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70003850Y1 - 횡편기의 캠 상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횡편기의 캠 상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3850Y1
KR870003850Y1 KR2019860004564U KR860004564U KR870003850Y1 KR 870003850 Y1 KR870003850 Y1 KR 870003850Y1 KR 2019860004564 U KR2019860004564 U KR 2019860004564U KR 860004564 U KR860004564 U KR 860004564U KR 870003850 Y1 KR870003850 Y1 KR 8700038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upport frame
cams
knitting machine
adjust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4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6588U (ko
Inventor
박장춘
Original Assignee
박장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장춘 filed Critical 박장춘
Priority to KR2019860004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3850Y1/ko
Publication of KR8700165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65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38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8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82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needle cams us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04B15/70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횡편기의 캠 상하 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제3도는 종래의 캠상하조절용 조절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5' : 조절구 6,6' : 스프링
7,7' : 나축 8 : 부착편
9, 9' : 작동간 10,10' : 핀
11 : 손잡이편 12,12' : 구멍
본 고안은 수동식 편물기, 즉 횡편기에 있어서 평행되게 좌우 이동하는 전후방 지지틀의 내측에 결합되는 캠의 상하조절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횡편기의 캠 상하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지틀은 전방 지지틀 및 후방 지지틀로 구분되되 상부 손잡이로 연결하여 일체로 구성하며, 상부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전후방 지지틀을 좌, 우 평행하게 왕복시켜주면서 수편물(스웨터, 내의 등)을 편직하게 되는데, 전후방 지지틀에 결합된 캠은 각 지지틀 좌우에 2개씩 모두 4개의 캠이 구성되어 각 캠의 상하조작에 의하여 직조 바늘을 상향 또는 하향조절케 함으로서 소망하는 편직물에 있어서, 신축성을 요구하는 손목부분, 약간의 두께를 요구하는 목부분 돌출부 또는 평면직을 편성하게 된다. 이를 도면 제1도와 대비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A)(B) 2개의 전후방 지지틀에는 각 2조의 좌, 우 캠(1)(2)(3)(4)이 결합되는데 좌우캠(1)(2)(3)(4)이 모두 상향 조절되면 신축을 요하는 고무편 조직을 편성하게되며, 캠(1)(4)만 올려 주면 평면직이 편성되고 캠(1)(2)(4)를 내리고 캠(3)만을 올려주면 1동작은 평면직이 편성되고 다음 2동작시에는 겹으로 편성되어 이를 반복함으로서 돌출부를 구성하게 되며, 캠(2)(4)를 내리고, 캠(1)(3)을 올려 주면 앞, 뒤 교대로 겹으로 편성되어 요철형상으로 편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캠(1)(2)(3)(4)의 상하작동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하고자 함이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캠을 상하조절함에 있어서 일일이 각각의 캠을 손으로 조작하여 너트 등으로 고정함으로서 번거럽고 비능률적인 재래적인 방법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의 결점을 시정하고자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은 조절구(55)를 장착하여 된 것이 있으나, 이는 전방 지지틀에는 장착이 가능하나 후방 지지틀에는 장착이 불가능하였던 것이다. 즉, 후방 지지틀에는 바늘이 상측 이동시 바늘에 결합된 핀을 분리시켜 주기위한 솔이 부착된 관계로 부착이 용이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또한 전방 지지틀에만 부착한다 하더라도 전방 지지틀에 결합되는 좌, 우캠(1') (4')의 나축(77)(77')에 연결되는 스프링(66)(66')을 연결고리(50)에 의해 결합되므로서 좌, 우캠(1)(4')을 동시에 올려 준다던가 동시에 내려 줄때에는 상관이 없으나 어느 한쪽 캠만을 올려줄 필요가 있을때에는 이의 실시가 불가능하다.
즉, 어느 한쪽의 캠만을 올려주기 위해서는 일측의 스프링을 해탈하여야 하는데 선택된 스프링(66')를 해탈한다하면 다른 일측의 스프링(66)은 이를 연결하던 연결고리 (50)가 한쪽으로 기울어지면서 힘을 받지 못하므로 작동불능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때에는 부득이 재래적인 방법을 이용하는 수 밖에 없는 것으로, 본 고안은 이와같은 모던제반 결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첨부된 도면 제1도 및 제2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측 손잡이(14)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전, 후방으로 구분된 전방 지지틀 (A) 및 후방 지지틀(B)의 양쪽에는 안내홈(13)(13')(이하 계속 설명함에 있어서 후방 지지틀에도 동일하게 구성됨)이 천설되고, 전방 지지틀(A)의 내측에는 바늘조절용 캠 (1)(4)이 면접되게 결합되며 그 캠(1)(4)의 내측면에 일체로 돌설된 나축(7)(7')은 전방 지지틀(A)의 안내홈(13)(13')을 통하여 노출되면서 너트(15)(15')등으로 고정하여 됨은 공지된 통상의 구조이다.
본 고안에서는, 전방 지지틀(A)(이하 후방 지지틀도 동일하게 구성됨)의 상단 중앙에 장착되는 조절구(5)의 각 스프링(6)(6')을 캠(1)(4)의 나축(7)(7')결합함에 있어서, 조절구(5)의 부착편(8)양쪽에 핀(10)(10')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되는 작동간 (9)(9')을 설치하고 그 선단부는 손잡이 편(11)을 횡착하여 전체를 단일체로 구성하며, 양 작동간(9)(9')의 일측구멍(12)(12')에는 통상의 스프링(6)(6')선단부가 착탈 자재하게 끼워지고 그 미단부는 캠(1)(4)의 나축(7)(7')에 통상의 방법으로 결합된 것이다.
미설명부호(16)은 바늘의 상측 이동시 바늘에 부착된 핀을 분리하는 솔(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하개솔이라 함)이며, (17)(17')는 캠이 하향상태에 있을때 캠무게에 의하여 더이상 하강함을 방지하는 통상의 지지편을 보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통상의 너트(15)(15')가 나해된 상태를 유지한 후 각 캠(1)(4)을 모두 올려줄 필요가 있을때에는 조절구(5)의 손잡이편(11)을 상측으로 회동시켜 주면 이의 양쪽에 결합된 양 작동간(9)(9')도 핀(10)(10')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이와 연결된 스프링(6)(6')도 당겨지게 되고 따라서 캠(1)(4)의 나축(7)(7')을 당겨주어 양 캠(1)(4)을 동시에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필요에 따라 캠(4)만을 상측으로 이동하고자 할때에는 일측작동간(9')의 구멍(12')에 끼워진 스프링(6')의 선단부를 작동간(9')의 구멍(12')에서 벗겨준 다음, 역시 손잡이편(11)을 상측으로 회동시켜주면 일측 캠(1)은 고정되고 다른 일측 캠(4)만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에는 일측 스프링(6')의 결합이 해제되었다 하더라도, 양 스프링(6)(6')이 연결된 작동간(9)(9')을 고정된 부착편(8) 양단의 핀(10)(10')으로 각각 결합되어 있어 상호 그 힘이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일측 캠(4)만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데 전혀 무리가 없는 것이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각 캠(1)(4)은 선택하는 바에 의하여 각 스프링(6)(6')을 결합 또는 해탈하여 주므로서 간단하고 신속하게 선택된 캠만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조잡구(5)의 고정부착편(8)은 얇은 사각 철편으로 제작됨으로 후방지지틀(B)에 부착된 솔(16)의 결합부분 상면부에 장착함에 아무런 지장이 없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그 조작방법이 간단하여 누구나 쉽게 조작할 수 있으며, 통상의 지지를 본체에 본 고안을 장착하여 주면 되는 것으로서 특별히 기체를 변형시켜줄 필요가 없어 경제적인 부담이 없으며, 본 고안을 장착함으로서 작업능률을 배가시킬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전방 지지틀(A)(이하 후방 지지틀(B)도 동일함)의 안내홈(13)(13')에 캠(1)( 4)의 나축(7)(7')이 상하 유동자재하게 끼워져 나축(7)(7')에 연결된 스프링(6)(6')의 상하 작동에 의하여 캠(1)(4)이 상, 하 이동되는 통상의 캠 상하 조절장치에 있어서, 고정부착편(8)의 양단에 핀(10)(10')을 중심으로 상, 하 회동되는작동간(9)(9')을 구성한 다음 그 선단부는 손잡이편(11)으로 횡착되며, 양 작동간(9)(9')의 구멍(12)(12')에는 캠(1)(4)의 나축(7)(7')에 연결된 통상의 스프링(6)(6')선단부가 착탈자재하게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캠 상하 조절장치.
KR2019860004564U 1986-04-09 1986-04-09 횡편기의 캠 상하 조절장치 KR8700038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4564U KR870003850Y1 (ko) 1986-04-09 1986-04-09 횡편기의 캠 상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4564U KR870003850Y1 (ko) 1986-04-09 1986-04-09 횡편기의 캠 상하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6588U KR870016588U (ko) 1987-11-30
KR870003850Y1 true KR870003850Y1 (ko) 1987-12-05

Family

ID=19250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4564U KR870003850Y1 (ko) 1986-04-09 1986-04-09 횡편기의 캠 상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38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789B1 (ko) * 2000-06-07 2002-09-11 전홍배 횡편기의 가이드캠 이송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789B1 (ko) * 2000-06-07 2002-09-11 전홍배 횡편기의 가이드캠 이송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6588U (ko) 198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57020A (zh) 一种用于绣花机的压脚装置及绣花机
US4614210A (en) Leno device for weaving machines and weaving machines equipped with such a leno device
KR870003850Y1 (ko) 횡편기의 캠 상하 조절장치
JP4376207B2 (ja) 刺繍枠支持装置
KR930002575A (ko) 평반형 자동편물기의 직물수직인장장치
CN209975065U (zh) 一种针织横机的机头及针织横机
CN210458549U (zh) 一种双针纵向换色电脑花样机
CN212426352U (zh) 一种横机中的三角控制机构
CN209227168U (zh) 一种横机编织三角及带有该编织三角的驱动装置
CN105648612B (zh) 一种多杆式开口机构电子提花机
CN107574558B (zh) 电脑针织横编机的压纱装置
CN207958713U (zh) 一种用于绣花机的压脚装置及绣花机
JP4000226B2 (ja) コード付け機能を付与したミシン
CN207331206U (zh) 梳栉横移装置
CN219709736U (zh) 一种网布经编机用导纱机构
CN221344864U (zh) 一种可调节纱线夹持的编纬机
CN216099471U (zh) 一种手工艺品编织的辅助器具
CN219117816U (zh) 一种带有红外定位装置的纺织面料裁床
US2127449A (en) Shock absorber equipment for knitting machines
CN2246157Y (zh) 无梭织机独立传动式四经纱罗绞边装置
CN217127698U (zh) 一种用于服装生产的自动钉扣机
CN219297765U (zh) 一种针距针数可变的新型双针缝纫机
CN212955589U (zh) 一种横机中的可调复位三角
CN222294498U (zh) 一种用于服装整烫的工作台
JPH0634379Y2 (ja) 織機のヘルドフレーム装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6040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6040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102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802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803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8030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0928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0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4100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