pen shaft retracts. The pen tip is automatically inserted into the outer cylinder by the action when the clip is opened with the clip open.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과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tail about its configuration, operation and effects.
우선 제1도에서, 참조부호 1은 복합필기구의 본체인 원통형의 외통이고, 상기 외통(1)의 뒷쪽 내부에는 축심부를 따라 1개의 노크축(2)이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First, in FIG. 1,
상기 노크축(2)의 선단쪽 부근에서 상기 외통(1)내의 축회전 방향으로는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펜호울더(3,4,5)가 각각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납배치되어 있다.The
상기 각 펜호울더(3,4,5)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각의 주위벽 일부에 축방향을 따라 슬릿트(6)가 형성된 슬리이브 형태로 되고 이 슬리이브 형태의 펜호울더 후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푸시 핀(push pin, 7)을 갖추고 있다.Each of the
상기 펜호울더(3,4,5)와 노크축(2)은 외통(1)내에 눌려 끼워져 고정된 가이드부재(8)에 의해 각각 공통으로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상기 가이드부재(8)는, 제2도에서처럼 중심공(10)을 갖는 원판형상의 안내편(9)과, 이 안내편(9)의 후단쪽 주변부에 그 전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후방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개(펜호울더와 같은 갯수)의 가이드 핀(11)과, 상기 안내편(9)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가이드핀(11) 사이사이에 형성시킨 반원형상의 가이드홈(12)으로 되어있고, 상기 가이드 핀(11)은 각각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guide member 8 has a disk-shaped guide piece 9 having a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8)의 가이드홈(12)에 상기 펜호울더(3,4,5)의 푸시핀(7)의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놓여지게 된다. 한편, 각 펜호울더(3,4,5)에는 볼펜이나 샤아프펜등의 필기종류가 다른 펜축(필심파이프)(13,14,15)의 후단이 끼웠다 뺄 수 있도록 눌려끼워 지게 된다.Therefore, the
이들 펜축(13,14,15)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등의 탄성체에 의해서 후퇴방향으로 이동되는 탄발력을 각각 가지고 있고, 이들의 탄발력은 상기 펜호울더(3,4,5)의 각각에 작용하고 있다.These pen shafts 13, 14, and 15 each have an elastic force that is moved in the retreat direction by an elastic body such as a spring (not shown), and these elastic force act on each of the
또, 상기 펜축(13,14,15)내의 샤아프펜에 있어서는 어느곳도 도시되지 않은 리이드척, 척링, 상기 리이드 척을 필심파이프와 함께 후퇴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등의 탄성체로 되어있고, 상기 노크축(2)의 더블노크조작에 의해 펜 앞까지는 필심가이드와 필심을 차례차례 순차적으로 송출시키기 위한 필심송출기구가 선단쪽에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mechanical pencils in the pen shafts 13, 14, and 15, a lead chuck, a chuck ring, and an elastic body such as a spring which holds the lead chuck together with the peel core pipe in the retracting direction are not shown at all. By the double knock operation of the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8)의 중심공(10)에는 노크축(2)의 선단쪽이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노크축 선단에는 상기 중심공(10)으로 부터 노크축(2)이 후퇴방향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편(16)이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eading end of the knock shaft (2) is inserted in the
또, 노크축(2)의 중앙부에는 편심위치로 자중에 의해 하강해서 상기 펜호울더(3,4,5)의 어느쪽이든 푸시핀(7) 후단에 걸려지거나 해제되도록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선택링(17)이 형성되어 있고, 또 이 선택링(17)의 축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전후 한쌍의 고정링(18,19)이 같은 축상에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또, 상기 고정링(18)과 상기 가이드부재(8) 사이에는 스프링(20)이 끼워져 이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노크축(2)이 항상 후퇴하는 방향으로 탄지되고 있다.In addition, a
이 경우의 스프링(20)은 상기 펜호울더(3,4,5)에 있는 샤아프펜의 리이드척을 탄지하는 탄성체 보다도 강력한 것이 사용된다.The
또, 외통(1) 표면에는 각 펜축(13,14,15)의 종류를 나타내는 마아크(21,22,23)가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이들의 마아크(21,22,23)는 상기 펜축(13,14,15)의 각각에 대응하게 되므로 그 대응한 펜축(13,14,15)이 외통(1)내의 아래위치(선택링(17)이 자중으로 하강해서 하위에 있는 펜호울더(3,4,5)의 푸시핀(7)의 후단에 걸어 맞춰지는 위치)에 있는데 그 아래위치에 펜축(13,14,15)의 종류를 외통(1)상측표면부에 표시해 준다.These
다시말하면, 상기 마아크(21,22,23)의 하나를 선정해서 상측으로 향하게 하면 그에대해 필기할 종류의 펜축(13,14,15)이 외통(1)내의 아래위치에 있으므로 그 펜호울더(3,4,5)의 푸시핀(7)의 후단에만 상기 선택링(17)이 자중으로 강하됨에 따라 걸어 맞춰져서 노크가 될 수 있는 상태로 되며 상기 아래위치 이외의 펜축(13,14,15)은 노크 불가능한 후퇴위치(외통1 내의 투입위치)로 확보되도록 되어있다.In other words, when one of the
또, 외통(1) 후측 내부에는 노크축(2)을 더블 노크위치로 체결시키기 위한 제동기구(25)가 설치되어 있다.A
상기 제동기구(25)는 외통(1)의 클립(31)과 함게 장착되며, 제3(a)도에 상세히 도시한 대로, 상기 제동기구(25)는 원통형상의 압입부(26)와, 이 압입부(26)의 전단 하부주변을 따라서 상방으로 굴곡되는 탄성변형 가능한 제동판(27)과 이 제동판(27)의 굴곡부 부근으로 부터 상측으로 형성된 축끼움구멍(28)과, 상기 제동판(27)의 상단부에 휘어진 상태로 되어서 클립(31)의 우단측에 걸거나 벗길 수 있게 하기 위한 걸림편(29)으로 되어있다.The
또, 이 제동기구(25)는 그 압입부(26)가 상기 외통(1)의 후측 내부로 압입고정되며, 또한 제동판(27)의 축끼움구멍(28)에 상기 노크축(2)이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되어있다.In addition, the
축끼움구멍(28)은, 예를 들면 제3(a)도 및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이 작은 스토퍼끼움구멍(28a)을 설치한것과 제3(c)도 및 제3(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측쪽이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는것등 어느것으로 해도좋다.As shown in Figs. 3 (a) and 3 (b), the shaft
한편, 노크축(2)에는 상기 제동판(27)의 축끼움구멍(28)을 관통시켜 그 제동판(27)의 전단에 이착탈이 가능하게 형성시킨 테이퍼진 링으로 된 스토퍼(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30)는 노크축(2)의 노크시에 전진해서 상기 제동판(27)을 탄성 변형시킴과 동시에 그 축끼움구멍(28)을 지나 전방으로 통과된 후 상기 제동판(27)의 탄성복원작용으로 상기 축끼움구멍(28)의 전단 하부주변에 걸려지도록 되어있다. 이 상태의 스토퍼(30)는 축끼움구멍(28)의 전단 하부 주변부가 노크축(2)으로 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제동판(27)을 탄성변형시킴에 따라 걸려진것이 해제되고, 이때 노크축(2)이 스프링(20)에 의해 후퇴이동되므로 상기 축끼움구멍(28)을 지나 후방으로 통과한다.On the other hand, the
이 경우에 상기 스토퍼(30)의 걸림해제수단(제동판(27)을 탄성변형시키기 위한 조작수단)은 상기 클립(31)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클립(31)은 이 클립(31)이 고정되는 클립기초부(32)로 부터 두갈래로 나누어진 묻힘편(33)을 갖추고, 이 묻힘편(33) 선단에는 둥근 돌기부(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클립의 기초부(32) 이면측에는 상기 제동판(27)의 걸림편(29)을 걸어놓을 수 있도록 걸림홈(35)이 형성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locking release means (operation means for elastically deforming the brake plate 27) of the
상기 클립(31)의 외통(1)의 후단측 주변벽에 개구된 상태로 형성된 클립 설치구멍(36)을 통해서 외통(1)내에 묻힘편(33)을 수납시키도록 함에 따라 클립기초부(32)를 상기 클립 설치구멍(36)에 이동가능하게 끼우고, 그 클립기초부(32) 걸림홈(35)에 제동판(27)의 걸림편(29)을 탄성적으로 눌러 붙인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같은 클립(31)의 부착구조에 있어서 클립설치구멍(36)은 클립기초부(32)보다도 축방향 길이가 적당하게 길도록 형성되어있다.The
따라서, 클립(31)은 클립 설치구멍(36)내의 범위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또 클립기초부(32)가 상기 클립설치구멍(36)으로 부터의 출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있다. 또한 제1도중 부호 37은 노크축(2)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외통(1)의 후부방향으로 이어져 나온 지우개 수납부이고, 38은 그 지우개 수납부(37)의 기단부가 끼워 넣어진 지우개, 39는 상기 지우개 수납부(37)에 착탈가능하게 씌워져 끼워진 지우개 캡을 겸한 노크캡이다.Therefore, the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제1도 및 제9(a)도에서는 펜축(1314,15)이 넣어진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는 노크축(2)이 스프링(20)의 탄성력으로 후퇴하여 스토퍼(33)가 제동판(27)의 후방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또 상기 제동판(27)의 축끼움구멍(28)의 하부 가장자리가 노크축(2)에 압축되어 붙어있거나 접근해 있다.In FIGS. 1 and 9 (a), pen shafts 1314 and 15 are inserted, and in this state, knock
또한, 제4도의 첫번째의 마아크(21)가 윗쪽에 있어서 이 마아크(21)에 맞은 펜호울더(3)가 외통(1)내의 아래 위치에 있게 된다.Further, the
이때문에 선택링(17)은 자중으로 하강하여 상기 아래위치의 펜호울더(3)의 푸시핀(7) 후단에 걸어맞춰지는 위치로 확보된다. 여기서, 이 아래위치의 펜호울더(3)가 샤아프펜용이고 다른 위에 위치의 펜호울더(4,5)가 볼펜용의 것으로 하여 작용을 설명한다.For this reason, the
상기한 필심수납상태에서 제9(b)도와 같이 노크캡(39)을 노크하면 노크축(2)이 스프링(20)을 누르며 전진하고, 이 노크축(2)과 함께 선택링(17)이 전진함에 따라 이 노크링(17)에서 아래위치의 펜호울더(3)가 전방으로 눌려지고 전진하여 그 계통의 샤아프펜용 펜축(13)만이 외통(1)의 선단으로 부터 선택적으로 송출된다.When the
이경우, 상기 노크축(2)과 함께 전진하는 스토퍼(30)는 제동판(27)의 축끼움구멍(28)을 전방으로 통과하고 그 통과후의 노크해제로 노크축(2)이 탄성체(20)에 의해 조금 후퇴 이동하면 상기 스토퍼(30)가 제동판(27)의 앞단에서 축끼움구멍(28)의 하부가 가장자리로 걸어맞춰져 노크축(2)이 펜송출 위치에서 체결된 펜송출상태로 유지된다. 이 펜송출상태에서 노크캡(39)의 약한 누름조작을 행하면 스토퍼(30)가 제동판(27)의 선단부에 있는 상태로 노크축(2)이 적은 행정의 전진후퇴를 반복 조작함에 따라 상기 샤아프펜용 축(13)선단의 필심송출기구가 작동해서 상기 펜축(13)이 선단으로 부터 필심이 순차적으로 송출된다.In this case, the
따라서, 약한 누름동작을 반복시행함에 따라 샤아프심의 송출길이가 조절되어 더블노크기능을 발휘한다. 이어서, 상기 펜송출상태로 부터 클립기초부(32)를 제9(c)도의 화살표(P1)방향, 제9(d)도의 화살표(P2)방향으로 누르던가 혹은 클립(31)의 선단을 제9(e)도의 화살표(P2)방향으로 올리면 그 어느쪽의 경우에 있어서도 제동판(27)이 같은 도면중의 점선과 같이 아래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이에 따라 제동판(27)의 축끼움구멍(28) 하부가 가장자리가 스토퍼(30)로 부터 떨어져 그 스토퍼(30)가 상기 축끼움 구멍(28)을 후퇴방향으로 통과 가능한 상태로 된다.Therefore, as the weak pressing ope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the discharging length of the sharp core is adjusted to exert a double knock function. Subsequently, from the pen dispensing state, the
이때문에 노크축(2)이 스프링(20)의 탄성력으로 후퇴됨과 동시에, 상기 송출위치의 하부위치에 있는 펜축(13)도 스스로의 탄성력이 후퇴이동하여 외통(1)내로 들어간다.For this reason, the
그후, 제4도의 마아크(22,23)를 위쪽으로 하면 그 마아크에 대응한 펜호울더(4,5)가 외통(1)내의 아래위치로 내려 오게 됨에 따라 그 아래위치 펜호울더(4,5) 계통의 펜축(14,15)을 상기의 경우와 같은 모양으로 동작시켜 진행한다.Then, when 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동기구와 노크축에 설치된 스토퍼와의 간단한 조합에 의해 펜촉을 3가지 방법으로 선택사용하여 외통내로 들여보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using a simple combination of the brake mechanism and the stopper provided on the knock shaft, the nib can be selected and used in three ways to be introduced into the outer cylinder.
또, 구성이 간단하고 부품수가 감소되어 코스트가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is simple and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cost.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50009887A KR880001861B1 (en) | 1985-12-27 | 1985-12-27 | Writing utensil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50009887A KR880001861B1 (en) | 1985-12-27 | 1985-12-27 | Writing utensil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5824A KR870005824A (en) | 1987-07-07 |
KR880001861B1 true KR880001861B1 (en) | 1988-09-23 |
Family
ID=19244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50009887A Expired KR880001861B1 (en) | 1985-12-27 | 1985-12-27 | Writing utensil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80001861B1 (en) |
-
1985
- 1985-12-27 KR KR1019850009887A patent/KR880001861B1/en not_active Expir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5824A (en) | 1987-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270870A (en) | Mechanical pencil with chuck closing by normal writing grip | |
KR0120875Y1 (en) | Side knock type mechanical pencil | |
EP0337447A1 (en) | Mechanism for put in and out the head of writing shaft in a writing tool | |
JPH0215669Y2 (en) | ||
EP0257883B1 (en) | Dual refill writing utensil | |
US4948285A (en) | Ball point pen with two cartridges | |
US3544227A (en) | Writing instrument | |
US6447193B1 (en) | Writing utensils | |
US7452147B2 (en) | Writing instrument with a lateral button | |
KR880001861B1 (en) | Writing utensils | |
US6095706A (en) | Writing instrument operated by a finger at a holding position | |
EP0538503B1 (en) | A rotary-cam ball-point pen | |
JP3571682B2 (en) | Mechanical pencil cursive | |
US5588764A (en) | Lock for deflectable writing utensil | |
KR900003813Y1 (en) | Mechanical pencil | |
KR880001862B1 (en) | Multiple writing appliances | |
KR920003777Y1 (en) | Writing device | |
EP4253078A1 (en) | Writing instruments | |
JPS62117797A (en) | Composite writing utensil | |
KR970003358Y1 (en) | Slider of mechanical pencil | |
JPS5826584U (en) | double writing instrument | |
JPS6227434Y2 (en) | ||
KR880001959Y1 (en) | Double sharp pencil | |
JPH0370994U (en) | ||
KR890003848B1 (en) | Compound writing instru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4091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509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50924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