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80001466Y1 - 연소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연소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466Y1
KR880001466Y1 KR2019830004586U KR830004586U KR880001466Y1 KR 880001466 Y1 KR880001466 Y1 KR 880001466Y1 KR 2019830004586 U KR2019830004586 U KR 2019830004586U KR 830004586 U KR830004586 U KR 830004586U KR 880001466 Y1 KR880001466 Y1 KR 8800014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circuit
opening
load detection
amount
out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45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233U (ko
Inventor
시게오 나루세
Original Assignee
린나이 가부시기 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 가부시기 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62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2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4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466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F23N5/245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소 제어장치
첨부 도면은 본 고안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하 검지회로 2 : 비례 제어 밸브
3 : 버어너 4 : 저부하 검지회로
5 : 스파크(spark)발생장치 6 : 안전타이머
본 고안은 탕비기(湯沸器) 등의 연소기에 사용하는 연소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탕비기의 연소 제어장치로서 예를 들면 출탕온도와 설정온도의 편차를 검지하는 부하 검지회로의 출력에 의하여 비례 제어 밸브의 개폐도를 조정하여 버어너의 연료 공급량을 제어함과 아울러 댐퍼(damper)의 개폐도를 조정하여 연소 공기량을 제어하는 형식의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것에 있어서는 댐퍼의 개폐도 조정에 필요한 시간이 비례 제어 밸브의 개폐도 조정에 필요한 시간의 수배가 걸리므로 탕비기의 출탕량을 대폭으로 조이는 경우와 설정온도를 대폭으로 낮게한 경우, 비례 제어 밸브는 출탕온도와 설정온도와의 온도차에 따라 즉시 개폐도가 작게 제어되어서 연료 공급량은 감소되지만, 댐퍼는 즉시 제어되지 않게 되므로, 비례 제어 밸브가 제어된 후, 어느 정도 늦게 제어된다. 따라서 댐퍼가 제어될 때까지의 공백 시간동안 연료 공급량에 비하여 연소 공기량이 과다하게 되어 불을 붙어 끄게하므로 미연소된 생가스가 연소실내에 충만하여 위험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은 둔 것으로, 부하 검지회로(1)의 출력으로 비례 제어 밸브(2)의 개폐도를 조정하여 버어너(3)로 보내는 연료 공급량을 제어함과 아울러 댐퍼의 개폐도를 조정하여 연소 공기량을 제어하는 형식의 것에 있어서, 그 부하 검지회로(1)에서 얻어지는 출력이 일정치 이하가 되었을 때 작동하는 저부하 검지회로(4)와, 그 저부하 검지회로(4)의 작동에 연동하여 스파크 발생장치(5)를 일정기간 작동시키는 안전타이머(6)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은 탕비기의 연소 제어장치로서 본 고안 장치를 적용한 것이데, 그 경우의 부하는 출탕온도와 설정온도의 편차치에 의하여, 혹은 급수온도와 설정온도와의 차에 급수량을 곱한 값에 의하여 대표되고, 여기에서 부하를 출탕온도와 설정온도와의 편차치로 대표하는 경우, 부하 검지회로(1)는 출탕온도 검출용 온도센서(7)와 출탕온도 설정용 가변 저항기(8)와를 조합한 브릿지회로(9)와, 그 브릿지회로(9)에 의하여 검출된 출탕온도와 설정온도와의 온도차에 다른 전압을 비례적으로 증폭하는 연산 증푹기(10)로 구성된다. 또, 부하를 급수온도와 설정온도와의 차에 급수량을 곱한 값으로 대표하는 경우에는, 전자의 브릿지회로(9)의 출탕온도 검출용 온도센서를 급수온도 검출용 온도센서로서 이용한 브릿지회로와, 급수관에 개재시킨 유량센서와, 그 브릿지회로의 출력과 그 유량센서의 출력을 곱하여 증폭하는 연산 중폭기로 부하 검지회로를 구성하면 된다.
이하, 부하를 출탕온도와 설정온도와의 편차치로서 검지하는 부하 검지회로를 사용한 탕비기의 경우에 대하여 다른 각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비례 제어 밸브(2)의 개폐도의 조정은 그 연산 증폭기(10)에서의 출력을 다시 다른 연산 증폭기(11)로 적분적으로 증폭하고, 그 출력을 비례 제어 밸브의 여자코일(12)에 직렬로 접속된 트렌지스터(13)의 베이스에 인가시켜서 그 트렌지스터(13)의 콜렉터 전류를 가변함에 따라 이루어진다.
댐퍼의 개폐도 조정은 그 트렌지스터(13)의 콜렉터 전류를 차동형 연산 증폭기(14)로 증폭하여 그 출력을 댐퍼를 구동하는 모우터(15)에 인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저부하 검지회로(4)는 비교기로 구성되며, 부하 검지회로(1)에서 저부하를 알리는 출력신호가 얻어졌을 때, 예를 들어 출탕온도에서 설정온도를 뺀값이 섭씨 10도 이상되고 그 온도차에 대응하는 큰 출력이 얻어졌을 때, 높은 레벨의 출력신호가 발생되게 하였다.
안전타이머(6)는 물 꼭지의 개폐에 연동하여 ON, OFF되는 스위치(16)와, 비교기(17)와, 그 비교기(17)의 입력단자에 접속되는 콘덴서(18)와, 그 콘덴서(18)의 방전회로를 구성하고 베이스에 저부하 검지회로(4)의 출력이 인가되는 트렌지스터(19)로 구성된다.
그 안전타이머(6)에 대해서는 물 꼭지가 열리어 스위치(16)가 ON되고 저부하 검지회로(4)에서 높은 레벨의 출력신호가 얻어졌을 때에 트렌지스터(19)가 도통하고 콘데서(18)가 방전되어 비교기(17)의 입력단자에 낮은 레벨의 신호가 얻어진다. 그 결과 높은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게 하였다. 안전타이머(6)의 출력단자는 스파크 발생장치 구동용 릴레이의 여자코일(20)에 직렬로 접속된 트렌지스터(21)의 베이스에 접속된다.
도면 중 (22)는 열교환기이다.
이어서 그 작동을 설명한다. 물 꼭지가 열리어 스위치(16)가 상태에 있는 탕비기의 사용중에 출탕량을 대폭 줄이거나 또는 설정온도를 대폭으로 낮게하면, 부하 검지회로(1)에서는 부하가 일정치 이하를 알리는 큰 출력을 얻게되고, 비례 제어 밸브(2)는 즉시 개폐도가 작게되어 버어너(3)로 보내는 연료 공급량이 감소되지만, 댐퍼는 즉시 이에 응동항지 않고 늦게 개폐도가 작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연소 공기량이 감소된다. 따라서 비례 제어 밸브(2)가 제어된 후 댐퍼가 제어될 때까지의 사이에 연소실내는 연료 공급량에 비하여 연소 공기량이 과다하게 되어 불을 부어 끄게할 염려가 있으나, 그 경우 부하 검지회로(1)에서는 부하가 일정치 이하인 것을 알리는 큰 출력이 얻어지며, 그 큰 출력이 저부하 검지회로(4)에 입력되고 그 저부하 검지회로(4)에서는 높은 레벨의 출력신호를 얻을 수 있으므로 안전타이며(6)가 작동하여 댐퍼의 개폐도가 제어될 때까지 스파크 발생장치(5)를 구동하여 불이 과다한 연소 공기량에 의해 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부하가 급속하게 일정치 이하의 저부하로 변화하더라도 예를 들면 탕비기를 사용 중 출탕량을 대폭으로 감소하거나, 설정온도를 대폭으로 낮게하여도, 비례 제어 밸브(2)의 개폐도가 제어된 후, 댐퍼의 개폐도가 제어될 때까지의 연소 공기량이 과다하게 공급되는 시간중, 안전타이머(6)를 작동시켜서 스파크 발생장치(5)를 구동하고 버어너(3)의 분화구상에서 스파크를 발생시키므로 종래 장치와 같이 과다한 연소 공기량에 의해 불이 꺼지는 일이 전혀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부하 검지회로(1)의 출력으로 비례 제어 밸브(2)의 개폐도를 조정하여 버어너(3)로 보내는 연료 공급량을 제어함과 아울러 댐퍼의 개폐도를 조정하여 연소 공기량을 제어하는 형식의 연소 제어장치에 있어서, 그 부하 검지회로(1)에서 얻어지는 출력이 일정치 이하가 되었을 때 작동하는 저부하 검지회로(4)와, 그 저부하 검지회로(4)의 작동에 연동하여 스파크 발생장치(5)를 일정시간 작동시키는 안전타이머(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제어장치.
KR2019830004586U 1982-05-25 1983-05-25 연소 제어장치 Expired KR88000146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2075677U JPS58181153U (ja) 1982-05-25 1982-05-25 燃焼制御装置
JP75677 1982-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233U KR840006233U (ko) 1984-11-30
KR880001466Y1 true KR880001466Y1 (ko) 1988-04-21

Family

ID=30085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4586U Expired KR880001466Y1 (ko) 1982-05-25 1983-05-25 연소 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181153U (ko)
KR (1) KR880001466Y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4838U (ko) * 1980-01-25 1981-03-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233U (ko) 1984-11-30
JPS58181153U (ja) 198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71860B1 (da) Fremgangsmåde og apparat til styring af forbrænding af brændstof
EP0274688B1 (en) Automatic firing rate control for a boiler
CA1132680A (en) Flame responsive control circuit
JPH06317319A (ja) 暖房装置のガス自動燃焼制御装置用の制御装置とその使用方法
NO781804L (no) Styresystem for en brenner.
US4513910A (en) Adaptive low fire hold control system
US5865612A (en) Hot surface ignitor
US3447880A (en) Control system for fluid fuel burners
KR910002740B1 (ko) 연소제어장치
KR880001466Y1 (ko) 연소 제어장치
JPH0378529B2 (ko)
JPS631499B2 (ko)
KR930001779Y1 (ko) 가브보일러의 배기팬 속도조절장치
KR930004682B1 (ko) 비례제어 밸브의 제어장치
KR880000182B1 (ko) 연소 안전장치
KR0134134B1 (ko) 연소기기
GB2248701A (en) Burner control system and method
KR870011421A (ko) 연소장치
EP1130320B1 (en) Control system for boilers
KR930004528B1 (ko) 연소 제어장치
KR100206754B1 (ko) 가스보일러의 연소 비례 제어방법
JPH0115772B2 (ko)
KR850003176Y1 (ko) 급탕장치
KR900002677Y1 (ko) 보일러의 자동점화 장치
JPS57136024A (en) Combustion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3052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3052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61011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1987042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J2001 Appeal

Decision date: 19880217

Appeal identifier: 1987201000491

Request date: 19870716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8031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807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811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8111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004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104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4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3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416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4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Others

Termination date: 1996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