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70002809Y1 - 평면스피커 - Google Patents

평면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809Y1
KR870002809Y1 KR2019850004968U KR850004968U KR870002809Y1 KR 870002809 Y1 KR870002809 Y1 KR 870002809Y1 KR 2019850004968 U KR2019850004968 U KR 2019850004968U KR 850004968 U KR850004968 U KR 850004968U KR 870002809 Y1 KR870002809 Y1 KR 8700028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flat
vibration plate
drive cone
voice c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49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4034U (ko
Inventor
이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부품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부품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부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049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2809Y1/ko
Publication of KR8600140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40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8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809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평면스피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평면스피커의 단면도.
제2(a)도, 제2(b)도는 종래스피커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평면스피커와 종래 평면스피커의 특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보이스코일
3 : 댐퍼 4 : 드라이브콘
5 : 스피커 6 : 평면진동판
7 : 보강캡
본 고안은 스피커 전면에 평면진동판을 설치한 평면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강캡을 평면진동판의 중심부 배면에 접착시켜 평면진동판의 진동, 진폭에 따른 찌그러짐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한 평면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평면스피커는 보이스코일과 연결된 드라이브콘을 제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면평진동판에 원추형으로 부착시켜 사용해 왔으나 이는 평면진동판중심부분의 분할공진으로 평면진동판이 균일하게 진동되지 않아 진동, 진폭에 따른 찌그러짐(distortion)이 발생하고, 입력으로서 가해진 파형과는 다른 출력파형으로 나타나게 되어 스피커에 좋지 못한 영향을 주게 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2(a)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2(b)도와 같이 보이스코일을 원통형으로 길게 연장시켜 평면진동판의 배면에 부착시켰으나, 이는 상기 제2(a)도보다 분할공진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고급오디오제품이나 부피가 비교적 큰 제품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보이스코일 내부에서 방사되는 압축공기의 영향으로 분할공진의 개선효과가 적을뿐만 아니라, 평면진동판의 진동과 진폭에 따른 찌그러짐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하여 원통형 보이스코일의 직경을 크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센터폴과 영구자석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어 스피커의 부피가 커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생산성 저하와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분할공진을 완전히 감소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댐퍼와 연결되어 있는 보이스코일에다 드라이브콘을 연결시킨 다음 상기 드라이브콘을 원추형으로 평면진동판에 부착시키며, 상기 드라이브콘 상면에는 보강캡을 접착 설치시키되 보강캡을 상기 평면진동판의 중심부 배면에다 접착시킨 평면스피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프레임(1)에 보이스코일(2)과 연결된 댐퍼(3)를 연결시키고, 상기 보이스코일(2)에는 드라이브콘(4)을 연결시켜 스피커(5) 전면에 설치한 평면진동판(6)에 상기 드라이브콘(4)을 원추형으로 부착시키며, 상기드라이브콘(4) 상면에 보강캡(7)을 접착 설치시키되 보강캡(7)을 상기 평면진동판(6)의 중심부 배면에 접착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미 설명부호 8은 센터폴, 9는 영구자석, A는 본 고안에 따른 평면스피커의 그래프, B는 종래 평면스피커의 그래프, dB는 데시빌, Hz는 주파수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은 평면진동판(6)이 설치된 평면스피커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고, 종래의 평면스피커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진동, 진폭에 의한 평면진동판(6)의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써,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평면스피커를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는 데, 이는 보강캡(7)이 드라이브콘(4) 상면에 접착 설치되어 있음과 평면진동판(6)의 중심부 배면에도 접착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보강캡(7)이 드라이브콘(4) 상면에 접착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드라이브콘(4)의 분 할공진을 줄이고, 보이스코일(2) 내부의 압축된 공기를 차단하여 평면진동판(6)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특히 평면진동판(6)의 중심부 배면에 보강캡(7)을 접착시킴으로써 평면진동판(6)의 중심부 분할공진을 완전히 해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이스코일(2)의 진동이 드라이브콘(4) 및 보강캡(7)을 통하여 평면진동판(6)에 전달되어 보이스코일(2), 드라이브콘(4), 보강캡(7) 및 평면진동판(6)이 일체로 작동되며, 그러므로써 진동, 진폭에 의한 평면진동판(6)의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평면스피커와 종래 평면스피커의 특성을 비교한 그래프로서, 중음과 고음부에서 본 고안에 따른 평면스피커가 종래의 평면스피커보다 찌그러짐률이 적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드라이브콘(4) 상면에 보강캡(7)을 접착 설치시킴으로써 종래 분할공진으로 인한 스피커(5)에 좋지 못한 영향을 해소할 수 있고, 또한 종래처럼 센터폴(8)과 영구자석(9)이 커질 필요가 없어 부품을 싼 가격으로 제작 공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가격면에서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방법이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평면진동판(6)에 보이스코일(2)과 연결된 드라이브콘(4)을 원추형으로 부착시킨 평면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콘(4) 상면에 보강캡(7)을 접착 설치시키되 보강캡(7)을 상기 평면진동판(6)의 중심부 배면에 접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스피커.
KR2019850004968U 1985-04-30 1985-04-30 평면스피커 Expired KR8700028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4968U KR870002809Y1 (ko) 1985-04-30 1985-04-30 평면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4968U KR870002809Y1 (ko) 1985-04-30 1985-04-30 평면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4034U KR860014034U (ko) 1986-11-20
KR870002809Y1 true KR870002809Y1 (ko) 1987-08-20

Family

ID=1924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4968U Expired KR870002809Y1 (ko) 1985-04-30 1985-04-30 평면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28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4034U (ko) 1986-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26714Y2 (ko)
US10979819B2 (en) Sound device
CN111698618A (zh) 一种发声装置和电子设备
US6445803B1 (en) Speaker
CN117499847B (zh) 一种音圈组件及平板式扬声器
KR870002809Y1 (ko) 평면스피커
JP3930126B2 (ja) スピーカ
KR102115387B1 (ko) 무빙 자기회로 타입 복합 스피커
WO2024000665A1 (zh) 扬声器
JP4088983B2 (ja) スピーカ
JPH08168092A (ja) スピーカー
CN209608855U (zh) 一种微型受话器
JPH09327088A (ja) スピーカ
JPS5994995A (ja) 動電形スピ−カ
US20250211911A1 (en) Sounding device
KR200203455Y1 (ko) 스피커 장치
KR890003506Y1 (ko) 스피커
CN208739411U (zh) 一种振膜及包括该振膜的扬声器
JPS646621Y2 (ko)
KR930008036Y1 (ko) 평면 진동판 스피커
KR900007921Y1 (ko) 평면 진동판을 갖춘 스피커
JPH05207592A (ja) スピーカ
JP2002186088A (ja) スピーカユニット
JPH0514638Y2 (ko)
JPS6010158Y2 (ja) スピ−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504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5043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072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710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712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7120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0208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002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4100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