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70002214Y1 - 전기 난방기의 분할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난방기의 분할 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214Y1
KR870002214Y1 KR2019840013122U KR840013122U KR870002214Y1 KR 870002214 Y1 KR870002214 Y1 KR 870002214Y1 KR 2019840013122 U KR2019840013122 U KR 2019840013122U KR 840013122 U KR840013122 U KR 840013122U KR 870002214 Y1 KR870002214 Y1 KR 8700022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terminal
circuit
floor
plu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31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9099U (ko
Inventor
홍종호
Original Assignee
홍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호 filed Critical 홍종호
Priority to KR20198400131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2214Y1/ko
Publication of KR8600090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90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2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214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6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floor heating

Landscapes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난방기의 분할 가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바닥 2, 21, 22 : 발열체
3 : 선택형 2련 토글스위치 4 : 플럭
A, B, C : 선택형 2련 토글스 위치의 단자 a1: 온도선택회로
a2: 온도감지회로 a3: 펄스발생회로
a4: 위상제어회로
본 고안은 전기 발열체를 방바닥에 설치하여 사용인원에 필요한 사용면적만큼 분할하여 가열할 수 있도록 된 전기 난방기(장판)의 아랫목과 윗목의 분할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장판은 사용인원에 따른 사용면적에 관계없이 장판전체에서 동시에 발열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전기장판의 크기가 작은 것에 있어서는 문제가 없으나 전기 장판의 크기가 큰것에 있어서는 전기장판을 사용하는 인원이 적을 경우 사용되지 않는 부분에서의 필요없는 전력소비가 존재하게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결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장판을 사용면적에 따라 구분하여 발열체를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하게 하므로써 필요외의 전력낭비를 줄이고 간편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기난방기(장판)의 아랫목과 윗목의 분할 가열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방바닥(1)에 발열체(2)를 설치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발열체(2)를 아랫목 부분과 윗목부분으로 구분한 다음 양측단자(A)(B)와 공통단자(C)를 취출하고, 양측단자(A)(B)는 선택형 2련 토글스위치(3)를 통하여 플럭(4)과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단자(A)는 항시 연결 상태로 하고 단자(B)는 선택적으로 연결상태가 되도록 하며, 공통단자(C)와 플럭(4)간에는 온도선택회로(a1), 온도감지회로(a2), 펄스발생회로(a3) 및 위상제어회로(a4)를 매개하여 전기적으로 결합시킨 구조로 되어있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장판의 발열체(2) 배치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방바닥(1)의 아랫목에 해당하는 부위에 단자(A)와 공통단자(C) 사이에 발열체(21)를 설치하고, 방바닥(1)의 윗목에 해당하는 부위에 공동단자(C)와 단자(B) 사이의 발열체(22)를 설치해 놓는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선택형 2련 토글스위치(3)를 아래쪽으로 내리면 공통단자(C)와 양측단자(A)(B)가 통전상태로 되어 발열체(2) 전체가 가열되므로써 방바닥(1)의 전체가 가열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사용인원이 많을 경우 전기 장판전체를 사용할 수가 있게되고, 만일 사용인원이 적어 한부분만 사용하고자 할때는 선택형 2련 토글스위치(3)를 윗쪽으로 올린다.
그러면 단자(B)는 전원을 공급받는 플럭(4)으로부터 분리되어 발열체(22)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되고 단자(A)만 플럭(4)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게 되므로 발열체(21)만 가열하게되어 방바닥(1)의 반쪽인 아랫목쪽만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위와같은 동작을 하는 본 고안의 회로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온도선택회로(a1)는 가변저항(VR1)과 저항(R1)에 의한 분압으로 기준전압을 형성시키되 가변저항(VR1)의 조정에 의하여 기준전압을 설정하므로써 설정온도를 조정하게 하고, 온도감지회로(a2)는 온도감지소자인 부특성써모스태트(NT)와 저항(R2)에 의한 온도감지전압을 상기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비교기(COMP)를 통해 트랜지스터(Q1)를 구동시켜서 일정온도이상일때 발열동작을 멈추게 하여 상기 설정온도를 유지하게 하며, 펄스발생회로(a3)는 낸드게이트(ND1-ND3)와 저항(R3)(R4) 및 콘덴서(C1)로 구성되어 일정한 주파수의 발진동작을 하다가 상기 온도감지회로(a2)의 출력신호가 있게되면 발진동작을 멈춘다.
상기 펄스발생회로(a3)의 발진출력이 있게되면 위상 제어회로(a4)에서는 트랜지스터(Q2)(Q3)의 온 오프 동작에 의해 트라이액(TC)의 게이트에 저항(R9)에 의한 전압차만큼 트리거펄스신호를 공급하게되어 플럭(4)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게 된다.
그에 따라 방바닥(1)에 설치된 발열체(2)를 2련 토글스위치(3)의 선택에 따라 발열체(21)만을 가열시키거나 발열체(21)(22) 모두를 가열시켜 전기장판을 아랫목만 또는 아랫목과 윗목전체를 가열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발열체를 아랫목부분과 윗목부분 전체 또는 아랫목부분만으로 선택하여 가열시킬 수 있게 되므로 방바닥의 사용인원수와 사용면적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필요외의 전력낭비를 줄일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정정) 방바닥(1)에 발열체(2)를 설치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발열체(2)를 아랫목부분발열체(21)와 윗목부분발열체(22)로 구분하여 양측단자(A)(B)와 공통단자(C)를 취출하고 양측단자(A)(B)에는 선택형 2련 토글스위치(3)를 통하여 플럭(4)의 일측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단자(A)는 항시 연결상태로 하고 단자(B)는 선택적으로 연결상태가 되도록 하며, 공통단자(C)와 플럭(4)의 타측단자간에는 온도선택회로(a1), 온도감지회로(a2), 펄스발생회로(a3) 및 위상제어회로(a4)를 매개하여 전기적으로 결합시켜 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난방기의 분할 가열장치.
KR2019840013122U 1984-12-13 1984-12-13 전기 난방기의 분할 가열장치 Expired KR8700022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3122U KR870002214Y1 (ko) 1984-12-13 1984-12-13 전기 난방기의 분할 가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3122U KR870002214Y1 (ko) 1984-12-13 1984-12-13 전기 난방기의 분할 가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099U KR860009099U (ko) 1986-07-31
KR870002214Y1 true KR870002214Y1 (ko) 1987-06-24

Family

ID=70163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3122U Expired KR870002214Y1 (ko) 1984-12-13 1984-12-13 전기 난방기의 분할 가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22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099U (ko) 1986-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0583B1 (ko) 보 온 솥
US4549074A (en) Temperature controller for providing a rapid initial heating cycle using a variable reference voltage
US4302662A (en) Control instrument for electric hot plates
KR870002214Y1 (ko) 전기 난방기의 분할 가열장치
KR920008322Y1 (ko) 전원 트랜스를 이용한 전동타이머 구동회로
JPH0234904Y2 (ko)
JPH0837994A (ja) 鑑賞魚用温度調節装置
KR900011243Y1 (ko) 전기밥솥 회로
JPS6328875Y2 (ko)
JPS6343828Y2 (ko)
JPH051158Y2 (ko)
JP2563245B2 (ja) 床暖房制御装置
DK0629103T3 (da) Fremgangsmåde og kredsløb til temperaturreguleringaf vekselstrømsdrevne varmeindretninger
KR950003301Y1 (ko) 전기밥솥의 가열장치
JPH0243001Y2 (ko)
JP3048105B2 (ja) 電気カーペットの制御装置
GB2210215A (en) Off period-timer
JPS6321211Y2 (ko)
JPS587212Y2 (ja) セントラルヒ−ティングシステム用制御ボックス
RU1788604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итани подогревател катода
JPH0323804Y2 (ko)
JPH05284767A (ja) 交流負荷の位相制御装置
JPH04555Y2 (ko)
JPS5841995U (ja) 電熱装置
JPS5949376A (ja) 機関予熱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4121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4121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70227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05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709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7112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7112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006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624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1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4100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