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70000935B1 - 폴리에스테르 무연(無撚) 분섬용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무연(無撚) 분섬용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935B1
KR870000935B1 KR1019850003646A KR850003646A KR870000935B1 KR 870000935 B1 KR870000935 B1 KR 870000935B1 KR 1019850003646 A KR1019850003646 A KR 1019850003646A KR 850003646 A KR850003646 A KR 850003646A KR 870000935 B1 KR870000935 B1 KR 870000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olyester
water
spinnin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3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9165A (ko
Inventor
유한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이상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19850003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935B1/ko
Publication of KR860009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9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935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18Separating or spread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6Humidity control, or oiling,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 D02J1/225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tretch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3/00Heating or cooling the yarn, thread, cord, rope, or the like, not specific to any one of the processe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D02J13/005Heating or cooling the yarn, thread, cord, rope, or the like, not specific to any one of the processe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by contact with at least one rotating rol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Treatment Of Fibers During Manufacturing Processe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무연(無撚) 분섬용사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공정을 표시한 개략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험한 유제를 사용하였을 때의 방사(yarn)균 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금 2 : 폴리에스테르사(
Figure kpo00001
)
3 : 냉각장치 4,6 : 방사가이드
5 : 오일링로울러 7 : 분리가이드
8 : 인취로울러 9 : 연신열처리로울러
10 : 분사가이드 11 : 파지점 가이드
12 : 귄취가이드
a : 함수유제의 방사균제도(均製度) b, c : 비함수유제의 방사균제도
본 발명은 특수 직물용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무연분섬용사(無撚分纖用
Figure kpo00002
)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사와 연신을 동시에 실시하 단순한 공정이면서도 안정되게 분섬용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분섬용원사는 방사기에서 방사속도 900내지 15000m/min으로 함수유제 (含水油劑)를 부여하여 권취하고 이렇게 방사된 미연신사를 다시 연신공정을 거친 다음 열처리로 하여서된 10내지 12T/M을 갖는 유연연신사를 사용하였는바, 이와같은 제조방법으로 얻어지는 종래의 연신사는 많은 공정을 거쳐야하므로 제조단가가 비쌀뿐 아니라 방사공정, 연신공정 및 열처리공정 등 각 공정에서 영향을 주는 외적인 저해요인이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분섬용사에 적합한 균일한 원사를 생산하는데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즉, 이러한 유연분섬용사를 사용하여 분섬사를 생산하였을 경우의 문제점으로는
첫재, 방사된 미연신사를 연신하기 위한 크릴(Creel)의 해사(解
Figure kpo00003
)과정에서 자연꼬임이 10내지 12T/M정도 발생하게 되고 연신사를 귄취할때 보빈(Bobbin)의 권량이 3.0kg이하로 제한되고, 분섬과정에서 매듭이 4내지 6EA/kg정도 발생되기 때문에 제직할 경우 제품의 고급화가 곤란하고,
둘째, 유연분섬용사를 분섬할때 재래식 분섬기를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잔류꼬임으로 제거하면서 분섬을 실시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정의 복잡성은 물론 분섬성이 불량하게 되고 분섬속도도 100내지 150m/min으로 제한됨으로 결국 생산성이 낮고 생산비용도 매우 높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분섬용사의 제조시 사용되는 유제의 함수율에 따라 필라멘트의 교락이 발생하기 쉬우며 융착이 발생하기 쉬운 바, 융착 및 교락의 발생원인은 멀티필라멘트가 높은 속도로 연신 열처리 로울러상에 통과될때 필라멘트간의 이동이 심하고 자유운동(필라멘트 마이크레이션)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인 것이다.
특히, 고온으로 열처리하기 때문에 단사간의 가벼운 융착이 발생되기 쉽고 교락이 생기기 쉬우므로 분섬용사를 생산할 때 사용되는 유제(油劑)타입에 따라 연신 열처리 로울러에서 품질의 큰 차이를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함수유제를 부착시키는 종래의 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방사시 부여하는 함수유제의 수분량이 많게 되면 강력이 저하되고, 또 미연신 필라멘트의 외칙에 일종의 구정층(求晶層)이 발생하여 그것이 연신중에 열에 의하여 급속하게 성장하게 되면 연신반(延伸班)을 발생시키고 균제도가 불량해지며, 이로인하여 필라멘트 간의 이동이 심해지고 가벼운 융착현상이 나타나기 쉽다. 이때, 최외 구정층의 두께는 부여유제의 수분량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지만 같은 정도의 구정층이라 하더라도 방사속도가 높게되면 변형이 급격히 일어나서 절사되기 쉽다.
결국 종래의 함수유제부여방법은 수분함량이 많으면 상기와 같은 수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된 분섬용사의 질을 상당히 저하시키는 바, 함수유제를 사용할 경우 수분율을 낮게하는 것은 극히 어려운 문제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분섬용사의 제조에서 나타난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함수유제(STRAIGHT TYPE)를 오일링하면서 직접 방사연신하며, 열처리공정중 열처리로울러상에서 필라멘트간의 이동이 적고 연신중에 열에 의하여 연신반이 발생치 않으며 사(
Figure kpo00004
)의 균제도가 양호하고 분섬성이 좋을 뿐 아니라 제조공정도 단순하여 제조경비도 절감시킬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무연분섬용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를 용융방사시켜서 분섬용 필라멘트사를 제조함에 있어서, 구금(1)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2)를 토출시켜 이를 교화한 후 오일링(oil ing)시키되 전후에 방사가이드(4,6)가 위치된 오일로울러(5)를 이용하여 점도가 1내지 5CTS인 비함수유제(非含水油劑)를 미연신사 단위무게당 0.3내지 1.4%가량되게 부착시켜 오일링시킨 다음, 연신 열처리 로울러(9)를 사용하여 직접 연신후에 3000m/min이상의 귄취속도로 드럼당 7내지 10kg정도가 되게 귄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무연분섬용사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미설명부호 3은 냉각장치, 7은 분리가이드, 8은 인취로울러, 10은 분사가이드, 11은 파지점로울러, 12는 귄취장치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면, 본 발명은 구금(Ⅰ)에서 토출된 폴리에스테르(2)실가닥이 냉각장치(3)를 통하여 냉각, 고화(固化)된 후에 방사가이드(4, 6)에 안내되어 오일링로울러(5)에 접촉되면서 오일링하는 것이다. 이때 오일링된 멀티필라멘트는 방사가이드(4)에 의해 단사가 분할되어 본 발명에 따른 비함수유제의 부착이 이루어진 다음, 분리가이드(7)에 안내되면서 가열된 인취로울러(8)에서 예열되어 다시 연신 열처리로울러(9)와의 사이에서 일정배율로 연신된다. 이렇게 연신되면서 분사가이드(10)에 의해 분리된 멀티필라멘트는 파지점가이드(11)에 의해 접속되면서 귄취장치(12)에서 권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구성본수가 4내지 12본이며 연신후의 단사데니어가 5내지 30데니어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이와같이 종래방식의 방사된 미연신사를 귄취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연신시켜서 무연연신사를 제조하는 것이며, 분섬성 향상을 위해서 비함수유제(STRAI GHT TYPE)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보다 월등히 우수한 분섬용사가 제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제1도에 예시된 장치를 이용하여 IV 0.64(OCP법)의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를 290℃에서 용융방사후 직접 연신한 다음, 표1에서와 같이 에멀죤유제와 비함수유제를 구분, 변경하여 사용하고 가열한 후, 인취로울러(8)의 속도 및 연신 열처리 로울러 (9)의 속도를 변경하면서 각각 분섬용사를 제조하여 방사균제도 및 분섬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여기서 사용한 비함수유제(A)는 20℃의 실온에서 5CTS의 정도를 갖으며 그 조성물로써는 광물유(65%), 고급알코올에스테르(25%), 고급알코올에테르(7%), 인산염(3%), 오일부착량(0.8%)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며, 여기서 사용한 함수유제(B), 즉 에멀죤유제는 비함수유제(A)의 조성물을 10%로 희석시킨 유제이다.
[표 1]
Figure kpo00005
표1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의 실시예에서 비교예로써 에멀죤유제(B)를 이용하여 분섬용사를 제조한 경우 본 발명의 방법에 비하여 각종 물성이 현저하게 나쁜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방법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제2도를 참조하여 보면 (a)는 비교예 1 및 2의 경우이고 (b) 및 (c)는 각각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를 나타낸 균제도로서, 이로부터 에멀죤유제를 이용하여 제조대 분섬용사는 방사균제도가 극히 불량한데 비하여 본 발명의 방법, 즉 비함수유제를 사용하여 직접 방사연신하여 분섬용사를 제조한 경우는 방사균제도가 좋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에멀죤유제를 사용한 종래방법은 염반 발생이 심하여 융착현상으로 인해 분섬이 불가능한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제품은 염반발생 융착현상이 없는 양호한 제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무연분섬용사는 종래의 함수유제를 사용한 분섬용 원사와는 달리 비함수유제를 급여하였기 때문에 사균제도가 양호하고 분섬성이 매우 양호한 분섬용사의 생산이 가능하며, 연신중에 열에 의해서도 연신반이 발생하지 않으며, 수분율도 함수유제에 비해 자유로이 조절할 수도 있고, 방사균제도가 매우 양호하여 고락 및 융착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분섬성이 좋은 분섬용사생산이 가능하며, 또한 제조공정이 복잡하지 않고 번거롭지 않는 단순공정이므로 연신사의 제조단가가 싸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방사된 미연신사를 귄취하지 않고 직접 연신시키므로서 각 공정에서 발생되는 외적인 저해요인의 작용도 극소화 할 수 있어 물성이 좋은 분섬용 원사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 등 여러가지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용융방사시켜서 분섬용 필라멘트사를 제조함에 있어서, 구금(1)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2)를 토출시켜 이를 고화한 후 오일링(Oiling)시키되 전후에 방사가이드(4, 6)가 위치된 오일로울러(5)를 이용하여 점도가 1내지 5CTS인 비함수유제(非含水油劑)를 미연신사 단위무게당 0.3내지 1.5%가량 되게 부착시켜 오일링 시킨 다음, 연신 열처리 로울러(9)를 사용하여 직접 연신후에 3000m/min이상의 귄취속도로 드럼당 7내지 10kg정도가 되게 귄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무연분섬용사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850003646A 1985-05-28 1985-05-28 폴리에스테르 무연(無撚) 분섬용사의 제조방법 Expired KR870000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3646A KR870000935B1 (ko) 1985-05-28 1985-05-28 폴리에스테르 무연(無撚) 분섬용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3646A KR870000935B1 (ko) 1985-05-28 1985-05-28 폴리에스테르 무연(無撚) 분섬용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165A KR860009165A (ko) 1986-12-20
KR870000935B1 true KR870000935B1 (ko) 1987-05-11

Family

ID=19241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3646A Expired KR870000935B1 (ko) 1985-05-28 1985-05-28 폴리에스테르 무연(無撚) 분섬용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93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165A (ko) 198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14244B2 (ko)
KR840004190A (ko) 텍스춰 가공용 무정형 초고속 방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사의 제조방법
US3975484A (en) Manufacture of crimped polyamide filaments yarn
ATE529546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xtrafeinem falschdrahttexturiertem polyestergarn, sowie extrafeines falschdrahttexturiertes polyestergarn
US2517946A (en) Method of producing yarn
CN1050868C (zh) 由于合成纤维的拉伸变形机
KR870000935B1 (ko) 폴리에스테르 무연(無撚) 분섬용사의 제조방법
US3846532A (en) Continuous spinning and stretching process of the production of polyamide-6 filaments
GB777625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improved yarns
US2570173A (en) Method of producing yarn
US3954635A (en) Polyglycolic acid fiber finish and method
BR8801146A (pt) Processo para fabricar fios de poli-(tereftalato de etileno)por fiacao em fusao
JPH0849113A (ja) 延伸ヤーンの製造方法及び装置
US4569811A (en) Method of making a staple-fiber band
JPS6240268B2 (ko)
JPH02221410A (ja) シツクアンドシンヤーンの製造装置
US3175029A (en) Method of treating thermoplastic synthetic filaments
US3694539A (en) Manufacture of synthetic polymeric filaments
JPS59116405A (ja) 分繊用合成繊維マルチフイラメントの製造方法
JPH0674526B2 (ja) 紡糸直結延伸ポリエステル糸の製造法
JPH02229211A (ja) 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方法
KR100212957B1 (ko) 초고속방사법에 의한 나이론6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JP2895530B2 (ja) 太繊度フィラメント糸の製造方法
JPS61282412A (ja) 紡糸直接延伸方法
JPS63235513A (ja) 混繊糸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405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4051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