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80001829B1 - 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829B1
KR880001829B1 KR1019810003710A KR810003710A KR880001829B1 KR 880001829 B1 KR880001829 B1 KR 880001829B1 KR 1019810003710 A KR1019810003710 A KR 1019810003710A KR 810003710 A KR810003710 A KR 810003710A KR 880001829 B1 KR880001829 B1 KR 880001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dimethyl
cis
cyclopropane
cyano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3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615A (ko
Inventor
쟉끄 마르뗄
쟝 뜨시에르
앙드레 뜨셔
Original Assignee
로우셀 우크라프
허버트 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우셀 우크라프, 허버트 후리텔 filed Critical 로우셀 우크라프
Publication of KR830007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829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62Oxygen or sulfur atoms
    • C07D213/63One oxygen atom
    • C07D213/64One oxygen atom attached in position 2 or 6
    • C07D213/647One oxygen atom attached in position 2 or 6 and having in the molecule an acyl radical containing a saturated three-membered ring, e.g. chrysanthemum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74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69/743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acids with a three-membered ring and with unsaturation outside the ring
    • C07C69/747Chrysanthemumic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cyclopropane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05Aliphatic or ali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1Aromat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25Poly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Indole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 Furan Compounds (AREA)
  • Pyrane Compounds (AREA)
  • Thiazole And Isothizaole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신규의 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다음 구조식(Ⅰ)을 갖는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은 같거나 다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작용기로 치환 가능한 C1-C8의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나 측쇄, 혹은 고리형 알킬기, 또는 같거나 다른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작용기로 치환 가능한 C8-C14의 아릴그룹, 또는 같거나 다른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작용기로 치환 가능한 헤테로 사이클기이고, B는 C1-C18인 포화 또는 불포화된 직쇄, 측쇄 또는 고리형 알킬기이거나 피레트리노이드계의 에스테르의 합성에서 이용되는 알콜의 잔사이며, X는 할로겐원자, 그리고 이중 에틸렌 결합은 Z나 E 기하구조를 갖는다.
구조식(Ⅰ)의 화합물은 많은 입체 이성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실제로 이들은 시클로프로판의 1과 3위치에 두개의 비대칭 탄소를 가지며 또한 R 부분에서와 같이 B부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대칭 중심을 갖는다.
B가 알킬기이면 이는 대개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수부틸 또는 3차부틸기이다.
B가 페스티시드에스테르의 합성에서 이용된 알콜의 잔사일 경우, 이는 대개 나중에 열거할 잔사들 가운데 하나를 나타낸다.
R이 직쇄나 측쇄의 포화 알킬기이면 이는 대개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2차부틸, 이소부틸, n-펜틸, n-헥실, 3차부틸, 3차펜틸 또는 네오펜틸기이다.
R 이 환형기일 경우는 대개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또는 시클로 헥실기, 환형기를 갖는 직쇄나 특쇄 알킬기 또는 -COO-그룹이 1-메틸시클로부틸, 1-메틸시클로펜틸, 1-메틸시클로헥실, 또는 2,2,3,3-테트라메틸시클로프로필기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알킬기로 치환된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또는 시클로헥실기이다.
R이 불포화 알킬기이면 이는 비닐이나 1,1-디메틸알릴기와 같은 에틸렌기, 또는 에티닐이나 프로피닐기와 같은 아세틸렌기일 것이다.
R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 그룹으로 치환될 알킬기일 경우 이 알킬기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또는 3차부틸기와 같이 C1-C8인 알킬기이다. 아울러 이때의 기능 그룹들은 할로겐원자, OH 나 SH그룹, OR'나 SR'그룹(R'는 C1-C8인 알킬기이다)-NO2그룹, 또는
Figure kpo00002
그룹(여기에서 R"와 R'"는 같거나 다른것으로서 각기 수소, 또는 C1-C8인 알킬기를 나타낸다), -C=N, -SO3H혹은 -PO4H2그룹, 또는 -COalk1, SO2alk2, 혹은 -SO3alk3그룹으로서 여기에서 alk1, alk2, alk3는 C1-C18인 알킬기를 나타낸다.
R은 또한 그 자체가 C1-C8인 alk그룹이나 -OH, -Oalk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치환된 벤질이나 펜에틸기와 같은 아릴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H3, -OCF3', -SCF3또는 그룹(G)에 의해 치환된 알킬기를 나타낸다.
Figure kpo00003
R은 또한 그룹(G1)에 의해 두 인접탄소에 치환된 알킬기를 나타낸다.
Figure kpo00004
(G1)은 또한
Figure kpo00005
그룹으로 치환되어 있다.
R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그룹으로 치환된 알킬기의 경우,
R은 일반적으로 -(CH2)n-CHal3로서 n이 1-8인 정수이고 Hal은 할로겐원자인 기, 즉 -CH2-CCl3, -CH2-CF3, -CH2-CH2-CCl3나 -CH2-CH2-CF3기, -(CH2)n1-CH Hal2로서 n은 0-8인 기, 즉 -CH2-CHCl2, -CH2-CHF2나 -CHF2기, -(CH2)n-CH2Hal로서 -CH2Hal로서 -CH2-CH2Cl이나 -CH2-CH2F기, -C-(CHal3)3로서 -C-(CF3)나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CH2)n-OR'기로서 R'가 C1C8인 직쇄나 측쇄 알킬기이거나 수소인 기, 즉 -CH2-OCH3, -CH2-CH2-O-CH3, -CH2-CH2-O-CH2-CH3또는 -CH2-CH2-OH 기, 또는
Figure kpo00009
(식중, n 및 R'은 상기에 정의한 바와 같고, 두 R'는 서로 같지 않음) 즉, 예를 들면
Figure kpo00010
R이 치환 가능한 아릴기인 경우는 대개 페닐기이거나 대개 페닐기이거나 혹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OH, Oalk그룹(C1-C8), 또는 할로겐이나 -CF3, -OCF3, 혹은 -SCF3그룹으로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낸다. R이 헤테로사이클기인 경우는 대개 피리디닐, 푸라닐, 티올페닐, 옥사졸릴, 또는 티아졸릴기이다.
할로겐으로는 불소, 염소, 브롬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특히 시클로프로판산 접합부가 1R, 시스, 또는 1R, 트랜스 구조인 화합물을 다루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 가운데는 그 이중결합이 E 기하구조인것들과 X가 불소인 것들을 들 수 있고, 또한 R이 C1-C8인 직쇄나 측쇄알킬기로서 특히 에틸기, 3차부틸기, 혹은 시클로프로필이나 시클로프로필메틸기인것을 들 수 있다.
아울러 R이 C1-C8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나 측쇄 알킬인 화합물들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R이 (CH2)mO(CH2)n-CH3기(m은 1-8인 정수이고 n은 0-8인 정수이다). 특히 -CH2O-CH3기인 구조(Ⅰ)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특히 B가 다음과 같은 것을 나타내는 구조(Ⅰ)의 화합물을 들 수 있는데 이때 B는 -C1-C18인 알킬기, -또는 C1-C4의 알킬기, C2-C6의 알케닐기, C2-C6의 알케닐옥시기,C4-C8의 알카디에닐기, 메틸렌디옥시기, 그리고 할로겐원자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로 치환 가능한 벤질기, -또는 R1이 수소나 메틸기이고 R2는 모노사이클아릴기나 -CH2-C=CH그룹, 특히 5-벤질 3-푸릴메틸그룹인 다음 그룹.
Figure kpo00011
-a가 수소나 메틸기이고 R3가 C2-C6인 유기 지방족기로서 특히 -CH2-CH=CH2, -CH2-CH=CH-CH3, -CH2-CH=CH-CH=CH2또는 -CH2-CH=CH-CH-CH2-CH3인 다음과 같은 그룹.
Figure kpo00012
- 또는 R1'와 R2'가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 할로겐, C1-C6인 아릴기, C6-C10인 아릴기, C2-C5인 알킬옥시카보닐 그룹이나 시아노 그룹인 다음 그룹.
Figure kpo00013
-또는 B'가 산소나 황, 혹은
Figure kpo00014
또는 -CH2-그룹이나 설폭사이드, 혹은 솔폰그룹이고 R4는 수소, CN기, 메틸기, -CONH2기, CSNH2기나 -C CH기, R5는 할로겐이나 메틸기이며 n=0-1인 정수로서 특히 -3-페녹시 벤질그룹, α-시아노 3-페녹시벤질, α-에틸닐 3-페녹시벤질, 3-벤조일 벤질, 1-(3-페녹시페닐)에틸, 또는 α-티오아미도 3-페녹시 벤질그룹,
Figure kpo00015
-또는 다음 그룹
Figure kpo00016
-또는 R6,R7,R8,R9가 각기 수소, 염소 혹은 메틸기이며 S/I는 방향족고리나 유사디하이드로 및 테트라하이드로 고리를 나타내는 다음 그룹.
Figure kpo00017
-또는 R10이 수소나 CN기,R12는 -CH2-기나 산소, R11은 티아졸릴기나 티아디아졸릴기로서 그의
Figure kpo00018
결합은 가능한 어느 위치에도 존재 가능하며, R12는 황과 질소원자 사이에 포함된 탄소원자에 의해 R11에 부착되어 있는 다음 그룹.
Figure kpo00019
-또는 다음 그룹.
Figure kpo00020
-또는 R13이 수소나 CN기인 다음 그룹.
Figure kpo00021
-또는 다음 그룹.
Figure kpo00022
-또는 R14가 수소, 메틸, 에티닐이나 시아노기이며 R15와 R16은 수소, 불소, 또는 브롬인 다음 그룹.
Figure kpo00023
-또는 R17이 C1-C4인 알킬그룹, C1-C4인 알콕시오그룹, C1-C4인 알킬술포닐그룹, 트리플루오로메틸그룹, 3,4-메틸렌디옥시그룹, 염소, 불소, 또는 브롬이고 p는 0-2인 정수, B"는 산소나 황인 다음과 같은 그룹이다.
Figure kpo00024
B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알킬기로 치환된 벤질기이면 대개 메틸이나 에틸기이다.
B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알케닐기이면 대개 비닐, 알릴, 2-메틸알릴, 혹은 이소부테닐기이다.
B가 알카디에닐기로 치환된 벤질기인 경우에는 탄소수가 4,5 또는 6인 알카디에닐기로 치환된 벤질기이다.
B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알케닐옥시기로 치환된 벤질기이면 대개 비닐옥시, 알릴옥시, 2-메틸알릴옥시, 또는 이소부테닐옥시기이다.
B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벤질기인 경우 그 할로겐은 대개 염소, 브롬, 또는 불소이다.
B가 다음과 같은 기를 나타낼 경우
Figure kpo00025
R3는 대개 -CH2-CH=CH2, -CH2-CH=CH-CH3, -CH2-CH=CH-CH=CH2나 -CH2-CH=CH-CH2-CH3기이다.
R1'와 R2'가 할로겐인 경우는 대개 염소, 브롬, 불소이다.
R1'와 R2'가 알킬기인 경우에는 메틸, 에틸, n-프로필, 또는 n-부틸기이다.
R1'와 R2'가 알킬옥시 카보닐기이면 대개 메톡시카보닐기나 에톡시카보닐기이다.
Figure kpo00026
와 같은 기에서 R17이 알킬, 알콕시, 알킬티오, 또는 알킬 설포닐기이면 이는 대개 메틸, 에틸, 메톡시, 에톡시, 메틸티오, 에틸티오, 메틸술로닐, 또는 에틸술포닐기이다.
B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다른 화합물 가운데 다음 구조식(ⅠA)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Figure kpo00027
상기식에서 A는 산소, 메틸렌그룹, 카보닐그룹, 황, 설폭사이드그룹, 또는 술폰그룹이고 R18은 C1-C8의 직쇄나 측쇄 알킬기이며 X1은 불소, 염소, 혹은 브롬이고 이중결합은(E)나 (Z)기하구조를 가지며 치환된 시클로프판 고리는 이성체의 어느 가능한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구조(ⅠA)의 화합물에서 R18은 직쇄나 측쇄 알킬기로서 특히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헥틸, 또는 옥틸기이다.
구조(ⅠA)의 화합물에서 시클로프로판 고리는(1R, 시스), (1S, 시스), (1R, 트랜스), (1S, 트랜스)구조로 존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A가 산소인 구조(ⅠA)의 화합물을 다루고 있다.
이에는(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 시스) 2,2-디메틸 3(E)-2-플루오로 2-(에톡시카보닐)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레이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화합물 중 일반적인 것으로는 구조(Ⅰ)에서 B가 다음과 같은 것을 나타내는 것들이 있다 :
Figure kpo00028
아울러 B가 [3-(프로핀-2-닐)2,5-디옥소 이미다졸리디닐]메틸 및 α-시아노 6-페녹시 2-피리딜메틸기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구조(Ⅰ)의 화합물은 기생충의 퇴치에 이용할 수 있을 정도의 유용한 성질을 지니고 있다. 이들은 식물이나 온혈동물에 기생하는 균들의 퇴치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구조(Ⅰ) 및 구조(Ⅰ)의 화합물의 식물, 가옥, 그리고 온혈동물들에 기생하는 해충의 박멸에의 이용을 다루고 있다.
구조(Ⅰ)의 화합물은 특히 농작물 기생충, 즉 레피돕테라와 콜레옵테라의 유충과 같은 해충의 박멸에 이용될 수 있다. 그 사용량은 1헥타아르당 10-300g 범위이다. 아울러 이 화합물은 파리, 모기등의 퇴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뒤의 실시예 1,11 및 21의 화합물들이 특히 놀라운 효과를 보여준다.
또한 구조(Ⅰ)의 화합물은 포유동물에는 해를 미치지 않는다.
구조(Ⅰ)의 화합물은 식물에 기생하는 아카리데와 네마토드들의 퇴치에도 이용될 수 있으며 동물의 아카리데, 그리고 보에필루스종의 진드기, 히야롬니아종의 진드기, 알블리옴니아종 진드기, 그리고 리피세팔루스종 진드기의 퇴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구조(Ⅰ)의 화합물, 특히 구조(Ⅰ)의 화합물 가운데 적어도 한가지를 함유하는 특징이 있는 기생충 박멸 조성물을 다루고 있다. 이에는 특히 실시예 1,11 및 21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농약산업이나 동물사료 산업에서 이용하는 통상의 과정에 따라 제조된다. 이때 활성물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살충제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조성물들은 분말, 입자, 현탁액, 에멀젼, 용액, 에어로졸, 발연박편 혹은 다른 유용한 형태로 조제될 수 있다.
활성물질 외에도 조성물에는 계면활성제, 비이온성의 분산제 및 매개물질들이 함유된다. 매개물로는 물이나 알콜, 탄화수소나 다른 유기용매, 광물이나 동물유, 혹은 식물유, 그리고 탈크, 진흙, 실리케이트, 키젤기 분말이나 가연성고체들이 이용된다.
상기 조성물들에는 0.005-10중량%의 활성물질이 함유된다.
살충서펜타인이 이용되는 경우 그 매개체로는 피레트럼잔사물, 타부분말(또는 마실러스 툰베르기 잎가루), 페레트럼 줄기가루, 세다잎가루, 목분, 전분, 그리고 코코낫 껍질가루 등이 이용된다. 이때의 활성물질의 사용량은 0.03-1중량%이며 불연성 섬유질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0.03-95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살충 조성물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살충제가 첨가될 수 있다. 살아카리데와 살네아토드균용 조성물은 특히, 분말, 입자, 현탁액, 에멀젼, 그리고 용액 형태이다. 아카리데균의 퇴치에는 1-80%의 활성 인자를 갖는 가습 분말을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네마토드균의 퇴치에는 300-500g/l의 활성요소를 함유하는 액체를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아카리데와 네마토드균의 살균용으로의 사용량은 1헥타아르당 1-100g이다. 그 활성을 높여주기 위해 1-(2,5,8-트리옥사도데실)-2-프로필 4,5-디메틸렌디옥시벤젠(또는 피페로닐부톡사이드)나 N-(2-에틸 헥틸)미시클로[2,2-1]5-헵텐-2,3-디 카복시이미드, 혹은 피페로닐-비스-2(2'-n-부톡시 에톡시)에틸아세탈(또는 트로피탈)과 같은 보조제가 첨가될 수 있다.
구조(Ⅰ)에 따르는 화합물들은 우수한 내성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들을 의약용으로 사용하는 것도 아울러 다루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 약은 가축과 사람에 모두 쓸 수 있다. 이들은 주사, 구강투여, 또는 소화기관을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살충적 활성이 부여된 조성물들에 관한 것으로서, 이들에는 한편으로 활성 물질로서 구조(Ⅰ)의 화합물이 함유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알레트롤론, 3,4,5,6-테트라 하이드로프탈이미드 메틸 알콜, 5-벤질 3-푸릴 메틸 알콜, 3-페녹시 벤질 알콜과 α-시아노 3-페녹시 벤질알콜의 에스테르, 5-벤질 3-푸릴메틸알콜의 에스테르, 2,2-디메틸 3-(2,2-디클로로비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과 α-시아노 3-페녹시 벤질 알콜 및 3-페녹시벤질알콜의 에스테르, 2,2-디메틸 3-(2,2-디브로모비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과의 α-시아노 3-페녹시 벤질알콜의 에스테르들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피레트리노이드 에스테로가 함유된다.
본 발명에서는 아울러 구조(Ⅰ)과 같은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다루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다음 구조식(Ⅱ)을 갖는 산 또는 이러한 산의 작용성 유도체를 다음 식(Ⅲ)을 갖는 알콜 또는 이러한 알콜의 작용성 유도체와 반응시켜 다음 구조식(Ⅰ)을 갖는 화합물을 얻거나 : 또한 이때 얻어진 식(Ⅰ)의 화합물 CO2R그룹에 대해 선택적인 분해제와 반응시켜 다음 구조식(Ⅳ)을 갖는 화합물을 얻고, 그 다음 구조식(Ⅳ)의 산 또는 이러한 산의 작용성 유도체를 식 R-OH를 갖는 알콜과 반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식Ⅰ)을 갖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
Figure kpo00029
식중, X 및 R은 상기에 정의한 바와 같고, 이러한 산은 E와 Z 이성체의 혼합물 또는 E 또는 Z이성체의 형태일 수 있고, 치환된 시클로프로판고리는 그의 입체 이성체 형태중의 어느 한 형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형태일 수 있다.
B-OH (Ⅲ)
(식중, B는 상기에 정의한 바와 같다.)
Figure kpo00030
(식중, B는 상기에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아울러 앞에서와 같이하여 구조(Ⅰ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다루고 있다. 다음 구조식(ⅡA)을 갖는 산 또는 이러한 산(Ⅱ')의 작용성 유도체와 다음 구조식(ⅢA)를 갖는 알콜 또는 이러한 알콜(ⅢA)의 작용성 유도체를 반응시키고, 필요하다면, 물리적 수단에 의해 이중결합의 위치에서 E 및 Z 이성체를 분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구조식(ⅠA)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이다 :
Figure kpo00031
(상기식에서. A, X1및 R18은 상기에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ⅡA)의 산은 E나 Z이성체로 존재할 수 있으며 치환된 시클로프로판 고리는 가능한 모든 입체 이성체나 그 혼합물 가운데 어느 하나로 존재할 수 있다.
산(Ⅱ)나 (ⅡA)의 구조(Ⅲ)이나 (ⅢA)인 알콜과의 에스테르화는 피리딘과 같은 3차염기 존재하에 행하여질 수 있다. 대개는 피리딘, 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그리고 4-디메틸아미노 피리딘의 혼합물 존재하에서 행하여 진다.
구조(Ⅱ)나 (ⅡA)와 같은 산의 제조에 보통 이용되는 위티그(wittig)반응은 그 이중 결합이 E+Z인 산을 제공하여 준다. 이중결합 수준에 있는 이성체는 원한다면 크로마토그라피와 같은 물리적 방법에 의해 분리시킬 수 있다. CO2R그룹 유리작용제는 대개 산 가수분해제와 함께 가해지는 열이다. 산 가수분해제로는 p-톨루엔술폰산이 쓰인다.
구조(Ⅳ)인 화합물의 에스테르화는 앞서에서 언급된 표준 에스테르화 방법에 따라 행하여 진다.
본 발명에서는 주로 앞서 언급되었던 제조방법을 다루고 있는데 구조(Ⅱ)이나 (ⅡA)인 산은 구조(Ⅴ)의 락톤 형태인 시스알데히드나 구조(Ⅵ)인 트랜스알데히드를 강 염기 존재하에 구조(Ⅶ)의 포스포란, 또는 구조(Ⅷ)의 인산염과 위티그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Figure kpo00032
식중 R19, X 및 X1은 상기에 정의한 바와 같고, R20은 C1-C6인 알킬기이다.
정해진 입체화학적 성질을 지니는 구조(Ⅱ)의 산은 다음 반응구조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Figure kpo00033
위에서 X는 불소, 크롬, 또는 브롬이고 R은 C1-C8인 알킬기를 나타낸다.
X가 브롬인 구조(Ⅱ)의 산은 구조(Ⅸ)의 화합물을 피리디늄, 트리브로마이드와 같은 브롬화 작용제와 작용시킨뒤 탈브롬수화작용제로 작용시켜서 -탈브롬수화작용제가 적절한 염기제이면 구조(Ⅹ)의 화합물을 이루게 하고, -탈브롬화제가 보다 가혹한 조건에서 작용하는 염기제라면 E 이성체로 되게 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Figure kpo00034
구조(Ⅴ)의 화합물은 다시 CO2alk 기능 이탈작용제의 작용으로 구조(Ⅱ)의 산을 얻게된다.
구조(Ⅱ)의 산의 제조의 보기는 실시예에 언급되어 있다.
구조(Ⅱ)와 구조(ⅡA)의 산으로서 특히 구조(Ⅳ)의 산은 물론 정해진 입체화학적 성질을 갖는 산들은 새로운 화합물들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주된 관점이 된다.
본 발명은 그러므로 구조(Ⅱ), (ⅡA), (Ⅳ)인 생성물 및 이들의 구조(Ⅰ)과 (ⅠA)의 화합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중간체로의 이용을 다루고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예증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그에 국한시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1R, 시스)2,2-디메틸 3-(E)/2-플루오로 2-(에톡시카보닐)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레이트
(1R, 시스) 2,2-디메틸 3(Z+E)2-플루오로 2-에톡시카보닐에테닐) 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 3.87g이 염화메틸렌 30㎤에 들어 있는 용액에 피리딘 1.5㎤와 디시클로헥실 카보디이미드 3.7g을 가하고 10분간 교반 후에 염화메틸렌 10㎤중의 (S)α-시아노 3-페녹시 벤질알콜 4.05g의 용액을 가한 뒤 1시간 30분간 교반시킨 후 4-디메틸 아미노피리딘 25mg을 가하고 전체를 1시간 30분간 교반한 다음 0℃로 냉각시키고 불용성 물질을 여과로 걸러낸다.
여액을 증류 농축건조시키고 잔사를 실리카겔 위에서 크로마토그라피시킨뒤 시클로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80/20)의 혼합물로 용출시켜 얻은 잔사를 에틸아세테이트로 부터 결정화 시킨 다음 침전을 분리해낸다. 모액을 실리카겔 위에서 크로마토그라피학 시클로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9/1) 혼합물로 용출시켜서 (S)α-시아노 30페녹시벤질의 (1R, 시스) 2,2-디메틸 3(E)/2-플루오로 2-(에톡시카보닐) 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레이드 4.28g과 3(Z) 유도체 2.8g을 회수한다.
분석 : C25H24FNO2(437.47)
계산치 : C,66.64% ; H,5.53% ; N,3.20% ; F,4.34%
측정치 : C,68.8% ; H,5.5% ; N,3.1% ; F,4.2%
IR 스펙트롬(클로로포름)
-카보닐과 결합 에스테르에 의한 1738cm-1과 1722cm-1에서의 흡수.
-이중에틸렌 결합에 의한 1611cm-1에서의 흡수.
-방향족핵에 의한 1598cm-1-1489cm-1에서의 흡수.
-메틸에 의한 1380cm-1에서의 흡수.
NMR 스펙트럼(듀레로클로로포름)
-메틸쌍의 수소에 의한 1.2-1.27 P.P.M.에서 피크
-에톡시카보닐 그룹의 에틸기의 수소에 의한 1.23-1.35-1.47 P.P.M. 4.15-4.26 P.P.M. 그리고 4.38-4.50 P.P.M.에서 피크.
-시클로프로필의 1위치 수소에 의한 1.88-2.02 P.P.M.에서 피크
이중 에틸렌결합의 수소에 의한 6.05-6.21 및 6.38-6.55 p.p.m.에서 피크.
- -C≡N그룹과 같은 탄소의 수소에 의한 6.36p.p.m.에서 피크.
-방향족핵의 수소에 의한 6.9-7.5p.p.m.에서 피크.
[실시예 2]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1R, 시스) 2,2-디메틸 3-(Z)/2-플루오로 2-(에톡시카보닐)에데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레이트
실시예 1의 크로마토그라피로 부터 구조 3(Z)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잔사 2.8g이 얻어졌다. 이 잔사는 에틸아세테이트 내에서 분말되고 불용성 물질은 여과시켜 낸다. 여액을 감압하에서 증류건조농축시키고 잔사를 실리카겔 위에서 시클로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9/1)의 혼합물로 용출시키고 크로파토그라피시켜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 시스) 2,2-디메틸 3-(Z)/2-플루오로 2-(에톡시카보닐)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레이트 1.0g을 얻는다.
IR 스펙트럼(클로로포름)
-결합 에스테르와 카보닐에 의한 1730cm-1에서 흡수.
-이중 에틸렌 결합에 의한 1620cm-1에서 흡수.
-방향족핵에 의한 1589-1489cm-1에서 흡수.
메틸쌍에 의한 1380cm-1에서 흡수.
NMR 스펙트럼(듀테로클로로포름)
-에톡시카보닐그룹의 에틸기의 수소에 의한 1.2-1.32-1.43 P.P.M., 4.12-4.23-4.35-4.47 P.P.M. 에서 흡수.
-메틸쌍의 수소에 의한 1.23-1.27 P.P.M. 에서 흡수.
-이중 에틸렌결합의 수소에 의한 6.2-6.36 P.P.M. 및 6.73-6.9P.P.M. 에서 흡수.
-방향족 핵의 수소에 의한 6.9-7.58 P.P.M. 에서 흡수.
[실시예 3]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 시스) 2,2-디메틸 3(E)/2-클로로 2-(메톡시카보닐)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레이트
벤젠 15㎤중의 (1R, 시스) 2,2-디메틸 3(E) (2-클로로 2-메톡시카보닐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염소 3g의 용액에 (S)α-시아노 3-페녹시 벤질알콜 3g을 넣고 +50℃에서 다시 1.3㎤의 피리딘을 가한다. +5℃에서 15분,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뒤 이 혼합물을 물과 염산의 혼합물에 넣고 에틸에테르로 추출한 다음 물로 씻어 건조농축시키고 시클로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8/2)의 혼합물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겔 위에서 크로마토그라피 시키면 (S)α-시아노 3-페녹시 벤질의 (1R, 시스) 2,2-디메틸 3(E)/2-클로로 2-(메톡시 카보닐 에테닐/시클로로프로판-1-카복실레이트 2.1g을 얻는다.
(α)D=50.5° (C=0.8% 벤젠)
분석 : C24H22ClNO5439.9
계산치 : C,65.53% ; H,5.04% ; Cl,8.05% ; N,3.18%
측정치 : C,65.5% ; H,5.2% ; Cl,8.0% ; N,3.0%
IR 스펙트럼(클로로포름)
-에스테르의 카보닐에 의한 1738cm-1와 1719cm-1에서 흡수.
- -C=C-에 의한 1608cm-1에서 흡수.
-방향족핵에 의한 1589cm-1-1489cm-1에서 흡수.
-메틸쌍에 의한 1390cm-1에서 흡수
NMR 스펙트럼(듀테로클로로포름)
-메틸쌍의 산소에 의한 1.24-1.25p.p.m. 에서 피크.
-시클로프로필의 1위치 수소에 의한 1.93-2.07p.p.m. 에서 피크.
시클로프로필의 3위치 수소에 의한 2.87-3.01-3.04-3.18p.p.m. 에서 피크.
-메톡시카보닐의 메틸에 의한 3.86p.p.m. 에서 피크.
-방향족핵의 수소에 의한 6.91-7.15p.p.m. 에서 피크.
(1R, 시스) 2,2-디메틸 3(E)/2-클로로 2-메톡시카보닐)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염소는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단계 A]
(1R, 시스) 2,2-디메틸 3(E)/2-클로로 2-메톡시카보닐)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0㎤에 메틸카보닐 클로로메틸렌메톡시카보닐 클로로메틸렌 트리페닐포스포탄 12.6g과 (1R, 시스) 2,2-디메틸 3-(디하이드록시메틸)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의 락톤 4.85g을 20℃에서 가하고 두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이 혼합물을 환류로 잡아서 1시간 동안 유지시킨뒤 감압하에서 증류건조농축시킨 다음 잔사에 에틸에테르를 가한다. 불용성물질(트리페닐 포스핀 옥사이드)을 여과로 제거해내고 여액을 감압하에서 증류로 건축 농축시킨 뒤 잔사를 벤젠과 에틸아세테이트(8/2) 혼합물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겔 위에서 크로마토그라피하여 2.2g의 (1R, 시스) 2,2-디메틸 3(E)-(2-클로로 2-메톡시 카보닐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과 3g의 (1R, 시스) 2,2-디메틸 3(Z) (2-클로로 2-메톡시카보닐 에테닐) 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
IR 스펙트럼(클로로포름)
-카복실의 하이드록실에 의한 3500cm-1에서 흡수.
-카보닐에 의한 1721cm-1, 1713cm-1, 1700cm-1에서 흡수.
- -C=C-애 의한 1490cm-1-1410cm-1에서 흡수.
-메틸쌍의 수소에 의한 1393cm-1-1380cm-1에서 흡수.
NMR 스펙트럼(듀테로클로로포름)
-메틸쌍에 의한 1.3-1.32 p.p.m. 에서 피크
-시클로프로필의 1위치 수소에 의한 1.87-2.02p.p.m. 에서 피크
-시클로프로필의 3위치 수소에 의한 2.82, 2.97p.p.m. -2.98p.p.m. 3.13p.p.m. 에서 피크.
-메톡시카보닐의 메틸의 수소에 의한 3.82 p.p.m. 에서 피크.
시클로프로필의 3위치 사슬의 이중 에틸렌 결합에 의한 6.72-6.78 p.p.m. 에서 피크.
(1R, 시스) 2,2-디메틸 3(Z) (2-클로로 2-메톡시 카보닐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
IR 스펙트럼(클로로포름)
-카복실산의 하이드록실에 의한 3500cm-1에서 흡수.
-"t-59"에스테르에 의한 1725cm-1에서 흡수.
-카복실의 수소에 의한 1700cm-1에서 흡수.
-메틸쌍의 수소에 의한 1393cm-1-1381cm-1에서 흡수.
-NMR 스펙트럼(듀테로클로로포름)
-메틸쌍의 수소에 의한 1.32-1.35p.p.m. 에서 흡수.
-시클로프로필의 1 및 3위치 수소에 의한 1.95-2.5p.p.m. 에서 피크.
-메톡실의 메틸의 수소에 의한 3.83p.p.m. 에서 피크.
-카복실의 수소에 의한 10.75p.p.m. 에서 피크.
[단계 B]
(1R, 시스) 2,2-디메틸 3(E)/2-클로로 2-(메톡시카보닐) 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염소
2.9g의 (1R, 시스) 2,2-디메틸 3(E)/2-클로로 2-(메톡시카보닐) 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 20㎤의 이소프렌과 10㎤의 티오닐염소를 섞어 20℃에서 3시간 교반한 뒤 이소프렌과 리오닐염소를 증류로 제거시켜서 6g의 (1R, 시스) 2,2-디메틸 3(E)-2-클로로 2-(메톡시 카보닐)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염소를 얻는다.
[실시예 4]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 시스) 2,2-디메틸 3(Z)/2-브로모 2-(프로폭시카보닐) 에테닐/클로로프로판-1-카복실레이트
2.9g의 (1R, 시스) 2,2-디메틸 3(Z)-/2-브로모 2-(프로폭시 카보닐)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이 40㎤의 염화메틸렌에 들어있는 용액에 0.9㎤의 피리딘과 2.1g의 디클로헥실 카보디이미드를 가하고 15분간 교반시킨뒤 2.5g의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이 5㎤의 염화메틸렌이 들어 있는 용액을 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시킨 다음 형성된 불용성물질을 걸러내고 그 여액을 감압하에서 증류에 의해 농축건조시킨 후 잔사를 시클로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9/1)혼합물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겔 위에서 크로마토그라피 하면 4.26g의 원하는 산물을 얻는다. 융점=64℃.
분석 : C26H26BrNO5512.41
계산치 : C,60.95% ; H,5.11 ; N,2.73% ; Br,15.6%
측정치 : C,61.1% ; H,5.3% ; N,2.7% ; Br,15.5%
IR 스펙트럼(클로로포름)
-결합 에스테르의 카보닐에 의한 1743-1718cm-1에서 흡수.
- -C=C-에 의한 1615cm-1에서 흡수.
-방향족핵에 의한 1588-1488cm-1에서 흡수.
NMR 스펙트럼(듀테로클로로포름)
-프로핀의 메틸의 수소에 의한 0.88-1.0-1.12p.p.m. 에서 피크.
-메틸쌍의 수소에 의한 1.27-1.32p.p.m. 에서 피크.
-프로핀의 1위치 수소에 의한 4.08-4.2-4.32p.p.m. 에서 피크.
- -C≡N그룹의 탄소에 의한 수소의 6.4p.p.m. 에서 피크.
-방향족핵의 수소에 의한 6.9-7.58p.p.m. 에서 피크.
(1R, 시스) 2,2-디메틸 3(Z)-2-브로모 2-(프로필옥시카보닐) 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20㎤와 에틸에테르 120㎤중의 (1R, 시스) 2,2-디메틸 3-(2,2-디브로모비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의 t-부틸에스테르 28.3g의 용액에 헥산중의 부틸리륨용액 50㎤를 -115℃에서 25분간 가하고 15분간 교반후에 10㎤의 n-프로필 클로로포름산염을 가한 뒤 전체를 -115℃에서 20분간 교반한 다음 -65℃에서 다시 1시간 교반한 뒤 모노나트륨인산염 수용액에 부어 넣고 에테르로 추출한다. 재결합된 에테르용액을 물로 씻어 감압하에서 증류에 의해 농축건조시킨 뒤 시클로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95/5)로 용출시키면서 크로마토그라피 시켜서 3차부틸의 (1R, 시스) 2,2-디메틸 3(Z)-2-브로모 2-(프로필옥시카보닐)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레이트 3.52g과 3차부틸의 (1R,시스) 2,2-디메틸 3(E)-(2-브로모 2-(프로필옥시카보닐) 에테닐 / 시클로프로판-1-카복실레이트 3.16G을 얻는다.
3차부틸의 (1r,시스) 2,2-디메틸 3(Z)-/2-브로모 2-(프로필옥시 카보닐)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레이트의 성질은 다음과 같다.
IR 스펙트럼(클로로포름)
-C=O에 의한 1715cm-1에서 피크.
-C=C에 의한 1614cm-1에서 피크.
NMR 스펙트럼(듀테로클로로포름)
-프로필의 말단메틸의 수소에 의한 0.9-0.97-1.05p.p.m. 에서 피크.
-메틸쌍의 수소에 의한 1.3-1.33p.p.m. 에서 피크.
-3차부틸기의 수소에 의한 1.52p.p.m. 에서 피크.
-시클로프로필의 1 및 3위치 수소에 의한 1.88-1.97 및 2.05-2.15-2.24p.p.m. 에서 피크
[단계 B]
(1R, 시스) 2,2-디메틸 3(Z)-/2-브로모 2-(프로필옥시카보닐)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
톨루엔 35㎤ 중에 (1R, 시스) 2,2-디메틸 3(Z)/2-브로모 2-(프로필옥시 카보닐)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의 3차 부틸에스테르 3.45g이든 용액에 0.35g의 단일수화된 파라톨루엔술폰산을 가하고 이 혼합물을 함유하는 플라스크를 120℃에서 10분간 기름중탕속에 놓아둔 뒤 반응혼합물의 온도를 20℃로 급격히 내려준 다음 에테르를 가하고 재결합된 유기추출물을 물로 씻어 감압하에서 증발농축건조시키면 2.9g의 (1R, 시스,) 2,2-디메틸 3(Z)-/2-브로모 2-(프로필옥시카보닐(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이 얻어진다.
[실시예 5]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 시스) 2,2,-디메틸 3(E)-/2-브로모 2-(프로폭시카보닐)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레이트
염화메틸렌 40㎤중의 (1R, 시스) 2,2-디메틸 3(E)-/2-브로모 2-(프로필옥시카보닐) 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 2.6g의 용액에 피리딘 0.9㎤와 디시클로헥실 카보디이미드 2g을 가한 뒤 10분간 교반시키고 (S)α-시아노 3-페녹시 벤질알콜을 첨가한 후 25mg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을 가하고 1시간 30분간 교반시킨다. 형성된 불용성 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감압하에서 증류 농축건조시킨 뒤 크로마토그라피(용출액 : 시클로헥산가 에틸아세테이트, 95/5)하면 0.743g의 원하는 산물이 얻어지며 이소프로필에테르의 4부피내에서 용해되는 혼합물 3.64g을 얻는데 후자를 20℃에서 교반시키고 침전을 제거한 뒤 건조시켜 앞에서 얻은 0.743g의 산물과 결합시키면 (S)α-시아노 3-페녹시 벤질의 (1R, 시스) 2,2-디메틸 3(E)/2-브로모 2-(프로폭시 카보닐) 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레이트 2.32g이 얻어진다. 융점 : 68℃
분석 : C26H23BrNO5(512.41)
계산치 : C,60.95% ; H,5.11% ; N,2.73% ; Br,15.6%
측정치 : C,61.0% ; H,5.1% ; N,2.5% ; Br15.5%
IR 스펙트럼(클로로포름)
-에스테르의 카보닐에 의한 1737cm-1에서 흡수.
-결합 에스테르의 카보닐에 의한 1705cm-1에서 흡수.
- -C=C-에 의한 1605-1610cm-1에서 흡수.
-방향족핵에 의한 1585-1485mg-1에서 흡수.
NMR 스펙트럼(듀테로클로로포름)
-프로폭실의 메틸의 수소에 의한 0.88-1.0-1.12p.p.m. 에서 피크.
-메틸쌍의 수소에 의한 1.22-1.23p.p.m. 에서 피크.
-시클로프로필의 1위치 수소에 의한 1.92-2.06p.p.m. 에서 피크.
-C≡과 같은 탄소의 수소에 의한 6.38p.p.m. 에서 피크.
-이중 에틸렌결합의 수소에 의한 6.9-7.51p.p.m. 에서 피크.
[실시예 6]
(1R, 시스) 2,2-디메틸 3-(E) 2-플루오로-2(에톡시카보닐) 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
(1R, 시스) 2,2-디메틸 3-(디하이드록시 메틸) 시클로프로판카복실산의 락토 12.2g을 시초물질로 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이 하여 (1R, 시스) 2,2-디메틸 3-(E,Z)/2-플루오로 2-에톡시 카보닐 에테닐/시클로프료판-1-카복실산이 제조된다. 단, 이때 크로마토그라피에서는 처음에 시클로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75/25)로 용출시킨 뒤에 그 비를 50/50으로 하여 용출시킨다. 이에서는 14.5g의 (1R, 시스) 2,2-디메틸 3-(E) (2-플루오로 2-에톡시카보닐에테닐) 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이 얻어진다. /α/D=-42.5°(C=1%, 클로로포름).
NMR 스펙트로(듀테로클로로포름)
-메틸쌍의 수소에 의한 1.28p.p.m. 에서 피크.
-에톡시카보닐의 에틸의 수소에 의한 1.23-1.35-1.47p.p.m. 및 4.13-4.25-4.37-4.48p.p.m. 에서 피크.
-시클로프로필의 1위치 수소에 의한 1.82-1.97p.p.m. 에서 피크.
-카복실의 수소에 의한 11.28p.p.m. 에서 피크.
[실시예 7]
(1R, 시스) 2,2-디메틸 3-(Z)/2-플루오로 2-에톡시카보닐)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
실시예 6의 크로마토그라피를 계속하면 4.64g의 (1R, 시스)2,2-디메틸 3(Z)/2-플루오로 2-(에톡시카보닐)에테르/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이 얻어진다.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알콜로 에스테르화 하면 E와 Z 산은 실시예 1과 2의 에스테르로 된다.
[실시예 8]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 시스) 2,2-디메틸 3(Z)/2-플루오로-2-에톡시카보닐)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레이트
염화메틸렌 39㎤중의 (1R, 시스)2,2-디메틸 3(Z)/2-플루오로-2-에톡시 카보닐 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 4.9g의 용액에 피리딘 1.9㎤와 디시클로헥실 카보디이미드 4.8g을 가하고 교반한 뒤 염화메틸렌 9.8㎤중의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 알콜 5.3g의 용액을 가한 다음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30mg을 다시 가한 뒤 2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를 0℃로 냉각시킨 뒤 여과하여 불용성물질을 걸러내고 감압하에서 증류에 의해 농축건조시킨 후 처음에 시클로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9/10, 다음에 염화메틸렌과 유화에테르(비점 35-70℃) (6/4)도 용출시키면서 크로마토그라피 하면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 시스) 2,2-디메틸 3-(Z)-/2-플루오로 -2/에톡시카보닐 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레이트 6.37g을 얻는다. 해당되는 알콜을 가지고 실시예 1에서와 같이하여 이하의 생설물들도 얻어진다.
[실시예 9]
(R)3-에티닐 3-페녹시-페닐-메틸의 (1R, 시스
Figure kpo00035
E) 2,2-디메틸 3[(2-플루오로 2-에톡시카보닐 에테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수율=72%
αD=+42°±15° (C=1% CHCl3)
[실시예 10]
(R)3-페녹시페닐에틸의 (1R, 시스
Figure kpo00036
E) 2,2-디메틸 3[2-플루오로 2-에톡시카보닐에테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수율=81%
αD=±94°5±2°5 (C=0.5% CHCl3)
[실시예 11]
(S)α-시아노 3-페녹시 4-플루오로벤질의 (1R, 시스
Figure kpo00037
E) 2,2-디메틸 3[(2-플루오로 2-에톡시카보닐)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레이트
αD=±50°±2°5 (C=0.5% CHCl3)
[실시예 12]
3-페녹시벤질의 1(R, 시스
Figure kpo00038
E) 2,2-디메틸 3[(2-플루오로 2-에톡시카보닐)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레이트
IR 스펙트럼
C=0 에스테르) 1725cm-1
C=0 결합에스테르)
C=C 결합 1655cm-1
방향족 1588-1489cm-1
디메틸쌍 1390-1380cm-1
[실시예 13]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 트랜스)2,2-디메틸 3[(
Figure kpo00039
E, 2-플루오로 3-옥소 3-에톡시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1R, 트랜스)2,2-디메틸 3[
Figure kpo00040
E 2-플루오로 3-옥소 3-에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과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 알콜을 써서 실시예 1과 같이 하면 원하는 산물이 얻어진다.
αD=-33°5±2°5 (C=0.5% CHCl3)
[실시예 14]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트랜스)2,2-디메틸 3[(
Figure kpo00041
E) 2-플루오로 3-옥소 3-메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단계 A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 트랜스)2,2-디메틸 3-[(
Figure kpo00042
E)2-플루오로 3-옥소 3-하이드록시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단일수화된 파라톨루엔 술폰산 50mg을 (S)α-시아노 3-페녹시 벤질의 (1R 트랜시) 2,2-디메틸 3[(
Figure kpo00043
E) 2-플루오로 3-옥소 3-에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1g과 물 1㎤, 그리고 디옥산 4㎤를 함유하는 용액에 가하고 8시간 동안 환류로 잡은 뒤 감압 건조시킨다. 잔사를 염화메틸렌으로 취하여 물로 씻어 건조시킨다. 1.1g의 유상물을 얻어 이를 헥산, 메틸 아세테이트 및 아세트산(64-40-1)혼합물로 용출시키면서 크로마토그라피하여 280mg의 원하는 산물을 얻는다.
[단계 B]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 트랜스) 2,2-디메틸 3-[
Figure kpo00044
E 2-플루오로 3-옥소 3-메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5°-10℃의 온도에서 약간 과량으로 염화메틸렌에 용해된 디아조메탄올 단계 A의 산물 860mg을 함유하는 염화메틸렌 용액 2㎤에 가한다. 5℃에서 15분간, 그리고 상온에서 30분간 교반시키고 아세트산 몇 방울을 가한다. 건조시켜 얻은 950mg의 유상물을 헥산과 에틸 아세테이트(85-15)로 용출시키면서 크로마토그라피하면 700mg의 원하는 산물을 얻는다.
αD=-31°±2°5 (C=0.25% CHCl3)
[실시예 15]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 트랜스) 2,2-디메틸 3[(
Figure kpo00045
E) 2-플루오로 3-옥소 3-에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1R, 트랜스) 2,2-디메틸 3[(
Figure kpo00046
Z) 2-플루오로 3-옥소 3-에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과 (S)α-시아노 3-페녹시 벤질알콜을 서서 실시예 1과 같이 하면 원하는 산물을 얻는다.
αD=+15°±2° (C=0.5% CHCl3)
1R,트랜스) 2,2-디메틸 3[(
Figure kpo00047
Z) 2-플루오로 3-옥소 3-에톡시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은 다음과 같이하여 얻어진다.
(1R,트랜스) 2,2-디메틸 3-프로밀 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 4g과 디에틸 옥살로플루오로 아세테이트의 나트륨염 7g을 함유하는 용액을 1시간동안 환류로 취하여 0°-+155℃에서 모노나트륨 인산염의 포화용액에 도입하고 에테르로 추출한 뒤 물로 씻어 건조시키면 8.2g의 생성물을 얻게 되는데 이를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및 아세트산 (70-30-1)의 혼합물로 용출시키면서 크로마토그라피하면 4.3g의 원하는 산물을 얻는다.
[실시예 16]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 시스) 2,2-디메틸 3[(
Figure kpo00048
E) 2-플루오로 3-옥소 3-메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단계 A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 시스) 2,2-디메틸 3-[(
Figure kpo00049
Z) 2-플루오로 3-옥소 3-하이드록시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 시스) 2,2-디메틸 3/(
Figure kpo00050
Z) 2-플루오로 2-에톡시 카보닐) 에테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를 써서 실시예 14의 단계 A와 같이하면 원하는 산물을 얻는다.
단계 B
단계 A의 산물을 써서 실시예 14의 단계 B에서와 같이하면 원하는 산물을 얻는다.
αD=-2°5±2° (C=0.4% CHCl3)
[실시예 17]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 시스)2,2 디메틸 3-[(
Figure kpo00051
Z) 2-플루오로 3-옥소 3-3차부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 시스) 2,2 디메틸 3-/ 2-플루오로 3-옥소 3-하이드록시(Z)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2.3g, 에틸아세테이트 15cm3, 그리고 3차 부틸의 N-(1-메틸 에칠) N'-(1-메틸 에틸)카바이미데이트 2.4g을 두시간동안 교반시킨다. 이를 여과하여 여액을 건조시켜 얻은 2.6g산물을 질소 압력하에서 n-헥산과 이소프로필에테르(8-2)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위에서 크로마토그라피시켜 정화하면 2.2g의 산물을 얻게 되는데 이를 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 재결정시키면 1.4g의 원하는 생성물을 얻는다. 융점=103℃
αD=+2°5±3° (C=0.2% CHCL3)
3차-부틸 N-(1-메틸 에틸) N'-(1-메틸 에틸) 카밤이미 데이트는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
N,N'디이소프로필카보디이미드 98.7g 및 3차-부틸알콜 57.9g을 염화제 1구리 5g의 존재하에 4.5일간 주변온도에서 교반한다. 9mmHg의 압력하에서 74℃로 반응 혼합물을 증류한 후 원하는 생성물 117.7g을 얻는다.
[실시예 18]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 시스) 2,2-디메틸 3-[(
Figure kpo00052
Z) 2-플루오로 3-옥소 3-(1,1,1,3,3,3-헥사플루오로) 이소프로폭시 n'-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5° 내지 +10°에서 10분에 걸쳐 디시클로헥실 카보디이미드 0.6g, 4-디메틸아미노 피리딘 21mg과 염화메틸렌 5㎤을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 시스) 2,2-디메틸 3-[2-플루오로 3-옥소 3-하이드록시(Z)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1.1g, 염화메틸렌 5㎤, 그리고 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펜-2-올 0.5㎤를 함유하는 용액에 도입하고 여과한 뒤 여액을 건조시키고 그 잔사를 헥산-에틸아세테이트(9/1) 혼합물로 여과시키면서 실리카위에서 크로마토그라피하면 750mg의 원하는 산물을 얻는다.
αD=+18°5±1° (C=1% 벤젠)
[실시예 19]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 시스) 2,2-디메틸 3[2-플루오로 3-옥소 3-메톡시(E)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단계 A]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시스)2,2 디메틸 3-[2-플루오로 3-옥소 3-하이드록시 (E)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시스) 2,2-디메틸 3-[(E) 2-플루오로 2-에톡시카보닐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레이트 2.5g, 디옥산 10㎤, 물 2.5㎤, 그리고 단일수화된 파라톨루엔 술폰산 1g의 용액을 24시간동안 환류로 잡는다. 온도를 상온으로 되게 한 후 혼합물을 염화메틸렌으로 희석시킨 뒤 물로 씻는다. 유기상을 건조 여과하여 감압하게 농축시켜 얻은 잔사를 시클로헥산, 에틸 아세테이트와 아세트산(60-40-1) 혼합물로 용출시키면서 크로마토그라피시키면 980mg의 생성물이 얻어진다.
[단계 B]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시스)-2,2-디메틸 3[2-플루오로 3-옥소 3-메톡시(E)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시스) 2,2-디메틸 3-[2-플루오로 3-옥소 3-하이드록시(E)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를 이용하여 실시예 14의 단계 B에서와 같이하면 융점 70℃인 생성물을 얻는다.
αD=+52°±1°5 (C=1% CHCL3)
해당하는 알콜로 부터 출발하여 상기 제시한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다음 생성물들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0]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시스)2,2-디메틸 3-[2-플루오로, 3-옥소, 3-n-프로필옥시(E)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αD=+38.5°±2° C=0.7% CHCL3
[실시예 21]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시스)2,2-디메틸 3-[(
Figure kpo00053
E)2-플루오로 3-옥소 3-3차부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시스) 2,2-디메틸 3[2-플루오로 3-옥소 3-하이드록시(E)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와 N-(1-메틸 에틸)N'-(1-메틸 에틸) 3차부틸의 카밤이미 데이트를 써서 실시예 17에서와 같이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는다. (수율 60%)
αD=+26°5 (C=0.25% CHCL3)
[실시예 22]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시스)2,2-디메틸 3[(
Figure kpo00054
Z)2-플루오로 3-옥소 3(1,1,1,3,3,3)헥사플루오로 이소프로폭시 n-플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시스)2,2-디메틸 3-[2-플루오로 3-옥소 3-하이드록시(E)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와 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2-올을 써서 실시예 14의 단계 B 에서와 같이하면 원하는 생성물이 얻어진다.
αD=+21°±2° (C=0.5% CHCL3)
[실시예 23]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시스)2,2-디메틸 3-[2-플루오로 3-옥소 3-이소프로필옥시(E)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αD=+46°±1° C=1% CHCL3
[실시예 24]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시스)2,2-디메틸 3-[2-플루오로 3-옥소 3-시클로프로필옥시(E)-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αD=+35°±1° (C=1.3% CHCL3)
[실시예 25]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시스
Figure kpo00055
)2,2-디메틸 3[2-플루오로 3-옥소 3(β-메톡시 에톡시)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αD=47°±2°5 (C=0.5% CHCL3)
[실시예 26]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 트랜스)2,2-디메틸 3-[(
Figure kpo00056
Z)2-플루오로 3-옥소 3-메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실시예 14의 단계 A,B와 같은 방법으로 얻는다.
αD=+15°5,±2°5 (C=0.3% CHCL3)
[실시예 27]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시스)2,2-디메틸 3-[(
Figure kpo00057
Z)2-클로로 2-메톡시 2-메톡시 카보닐 에테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1R,시스) 2,2-디메틸 3(Z)[2-클로로-2-메톡시 카르보닐 에테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및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 알코올로 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와 같은 방법으로 얻는다.
αD=62°5±1°5 (C=1% 벤젠)
[실시예 28]
(S) 2-메틸 4-옥소 3-(2-프로페닐) 2-시클로펜텐-1-닐의 (1R,시스) 2,2-디메틸 3[(
Figure kpo00058
E)2-클로로 2-메톡시카보닐 에테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1R,시스) 2,2-디메틸 3(Z)[2-클로로 2-메톡시 카보닐 에테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 염소와 (4S)-하이드록시 3-메틸 2-(2-프로페닐)2-시클로펜텐-1-온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는다.
αD=-15°±4° (C=0.25% 벤젠)
NMR 스펙트럼 (CDCL3)
제2위치 메틸의 수소에 의한 1.28 및 1.3p.p.m. -CO2CH3의 수소에 의한 3.8p.p.m.
Figure kpo00059
의 수소에 의한 2.02 p.p.m.
2-메틸 카보닐 에테닐기의 1위치 탄소의 에틸렌 수소에 의한 6.8-7p.p.m.
[실시예 29]
(1s) 2-메틸-4-옥소-3-(2-프로페닐)-2-시클로펜텐-1-닐의 (1R,시스) 2,2-디메틸 3-[(Z)2-클로로 2-메톡시 카보닐 에테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1R,시스) 2,2-디메틸 3-[(Z) 2-클로로 2-메톡시 카보닐 에테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 염소와 (4S) 하이드록시 3-메틸 2-(2-프로페닐) 2-시클로펜텐-1-온으로부터 원하는 생성물이 얻어진다.
αD=+27°±2°5 (C=0.3% CHCL3)
[실시예 30]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시스)2,2-디메틸 3[(E) 3-옥소 2-클로로 에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1R,시스) 2,2-디메틸 3[(E) 3-옥소 2-클로로 3-에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과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알콜을 써서 실시예 1과 같이 원하는 생성물을 얻는다.
αD=19°±2° (C=1% CHCL3)
(1R,시스) 2,2-디메틸 3[옥소 2-클로로 3-에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 (E 와 Z 이성체)은 다음과 같이하여 얻는다.
[단계 A]
에톡시 카보닐 클로로 메틸렌 트리페닐 포스포란
2℃에서 염소 4g과 클로로포름 80㎤와의 용액을 준비하여 클로로포름 40㎤와 에톡시 카보닐 메틸렌 트리페닐 포스포란 20g의 용액을 가하고 상온으로 되게 한 뒤 감압하에서 건조시키면 유상이 얻어지는데 이를 염화메틸렌 70㎤에 용해시킨 다음 물 40㎤중의 탄산나트륨 6.1g의 용액으로 씻어 건조시키면 18.9g의 원하는 생성물을 얻는다.
융점=116°-118℃
[단계 B]
(1R,시스) 2,2-디메틸 3-[3-옥소 2-클로로-3-에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E 와 Z 이성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0㎤중의 (1R,시스) 2,2-디메틸 3-디하이드록시 메틸 시클로프로판-1-카복실산 6.9g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0㎤중에 단계 A의 생성물 18.9g의 함유된 용액에 가하고 상온에서 6시간 30분간 교반시킨 뒤 용매를 증류시켜 얻은 유상물을 50㎤의 에틸 에테르로 잡아 0℃에서 교반시킨 다음 여과하여 그 여액을 건조시키면 22.2g의 생성물을 얻게 되는데 이를 시클로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그리고 아세트산(75-25-1) 혼합물로 용출시키면서 크로마토그라피하면 다음의 (A) 및 (B)와 같은 생성물을 얻는다.
(A)E 이성체 형태로의 3.58g의 원하는 생성물
NMR 스펙트럼 (CDCL3)
1.3 및 1.33p.p.m. : 시클로프로판 2 위치 메틸의 수소
1.89-2.02p.p.m. : 시클로프로판 1 위치 탄소의 수소
2.85-3.05p.p.m. : 시클로프로판 3 위치 탄소의 수소
6.78-6.95p.p.m. : 프로페닐기의 1 위치 탄소의 수소
(B) Z 형의 2.34g의 다른 생성물
NMR 스펙트럼 (CDCL3)
1.33 및 1.36ppm : 2위치 메틸의 수소
1.96-2.1 ppm : 시클로프로판의 1 위치 탄소의 수소
2.23-2.53 ppm : 시클로프로판의 2 위치 탄소의 수소
[실시예 31]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시스)2,2-디메틸 3[(E) 2-클로로 3-옥소 3-에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1R,시스) 2,2-디메틸 3[(Z) 3-옥소-2-클로로 3-에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과(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알콜을 써서 실시예 1에서와 같이하면 원하는 생성물을 얻는다.
αD=+21°5±2°5 (C=0.3% CHCL3)
[실시예 32]
(1R,시스) 2,2-디메틸 2[(E) 3-옥소 2-클로로 3-프로폭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의 (S)α-시아노(3-페녹시-벤질)
(1R,시스) 2,2-디메틸 3[(E)3-옥소-2-클로로 3-프로폭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과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알코올로 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생성물을 얻는다.
αD=+24°5±2° (C=0.4% CHCL3)
(1R,시스) 2,2-디메틸 3-[(E) 3-옥소-2-클로로 3-프로폭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은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되었다.
[단계 A]
프로폭시 카보닐 클로로 메틸렌 트리페닐 포스포란
프로폭시 카보닐 메틸렌 트리페닐 포스포란을 이용하여 실시예 30의 단계 A와 같이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는다.
[단계 B]
(1R,시스) 2,2-디메틸 3[(E) 3-옥소 2-클로로 3-프로폭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
단계 A의 생성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30의 단계 A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는다.
[실시예 33]
(S)α-시아노/3-페녹시벤질의 (1R,시스)2,2-디메틸 3[(Z) 3-옥소 2-클로로 3-프로폭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1R,시스) 2,2-디메틸 3[(Z) 3-옥소 2-클로로 3-프로폭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과 (S)α-시아노 3-페녹시 벤질 알콜을 써서 실시예 1에서와 같이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는다.
αD=+22°5±2° (C=0.7% CHCL3)
[실시예 34]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시스)2,2-디메틸 3[(E) 3-옥소 3-3차 부틸 2-크로로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1R,시스)2,2-디메틸 3[(E) 3-옥소 3-3차 부틸 2-클로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과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알콜을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이 해서 원하는 산물을 얻는다.
βD=+30°5±2° (C=0.7% CHCL3)
[단계 A]
3차 부톡시 카르보닐 클로로 메틸렌 트리페닐 포스포란
3차 부톡시 카르보닐 메틸렌 트리페닐 포스포란으로 부터 출발하여 상기 실시예 30 단계 A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생성물을 얻는다. M.Pt
Figure kpo00060
160℃
[단계 B]
Figure kpo00061
E산+
Figure kpo00062
Z산
단계 A에서 제조한 생성물로 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0 단계 B에 제시한 방법에 따라 (1R,시스)2,2-디메틸 3[(E) 3-옥소 3-3차 부톡시 2-클로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산, M.Pt=65℃을 얻고, 다른 한편으로 해당하는 (Z)이성체, M.Pt<50℃을 얻는다.
[실시예 35]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시스)2,2-디메틸 3-[(Z)2-브로모 3-옥소 3-메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1R,시스)2,2-디메틸 3-[2-브로모 3-옥소 3-메톡시(Z)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과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알콜을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이 해서 원하는 산물을 얻는다.
αD=+29°±2°5 (C=0.5% CHCL3)
(1R,시스) 2,2-디메틸 3-[2-브로모 3-옥소 3-메톡시(Z)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은 다음과 같이하여 제조된다.
[단계 A]
테트부틸 (1R,시스) 2,2-디메틸 3-[1,2-(디브로모 RS) 3-옥소 3-메톡시 프로필]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13.3g의 피리디늄 트리브로마이드를 테트부틸 (1R,시스)2,2-디메틸 3-[2-메톡시 카보닐(E)에테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와 50㎤의 디메틸 설폭사이드를 함유하는 용액에 가하여 3시간 30분간 교반시킨 뒤 얼음물을 부어넣고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한다. 유기상을 재결합시켜서 감압하에 건조농축시켜 1.3g의 유상물을 얻고 이를 헥산-에틸아세테이트(9/1)혼합물로 용출시키면서 크로마토그라피하여 4.3g의 원하는 산물을 얻는다.
[단계 B]
테트부틸(1R,시스) 2,2-디메틸 3-/2브로모 3-옥소 3-메톡시(Z)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트리에틸아민 4㎤를 벤젠 40㎤과 테트부틸(1R,시스) 2,2-디메틸 3-/1,2-(디브로모 Rs) 3-옥소 3-메톡시 프로필/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4.2g의 용액에 가한뒤 22°-24℃에서 6시간 30분간 교반시킨 다음 에테르로 희석시키고 모노나트륨 황산염용액과 물로 씻어 건조 농축시키면 3.3g의 원하는 산물을 얻는다.
단계 C
(1R,시스) 2,2-디메틸 3[2-브로모 3-옥소 3-메톡시 (Z)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
단계 B의 산물 2.3g과 톨루엔 30㎤, 그리고 단일 수화된 따라 톨루엔 술폰산 0.33g의 혼합물을 환류로 잡아 기체의 발생이 완료될 때 까지 환류로 유지한다. 이를 20℃로 냉각시킨 후 40℃에서 감압하에 건조 농축시키면 2.9g의 원하는 산물을 얻는다.
[실시예 36]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시스)2,2-디메틸 3-[(E+Z) 3-옥소 3-메톡시 2-브로모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1R,시스) 2,2-디메틸 3-[2-브로모 3-옥소 3-메톡시 (E)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과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알콜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이하면 원하는 산물을 얻는다.
αD=+9°5±2°5 (C=0.3% CHCL3)
(1R,시스) 2,2-디메틸 3-[2-브로모 3-옥소 3-메톡시 (E)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은 다음과 같이하여 얻었다.
[단계 A]
테트부틸(1R,시스) 2,2-디메틸 3-[2-브로모 3-옥소 3-메톡시 (E)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수산화나트륨 50% 용액 100㎤를 염화메틸렌 120㎤, 테트부틸(1R,시스) 2,2-디메틸 3-[1,2-(디브로모 Rs) 3-옥소 3-메톡시 프로필 시클로프로판 6.7g과 세타블론(트리메틸 세틸 암모늄 브로마이드) 120mg의 혼합물에 가한 뒤 4시간동안 교반시킨다. 염화 메틸렌 100㎤를 가해서 희석시킨 다음 유기상을 따라내고 염화 메틸렌 100㎤로 재추출 시킨다. 유기상은 N 염산으로 씻은 뒤 물로 PH가 7이 될 때 까지 씻는다. 이 유기상을 다시 결합하여 40℃에서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켜 얻은 5.3g의 산물을 헥산과 이소프로필 에테르(8-2) 혼합물로 용출시키면서 크로마토그라피하면 3.5g의 원하는 산물을 얻는다.
[단계 B]
(1R,시스) 2,2-디메틸 3-[2-브로모 3-옥소 3-메톡시(E)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
테트부틸(1R,시스) 2,2-디메틸 3-[2-브로모 3-옥소 3-메톡시(E)ㅡ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3.4g, 톨루엔 30㎤, 그리고 단일 수화된 파라톨루엔 술폰산 0.35g의 용액을 환류로 잡아 가스를 유출시킨 뒤 0℃로 냉각시켜 여과 세척하면 찬 유기상과 함께 침전을 얻는데 그 여액을 40℃에서 감압 농축시키면 2.8의 원하는 산물을 얻는다.
[실시예 37]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시스)2,2-디메틸 3-[(E)2-브로모 3-옥소 3-테투부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1R,시스) 2,2-디메틸 3[(E) 2-브로모 3-옥소 3-테트부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과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알콜을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이 해서 원하는 산물을 얻는다.
αD=+16°5±2° (C=07% CHCL3)
(1R,시스) 2,2-디메틸 3[(E) 2-브로모 3-옥소 3-테트부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은 다음과 같이 하여 얻는다.
단계 A
테트부톡시 카보닐 브로모 메틸렌 트리페닐 포스포란
테트부톡시 카보닐 메틸렌 트리페닐 포스포란 유도체와 브롬을 이용하여 실시예 30의 단계 A에서와 같이 하여 융점이 190℃인 원하는 생성물을 얻는다.
단계 B
(1R,시스) 2,2-디메틸 3[(E) 2-브로모 3-옥소 3-테투부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
단계 A의 생성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30의 단계 B 에서와 같이해서 융점이 76℃인 원하는 생성물과 융점이 50℃인 Z 이성체의 또 다른 생성물을 얻는다.
[실시예 38]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시스)2,2-디메틸 3[(Z)2-브로모 3-옥소 3-테트부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αD=+16°5±2° (C=0.5% CHCL3)
[실시예 39]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시스)2,2-디메틸 3[(E) 3-옥소 2-브로모 3-에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1R,시스) 2,2-디메틸 3[(E) 3-옥소 2-브로모 3-에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과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알콜을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조작하면 원하는 생성물을 얻는다.
αD=-70°5±2° (C=-0.7% CHCL3)
(1R,시스) 2,2-디메틸 3[(E) 2,2-디메틸 3[(E) 2-브로모 3-옥소 3-에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은 다음과 같이 얻었다.
단계 A
에톡시 카보닐 브로모메틸렌 트리페닐 포스포란
에톡시 카보닐 트리페닐 포스포란과 브롬을 이용하여 실시예 30의 단계 A에서와 같이하여 융점 150℃인 원하는 산물을 얻는다.
단계 B
(1R,시스) 2,2-디메틸 3[(E) 2-브로모 3-옥소 3-에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
단계 A의 생성물을 이용하여 그에 따른 염소산의 제조에서 언급된 공정에 따라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40]
(Rs)α-시아노 6-페녹시 3-피리딜메틸의 (1R,시스)2,2-디메틸 3-[(E) 2-플루오로 3-옥소 3-에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αD=+35°±4° (C=0.3% CHCL3)
[실시예 41]
3-(2-프로피닐)2,5-디옥소이미다졸리디닐 메틸의 (1R,시스) 2,2 디메틸 3-[(E)2-플루오로 3-옥소 3-에톡시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αD=+12°±2° (C=0.5% CHCL3)
[실시예 42]
(S) 2-메틸 3-알릴 4-옥소 2-시클로펜텐-1-닐의 (1R,시스)2,2-디메틸 3[(E)2-플루오로 3-옥소 3-에톡시 프로페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
αD=+41°5±2°5 (C=0.5% CHCL3)
[실시예 43]
가용성 농축물의 제조
다음 처방으로 균일혼합물이 제조된다.
실시예 1 의 생성물 ………0.25g 트윈 80 ………0.25g
피페로닐의 부톡사이드 ………1.00g 토파놀 A ………0.1g
물 ………98.4g
[실시예 44]
에멀젼화가 가능한 농축물의 제조
실시예 11의 생성물 ………0.015g 토파놀 A ………0.1g
피페로닐부톡사이드 ………0.5g 트윈 80 ………3.5g
크실렌 ………95.885g
[실시예 45]
에멀젼화가 가능한 농축물의 제조
실시예 21의 생성물 ………1.5g 토파놀 A ………0.1g
트윈 80 ………20.00g 크실렌 ………78.4g
[실시예 46]
훈증제조 생성물의 제조
실시예 1의 생성물 ………0.25g 소나무 목분 ………33.75g
타부가루 ………25.00g 밝은 그린 ………0.5g
세다잎 분말 ………40.00 p-니트로 페놀 ………0.5g
[실시예 47]
의약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1의 생성물 ………5.00g 트리톤 X 100………25.00g
피페로닐부톡사이드………25.00g 토코페롤아세테이트………1.00g
폴리소르베이트 80………10.00g 에틸알콜………100.00㎤
위에서 얻은 용액은 물 5l로 희석시켜 사용한다.
[실시예 48]
의약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1의 화합물………0.5g 트리톤 X 100………25.00g
피페로닐부톡사이드………2.5g 토코페롤아세테이트………1.00g
폴리소르베이트 80………10.0g 에틸알콜………100㎤
위에서 얻은 요액은 물 5l로 희석시켜 사용한다.
[실시예 49]
의약조성물의 예
실시예 1의 생성물 1g을 함유하는 캡슐이 제조되었다.
[실시예 50]
동물의 사료화합물의 예
균형을 이루어주는 기본 동물사료로는 옥수수, 탈수루세린, 밀짚, 우레아, 그리고 비타민류들이 사용된다. 이 사료에는 조 단백질을 최소 11%, 지방물질 2.5%, 그리고 최대 15%의 셀룰로오스 물질과 6%의 무기물질, 그리고 13%의 수분을 함유한다. 이러한 사료 100kg당 실시예 3의 화함물 0.3kg 조합시켰다.
[실시예 51]
동물의 사료화합물의 보기
실시예 50에서와같은 사료를 써서 총 사료무게 100kg당 실시예 1의 화합물 0.04kg을 조합시켰다.
본 발명에따른 화합물들의 실충작용에 대한 연구
이 연구에서는 다음의 화합물들이 사용되었다.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시스)2,2-디메틸 3(E)/2-클로로 2-메톡시 카보닐 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레이트(화합물 A)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시스)2,2-디메틸 3-(E)(2-브로모 2-프로폭시 카보닐 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레이트(화합물 B)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시스)2,2-디메틸 3(Z)(2-브로모 2-프로폭시 카보닐 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복실레이트(화합물 C),그리고 (S)-시아노 3-페녹시벤질의 (1R,시스)2,2-디메틸 3-/(E) 2-플루오로 2-에톡시카보닐에테닐/시클로프로판 카복실레이트(화합물 D)
A-집파리에대한 살상작용
이 시험은 4일된 집파리를 이용하였다. 용매로 아세톤(5%)과 이소파(유화용매)의 혼합물을 써서 0.025g/1의 농도로 캐론 및 마치(Kearns and March)실에 직접 분무하였다. 매 회당 50마리의 해충이 사용되었다. 10분 까지는 매분간격으로, 10분이 지나서 매15분 간격으로 체크하였으며 KT 50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결정되었다.
시험결과는 다음과같다.
[표 1]
Figure kpo00063
B-각기 다른 해충에대한 본 발명에따른 화합물의 치상효과
a) 집파리에대한 치상효과
시험은 4-5일된 암컷 해충을 사용하였다. 아놀드미세조정기를 이용하여 1μ1의 아세톤용액을 해충의 후두에 적용시켰다. 매회당 50 마리의 해충이 사용되었다. 사망수는 처리후 24시간후에 체크되었다. LD 50(해충의 50%치상에 소요되는 값)으로 표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2]
Figure kpo00064
b) 진딧물에대한 치상효과
페트리 유리접시의 바닥면에 각기 다른 농도의 아세톤용액의 막을 만들고 이에 접촉시킴으로써 시험을 행하였다.
실상농도 50(LC 50)이 결정되었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3]
Figure kpo00065
(c) 스포돕테라 리토랄리스의 유충에대한 치상효과
아놀드미세조정지를 써서 아세톤용액을 유충의 후두에 적용시켜 시험을 행하였다. 매 사용량당 15마리의 유충이 이용되었다.
처리후 개개를 연조발육기에 넣고 48시간후에 사망수를 조사한결과는 다음과같다.
[표 4]
Figure kpo00066
d) 에틸라쉬나 바리베스트리스에 대한 치상효과
스포톱테라 유충의 경우에서와 같이 시험을 행하였다.
처리후 72시간 후에 사망수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5]
Figure kpo00067
e) 아스피 크라시보라에 대한 치상효과
사용되는 농도당 7일된것들과 10아파스들이 이용되었다.
피셔 피스톨을 잎에 사용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처리는 시험되는 생성물의 아세톤 용액 2ml로 행하였다. 잎이 건조된 후에 해충으로 오염시켰다. 해충운 1시간동안 잎과 접촉된 후에 다시 처리되지 않은 잎으로 옮겨져서 24시간후에 그 사망수가 조사되었다.
결과는 다음표와 같다.
[표 6]
Figure kpo00068
f) 결론
상기 a,b,c,d 및 e의 시험에서 화합물 A와 B가 유용한 살충작용을 나타냄이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상기 제시한 시험에서 유용한 살충제활성을 갖고 있다.
B 본 발명에 따른 화합불의 진드기제거에관한 연구
일정한 조명으로 밝은 천장아래서, 개방된 그늘아래 놓여진, 잎당 테트라니쿠스 우르티캐(Tetranychus Urticae)의 암놈 25마리로 감염된 2잎을 갖는 콩을 사용하였다. 식물은 피셔 피스톨을 사용하여, 물과 아세톤의 동일부피의 혼합물의 독성용액 4ml로 식물을 처리하였다. 감염은 12시간동안 용액을 건조시킨후에 수행하고, 치사율은 80시간후에 체크하였다. 각 시험에 사용한 투여량은 hl 당 생성물 5g이다.
화합물 A,B 및 C는 이 시험에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다.

Claims (18)

  1. 다음 구조식(Ⅱ)을 갖는 산 또는 이러한 산의 작용성 유도체를 다음식(Ⅲ)의 알콜 또는 이러한 알콜의 작용성 유도체와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구조식(Ⅰ)을 갖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
    Figure kpo00069
    상기식에서, R은 같거나 다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할로겐원자 또는 저급 알콜시기로 치환될 수 있는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를 나타내고 ; X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 에틸렌 이중결합은 Z 또는 E기하구조를 갖고 ; B는 펜타플루오로페닐메틸 또는 다음 구조식의 기 :
    Figure kpo00070
    (식중, R14는 수소원자, 포화 또는 불포화된 저급알킬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R15는 수소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B'는 산소 또는 황원자를 나타낸다.)
    또는 다음 구조식의 기 :
    Figure kpo00071
    또는 다음 구조식의 기 :
    Figure kpo00072
    (식중, a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를 나타내고 R3는 C2-C8을 함유하고 그리고 한개 두개의 탄소-탄소불포화를 갖는 지방족기를 나타낸다.)
    또는 다음 구조식의 기 :
    Figure kpo00073
    (식중, R14'은 수소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B"은 산소 또는 황원자를 나타낸다.)
    Figure kpo00074
    식중, X 및 R은 상기에 정의한 바와 같고, 이러한 산은 E와 Z이성체의 혼합물 또는 E 또는 Z이성체의 형태일 수 있고, 치환된 시클로프로판고리는 그의 입체이성체 형태중의 어느 한 형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형태일 수 있다.
    B-OH (Ⅲ)
    식중, B는 상기에 정의한 바와 같다.
  2. 다음 구조식(ⅡA)을 갖는 산 또는 이러한 산(ⅡA)의 작용성 유도체와 다음 구조식(ⅢA)을 갖는 알콜 또는 이러한 알콜(ⅢA)의 작용성 유도체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구조식(ⅠA)을 갖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
    Figure kpo00075
    상기식에서, A는 산소 또는 황원자이고, R18은 같거나 다르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C1-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를 나타내고, X1은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에틸렌 이중결합은 (E) 또는 (Z)기하구조를 갖고, 치환된 시클로프로판고리는 그의 입체이성체 형태중의 어느 한 형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형태일 수 있다.
    Figure kpo00076
    식중, X1및 R18은 상기한 바와 같고, 이러한 산은 E와 Z이성체의 혼합물 또는 E와 Z이성체의 형태일 수 있고, 치환된 시클로프로판고리는 그의 입체이성체 형태중의 어느 한 형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형태일 수 있다.
    Figure kpo00077
    식중, A는 상기에 정의한 바와 같다.
  3. 다음 구조식(Ⅴ)을 갖는 락톤형태의 시스 알데히드 또는 다음 구조식(Ⅵ)을 갖는 트랜스 알데히드를 강염기의 존재하에 다음 구조식(Ⅶ)을 갖는 포스포란 또는 다음 구조식(Ⅷ)을 갖는 포스포네이트와 위티그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구조식(Ⅱ)또는 (ⅡA)을 갖는 산의 제조방법 :
    Figure kpo00078
    식중, X 및 X1은 할로겐원자이고, R 또는 R18은 C1내지 C5을 함유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Figure kpo00079
    Figure kpo00080
    식중 X 및 X1은 상기에 정의한 바와 같고, R19은 C1내지 C5를 함유하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C20은 C1내지 C6을 함유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4. 제1항에 있어서, 시클로프로판산 코플라가 1R시스 또는 1R 트랜스 구조를 갖음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이중결합이 E기하학구조를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X가 불소원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R이 에틸기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R이 3차-부틸기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R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불소원자에 의해 치환된 C1내지 C4을 함유하는 직쇄알킬기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이(CH2)mO(CH2)n-CH3기(식중, m은 1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0내지 4의 정수를 나타냄)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R이 -CH2OCH3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B가 다음 구조식의 기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Figure kpo00081
  13. 제1항에 있어서, B가 구조식의 기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Figure kpo00082
  14. 제1항에 있어서, B가 다음 구조식의 기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Figure kpo00083
  15. 제1항에 있어서, B가 다음 구조식의 기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Figure kpo00084
  16. 제1항에 있어서, B가 다음 구조식의 기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Figure kpo00085
  17. 제2항에 있어서, A가 산소원자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2항에 있어서, 구조식(ⅠA)의 화합물이 (S)α-시아노 3-페녹시벤질(1R,시스)2,2-디메틸 3(E)-[2-플루오로-2-(에폭시 카르보닐)에테닐]시클로프로판-1-카르복실레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10003710A 1980-10-01 1981-10-02 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Expired KR880001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21017 1980-10-01
FR80-21017 1980-10-01
FR8021017A FR2491060A1 (fr) 1980-10-01 1980-10-01 Esters d'acides cyclopropanes carboxyliques apparentes a l'acide pyrethriqu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a la lutte contre les parasi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615A KR830007615A (ko) 1983-11-04
KR880001829B1 true KR880001829B1 (ko) 1988-09-20

Family

ID=9246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3710A Expired KR880001829B1 (ko) 1980-10-01 1981-10-02 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EP (1) EP0050534B1 (ko)
JP (2) JPS57126447A (ko)
KR (1) KR880001829B1 (ko)
AT (1) ATE12490T1 (ko)
AU (1) AU548041B2 (ko)
BR (1) BR8106299A (ko)
CA (2) CA1242648A (ko)
DD (2) DD202422A5 (ko)
DE (1) DE3169688D1 (ko)
DK (2) DK164740C (ko)
ES (1) ES505887A0 (ko)
FI (1) FI78679C (ko)
FR (2) FR2491060A1 (ko)
GR (1) GR75021B (ko)
HU (1) HU195759B (ko)
IE (1) IE52212B1 (ko)
IL (1) IL63979A0 (ko)
MA (1) MA19293A1 (ko)
NZ (1) NZ198515A (ko)
OA (1) OA07538A (ko)
PT (1) PT73753B (ko)
SU (1) SU1473707A3 (ko)
ZA (1) ZA816768B (ko)
ZW (1) ZW241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36392A2 (fr) * 1982-11-22 1984-05-25 Roussel Uclaf Nouveaux derives de l'acide cyclopropane carboxyliqu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a la lutte contre les parasites
FR2536389B2 (fr) * 1982-11-22 1986-06-27 Roussel Uclaf Esters d'acides cyclopropane carboxyliques apparentes a l'acide pyretriqu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a la lutte contre les parasites
FR2491060A1 (fr) * 1980-10-01 1982-04-02 Roussel Uclaf Esters d'acides cyclopropanes carboxyliques apparentes a l'acide pyrethriqu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a la lutte contre les parasites
FR2533416B1 (fr) * 1982-09-29 1988-09-02 Roussel Uclaf Nouvelles compositions pesticides renfermant un photostabilisant
FR2534252A1 (fr) * 1982-10-12 1984-04-13 Roussel Uclaf Nouveaux derives de l'acide cyclopropane carboxylique substitues en 3 par une chaine vinylique elle-meme substitue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comme pesticides
FR2535315A1 (fr) * 1982-11-02 1984-05-04 Roussel Uclaf Nouveaux derives de l'acide cyclopropane carboxylique comportant un groupement alcoylthio carbonyle et un atome d'halogene, leur preparation, leur application a la lutte contre les parasites des vegetaux, des animaux et des locaux et les compositions les renfermant
FR2536748A1 (fr) * 1982-11-25 1984-06-01 Roussel Uclaf Nouveaux esters derives d'acides 2,2-dimethyl cyclopropane carboxyliques et d'alcools biaryliqu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a la lutte contre les parasites
FR2547817B2 (fr) * 1982-12-15 1986-02-14 Roussel Uclaf Esters d'acides cyclopropane carboxyliques et d'alcools aliphatiques insatur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esticides les renfermant
FR2537973B1 (fr) * 1982-12-15 1985-11-08 Roussel Uclaf Esters d'acides cyclopropane carboxyliques et d'alcools aliphatiques insatur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esticides les renfermant
FR2569189B1 (fr) * 1984-08-14 1986-12-19 Roussel Uclaf Nouveaux derives du pyrrol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comme pesticides
FR2590259B1 (fr) * 1985-11-20 1989-05-12 Roussel Uclaf Procede de preparation de derives fluores de l'acide phosphonique, et produits obtenus pa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KR880007430A (ko) * 1986-12-11 1988-08-27 허버트 프리텔 펜타플루오로페닐메틸 2,2-디메틸3-포밀 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
FR2610624B1 (fr) * 1987-02-06 1989-06-09 Roussel Uclaf Nouveaux esters d'acides cyclopropanecarboxyliques apparentes a l'acide pyrethriqu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a la lutte contre les parasites
FR2618432B1 (fr) * 1987-07-20 1989-12-01 Roussel Uclaf Nouveaux derives pyrethrinoides comportant un heterocycle azot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s applications comme pesticides
JP2570388B2 (ja) * 1988-06-10 1997-01-08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カルボン酸エステルおよびその殺虫剤としての用途
GB8902324D0 (en) * 1989-02-02 1989-03-22 Ici Plc Insecticidal compounds
FR2687666A1 (fr) * 1992-02-21 1993-08-27 Roussel Uclaf Nouveaux esters pyrethrinouiques, derives de l'alcool 6-(trifluoromethyl) benzyliqu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comme pesticides.
FR2693082B1 (fr) * 1992-07-01 1994-08-26 Roussel Uclaf Nouvelles compositions insecticides renfermant comme principe actif un ester de l'acide 3-[(DELTAZ) 2-fluoro 3-oxo 3-méthoxy propényl] cyclopropane carboxylique.
FR2703044B1 (fr) * 1993-03-25 1995-06-02 Roussel Uclaf Nouveau procédé d'isomérisation de doubles liaisons.
JP3694915B2 (ja) 1994-06-17 2005-09-14 住友化学株式会社 エステル化合物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有害生物防除剤
US5852048A (en) * 1995-03-01 1998-12-22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Ester compound and a pesticidal agent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JP3286598B2 (ja) * 1998-06-11 2002-05-27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シートの搬送装置
JP4552456B2 (ja) * 2004-02-27 2010-09-29 住友化学株式会社 エステル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JP5066843B2 (ja) * 2006-06-15 2012-11-07 住友化学株式会社 エステル化合物及びその有害生物防除用途
CN106642346A (zh) * 2016-12-28 2017-05-10 武汉海尔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46304A (en) * 1972-05-25 1976-08-18 Nat Res Dev 3-substituted cyclopropane carboxylic acids and derivatives thereof
DE2326077C2 (de) * 1972-05-25 1985-12-12 National Research Development Corp., London Ungesättigte Cyclopropancarbonsäuren und deren Derivate, deren Herstellung und diese enthaltende Insektizide
OA06786A (fr) * 1980-04-16 1982-12-31 Roussel Uclaf Nouveaux dérivés de l'acide cyclopropane, leur préparation, leur application à la lutte contre les parasites des végétaux et des animaux, les compositions les renfermant et les nouveaux intermediaires obtenus.
FR2482955A1 (fr) * 1980-05-23 1981-11-27 Roussel Uclaf Nouveaux derives de l'acide cyclopropane carboxyliqu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a la lutte contre les parasites
FR2491060A1 (fr) * 1980-10-01 1982-04-02 Roussel Uclaf Esters d'acides cyclopropanes carboxyliques apparentes a l'acide pyrethriqu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a la lutte contre les parasi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64402C (da) 1992-11-09
DK164740B (da) 1992-08-10
JPS6254421B2 (ko) 1987-11-14
NZ198515A (en) 1985-03-20
CA1237135A (fr) 1988-05-24
MA19293A1 (fr) 1982-04-01
JPS57126447A (en) 1982-08-06
BR8106299A (pt) 1982-06-22
PT73753A (fr) 1981-10-01
IE52212B1 (en) 1987-08-05
IE812274L (en) 1982-04-01
IL63979A0 (en) 1982-01-31
ATE12490T1 (de) 1985-04-15
DK164740C (da) 1992-12-28
KR830007615A (ko) 1983-11-04
FI78679B (fi) 1989-05-31
FI78679C (fi) 1989-09-11
GR75021B (ko) 1984-07-12
FR2560189A2 (fr) 1985-08-30
FR2491060A1 (fr) 1982-04-02
PT73753B (fr) 1983-11-08
CA1242648A (fr) 1988-10-04
EP0050534A1 (fr) 1982-04-28
SU1473707A3 (ru) 1989-04-15
JPH0643369B2 (ja) 1994-06-08
DD202422A5 (de) 1983-09-14
OA07538A (fr) 1985-03-31
DK432781A (da) 1982-04-02
DK15691A (da) 1991-01-29
FI813042L (fi) 1982-04-02
DE3169688D1 (en) 1985-05-09
FR2491060B1 (ko) 1983-09-16
AU548041B2 (en) 1985-11-21
DK15691D0 (da) 1991-01-29
HU195759B (en) 1988-07-28
ZA816768B (en) 1982-09-29
DD211473A5 (de) 1984-07-18
JPS6023343A (ja) 1985-02-05
ZW24181A1 (en) 1982-02-24
ES8207133A1 (es) 1982-09-01
EP0050534B1 (fr) 1985-04-03
FR2560189B2 (fr) 1987-12-11
ES505887A0 (es) 1982-09-01
AU7596181A (en) 1982-04-08
DK164402B (da) 199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1829B1 (ko) 시클로프로판 카복실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US4220591A (en) Insecticidal esters
AU601808B2 (en) Tetrafluorobenzyl esters of cyclopropane carboxylic acids
IE51451B1 (en) Cyclopropane carboxylic acid derivatives,their preparation,their use in the control of parasites of plants,animals and localities,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nd new intermediates obtained
US4732903A (en) Certain cyclopropyl dicarboxylates having pesticidal and insecticidal activity
JPS6224418B2 (ko)
US4808749A (en) Cyclopropane carboxylic esters and acids
CA2008811A1 (fr) Derives de l&#39;acide 2,2-dimethyl 3-(2-monohaloethenyl) cyclopropane carboxyliqu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comme pesticides
JPH05112519A (ja) 3−[2−シアノ−2−ハロゲノエテニル−2,2−ジメチルシクロプロパンカルボン酸の新エステル誘導体、それらの製造法及び殺生物としての使用
US3835220A (en) Insect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vinylcyclopropanecarboxylates
JPH0692356B2 (ja) シアノ基を有するシクロプロパンカルボン酸のエステル,その製造法及びその殺虫殺ダニ剤としての使用
JPH02225442A (ja) 3―エテニル―2,2―ジメチルシクロプロパンカルボン酸の新規な弗素化誘導体、その製造方法、害虫駆除剤としてのその使用及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US4356187A (en) Novel esters of 2-methyl-3-allyl-4-substituted-cyclopent-2-ene-1-yl
FR2539411A2 (fr) Nouveaux derives de l&#39;acide cyclopropane carboxyliqu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leur application a la lutte contre les parasites
US5082832A (en) Novel cyclopropane carboxylates
FR2534252A1 (fr) Nouveaux derives de l&#39;acide cyclopropane carboxylique substitues en 3 par une chaine vinylique elle-meme substitue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comme pesticides
JPH0465823B2 (ko)
EP0043187B1 (en) Pesticidal cyclobutyl carboxylic ester comprising compositions
JP3320453B2 (ja) 4−アミノ−2,3,5,6−テトラフルオルフェニルメチルアルコールの新規なピレスリノイドエステル、それらの製造法及びそれらのペスチサイドとしての用途
JPH0641015A (ja) 6−(トリフルオルメチル)ベンジルアルコールから誘導される新規なピレスリノイドエステル、それらの製造法及びそれらの有害生物駆除剤としての用途
CH643540A5 (it) Nuovi piretroidi e loro processo di sintesi.
IE43348B1 (en) Pyrethroids as insecticides
CA2060770A1 (fr) Esters de l&#39;acide 3-(3,3,3-trifluoro 2-chloropropenyl) 2,2-dimethylcyclopropanecarboxyliqu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s comme pesticides
JPH0625096A (ja) 3位に1−ブテン−3−イニル鎖を有する2,2−ジメチルシクロプロパンカルボン酸の新誘導体、それらの製造法及びそれらの有害生物駆除剤としての用途
FR2547817A2 (fr) Esters d&#39;acides cyclopropane carboxyliques et d&#39;alcools aliphatiques insatur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esticides les renferm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509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5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