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80000412Y1 - 칼러 영상신호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칼러 영상신호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412Y1
KR880000412Y1 KR2019870014084U KR870014084U KR880000412Y1 KR 880000412 Y1 KR880000412 Y1 KR 880000412Y1 KR 2019870014084 U KR2019870014084 U KR 2019870014084U KR 870014084 U KR870014084 U KR 870014084U KR 880000412 Y1 KR880000412 Y1 KR 8800004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output
band
local oscill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4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끼라 히로다
Original Assignee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신지 이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5165056A external-priority patent/JPS5789387A/ja
Priority claimed from JP55165057A external-priority patent/JPS5789388A/ja
Application filed by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신지 이찌로 filed Critical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70014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4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4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412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the recorded chrominance signal occupying a frequency band under the frequency band of the recorded brightness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러 영상신호 기록장치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 장치를 도시한 계통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계통도.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계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력단자 2, 8, 15 : 저역필터
3 : 주파수 변조기 4, 14, 35 : 혼합기
5, 18 : 대역필터 6, 16, 46 : 주파수 변환기
7, 7', 7" : 국부 발진기 9 : 기록용 비데오 헤드
10 : 재생용 비데오헤드 11 : 전차 증폭기
12 : 고역필터 13 : 주파수 복조기
17, 17' : 전압 제어 발진기 19 : 버스트 위상 비교기
20 : 기준 발진기 21, 29 : 출력단자
22, 25 : 수평동기 분리기 23, 26, 38 : 위상 비교기
24, 27 : 1/n 분주기 28 : 타임 베이스 콜렉터
30, 36 : 1/4 분주기 31 : 파일롯 게이트펄스 발생기
32, 39 : 1/(4n-1)분주기 33 : 게이트회로
34 : 3.58MHz 발진기 37 : 파일롯 검출기
40, 41 : 1/2 분주기 42 : 40 체배기
43 : PS(위상추이)회로 44 : 단자
45 : 455 체배기
본 고안은 칼러 영상신호 기록장치 및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반송색신호 대역에 포함된 휘도신호 성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 일반적으로 행하여지던 저역변환 칼러 영상신호 기록 재생장치의 기록 시스템의 블록도이며, 제2도는 재생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입력단자(1)에 인가된 예를 들어 NTSC 방식 또는 PAL 방식등의 복합 칼러 영상신호는 3MHz 정도의 차단주파수를 갖는 저역필터(2)로서 휘도 신호를 분리하고, 이러한 분리된 휘도 신호는 주파수 변조기(3)에서 반송파가 주파수 변조된 주파수 변조신호로 되어 혼합기(4)에 공급된다.
한편 단자(1)에 인가된 복합 칼러 영상신호는 3 내지 4.2MHZ정도의 보통 대역을 갖는 대역필터(5)에도 공급되며, 반송색신호 대역의 신호가 분리되고, 이러한 반송색신호 대역의 신호는 주파수 변환기(6)로서 국부발진기(7)에서의 변환용 국부신호의 차이의 주파수를 취하는 것에 의하여, 예를 들어 630KHz 정도의 저역주파수를 중심주파수로 하는 주파수 변환신호가 되어, 1.2MHz 정도의 차단주파수를 갖는 저역필터(8)를 통하여 혼합기(4)에 공급되고, 상기 주파수 변조신호와 혼합되는 기록용 비데오 헤드에 공급되며, 자기 테이프등의 기록매체(도시되지 않음)에 기록된다.
기록된 신호는 제2도에 도시된 재생시스템에 있어서, 재생용 비데오 헤드(10)에 의하여 재생되며, 전치증폭기(11)로서 적당한 레벨로 증폭되어진 후에, 1.2MHz 정도의 차단 주파수를 갖는 고역필터(12)에 의해 재생주파수 변조신호가 분리되고, 재생주파수 변조신호는 주파수 복조기(13)에 의하여 복조되고, 재생 휘도 신호로서 혼합기(14)에 공급된다.
한편, 전치 증폭기(11)에 의하여 증폭된 신호는 1, 2MHz 정도의 차단 주파수를 갖는 저역필터(15)에도 공급되며, 재생주파수 변환신호가 분리되고, 이러한 재생주파수 변환신호는 주파수 변환기(16)에 있어서, 전압제어 발진기(17)의 출력을 이용하여, 주파수 대역으로 주파수 변환되고, 대역 필터(18)를 통하여 혼합기(14)에 공급된다.
이러한 대역필터(18)의 출력은 버스트 위상 비교기(19)에도 공급되고, 기준 발진기(20)의 출력과 위상비교되며, 오차출력에 의하여 전압제어발진기(17)의 발진을 제어하므로서, 재생주파수 변환신호에 포함된 시간축 변동이 제거된다.
주파수 복조기(13)의 출력과 대역필터(18)의 출력은 혼합기(14)에서 혼합되고, 재생복합 칼러 영상신호로서 출력단자(21)에 출력된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대역필터(18)에 의하여 취출된 반송색신호 대역의 신호내에는, 동시에 휘도신호의 고역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고역휘도신호 성분은, 위상은 전혀 보존되지 않으므로(기록 재생의 과정에서 주파수 변조되고, 기록 재생된 휘도신호와 위상이 일치되지 않게 된다), 대역으로서 재생되어짐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는 쓸모가 없어지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합칼러 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를 분리하는 저역필터와, 분리한 휘도신호에 의해 반송파를 주파수 변조하는 주파수 변조기와, 상기 복합 칼러 영상신호로부터, 반송색신호와, 그 대역에 포함되는 휘도신호의 고역성분을 동시에 추출하는 대역필터와, 그 대역필터의 출력을 상기 휘도신호의 대역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기와, 상기 주파수 변환기와 상기 주파수 변환기의 각 출력을 다중기록을 위해 혼합하는 혼합기를 갖는 칼러 영상신호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혼합칼러 영상신호로부터 수평동기를 분리하는 수평동기신호 분리회로와, 분리된 수평동기신호에 의해 위상제어된 국부발진출력을 발생하는 국부발진회로를 새로 가지고, 상기 위상제어된 국부발진출력을 상기 주파수 변환기에 공급하여, 동시에 분리된 반송색신호와 휘도신호의 고역성분의 위상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국부발진출력으로서, 상기 분리된 수평동기신호의 매 m개(m은 자연수) 중에서 선택한 1개의 펄스와 일정한 위상관계를 갖는 국부발진출력을 발생하는 국부발진회로와, 상기 선택한 1개의 펄스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파일롯 신호를 발생하는 파일롯 신호 발생회로와, 발생한 파일롯 신호를 상기 대역필터의 출력에 혼합하는 제2의 혼합기를 구비한다.
본 고안은 또한, 복합칼러 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를 분리하여, 반송파를 주파수 변조하는 반송휘도신호 출력회로와, 상기 복합 칼러 영상신호로부터 반송색신호의 대역에 포함되는 신호성분을 상기 휘도신호의 대역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제1의 반송색신호 변환회로와, 상기 반송휘도신호 출력회로의 출력과, 상기 제1의 반송색신호 변환회로의 출력을 혼합하여, 다중 기록하는 제1의 혼은회로와, 상기 복합칼러 영상신호로부터 수평동기신호를 분리하는 제1의 수평동기신호 분리회로와, 상기 제1의 반송색신호 변환회로에 제1의 국부발진출력을 공급하는 제1의 국부발진회로를 갖는 기록회로부와, 또다시 상기 다중 기록된 반송휘도신호와 반송색신호를 재생하여, 재생신호를 얻는 재생회로와, 상기 재생신호로부터 반송휘도신호를 분리하여 복조하는 휘도신호 복조회로와, 상기 재생신호로부터 반송색신호를 분리하여, 원대역으로 변환하는 제2의 반송색신호 변환회로와, 상기 휘도신호 복조회로의 출력과 상기 제2의 반송색신호 변환회로의 출력을 혼합하여 재생복합 칼러 영상신호를 얻는 제2의 혼합회로와, 상기 휘도신호 복조회로의 출력으로부터, 수평동기신호를 분리하는 제2의 수평동기신호 분리회로와, 상기 제2의 반송색신호 변환회로에 제2의 국부발진출력을 공급하는 제2의 국부발진회로를 갖는 재생회로부를 갖는 칼러 영상신호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시는, 상기 제1의 수평동기신호 분리회로에 따라서 분리된 수평동기신호에 의해 위생제어된 제1의 국부발진출력을 상기 제1의 국부발진회로로부터 발생시켜, 그것을 상기 제1의 반송색신호 변환회로에 공급하여 상기 반송색신호와 상기 휘도신호의 고역성분의 위상을 일정한 관계로 유지하여, 재생시에는 상기 제2의 수평동기신호 분리회로에 의해 분리된 수평동기신호에 의해 위상제어된 제2의 국부발진출력을 상기 제2의 국부발진회로로부터 발생시켜, 그것을 전부 제2의 반송색신호 변환회로로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재생복합 칼러 영상신호중의 휘도신호의 고역성분과 반송색신호의 위상을 기록재생의 과정을 통해서 일정하게 유지하게 한다.
또한, 기록시에 상기 제1의 국부발진회로는 상기 제1의 국부발진출력으로 하여, 상기 제1의 수평동기신호 분리회로에 의해 분리된 수평동기신호의 매 m개(m은 자연수)중에서 선택한 1개의 펄스와 일정한 위상관계를 갖는 국부발진출력을 발생하여, 상기 선택한 1개의 펄스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파일롯 신호를 발생하는 파일롯신호 발생회로와, 발생한 파일롯 신호를 상기 반송색신호 변환회로에 혼합 공급하기 위한 제3의 혼합회로를 구비하고, 제생시에, 기록시에 기록된 상기 파일롯 신호를 상기 제2의 반송색신호 변환회로의 출력에서 검출되는 파일롯 검출회로와, 그 검출회로의 출력을 사용해서, 상기 제2의 수평동기분리회로로부터 출력되는 m개마다(m은 자연수)의 수평동기펄스중에서 기록시에 선택한 1개의 펄스를 선출하는 분주회로와 그 분주회로의 출력을 국부발진회로에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선택한 1개의 펄스에 동기되는 제2의 국부발진출력을 발생시켜, 그것을 상기 제2의 혼합회로(14)에 공급하게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이와 같은 장치의 일예의 기록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제4도는 재생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면중 제1도 및 제2도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첨부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도에 도시된 기록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단자(1)에 인가된 복합칼라 영상신호는 수평동기분리기(22)에도 공급되고 여기서 분리된 수평동기신호는 위상비교기(23)에 공급된다.
주파수 변환용 국부신호를 발진하는 국부발진기(7')는 전압제어발진기로서 구성되며, 이 출력은 주파수변환기(6)에 공급됨과 동시에 1/n 분주기(24)에도 공급되고, 여기서 1/n로 분주된 신호는 위상비교기(23)에 있어서 국부발진기(7')의 발진을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주파수 변환신호는 복합칼러 영상신호와 일정의 위상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제4도에 도시된 재생시스템에 있어서, 주파수 복조기(13)의 출력은 수평동기분리기(25)에도 공급되며, 여기서 분리된 수평동기신호는 위상비교기(26)에 공급된다.
한편, 전압제어발진기(17)의 출력은 주파수 변환기(6)에 공급됨과 동시에 1/n 분주기(27)에도 공급되며, 여기서 1/n로 분주된 신호는 위상비교기(26)에 있어서 상기 수평신호와 위상비교되고, 그 오차신호에 의하여 국부발진기(17)의 발진을 제어한다.
이에 의한 구성에 의하여 대역필터(18)에서 취출된 반송색신호대역의 신호는 복합칼러 영상신호와 일정의 위상관계에 있게 되며, 출력단자(21)에서 취출된 재생복합 칼러 영상신호의 반송색신호 대역의 신호에 포함된 휘도신호의 고역성분은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재생복합 칼러 영상신호의 반송색신호의 시간축이 약간 불안정하여도, 출력단자(21)에서 취출된 재생복합 칼러 영상신호를 타임베이스 콜렉터(28)에 의하여 시간축 보정을 행한후, 출력단자(29)에서 취출하고, 적당한 방법에 의하여 이러한 시간축의 불안정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실용상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또한 상기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된 복합 칼러 영상신호가 NTSC 방식의 것인 경우에, 입력신호부반송파 주파수는 3.579545MHz로 되고 이런 경우에 1/n 분주기(24), (27)의 분주비 n은 267로 하고, 국부발진기(7')의 발진주파수를 4.201048MHz로 하며, 저역변환발송주파수를 621.503KHz로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이러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장치에 의하면, 복합칼러 영상신호 장치는 상기된 구성으로부터, 종래의 장치에서는 이루어지지 않는 반송색신호 대역의 신호내에 포함된 휘도신호의 고역성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재생화상의 해상도를 확실히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기록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변조 왜곡성분이 현저하게 비드잡음으로서 재생화상을 열화시킬 수 있는 단점을 해소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제2실시예를 설명하겠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부분에서는 동일부호를 첨부하여 설명을 생략하겠다.
상기된 비트(moire)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저역변환부 반송파 주파수 fs
fs=(k±1/4)fH
여기서, fH: 수평주사주파수, k는 자연수
로 선택한다.
제5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기록 시스템의 블록도, 제6도는 그 재생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제5도의 기록 시스템에 있어서, 수평동기분리기(22)로서 분리된 수평동기신호는 1/4분주기(30)에 의하여 분주되고, 수평동기신호 4개마다 1개의 버스트로 되어서 위상비교기 및 파일롯 게이트펄스 발생기(31)에 공급된다.
한편, 전압 제어 발진기로서 구성된 국부 발진기(7")의 출력은 주파수 변환기(6)의 공급됨과 동시에 1/(4n-1) 분주기(23)에도 공급되며, 여기서 1/(4n-1)로 분주되고, 위상비교기(23)로서 상기의 1/4로 분주된 수평동기신호와 위상비교되며, 이러한 오차신호는 국부발진기(7")의 발진을 제어하고, 국부발진기(7")에서 발생된 주파수 변환용 국부신호는 수평동기신호 4개마다 1개로 그 위상이 고정된다.
파일롯 게이트 펄스 발생기(31)에서의 게이트펄스는 게이트 회로(33)에 공급되며, 3.58MHz 발진기(34)에서의 신호를 게이트하고, 수평동기신호 4개마다 1개의 파일롯 신호를 만들어내며, 이러한 파일롯신호는 혼합기(35)에 있어서 대역필터(5)에서의 반송색신호 대역의 신호와 혼합되고, 4수평주사 주기마다의 수평블랭킹 기간내의 칼러 버스트 신호의 앞 또는 후의 적당한 위치에 삽입된다.
제6도의 재생시스템에 있어서 수평동기분리기(25)로서 분리된 수평동기신호는 1/4분주기(36)에 있어서 1/4로 분주된다. 이러한 1/4 분주기(36)에서 리셀신호는 대역필터(18)의 출력신호에서 파일롯 검출기로서 취출되며 상기 4수평주사 주기마다 파일롯 신호가 공급된다.
이러한 1/4 분주기(36)의 출력은 위상 비교기(38)에 공급되어지며, 한편 전압제어 발진기(17')의 출력도 1/(4n-1) 분주기(39)에 의하여 1/(4n-1)로 분주되고, 이러한 두개의 위상 비교 오차 신호에 의하여 전압제어발진기의 발진이 제어된다.
제5도 및 제6도의 예에 있어서도, 국부발진기(7")는 입력수평동기신호 4개마다 1개로 동기되고 위하여 이러한 위상은 4종류의 자유도를 갖게 된다. 이러한 4종류의 내에 어느 것인가를 정보로서 남기기 위하여 4수평주사 기간내에 1개 위치에, 파일롯 신호를 중첩 기록하도록 한다.
재생에 있어서는 상기 파일롯 신호를 검출하고 수평동기신호 4개마다 1개를 선출하며, 여기에서 주파수변환기(16)에 의한 국부신호의 위상을 기록할 때와 합치시킨다.
제5도 및 제6도의 구성은 상기 (1)식을 실현하도록 한 것이며, (1)식에 있어서,
K=40으로 하고,
fs=633.304KHz
fL=fc+fs=4.212849
fL: 국부발진 주파수
fc: 색 부반송파 주파수 3.579540
또한
fL=1/4×(4n-1)fH
n=455/2+K+1/2=268
로 표시되어진다.
제7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중요부분의 블록도로서 상기에 제안된 것을 상호 인접한 기록트랙에 있어서 수평주사 주기마다 반송색신호의 위상을 서로 역방향으로 90도 어긋나게 하여, 소위 PS(위상 변이)방식으로 응용되는 경우에, 주파수 변환기(제5도의 부호 6 및 제6도의 부호 16)로서의 국부신호 공급회로를 도시한다.
제7도에 있어서, 수평동기분리기(22), (25)에서의 수평동기신호는 1/2 분주기(40), (41)에서부터 1/4 분주기 (30), (36)에 공급되며, 또한 PS(위상변이) 회로(43)에 공급되고, 40 체배기(45)에 공급되어 40 체배되어 PS(위상변이) 회로(43)에 공급된다.
이러한 PS(위상변이) 회로(43)에는, 1/4 분주기(30), (36)의 출력도 리셋신호로서 공급되어지며, 이러한 신호와 단자(44)에서의 PS 방향 절환펄스에 의하여 상호 접한 기록트랙에 있어 수평주사 주기마다 반송색신호의 위상을 서로 역방향으로 90도 정도 어긋나게 하도록 하는 위상변이신호가 출력된다.
1/2 분주기(40)의 출력은, 455 체배기(45)에 의하여 455 체배되어 주파수 변환기(46)에 공급되며, 이러한 주파수 변환기(46)에 있어 PS(위상변이) 회로(43)의 출력을 소정의 주파수로 주파수 변환하여, 변환용 국부신호로 하여 주파수 변환기(6), (16)에 공급한다.
이러한 제7도의 국부신호 발생회로는 제5도의 기록 시스템에 이용한 경우에는 1/4분주기(30)의 출력은 파일롯 게이트 펄스 발생기(31)에 공급되며, 3.58MHz 발진기(34)에서의 신호를 게이트 회로(33)로서 게이트하여, 4수평주사 주기로서 파일롯 신호를 발생하고, 제6도의 재생 시스템에 이용한 경우에는, 파일롯신호 검출기(37)의 출력에 의하여 1/2분주기(36)(1/4분주기 40, 41)는 4수평 주사 주기마다 리셋되도록된다.
또한 상기 각각 실시예는 수평동기신호를 1/4 분주로서, 이용하고, 여기에 한정됨이 없이, 필요에 따라서 임의의 분주비를 채용할 수 있다는 것은 두말할 것도 없다.
본 고안 장치는 상기된 바와 같은 것이므로, 재생화상의 해상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비트 잡음을 감소시키며, 재생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키며, 또한 종래의 장치에서 이용될 수 없었던 반송색신호 대역의 신호내에 포함된 휘도신호의 고역성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재생화면의 선예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등의 여러가지 장점을 갖는다. 여기서,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범위와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고 본 고안을 변경 및 변화시킬 수 있다.

Claims (2)

  1. 복합칼러 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를 분리하는 저역필터(2)와, 분리한 휘도신호에 의해 반송파를 주파수 변조하는 주파수 변조기(3)와, 상기 복합칼러 영상신호로부터, 반송색신호와, 그 대역에 포함되는 휘도신호의 고역성분을 동시에 취출하는 대역필터(5)와, 그 대역필터의 출력을 상기 휘도신호의 대역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기(6)와 상기 주파수 변조기와 상기 주파수 변환기의 각 출력을 다중기록을 위해 혼합하는 혼합기(4)를 갖는 칼러 영상신호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혼합칼러 영상신호로부터 수평동기를 분리하는 수평동기신호 분리회로(22)와, 분리된 수평동기신호에 의해 위상제어된 국부발진출력을 발생하는 국부발진회로(23, 24, 7')(30, 32, 7")를 새로 가지고, 상기 위상제어된 국부발진출력을 상기 주파수 변환기에 공급하여, 동시에 분리된 반송색신호와 휘도신호의 고역성분의 위상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러 영상신호 기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발진 출력으로서, 상기 분리된 수평동기신호의 매 m개(m은 자연수) 중에서 선택한 1개의 펄스와 일정한 위상관계를 갖는 국부발진출력을 발생하는 국부발진회로(30, 23, 32, 7")와, 상기 선택한 1개의 펄스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파일롯 신호를 발생하는 파일롯신호 발생회로(30, 31, 34, 33)와, 발생한 파일롯 신호를 상기 대역필터의 출력에 혼합하는 제2의 혼합기(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칼러 영상신호 기록장치.
KR2019870014084U 1980-11-22 1987-08-24 칼러 영상신호 기록장치 Expired KR8800004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4084U KR880000412Y1 (ko) 1980-11-22 1987-08-24 칼러 영상신호 기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5165056A JPS5789387A (en) 1980-11-22 1980-11-22 Color video signal recording system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JP55-165057 1980-11-22
JP55-165056 1980-11-22
JP55165057A JPS5789388A (en) 1980-11-22 1980-11-22 Color video signal recording system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KR1019810004513A KR830008611A (ko) 1980-11-22 1981-11-21 칼러 영상신호 기록방식 및 기록재생방식
KR2019870014084U KR880000412Y1 (ko) 1980-11-22 1987-08-24 칼러 영상신호 기록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4513A Division KR830008611A (ko) 1980-11-22 1981-11-21 칼러 영상신호 기록방식 및 기록재생방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412Y1 true KR880000412Y1 (ko) 1988-03-10

Family

ID=2747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4084U Expired KR880000412Y1 (ko) 1980-11-22 1987-08-24 칼러 영상신호 기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4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5299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tilizing phase comparator
US4884151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photo-electric image device
JPH05284468A (ja) 映像記録及び再生システム
US3660596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for color video signal
JPH01114291A (ja) 改善されたカラー記録付ビデオレコーダ
US4490749A (en) Color video sign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system
CA1089976A (en) Synchronous color conversion system
US4567507A (en) Color television signal conversion device
US4668997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for color video signal
EP0599663A2 (en) Chrominance signal processing
KR860001199B1 (ko) 컬러텔레비전 신호 변환회로
KR880000412Y1 (ko) 칼러 영상신호 기록장치
US4393418A (en) Time base error correction system
EP0144080A2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for color video signal
US5598274A (en) Image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JPS6335153B2 (ko)
JPS634393B2 (ko)
US3798361A (en)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system
JPS5832835B2 (ja) ラインオフセツトを有する搬送波信号形成回路
US5377053A (en) Magnetic reproduction apparatus for reproducing a video signal
JP3129108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KR910009771B1 (ko) 칼라 영상 신호 변환 방법
JPH065944B2 (ja) 磁気記録再生方式
JPS6038916B2 (ja) カラ−映像信号の記録、再生方式
JP2823283B2 (ja) 色信号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5 Converted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70824

Patent event code: UA01011R05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Conversion into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7090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0824

Patent event code: UA02011R05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Conversion into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8010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805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808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808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10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2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118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Others

Termination date: 1994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