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70001579Y1 - 100v/220v 겸용 플럭의 어댑터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100v/220v 겸용 플럭의 어댑터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579Y1
KR870001579Y1 KR2019840012926U KR840012926U KR870001579Y1 KR 870001579 Y1 KR870001579 Y1 KR 870001579Y1 KR 2019840012926 U KR2019840012926 U KR 2019840012926U KR 840012926 U KR840012926 U KR 840012926U KR 870001579 Y1 KR870001579 Y1 KR 8700015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plug
tip
state
grou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2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849U (ko
Inventor
주필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40012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579Y1/ko
Publication of KR8600088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8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5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579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00V/220V 겸용 플럭의 어댑터 결합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로서,
제1(a)도는 100V 전원 사용시의 결합상태도.
제1(b)도는 220V 전원 사용시의 결합상태도.
제2도 및 제3도는 종래의 분해사시도.
본 고안은 각종 전자제품의 전원연결용플럭(PLUG)에 100V/22V겸용 어댑터를 연결접속시킴에 있어 플럭과 어댑터간의 결합상태를 보다 견고히하여 양호한 접속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접지효과도 함께 얻을수 있게하여 누전에 의한 사고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전원연결용 플럭의 어댑터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면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전자제품 사용에 필요한 전원이 100V일때에는 통상적인 220V용플럭(1)의 선단에 100V용 어댑터(6)를 연결접속시켜서 100V용 콘센트에 꽂아 사용토록 하였으며, 전원이 220V일 경우에는 100V용 어댑터(6)를 플럭(1)에서 분리하여 별도 보관시키고 220V용 플럭(1)만을 그대로 220V용 콘센트에 꽂아 사용토록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는 플럭(1)에 돌설되어 있는 접속봉(4)(4')이 어댑터(6)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단자공(2)(2')에 삽입되어진 지지력만으로 플럭(1)과 어댑터(6)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단순구조인 것이 서 그 결합상태가 취약하여 외부충격이 가해질 경우 접속불량이 발생되기 쉬웠을 뿐만아니라 접지구조가 전혀 고려되어있지 않아서 외부에서 발생되는 누전사고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는것이었다. 또한 플럭(1)에서 분리된 어댑터(6)를 별도 보관하던 도중 분실하기 쉬운 문제점도 지니고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220V용 원형단자공(2)(2') 및 100V용 각형단자공(3)(3')과 나사공(12')을 가진 접지봉 (12)을 플럭(1)의 선단에 형성시키고, 어댑터(6)의 양단에는 220V용 접속봉(4)(4') 및 100V용 접속편(5)(5')과 접지공(13)을 형성시켜서 사용전원(100V 또는 220V)에 따라 어댑터(6)의 방향을 선태하여 플럭(1)에 끼우게하는 동시에 접지공(13)으로 관통 삽입되어지는 접지봉(12)의 나사공(12')에다 나사(14)를 채워주므로서 어댑터(6)가 항상 플럭(1)에 결합 접속되어진 상태로 사용되게하여 어댑터(6)를 별도 보관시킬 필요가 없게하고, 나사(14)의 체결로 플럭(1)과 어댑터(6)간의 결합상태를 견고히 고정하여 양호한 접속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접지봉(12)에 의한 접지효과를 얻을 수 있게한 것이 제안된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어댑터(6)를 플럭(1)에 결합하거나 분리시킬때마다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나사(14)를 일일이 해체시키거나 체결시켜야되는 번거로움이 수반되는 것이어서 그 사용에 불편을 느끼게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어댑터(6)의 결합을 보다 간편히 하면서 그 결합상태가 항상 견고히 고정되어 양호한 접속상태를 유지토록함에 목적이 있는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220V용 원형 단자공(2)(2')과 100V용 각형 단자공(3)(3')이 형성된 플럭(1)의 선단에다 양단에220V용 접속봉(4)(4')과 100V용 접속편(5)(5')이 각기 돌설되어진 어댑 터(6)를 사용전원에 따라 접속방향을 선택하여 결합시키도록 구성한 통상의 100V/220V겸용 플럭의 어댑터 결합구조에 있어서, 플럭(1)의 선단에다 어댑터(6)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본 요합부(1a)를 소정깊이로 요입형성하여 그 내면 상하측에는 안내돌조(7)(7)를, 좌우측에는 탄성접지편(8)(8)을 각기 대향지게 돌설시키고, 어댑터(6)의 외면상하측에는 안내요조(9)(9)를, 좌우측에는 접지선(10)(10)을 각기 대향지게 요입 형성하여서 플럭(1)의 선단요함부(1a)내에 어댑터(6)의 접속단부가 견밀히 삽입되어지게 하되 어댑터(6)의 상하 안내요조(9)(9)에는 플럭(1)의 상하 안내돌조(7)(7)가 끼워지게 하는 동시에 플럭(1)을 좌우측 탄성접지편(8)(8)이 어댑터(6)의 좌우측에 요입된 접지선(10)(10)에 탄력있게 접촉되어 양측에서 협지하도록 구성하여 되는 것이다.
첨부도면 중 미설명부호 11는 전원코드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고안의 결합사용상태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전자제품 사용에 필요한 전원(100V 또는 220V)에 따라 어댑터(6)의 220V용 접속봉(4)(4') 또는 100V용 접속편(5)(5')을 선택하여 플럭(1)의 선단에 결합접속시킬 때 플럭(1)의 선단요함부(1a)내면에 대향 돌설시킨 상하 안내돌조(7)(7)와 어댑터(6)의 외면에 요입형성시킨 상하 안내요조(9)(9)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어댑터(6)를 플럭(1)의 선단요함부(1a)내로 밀어넣으면 어댑터(6)의 접속봉(4)(4')이나 접속편(5)(5')은 플럭(1)의 원형단자공(2)(2')이나 각형단자공(3)(3')에 정확히 삽입되어지면서 어댑터(6)의 접속단부가 플럭(1)의 선단요함부(1a)내에 면밀하게 끼워지게 되어 그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되는 것이며, 이런 상태에서 요함부(1a)내의 좌우 탄성접지편(8)(8)은 어댑터(6)의 좌우 양측 접지선(10)(10)(6)에 접촉하게 되면서 자체탄력에 의해 어댑터(6)를 양측에서 협지하게 되므로 어댑터(6)와 플럭(1)과의 결합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협지고정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이 플럭의 선단 요함부내에 어댑터의 접속단부가 소정깊이로 면밀히 삽입되도록 한 것이어서 그 결합상태가 종래에 비해 견고한 것이며, 좌우측 탄성접지편으로 하여금 접지효과를 얻도록 함과 아울러 어댑터의 좌우 양측을 협지하도록 구성된 것이어서 그 결합상태는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외부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어댑터와 플럭간의 접속불량이 발생될 염려가 전혀 없는 것이며,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할 필요없이 그대로 끼웠다 뺏다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사용이 매우 간편한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220V용 원형 단자공(2)(2')과 100V용 각형단자공(3)(3')이 형성된 플럭(1)의 선단에다 220V용 접속봉(4)(4')과 100V용 접속편(5)(5')이 양단에 각기 돌설되어진 어댑터(6)를 결합토록 한 100V/220V겸용 플럭의 어댑터 결합구조에 있어서, 어댑터(6)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된 요함부(1a)를 플럭(1) 선단의 소정깊이로 요입형성하고, 그 내면 상하측에는 안내돌조(7)(7)를 좌우측에는 탄성접지편(8)(8)을 각기 대향 돌설시키며, 어뎁터(6)의 외면 상하측에는 안내요조(9)(9)를 좌우측에는 접지선(10)(10)을 각기 대향지게 요입 형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하는 100V/220V겸용 플럭의 어댑터 결합구조.
KR2019840012926U 1984-12-10 1984-12-10 100v/220v 겸용 플럭의 어댑터 결합구조 Expired KR8700015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2926U KR870001579Y1 (ko) 1984-12-10 1984-12-10 100v/220v 겸용 플럭의 어댑터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2926U KR870001579Y1 (ko) 1984-12-10 1984-12-10 100v/220v 겸용 플럭의 어댑터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849U KR860008849U (ko) 1986-07-28
KR870001579Y1 true KR870001579Y1 (ko) 1987-04-22

Family

ID=70163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2926U Expired KR870001579Y1 (ko) 1984-12-10 1984-12-10 100v/220v 겸용 플럭의 어댑터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57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137A (ko) * 2002-05-03 2003-11-07 주식회사 테리텍 전원 연결용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849U (ko) 198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0339A (en)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KR870001579Y1 (ko) 100v/220v 겸용 플럭의 어댑터 결합구조
IT1227022B (it) Connettore per cavi elettrici a spina e presa volante.
KR960007308Y1 (ko) Pcb용 터미널블럭
KR830000891Y1 (ko) 소켓트에 있어서 전선 연결장치
KR200209876Y1 (ko) 케이블연결용 컨넥터
JPH02145779U (ko)
KR880004345Y1 (ko) 절연봉 연결구
KR940000758Y1 (ko) 110v/220v겸용 플러그 및 콘센트
KR880002929Y1 (ko) 플 럭
JPS6226927Y2 (ko)
JPH0346977U (ko)
JPS5982980U (ja) 電源アダプタ用コネクタ
JPS6358476U (ko)
KR0121617Y1 (ko) 직류전원장치
JPH024469Y2 (ko)
KR840001330Y1 (ko) T.v수상기 안테나의 단자판
KR0132377Y1 (ko) 110v 전원어댑터 취부형 220v 전원플러그
KR880001820Y1 (ko) 퓨우즈 호울더를 겸한 전압선택 스위치
KR850001272Y1 (ko) 플럭
KR200221911Y1 (ko) 220v용 콘센트의 접지선 연결단자
KR860000664Y1 (ko) 개량 플럭
JPH0245965Y2 (ko)
JPH0476129U (ko)
JPS62180983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4121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4121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61226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0325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UO0301 Opposi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Opposition

Patent event code: UO03011R01D

Patent event date: 1987062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709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O070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event code: UO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7092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710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7102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00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1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4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326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3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6112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