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70002378Y1 - 조절 가능한 끈 고정구 - Google Patents

조절 가능한 끈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378Y1
KR870002378Y1 KR2019850017213U KR850017213U KR870002378Y1 KR 870002378 Y1 KR870002378 Y1 KR 870002378Y1 KR 2019850017213 U KR2019850017213 U KR 2019850017213U KR 850017213 U KR850017213 U KR 850017213U KR 870002378 Y1 KR870002378 Y1 KR 8700023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fixture
cross bar
strap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7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108U (ko
Inventor
가즈미 가사이
Original Assignee
닛봉 노-숀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오치아이 고오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봉 노-숀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오치아이 고오이치 filed Critical 닛봉 노-숀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71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1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3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4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out movable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02Harness
    • Y10T24/4012Clamping
    • Y10T24/4014One-pie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72Pivoted lever
    • Y10T24/4077Looped str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86Looped str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88One-piece
    • Y10T24/4093Looped strap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절 가능한 끈 고정구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절 가능한 끈 고정구의 앞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끈 고정구의 바닥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끈 고정구의 측면도.
제4도는 제2도의 Ⅳ-Ⅳ선을 따라 절단한 확대 단면도.
제5도, 제6도 및 제7도는 끈과 관련한 고정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도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파지 헤드부분 12 : 연결부분
13,14 : 플랜지 부분 15,16 : 제 1 및 제 2 크로스바아
11b : 보유부분 11a : 모서리부
15a' : 제 1 돌출부 15b' : 제 2 돌출부
본 고안은 끈, 벨트 혹은 밴드를 여러 종류의 물건에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끈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가방 혹은 안전 시이트 밸트에 부착된 끈의 유효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조절가능한 끈 조정구 혹은 버클이 제안되었다.
그와 같이 개선된 고정구들은 일체 주조된 구조로 형성된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는데, 그 구조는 한쌍의 양측면 플랜지, 측면 플랜지들의 한쪽 단부들에 파지 단부부분, 측면 플랜지의 반대쪽 단부들에 고정 단부부분, 및 파지 단부부분과 고정 단부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측면 플랜지들 사이를 가로질러 횡으로 연장한 다수의 평행 크로스 바아를 포함한다. 사용할 때, 끈 등의 한 단부 부분이 크로스 바아중 하나에 감겨서 고정구의 고정단부 아래를 통과하고 리벳팅과 같은 것으로 정위치에 고정된다. 길이 조정에 사용되는 끈의 다른 단부부분은 다른 고정단부 주위에 감겨서, 고정구의 파지 단부 아래를 통과하여 움직이지 못하도록 그들 사이에 파지된다. 크로스 바아와 파지 단부부분 사이에 끈을 삽입시키기 위해서, 그들 사이의 간격은 바람직하게 넓어야 한다. 그러나 역으로, 간격이 넓을수록, 끈이 인장하에 느슨해지는 경향이 더욱 커질 것이다. 반대로, 그 간격이 더욱 좁아지면, 이런 경향이 줄어들지만 끈의 삽입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 제54-144244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삽입 간격을 확대하는 대신에, 간격을 한정하는 면들이 고정구의 이면으로 점진적으로 기울어지는 제안이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시도는 끈을 삽입하거나 달리 조작하기가 더 어렵기 때문에 여전히 불만족스럽다.
본 고안은 끈 등을 쉽게 삽입할 수 있고 끈을 풀어지게 하는 힘에 가한 저항력을 가진 조절가능한 끈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 본 고안은 강한 힘이 걸리게 되어도 뜻하지 않은 운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끈을 정위치에 유지하는 다점 정지부를 가지는 조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아주 쉽게 끈을 삽입 혹은 조절하도록 비교적 넓은 구멍 혹은 간격을 가지는 조절 가능한 끈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주조 끈 고정구는 끈의 감겨진 한 단부부분을 보유하기 위한 제 1 크로스 바아, 이 크로스 바아에 인접히 옆으로 배치되고 끈 단부부분과 마찰 결합할 수 있는 보유부분, 및 다른 끈 단부에 고정연결된 제 2 크로스 바아들을 포함한다. 제 1 크로스 바아는 직경상 대향하는 한 쌍의 날카로운 모서리부를 포함하며, 보유부분은 하나의 날카로운 모서리부를 포함하는데, 이 모서리부들은 큰 인장력이 걸리더라도 뜻하지 않는 변위가 일어나지 않도록 끈을 정위치에 유지하는 정지부로서 작용한다. 끈의 풀림에 더 많은 저항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크로스 바아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함으로써 고정구가 실제 사용될 때 회전력이 고정구에 생기게 되어, 인장력이 커지면 커질수록 회전력도 커지게 됨으로써 보유부분이 날카로운 모서리부로 끈 단부를 확고하게 파지하게 된다. 이러한 파지는 고정구의 하부면 위로 돌출한 보유부분에 의해 더욱 강해진다.
본 고안의 많은 다른 장점 및 특징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명백해질 것이다.
제 1 도 내지 제 7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절가능한 끈 고정구(10)를 도시한다.
끈 고정구(10)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실시되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일체로 주조된 구조로 형성되며,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끈 고정구(10)는 그 한 단부에 파지 헤드부분(11), 다른 단부에 연결부분(12), 헤드부분(11)과 연결부분(12)의 양단부 사이에 종으로 연장한 한 쌍의 양측 플랜지(13) 및 (14), 헤드부분(11)에 이웃한 제 1 크로스 바아(15), 및 연결부분(12)에 이웃한 제 2 혹은 끈 고정 크로스 바아(16)을 포함하며, 크로스 바아(15) 및 (16)은 서로에 대해서 이격되어 평행으로 연장되며 양측 플랜지(13) 및 (14)에 연결된다.
제 4 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헤드부분(11)은 구멍이 뚫리고 넓게 퍼져 있는 돌출 텝(11a)과 그로부터 제 1 크로스 바아(15)와 이웃한 고정구의 평면에 대략 90°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끈 보유부분(11b)을 포함하는데, 이 보유부분(11b)은 후에 기술하게 되는 이유 때문에 양측 플랜지(13) 및 (14)의 바닥면 위로 작은 간격(D1)만큼 돌출한 평탄 바닥면(11c)으로 끝난다. 보유부분(11b)은 평탄바닥면(11c) 및 평탄측면(11e)에 의해서 한정되는 날카로운 모서리부(11d)를 포함하는데, 평탄측면(11e)은 고정구(10)의 일방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한다. 날카로운 모서리부(11d)는 나중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 1 끈 정지부로 작용한다. 연결부분(12)는 플랜지(13) 및 (14)의 평탄바닥면(13a) 및 (14a)과 같은 평면에 놓이는 최저면을 포함한다.
제 2 크로스 바아(16)는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연결부분(12) 위쪽에 위치고정된다. 제 1 크로스 바아(15)는 제 2 크로스 바아(16) 약간 위쪽에 위치고정되고 플랜지(13) 및 (14)의 상부면에 더욱 가깝게 위치고정되어서 제 1 로스 바아(15) 및 바닥면(11c) 사이의 끈(S)이 보유부분(11b)과 대체로 평행하거나 혹은 고정구(10)의 일반면과 90°로 되도록 한다.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크로스 바아(15)는 한 쌍의 제1 및 제 2 돌출부(15a')(15b')를 제공하기 위하여 추면 플랜지(13)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서 한 쌍의 일체정상 및 바닥부분(15a) 및 (15b)를 포함한다. 제 1 돌출부(15a')는 파지 헤드부분(11)을 향해서 연장되어 평탄 바닥면(15c)과 아아치형 정상면(15c)에 의해서 한정되는 제 2 날카로운 모서리 연부(15e)에서 끝나는 한편, 제 2 돌출부(15b')는 연결부분(12)을 향해서 연장되어 평탄 정상면(15d)과 아아치형 바닥면(15d')에 의해서 한정되는 제 3 날카로운 모서리 연부(15f)에서 끝난다. 제 1 돌출부(15a')의 평탄 바닥면(15c)과 제 2 돌출부(15b')의 평탄 정상면(15d)은 바아(15)의 두께의 대략 중간에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고정구(10)의 일반면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 2 날카로운 모서리 연부(15e)는 끈(S)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끈(S)의 두께보다 더 큰 거리(D2)만큼 제 1 날카로운 모서리부 연부(11d)로부터 이격되다. 제 2 및 제 3 날카로운 모서리 연부(15e) 및 (15f)는 각각 끈(S)이 원하지 않는 운동이 없도록 보유하는 제 1 및 3 정지부로 작용한다. 제 1 크로스 바아(15)는 다수의 기다란 홈(15g)을 포함하는데, 그 홈은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료의 양을 절약하기 위하여 종간격으로 바닥부분(15b)을 따라 연장된다.
제 5 도 내지 7 도는 고정구(10)에 대한 끈 혹은 벨트(S)의 작동을 도시하는데, 끈(S)은 끈 고정구(10)속으로 삽입되어 먼저 끈 단부(S1)들 중 하나가 제 2 크로스 바아(16)에 감겨지고, 끈(S)은 여기서 연장되어 리벳팅 혹은 스팃칭에 의해서 위치 고정된다. 끈의 다른 단부(S2)는 제 1 크로스 바아(15) 주위에 감겨지고 헤드부분(11)의 보유부분(11b) 아래로 통과하는데, 그 때에 끈의 앞 단부(S2)는 파지헤드 부분(11)의 평탄바닥면 (11c)과 접촉하게 된다.
끈 단부(S1)가 정지 상태로 유지될 때, 끈 단부(S2)는 특별한 적용에 맞추도록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 조절은 앞 끈단부(S2)를 잡아 당겨서 끈(S)의 유효 길이를 짧게 하거나 혹은 끈단부(S2)를 풀기 위하여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를 연결부분(12) 주위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끈(S)을 잡아 당기거나 후퇴시켜 원하는 대로 끈(S)의 유효길이를 짧게 혹은 길게 함으로써 할 수 있다. 이 회전은 파지헤드(11)의 넓게 퍼져 있는 탭(11a)을 조절함으로써 가장 쉽게 할 수 있다.
제 5 도 및 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끈 고정구(10)는 다지점 정지부 즉, 근(S2')의 경로를 따라 모서리부(11d),(15e) 및 (15f)가 제공되어 있으므로, 끈(S)에 정지부들이 없다면 사용시 작용되는 강한 힘의 영향으로 발생하게 되는 이동에 대해서 끈이 확고하게 고정 유지되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제 1 크로스 바아(15)가 제 2 크로스 바아(16)보다 높은 곳에 있고 계단상으로 제 2 크로스 바아(16)가 연결부분(12)보다 높은 곳에 있는 상대적 위치는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로 사용할 때 끈 고정구(10)에 시계방향 회전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그러한 힘은 인장력이 크면 클수록 증가되어서 보유부분이(11b)이 제 1 정지부 즉, 모서리부(11d)로 끈 단부(S2)을 확고하게 파지하게 한다.
동시에, 이러한 파지는, 헤드(11)의 바닥면(11c)와 제 1 크로스 바아(15) 사이의 끈 방향이 수직 보유부분(11b)과 대략 평행, 즉 끈 고정구(10)의 일반면에 대략 수직하여서 끈단부(S2)가 또한 제 2 정지부, 즉 모서리부(15e)에 의해 포획 및 파지된다는 사실로 더욱 확고하게 된다. 끈(S)을 더욱 확고하게 보유하기 위하여, 보유부분(11b)의 바닥면(11c)은 플랜지(13) 및 (14)에 평행하게 연장된 다수의 홈(11f)을 포함하도록 주름 잡혀 있으며, 그것에 의해서 끈(S)에 마찰파지력을 제공한다.
보유부분(11b)에 부가된 길이(D1)가 다점 정지부 배열(11d,15e 및 15f)은 끈(S)의 통과용 간격(D2)을 증가하게 하여 간격(D2)에 의하여 고정구(10) 속으로 끈(S)을 삽입시키는 것이 아주 용이하게 된다.
비록 많은 종류의 적은 변형이 이전 기술에서 제시되었지만, 본 고안자는 본 실용신안의 범주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구체화하기를 바라고 있음을 이해하여야만 한다.

Claims (2)

  1. 파지 헤드부분(11)과 상기 파지 헤드부분(11)으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연장하고 한 쌍의 평탄바닥면(13a,14a)을 각각 가지는 한 쌍의 평행 간격된 측면 플랜지(13,14)와, 상기 측면 플랜지(13,14) 사이에 연장되고 그것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분(12)과, 상기 연결부분(12)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측면 플랜지(13,14)에 연결된 한 쌍의 평행 간격진 제 1 및 제 2 크로스 바아(15,16)로서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15)가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16)보다 상기 파지 헤드부분(11)에 더 가까이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크로스 바아(15,16)와, 고정구(10) 평면과 수직으로 상기 헤드부분(11)으로 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평탄바닥면(11c)을 가지며 제 1 끈 정지부(11d)를 한정하는 보유부분(11b)을 포함하여,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15)는 상기 파지 헤드부분(11) 쪽으로 연장되고 제 2 끈 정지부(15e)를 한정하는 제 1 돌출부(15a')와 상기 연결부분(12)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3 끈 정지부(15f)를 한정하는 제 2 돌출부(15b')를 가지며, 상기 보유부분(11b)과 상기 제 2 끈 정지부(15e)는 끈(S)의 두께보다 더 긴 거리(D2)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 1 크로스 바아(15)는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16)보다 위에 놓여 있으며, 상기 제 2 크로스 바아(16)는 상기 연결부분(12)보다 위에 놓여 있으며, 상기 연결부분(12)은 상기 플랜지(13,14)의 상기 바닥면(13a,14a)돠 동일한 면에 놓인 최하면을 가지는, 끈의 단부들을 조절가능하게 연결하는 플라스틱 재료로 주조된 끈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보유부분(11b)이 상기 측면 플랜지(13,14)의 상기 바닥면(13a,14a) 위로 돌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부분(11b)의 상기 바닥면(11c)이 상기 플랜지(13,14)에 평행으로 연장된 다수의 홈(11f)을 가지는 끈 고정구.
KR2019850017213U 1984-12-26 1985-12-20 조절 가능한 끈 고정구 KR87000237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36 1984-12-26
JP1984198836U JPS61111304U (ko) 1984-12-26 1984-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108U KR860007108U (ko) 1986-07-10
KR870002378Y1 true KR870002378Y1 (ko) 1987-07-16

Family

ID=16397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7213U KR870002378Y1 (ko) 1984-12-26 1985-12-20 조절 가능한 끈 고정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637099A (ko)
EP (1) EP0186853B1 (ko)
JP (1) JPS61111304U (ko)
KR (1) KR870002378Y1 (ko)
AU (1) AU561426B2 (ko)
BR (1) BR8506666A (ko)
CA (1) CA1277482C (ko)
DE (1) DE3565763D1 (ko)
ES (1) ES291186Y (ko)
GB (1) GB2169027B (ko)
HK (1) HK93789A (ko)
SG (1) SG57189G (ko)
ZA (1) ZA8592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00855A (en) * 1986-06-26 1991-03-15 Yoshida Kogyo Kk Strap fastener
JP2802918B2 (ja) * 1986-12-25 1998-09-24 株式会社 ニフコ プラスチツク製バツクル
US5162508A (en) * 1987-12-18 1992-11-10 Compagnie Oris Industrie Rare earth cryptate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synthesis intermediates and application as fluorescent tracers
US4901373A (en) * 1988-03-07 1990-02-20 Bell Helmets, Inc. Helmet retention system with adjustable buckle
BE1002358A5 (nl) * 1988-08-16 1991-01-08 Confect Schockaert Bv Met Bepe Verbeterde gesp.
US5417455A (en) * 1989-11-27 1995-05-23 Takata Inc. Free-falling tip with full locking
US4979764A (en) * 1989-11-27 1990-12-25 Occupant Safety Systems Inc. Free-falling tip with full locking
JPH04197303A (ja) * 1990-11-29 1992-07-16 Asahi Optical Co Ltd ストラップのバックル
US5222278A (en) * 1991-11-26 1993-06-2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Tongue assembly
US5243741A (en) * 1991-11-29 1993-09-14 Yoshida Kogyo K.K. Buckle
DE69321512T2 (de) * 1992-04-30 1999-03-11 Ykk Corp., Tokio/Tokyo Verstellbare Schnalle zur Befestigung eines Gürtels oder dergleichen
JP3637627B2 (ja) * 1995-04-27 2005-04-1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保持装置
USD386110S (en) * 1996-09-17 1997-11-11 Ykk Corporation Of America Strap adjuster
US5774947A (en) * 1997-11-14 1998-07-07 National Molding Corp. Anti-slip webbing adjuster
EP0952047B1 (en) * 1998-04-21 2004-01-14 Peter Sesay Buckle for a seat belt
US6170130B1 (en) * 1999-01-15 2001-01-09 Illinois Tool Works Inc. Lashing system
US6152664A (en) * 1999-01-20 2000-11-28 Dew; Robert W. Cargo restraining apparatus
US6880210B2 (en) * 2002-06-28 2005-04-19 Chris Kudlacz Strap clip for hanging piping and ductwork
US20040205941A1 (en) * 2003-04-15 2004-10-21 Ezzell Jimmy L. Reducer adjuster buckles
USD507509S1 (en) * 2004-04-28 2005-07-19 Retail Royalty Company Belt buckle
US7150079B2 (en) * 2004-07-01 2006-12-19 Illinois Tool Works Inc Cord adjuster
JP4674132B2 (ja) * 2005-07-29 2011-04-20 Ykk株式会社 ベルト調節具
CA2631258C (en) * 2005-11-30 2013-02-19 Mattel, Inc. Packaging tie-downs
NL2000578C2 (nl) * 2007-04-10 2008-10-13 Cordstrap B V Gesp voor het vastzetten van goederen.
USD586692S1 (en) * 2007-05-21 2009-02-17 5.11 Inc. Belt buckle
TWM439499U (en) * 2012-03-19 2012-10-21 Global Esprit Inc Swimming goggles
AT514755B1 (de) * 2013-09-09 2015-06-15 Aba Hörtnagl Gmbh Schnallenbauteil
US9433259B2 (en) * 2013-10-24 2016-09-06 Bell Sports, Inc. Self-actuating webbing adjuster and helmet strap system including same
CA2981330A1 (en) * 2015-04-24 2016-10-27 The Henry M. Jackson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Military Medicine, Inc. Tourniquet
US10188177B2 (en) * 2015-08-17 2019-01-29 Bell Sports, Inc. Friction stop strap adjustor
AU2018219223A1 (en) * 2017-02-07 2019-08-29 Shield Restraint Systems, Inc. Web adjuster
US20180317611A1 (en) * 2017-05-03 2018-11-08 National Molding Llc Redirect buckle
US11330872B2 (en) 2019-01-23 2022-05-17 5.11, Inc. Modular belt system with low profile belt buckle
USD890022S1 (en) * 2019-03-26 2020-07-14 5.11, Inc. Belt buckle
DK202370223A1 (en) * 2023-05-08 2024-11-14 Nordisk Company As Adjus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7772A (en) * 1874-12-15 Improvement in rein-holders
US1656751A (en) * 1927-03-18 1928-01-17 William L Myers Buckle
US1920549A (en) * 1932-07-14 1933-08-01 Universal Button Fastening & B Slide loop
US2302258A (en) * 1941-09-02 1942-11-17 Walter E Rose Cinch for belts and the like
US2316846A (en) * 1942-04-27 1943-04-20 George L Diebold Adjustable strap fastener
GB582296A (en) * 1943-09-18 1946-11-12 United Carr Fastener Corp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uckles
US2981993A (en) * 1959-04-06 1961-05-02 Aeroquip Corp Buckle
US3192587A (en) * 1962-01-11 1965-07-06 Parva Buckle Company Method of securing a strap to a buckle
US3349449A (en) * 1964-12-21 1967-10-31 Irving Air Chute Co Inc Safety belt buckle and webbing
US4171555A (en) * 1978-05-01 1979-10-23 Illinois Tool Works Inc. Buckle
US4395803A (en) * 1981-04-06 1983-08-02 American Cord & Webbing Co., Inc. Buckle
US4525901A (en) * 1983-11-23 1985-07-02 American Cord & Webbing Co., Inc. Buckle having improved web securement
AU559643B2 (en) * 1983-12-29 1987-03-19 Nippon Notion Kogyo Co. Ltd. Adjustable strap fast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61426B2 (en) 1987-05-07
GB2169027A (en) 1986-07-02
ES291186U (es) 1986-04-16
EP0186853B1 (en) 1988-10-26
SG57189G (en) 1989-12-29
KR860007108U (ko) 1986-07-10
ES291186Y (es) 1986-12-16
ZA859255B (en) 1986-08-27
GB8531009D0 (en) 1986-01-29
EP0186853A1 (en) 1986-07-09
JPS61111304U (ko) 1986-07-14
AU5102885A (en) 1986-07-17
GB2169027B (en) 1988-05-25
HK93789A (en) 1989-12-01
US4637099A (en) 1987-01-20
CA1277482C (en) 1990-12-11
DE3565763D1 (en) 1988-12-01
BR8506666A (pt) 1986-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2378Y1 (ko) 조절 가능한 끈 고정구
KR860001416Y1 (ko) 조정가능한 스트랩 체결구
US4608735A (en) Sliding bar buckle
US5566427A (en) Strap clip and retainer
EP0181084B1 (en) Cam buckle assembly for use in tying down loads
US3328856A (en) Adjustable strap buckle
CA1058834A (en) Bundle tie
US4903378A (en) Strap adjustment assembly
US3761999A (en) Cable strap with multiple tooth pawl
US4427018A (en) Dental floss holder
EP0168937B1 (en) Buckle
SE435038B (sv) Pappersklemma
US2800697A (en) Belt buckle with slidable gripper element
US2615223A (en) Buckle for straps and the like
EP0211988B1 (en) Sliding bar buckle
KR870001806Y1 (ko) 멜빵에 부착된 버클
TWM562265U (zh) 連接式束帶
US2649637A (en) Adjustable strap-attaching means for button-loops, buckels, etc.
US2727289A (en) Buckles
US2965943A (en) Buckle assembly
JPH0111052Y2 (ko)
CA1271021A (en) Sliding bar buckle
DE3472386D1 (en) Interlocking closure device having improved ease of occlusion
KR870000899Y1 (ko) 활주 바아 버클
CA1172474A (en) Dental floss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5122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5122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061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709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711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7113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004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106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6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6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6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6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6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5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5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5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516

Year of fee payment: 1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51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