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80001738Y1 - 컴퓨터용 키이보드의 결착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키이보드의 결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738Y1
KR880001738Y1 KR2019840002662U KR840002662U KR880001738Y1 KR 880001738 Y1 KR880001738 Y1 KR 880001738Y1 KR 2019840002662 U KR2019840002662 U KR 2019840002662U KR 840002662 U KR840002662 U KR 840002662U KR 880001738 Y1 KR880001738 Y1 KR 8800017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computer
binding
key board
pedes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26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8033U (ko
Inventor
허익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026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738Y1/ko
Publication of KR8500080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80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7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738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9Detachabl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컴퓨터용 키이보드의 결착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요부동작상태 일부절취 확대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받침대 4' : 돌환부
5 : 고정간 6 : 결합부
본 고안은 컴퓨터에 사용하는 키이보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받침대에 의해 연동되는 고정구로 기기의 전면부에 결착시켜 함께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컴퓨터용 키이보드의 결착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는 키이보드를 기기의 전면부에 결착하기 위한 결착장치를 키이보드의 받침대와는 별도로 설치 사용하였기 때문에 결착장치를 받침대와 별개로 조작해야되므로 사용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였으며 또, 이들을 별도로 설치함에 따른 부품과 공정수가 증가되고 원가가 상승되는 등의 결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받침대와 고정구를 일체로 연동되게 설치하여 조작이 간편하고, 부품과 공정수가 감소 되도록 고안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키이보드(1)를 양측내면에 결착공(3)이 형성된 기기(2)의 전면부에 결착토록함에 있어서, 키이보드(1)의 저면 양측모서리 부분에 받침대(4)를 하부로 노출될 수 있게 각기 축착하고, 그 상측의 돌환부(4')가 결합되는 결합부(6)를 요입형성한 고정간(5)은 선단이 외측방으로 각기 노출되게 스프링(7)으로 탄력설치시켜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8.8'"는 기기의 전면 상측 내면에 요입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돌기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키이보드(1)를 사용하지 않거나 보관할 때에는 먼저 고정돌기(8)(8')들을 기기(2)의 전면 상측 내면에 형성한 고정홈에 각기 끼워지게 한 상태에서 키이보드(1)자체를 기기(2)의 전면부에 결합되게한 후 제2(a)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양쪽의 받침대(4)를 내부로 회전시켜 접어넣으면 스프링(7)의 탄발로 고정간(5)의 선단부가 외측방으로 각기 노출되면서 기기(2)의 양측내면에 형성된 결착공(3)에 끼워져 결합되므로 키이보드(1)가 기기(2)의 전면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결착되는 것이며, 이렇게 결착된 상태에서는 스프링(7)의 탄발력에 의해 고정간(5)이 후진되지 못하게 되어 그 결착상태가 안정되는 것이다.
또한, 키이보드(1)를 분리하고져할 때에는 제2(b)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대(4)를 하방으로 회전인출시키면, 그 상측의 돌환부(4')가 회전되면서 고정간(5)을 후진 시켜 주므로 스프링(7)은 압축되고 기기(2)에 형성된 결착공(3)에 끼워져 있던 고정간(5)의 선단부가 이탈되어 결착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키이보드(1)를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때, 하방으로 노출시킨 받침대(4)는 키이보드(1)의 후면부를 바닥면에서 들어올려 사용하기 적합한 상태로 놓여지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받침대(4)를 조작하면 고정간(5)이 동시에 동작되어 키이보드(1)를 기기(2)에 안정되게 결착시켜 주게됨은 물론 키이보드(1)를 사용하기 적합한 상태로 받쳐주게 되는 역할도 겸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들이 동시에 연동되게 함께 설치하므로 부품과 공정수가 감소되고 조작이 간편용이하게 되는 등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키이보드를 기기의 전면부에 결합 시키도록 함에있어서, 키이보드의 저면 양측모서리 내부에는 돌환부(4')가 형성된 받침대(4)를 축착하고, 상기 돌환부(4')가 결합되는 결합부(6)를 요입형성한 고정간(5)을 스프링으로 탄력설치하여 받침대(4)의 조작에 따라 고정간(5)의 선단이 외측방으로 들락거릴 수 있게 하여서된 컴퓨터용 키이보드의 결착장치.
KR2019840002662U 1984-03-24 1984-03-24 컴퓨터용 키이보드의 결착장치 Expired KR8800017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2662U KR880001738Y1 (ko) 1984-03-24 1984-03-24 컴퓨터용 키이보드의 결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2662U KR880001738Y1 (ko) 1984-03-24 1984-03-24 컴퓨터용 키이보드의 결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033U KR850008033U (ko) 1985-10-26
KR880001738Y1 true KR880001738Y1 (ko) 1988-05-06

Family

ID=19233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2662U Expired KR880001738Y1 (ko) 1984-03-24 1984-03-24 컴퓨터용 키이보드의 결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73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033U (ko) 198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9404987U1 (de) Tastenschalter für Computertastaturen
KR880001738Y1 (ko) 컴퓨터용 키이보드의 결착장치
KR850002936Y1 (ko) 컴퓨터용 키이보드의 결착장치
KR200345682Y1 (ko) 신문열람대의 신문고정구조
KR930002931Y1 (ko) 씽크대용 가림판 체결구
KR200143490Y1 (ko) 컴퓨터 확장 모듈 고정 구조
JPH0320980Y2 (ko)
KR940004585Y1 (ko) 편향요크의 터미널보드 취부구조
KR910005797Y1 (ko) 형광등 스윗치에 소형전구 소켓 결합장치
KR940001453Y1 (ko) 육절기 고기 누룸구의 고정구조
KR930005503Y1 (ko) 우산 중심대에 상걸쇠의 결착구조
KR910007152Y1 (ko) 전용기의 제어장치
KR960009073Y1 (ko) 다방향 기능 버튼
KR930022169A (ko) 휴대용 컴퓨터의 hdd 착탈구조와 그 방법
KR950000130Y1 (ko) 가스레인지의 버너 지지대의 결합수단
KR0133278Y1 (ko) 부채
KR960002296Y1 (ko) 전원 스위치용 노브 구조
KR880001226Y1 (ko) 음향기기의 기판과 판넬의 결합장치
KR910009346Y1 (ko) 셔터부재의 연결홀더
KR940004586Y1 (ko) 편향요크의 코일쎄퍼레이터구조
KR0166701B1 (ko) 칼라티브이의 기판 스톱퍼 장치
KR870004191Y1 (ko) 프린트 기판 고정장치
KR0114725Y1 (ko) 전자 제품의 밧데리 커버 고정 및 착탈장치
KR880001222Y1 (ko) 삽입식 손잡이
KR920001954Y1 (ko) 푸시 스위치의 버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40324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6103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40324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80217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8040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807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809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8091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01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3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12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426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4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6112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