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639B1 - Rice transplanter with lifting control mechanism - Google Patents
Rice transplanter with lifting control mechanis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70001639B1 KR870001639B1 KR1019830004859A KR830004859A KR870001639B1 KR 870001639 B1 KR870001639 B1 KR 870001639B1 KR 1019830004859 A KR1019830004859 A KR 1019830004859A KR 830004859 A KR830004859 A KR 830004859A KR 870001639 B1 KR870001639 B1 KR 8700016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valve
- float
- lifting
- rice transplanter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3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title claims 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3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18, H10D48/04 and H10D48/07,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승강제어 제어 부착이앙기의 실시예를 표시하며,The figure shows an embodiment of the lift control control attached rice transpla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는 승용형 이앙기의 측면도.1 is a side view of a passenger rice transplanter.
제2도는 승강제어 기구의 개략도.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ift control mechanism.
제3도는 밸브조작 와이어의 플로우트에 대한 연결구조를 표시하는 일부절결 평면도.3 is a partially cutaway plan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to a float of a valve operation wire;
제4도는 플로우트에 대한 연결을 해제한 밸브조작 와이어 부착구조를 표시하는 측면도.4 is a side view showing a valve operation wire attachment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on to the float is released.
제5도는 츄레일러에 재치한 모()의 식재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Fig. 5 shows the mother A plan view showing the planting device of).
제6도는 츄레일러에 대한 모()식재장치의 재치구조를 표시하는 배면도.6 shows the model for the Back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planting device.
제7도는 동일한 구조를 표시하는 절결측면도.7 is a cutaway side view showing the same structur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9A : 접지 쎈서 10 : 모심는 장치9A: Grounding Sequence 10: Planting Device
15 : 승강 제어 밸브 18 : 밸브 조작 와이어15
21 : 승강 조작레버 35 : 스프링21: lifting operation lever 35: spring
본 발명은 기체에 대하여 승강자재하며 또한 연결해제 자재한 모심는 장치를 설치함과 아울러, 전기한기체에 상승상태쪽에 탄성부세 하여서 설치한 모심는 장치의 승강제어 밸브와 전기한 모심는 장치에 하강부세하여 설치한 승강제어용 접지쎈서를 연동 연결하는 밸브조작용 와이어를 전기한 접지쎈서에 대하여 연결해제 자재하게 설치하고, 승강조작 레버를 전기한 제어밸브를 상승상태 쪽에만 계지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한 승강제어기구 부착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for raising and lowering and disengaging the gas is installed in addition to the device, and an elevating control valve of the device is installed in an elevating manner toward the elevated state, and the device for elevating the device is installed on the device. The lifting control mechanism is installed so that the valve operation wire for interlocking and connecting the elevating control earth ground can be disconnected from the grounding earth. It is about an attachment rice transplanter.
이러한 이앙기에 있어서, 모심는 장치의 제거에 수반하여 와이어의 접지썬서쪽 끝부분을 해제하면, 제어밸브를 하강상태쪽으로 부세하는 힘이 적어져서 제어밸브가 필요하지 않게 상승상태쪽으로 부세 조작되어 버티게 되며, 예칸대 모심는 장치를 재차 연결할 때에 모심는 장치 연결용 링크기구를 연결함에 적당한 위치로 위치시킬 수가 없게 되는 등의 불편이 생기기 때문에 모심는 장치의 제거상태에 있어서도 제어 밸브를 조작할 수 있도록할 필요가 있다.In this rice transplanter, when the grounding end of the wire is released with the removal of the device, the seeding force is pushed toward the rising state so that the control valve is not required and the control valve is not required. In the case of re-connecting the device, the planter needs to be able to operate the control valve even in the state of removal of the device, because inconvenience such as being unable to position the device in the proper position for connecting the device linking mechanism.
즉 상기한 이앙기에서는 접지쎈서의 승강에 따라서 제어밸브를 자동조작하는 승강제어상태에 있어서, 승강레버를 제어밸브의 작동범위 보다도 하강쪽위치(이하 자동제어 위치라고 호칭한다.)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승강조작 레버의 불필요한 이동을 회피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인바, 그 때문에 와이어의 접지쎈서와의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 있어서, 승강조작레버에 의하여 제어밸브를 하강쪽으로 조작할 수 없게된 것이였다.That is, in the rice transplanter described above, in the lift control state in which the control valve is automatically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ground sequence, the lifting lever can be operated at a lower side than the operating range of the control valv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utomatic control position). In order to avoid unnecessary movement of the elevating operation lever, the elevating operation lever prevented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valve toward the lower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wire was disconnected from the ground sequence.
또 상기한 이앙기에 있어서, 접지쎈서와의 연결을 해제한 밸브조작 와이어를 기체에 보전지지 시켜두지 않으면 예상치 않은 유동을 하여 다른 물건에 엉거부착하는 등의 불편을 야기할 염려가 있어서 와이어를 보전지지시킬 필요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rice transplanter, if the valve operation wire, which is disconnected from the grounding order, is not kept in the gas, there is a risk of unexpected flow, which may cause discomfort such as sticking to another object. I needed to.
본 발명은 상기한 상황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밸브조작와이어와 접지쎈서와의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 있어서도, 밸브조작 와이어를 접지쎈서에 연결한 상태와 동일한 감각으로서 제어밸브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그것을 위한 구성을 유용하여 밸브조작 와이어의 예측치 않은 유동까지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점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situation,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control valve with the same sense as the state in which the valve operation wire is connected to the ground fence even when the valve operation wire and the ground fence are disconnected by a simpl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controller and to make the configuration useful for it to avoid unexpected flow of the valve operation wire.
본 발명에 의한 승강제어 기구 부착 이앙기의 특징구성은, 전기한 제어밸브를 하강상태쪽으로 부세하도록하여, 전기한 접지쎈서와의 연결을 해제시킨 와이어의 끝부분을 잡아당기는 스프링에 의하여 전기한 와이어 끝부분이 제제자재하도록 연결하는 상태로서 전기한 기체에 설치한 점에 있다.Features of the rice transplanter with a lift control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control valve is urged toward the lowered state, the wire end electric by the spring to pull the end of the wire disconnected from the electrical ground order The part is installed in the above-mentioned gas as a state which connects so that it may be a formulation material.
다음에 본 발명 특징구성에 의한 작용효과를 설명한다.Next,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즉 밸브조작 와이어와 접지쎈서와의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 있어서도, 밸브조작 와이어와 접지쎈서를 연결시킬 상태와 동일하게 스프링에 의하여 제어밸브를 하강상태 쪽으로 부세할 수가 있으며, 또한 그 때문에 기체에 설치한 스프링에 대하여 와이어 끝부분을 연결시키도록 구성하여 제조밸브를 부세하기 위한 구조를 밸브조작 와이어의 접지쎈서쪽 끝부분을 기체에 보전지지시키기 위한 구조에 겸용시킬 수가 있도록하고 있다.In other words, even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valve operation wire and the grounding order is released, the control valve can be biased by the spring toward the lowered state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valve operation wire and the grounding order. The wire end is connected to one spring so that the structure for biasing the manufacturing valve can be combined with the structure for holding the ground and the west end of the valve operation wire to the gas.
따라서 밸브조작 와이어와 접지쎈서와의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 있어서도, 배브조작 와이어와 접지쎈서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와 동일하게 하강상태 쪽으로 부세되어 있는 제어밸브를 승강조작 레버에 의하여 동일한 조작 감각으로서 조작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그것을 위한 구성을 겸용하는 상태로의 와이어의 예기치 못한 유동이 없도록 와이어 끝부분을 기체에 보전지지시킬 수가 있는 것이므로써 상기한 양쪽 요망을 구조의 겸용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간소화하고, 또한 조작면에서 유리한 구성으로서 만족할 수 있는실용상의 잇점이 큰 승강제어기구 부착 이앙기를 얻게 되었다.Therefore, even when the valve operation wire and the grounding order are disconnected, the control valve which is biased toward the lowering state is operated by the elevating operation lever with the same operation feeling even when the barb operation wire and the grounding order are connected. Both the above-mentioned requirements can be simplified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used by the structure, since the end of the wire can be held in the body so that there is no unexpected flow of the wire in a state in which the configuration for it can be used. In addition, a rice transplanter with a lifting control mechanism having a large practical advantage that can be satisfied as an advantageous configuration in terms of operation has been obtain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도의 표시와 같이 방향 변경가능한 좌우 앞바퀴(1), 좌우 뒷바퀴(2)를 갖춤과 아울러 엔진(3) 및 운전석(4)을 각각 설치한 승용기체 뒷부분에 좌우 토와링크(5a), 상부 톱링크(5b) 및 그들의 뒷쪽 끝부분에 각각 추지연결되는 프레임체(5c)로부터 이루어지는 승강링크기구(5)를 상하동자재하며, 또한 유압실린더(6)에 의하여 승강조작하는 상태로서 장착함과 아울러 모의재치대(7), 식재용핑거(8) 및 기체 옆쪽폭 방향으로 병렬로 복수개의 논바닥면 정지용 플로우트(9)등을 갖춘 모심는 장치(10)를 전기한 승강링크기구(5) 후단부에 착탈자재하게 연결하고, 또한 기체쪽 동력을 모심는 장치(10)로 전달작동하여 굴절 및 신축자재한 전동축(11)을 모심는 장치(10)의 구동 및숀 케이스(12)에 착탈자재하게 연결하여 승용형 이앙기를 구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left and
전기한 각 플로우트(9)의 후단부를 모심는 장치(10)에 대하여 상하요동 자재하게 추지하고, 또한 플로우트전단부를 모심는 장치(10)에 대하여 굴신링크(13)를 개재하여 승강자재하게 연결하고 있다.The
그리고 제1도의 표시와 같이 각 플로우트(9)…중의 중앙쪽로 위치하는 하나의 플로우트(9A)에 대한 굴신링크(13A)를 플로우트 하강쪽에 탄성부세하는 스프링(14)을 설치하여 하나의 플로우트(9A)를 승강제어용의 접시쎈서에 겸용구성함과 아울러, 전기한 유압실린더(6)에 대한 제어밸브(15)에 있어서 스프울(15A)의 정역(正逆)접동에 따라서, 정역 요동하는 제어밸브 조작 아암(16)을 스프링(17)에 의하여 상승상태쪽으로 부세하여 설치하고 있다.And each float 9... As shown in FIG. 1. A
그리고 전기한 하강부세된 플로우트(9A)에 대한 굴신링크(13A)와 전기한 조작아암(16)을 와이어(18)를 개재하여 연동연결하여 전기한 플로우트(9A)의 모심는 장치에 대한 요동위치, 즉 모심는 깊이를 설정된 범위내로 유지시키도록 하여 자동적으로 모심는 장치(10)을 승강조작하는 승강제어 기구를 구성하고있다.And the pivoting position of the
전기한 스프울(15A)을 상승상태로만 계지조작하는 조작편(19)을 전기한 제어밸브 조작아암(16)의 지축(16A)에 상대적으로 회전자재하게 외감시킨 통상체(20)에 부착한함과 아울러, 전후 요동형의 승강 조작레버(21)를 전기한 통상체(20)에서 연설한 레버지지 프레임(21A)에 옆쪽방향 요동판을 자재하게 추지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승강 조작레버(21)를 상승위치(U), 승강정지 위치(N) 및 하강위치(D)로 변환하는 것에 의하여 수동으로서 모심는 장치(7)를 승강조작 할수 있도록 구성하고, 또한 승강조작 레버(21)를 자동제어스위치(A)로 조작하면, 상술한 바와같이 제어밸브(15)를 플로우트(9A)로서 자동적으로 변환조작하는 상태를 나타내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The operating piece 19 for locking and operating the
또 전기한 승강조작레버(21)를 승강정지위치 (N)에 계지보전지지하기 위한 스프링보올(B)을 전기한 계지조작편(19)에 작용하는 상태로서 설치하고 있다.Further, the spring lifting lever (B) for holding the aforementioned elevating operation lever (21) at the elevating stop position (N) acts on the engaging operation piece (19).
전기한 모심는 장치(7)의 구동을 단속하는 교합식의 전동 클럿치(22)를 전기한 기체쪽의 전동케이스(23)내에 입력부세한 상태로서 설치하고, 요동형의 클럿치ㄷ조작아암(24)을 전기한 승강레버(21)가 하강위치(D)와 그것보다도 앞쪽의 자동제어위치(A)와의 사이의 도중위치(M)보다도 앞쪽범위에 있으면 입력조작위치(ON)에, 또한 도중위치(M)보다도 뒤쪽 범위에 있으며 단절조작위치 (OFF)로 변환조작되도록 링크기구(25) 및 연계융통용 스프링(26)을 개재하여 통상체에 연동연결하고 있다.The above-mentioned core is installed as an input biased state in the
요컨대 모심은 작업할때에 있어서, 승강조작레버(21)를 자동제어 위치(A)에 조작하여 모심는 장치(10)를 지상근처로 하강시키는 것에 따라서, 전동클럿치(22)를 입력조작하여 승강조작레버(21)를 하강위치(D)나 상승위치(U)로 조작하여 모심는 장치(10)를 임의로 승강시킬 때에는, 전동클럿치(22)를 단절조작하도록 구성하고 있다.In short, when the core is operated, the
또한 도면중에서(S)는 우측 뒷바퀴 휀더(2A)에 형성한 승강조작레버(21)의 안내홈이다.In addition, (S) in the figure is a guide groove of the
또 (27)(27)은 좌우의 뒷바퀴 휀더(2A)(2A)에 각각 그 상부에 부착한 보조시이트이며, 기체앞부분에 보전지지시킨 예비모를 모재치대(7)에 보급할 때에 착좌(着座)하는 것이다.(27) and (27) are auxiliary sheets attached to the upper and rear rear fenders (2A) and (2A), respectively, on the upper part, and are seated when replenishing the spare caps held at the front of the body to the base holder (7). It is.
또한 도면중(28)은 좌측의 휀더(2A)에 형성한 계지홈(29)으로서 복수위치에 계지 보전지지 자재한 전후 요동형의 감지레버이며, 밸브조작 와이어(18)의 밸브쪽 아우터와이어 끝부분을 계지 지지하는 계지용 쇠부치30)에 대하여 회전횡축(31)을 개재하여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28 is a locking groove 29 formed in the
또한 감지레버(28)에 의하여 플로우트(9A)의 적정한 자세를 논 바닥의 진흙이 단단할수록 앞으로 올라가는 쪽으로 되도록 변경하게 되며, 그리고 그것에 따라서 플로우트의 하강부 세력이 증대하는 쪽으로 변경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proper position of the
제3도의 표시와 같이 전기한 밸브조작 와이어(18)의 플로우트쪽 아우터와이어 끝부분을 지지하는 핀(32)을 굴신링크(13A)의 윗쪽부분이 외감하는 통상부(44)에 대하여 삽탈자재하고, 또한 핀(32A)에 의하여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로서 설치함과 아울러 와이어(18)의 플로우트쪽 인너와이어 끝부분에 부설한 환상쇠부치(33)를 굴신링크(13A)의 아래쪽부분에 용접한 한편 지지형상의 연결핀(34)에 삽탈자재하게 외감시키고, 이것으로써 와이어(18)의 플로우트쪽 끝부분을 연결해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s shown in FIG. 3, the
그리고 제4도의 표시와 같이 우측의 보조시이트(27)에 대한 전후 한쌍의 지지플임(27A)(27A)의 한편에 제어밸브(15)를 하강상태 쪽으로 부세하도록 플로우트쪽 인너와이어 끝부분을 잡아 당기는 스프링(35)의 한쪽끝을 부착하고, 그 스프링(35)의 다른 쪽끝에 전기한 환상쇠부치(33)에 계탈자재하게 계합하는 후크형상부(35A)를 형성함과 아울러 전기한 지지프레임(27A)(27A)의 다른쪽에 플로우트쪽 아우터와 이어 끝부분 지지핀(32)을 발삽자재하게 삽입하는 공(36)을 형성하여서, 플로우트(9A)와의 연결을 해제시킨 와이어(18)의 끝부분을 전기한 스프링(35)에 대하여 연결해제자재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s shown in FIG. 4, the inner side of the float-side wire is pulled to bias the
요컨데 밸브조작 와이어(18)와 프로우트(9A)와의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 있어서도 승강조작레버(21)에 의하여 제어밸브(15)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또 밸브조작 와이어(18)가 유리동작하지 아니하도록 와이어(18)의 플로우트쪽 부분을 기체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other words, even when the
다만 도면중(45)은 전기한 통상부(44)의 지지아암이며, 모심는 장치 구동밋숀케이스(12)에 연결되어 있다.45 in the figure is a support arm of the above-described ordinary portion 44, and the core is connected to the device
제5도 내지 제7도에 표시와 같이 좌우 한쌍의 유동회전바퀴(37)(37)를 갖춘 츄레일러(38)를 설치함과 아울러, 모심는 장치(10)를 승강링크기구(5)의 뒷쪽끝부분에 대하여 종축심둘레에서 요동자재하게 연결할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으로써, 모심는 장치(10)를 츄레일러(38)에 재치하여 운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있다.As shown in FIG. 5 to FIG. 7, the churning
그리고 모심는 장치(10)를 츄레일러(38)에 재치지지함에 있어서, 전기한 모심는 장치의 구동밋숀케이스(12)에서 옆쪽방향으로 연장설되는 전동케이스 겸용의 통모양프레임(39)에 한쌍의 판체(40)(40)을 용접하고, 그들 한쌍의 판체(40)(40)을 연결하는 축부재(41)를 설치함과 아울러, 츄레일러(38)쪽에 전기한 한쌍의 판체(40)(40)사이에 삽탈자재하게 삽입하고, 또한 통형상 프레임(39) 및 축부재(41)의 각각 그것을 수납지착 지지하는 판상지지프레임(42)을 부설하고, 또다시 한쌍의 판체(40)(40) 및 판형상 지지프레임(42)에 발삽자재하게 관통하는 고정핀(43)을 설치하고 있다.Then, in the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와이어를 잡아당기는 스프링(35)을 설치하는 부분은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있으며, 그리고 와이어(18)의 끝부분을 스프링(35)에 연결하는 구조도 와이어 끝부분을 접지쎈서(9A)쪽에 연결하는 구조에 응하여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 for installing the
또 실시예에서는 승강조작레버(21)에 의하여 모심는 전동 클럿치(22)를 조작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전동클럿치(22)를 별개의 레버에 의하여 조작시키도록 하여도 좋다.Moreover, although the Example demonstrated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lutch 22 driven by the elevating
Claims (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58-117296 | 1983-06-29 | ||
JP???58-117296 | 1983-06-29 | ||
JP58117296A JPS609409A (en) | 1983-06-29 | 1983-06-29 | Rice planter with lift control mechanis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0181A KR850000181A (en) | 1985-02-26 |
KR870001639B1 true KR870001639B1 (en) | 1987-09-18 |
Family
ID=14708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30004859A KR870001639B1 (en) | 1983-06-29 | 1983-10-14 | Rice transplanter with lifting control mechanism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S609409A (en) |
KR (1) | KR870001639B1 (en) |
-
1983
- 1983-06-29 JP JP58117296A patent/JPS609409A/en active Granted
- 1983-10-14 KR KR1019830004859A patent/KR87000163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224484B2 (en) | 1990-05-29 |
JPS609409A (en) | 1985-01-18 |
KR850000181A (en) | 1985-0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47257A (en) | Weight transfer control for a front mount mower | |
KR870001639B1 (en) | Rice transplanter with lifting control mechanism | |
JPH023695Y2 (en) | ||
US2221765A (en) | Beet puller | |
JPH0159855B2 (en) | ||
JPH0236339Y2 (en) | ||
JPH0114096Y2 (en) | ||
JP2704340B2 (en) | Implant float suspension | |
JPH0117932Y2 (en) | ||
JP2537409Y2 (en) | Paddy field work vehicle | |
JPH0244648Y2 (en) | ||
JPH0229851Y2 (en) | ||
JPH0132829Y2 (en) | ||
JPH0216574Y2 (en) | ||
JPS6345762B2 (en) | ||
JP3509619B2 (en) | Rice transplanter | |
JPS5814823Y2 (en) | Automatic wheel vertical adjustment device for rice transplanters | |
JP2685700B2 (en) | Walkable paddy work machine | |
JPH0236340Y2 (en) | ||
JPH11178410A (en) | Operating force-transmitting mechanism in paddy field working vehicle | |
JP3091981B2 (en) | Rice transplanter | |
JP2000000003A (en) | Ground working machine-lifting and lowering structure in transplanter | |
JPS6329368Y2 (en) | ||
JPH08196117A (en) | Guide mechanism for sensor wire end in planting elevator | |
JPS6058924B2 (en) | Ride-on mobile agricultural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310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7082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712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80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88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008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108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208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309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408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5081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508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