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70000246B1 - 벤질릭 할라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벤질릭 할라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246B1
KR870000246B1 KR1019830001060A KR830001060A KR870000246B1 KR 870000246 B1 KR870000246 B1 KR 870000246B1 KR 1019830001060 A KR1019830001060 A KR 1019830001060A KR 830001060 A KR830001060 A KR 830001060A KR 870000246 B1 KR870000246 B1 KR 870000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tioned
process according
chloromethyl
benzy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1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058A (ko
Inventor
폴 촙 죤
매크 발테이저 테리
Original Assignee
몬산토 캄파니
죤 엘머 마우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몬산토 캄파니, 죤 엘머 마우러 filed Critical 몬산토 캄파니
Publication of KR840004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2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0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09/24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by reductive alkylation of ammonia, amines or compounds having groups reducible to amino groups, with carbony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1/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01/00Preparation of esters of nitric or nitrous acid or of compounds containing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01/06Preparation of nitro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5/00Carboxylic acid nitri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yrrole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Indole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벤질릭 할라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치환된 벤질릭 설폭사이드를 비산화성, 산할라이드와 반응시켜 오르토-아미노 벤질클로라이드와 같은 핵치환 벤질릭 할라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식 RSOR로 표현되는 설폭사이드를 산성 조건 하에서 전위를 시켜 α-치환 설파이드를 만드는 것은 공지된 것으로 전체적으로 설폭사이드기의 환원과 인접된 탄소 원자의 산화를 초래한다. 이러한 유형의 반응은 퓨머러 반응으로 알려져 있다.
산할라이드를 사용하여 퓨머러 반응으로 얻어진 생성물들은 통상적으로 α-치환 할로메틸설파이드나 가수-분해함으로 생기는 상응하는 알데하이드를 포함한다(Russell& Mikol, Mech. Mol. Migr.,1,157-207(1986) ).
치환된 오르토-아미노벤질클로라이드 자체는 선행기술에 설명되어 있으나, 이것은 상응하는 오르토-아미노 벤질알코올로부터 얻어지는 것이지 아미노벤질 설폭사이드로부터 얻어지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좋은 수율로 핵치환 벤질릭할라이드를 얻는 핵치환 벤질설폭사이드의 전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초제 화합물로 유용한 아닐린의 제조에서 얻어지는 신규한 오르토-아미노-벤질할라이드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의 방향족 설필이민 전위 셍성물들로부터 유도되는 물질을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오르토-아미노벤질 할라이드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불활성용매 존재하에서 비산화성 산할라이드와 핵치환 벤질설폭사이드를 반응시켜 핵치환 벤질할라이드를 얻는 핵치환 벤질할라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기에서의 벤질설폭사이드는 핵치환체, 벤질릭설폭사이드의 오르토 나 파라 치환체로 구성되며, 핵치환체는 -0.20보다 더 낮은 함메트 시그마(파라)상수를 가지는 활성기나 설폭사이드에 친전자 공격시(electrophic attach)벤질릭카르보니움 이온생성을 돕는 충분한 전자 공여성을 가지는 활성기를 포함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2-클로로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 아닐린과 같은 핵치환-오르토-아미노벤질할라이드(즉, 오르토-할로메틸아닐린)를 제공하는것으로, 핵치환오르토-아미노벤질할라이드는 기지의 방향족 설필이민 전위를 거쳐 상응하는 치환 아닐린으로부터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오르토-메틸티오 메틸아닐린으로부터 얻어진 출발물질로부터 적절하게 제조할 수 있다.
설폭사이드의 정상적인 퓨머러 반응에서는 비산화성 산할라이드와 전위를 받아 α-치환할라이드와 알데하이드를 얻는다.
발명자들은 어떤 핵치환 벤질릭설폭사이드를 같은 비산화성 산할라이드와 반응시켜 벤질할라이드를 형성하는 비정상 퓨머러 반응이라 할 수 있는 반응을 발견하였다.
벤질릭설폭사이드에 있어서 핵치환체들은 정상적이거나 비정상적인 퓨머러 반응을 통하여 반응이 진행된다는 것은 명확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정상 퓨머러반응은 중간에 벤질릭카르보니움 이온의 생성을 거쳐 진행된다.
따라서, 일차 핵치환체들은 메틸설폭사이드 치환체에 오르토나 파라위치에 전자를 공여하거나 친전자공격시 벤질카르보니움 이온을 안정시킬 수 있는 충분한 활성력을 갖은 활성기 이어야 한다. 이러한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좋은 척도가 치환체의 함메트 시그마(파라)상수이다.
시그마(파라)는 파라나 오르토위치에 있는 치환체의 활성도의 개략적인 강도이다. 일반적으로 비산화 비정상 퓨머러반응으로 일급 핵치환체를 거쳐 벤질할라이드 생성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시그마(파라)는 약 -0.20보다 더 작아야 한다.
상술된 특성을 가지는 일급 핵치환체들 중 적절할 것은 알콕시기나 아미노기이다.
벤질릭설폭사이드 치환체에 오르토 위치가 NH2로 치환된 아미노 치환체가 가장 적합하다.
필요하다면, 벤질설폭사이드 출발물질은 2급 핵치환체들을 0-4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2급 핵-치환체의 선택은 본 발명의 반응 공정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아니다.
어떠한 활성기나 중성기, 활성을 감소시키는 기들은 본 발명에시 선택된 일급 핵치환체의 존재하에서 얻어지는벤질릭카르보니움 이온 중간체를 안정화시키는 동안에는 사용할 수 있다.
2급 핵치환체들로 적당한 것으로는 알킬, 할로알킬, 알콕시, 폴리알콕시, 또는 알콕시알킬, 알케닐, 알케닐옥시, 알키닐이나 알키닐옥시, 아릴, 아릴옥시, 아랄킬 또는 아랄콕시, 아미노, NO2,CN, 할로겐과 O,S와/ 또는 N을 포함한 6개까지의 환원자를 가지는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시클릭기 등이다.
일급 핵치환체가 아미노기일 때 적합한 2급 핵치환체는 CF3와 같은 할로알킬 : 메틸이나 에틸과 같은 알킬; 메톡시나 에톡시와 같은 알콕시; Cl이나 Br과 같은 할로겐; 카르보메톡시와 같은 카르보알콕시;와 CN을 포함하는 것이다.
일급 핵치환체가 알콕시일 때 적합한 2급 핵치환체들은 알킬이나 알콕시이다. 0-아미노 벤질설폭사이드를 출발물질로 하는 경우에 적합한 2급 핵치환체의 위치는 6-위(position)이며 2급 핵치환체로 가장 적합한 것은 CF3이다.
일반적으로 어떠한 핵치환체들의 선택은 본 발명에 기술된 전체 공정에서 사용된 반응물들이나 용매들과 서로 반응을 일으키는 치환체는 피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의 "벤질설폭사이드"는 일반 구조식 ArCH2SOR1인 설피닐 화합물로 Ar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기이며, R1치환체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반응에 역효과를 일으키지 않는 아릴이나 알킬기이다. "벤질릭설폭사이드 유도체"는 일반식 -CH2SOR1인 기로, R1은 상술한 바와 같다.
R1기는 최종 생성물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CH3와 같은 간단하고 저렴한 알킬치환체들이 적합하다.
"알킬"은 직쇄나 측쇄를 가지는 알킬기를 말하며, 적합하기는 메틸, 에틸, n-푸로필, 이소푸로필, n-부틸, 이소부틸, 2급부틸,3급부틸, n-페닐, 이소펜틸, n-헥실, 2급 헥실과 이들과 유사한 것으로 탄소수 1-6을 가지는 알킬들이다.
"아릴"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기들로서 페닐, 벤질, 토릴, 키실릴 및 이들과 유사한 것이다.
"알콕시"는 직쇄 또는 측쇄를 가지는 알콕시기들로 알킬, 알케닐과 상술된 바와 같은 알키닐기를 포함한다.
"카르보알콕시"는 구조식 COORc인 기들로 Rc는 상술된 바와같은 알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일급 핵치환체를 사용할 경우,"아미노"는 구조식 NRR'의 기로서 R'는 하이드로겐이나 알킬이다.
2급 핵치환체를 사용하는 경우 "아미노"는 구조식 NR"R"'의 기로 R"와 R"'는 상술한 바와 같은 하이드로겐, 아실, 알킬이나 아릴과 같은 유형의 다양한 치환체들 중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알케닐"은 -CnH2n-1형의 직쇄나 측쇄를 가지는 알케닐기로 적합한 것으로는 탄소수 3-5인 알케닐기이다.
"알콕시알킬"은 알콕시기에 의하여 최종 말단 탄소가 치환된 알킬기이다.
"할로알킬"은 클로로메틸, 브로모메틸, 디클로로메틸, 트리클로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펜타플루오로메틸, 요오도메틸과 이와 유사한 것들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할로겐 원자들로 치환된 알킬기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용한 출발 물질인 치환된 벤질설폭사이드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으로, 예를 든다면 상응하는 벤질알킬 설파이드의 산화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잭슨의 미국특허 제4,006,183 : Claus, Mh Chem. Bd.,102,1517-1582(1971) 참조).
적합한 출발 물질인 설폭사이드는 오르토-아미노벤질설폭사이드이다.
본 발명의 공정 중 특징으로서는 이러한 오르토-아미노벤질 설폭사이드를 상응하는 치환된 아닐린으로부터 설필이민전위에 의하여 얻어진 오르토-아미노벤질 설파이드로부터 얻는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설필이민 전위 공정은 다음과 갈다.
아닐린을 염기 존재하에서 디메틸설파이드와 N-클로로삭신 이미드와 같은 산화제와 반응시켜 -N=S(CH3)2기를 가지는 방향족 설필이민 생성물을 얻는다.
특히 이러한 반응들은 본 분야에서는 Gassmsn, Tetrahedron Letters, 497(1972); Gassman, Tetrahe-dron Letters, 24,2055-2058(1977) ; Vilsmeier, Tetra hedron Letters 624(1972); 잭슨의 미국특허제 3,966,371호와 제4,006,183호와 Claus, Mh Chem. Bd.102, pp.1571-1582(1971)등에 잘 알려져 있다.
염기로 소듐하이드록사이드와 같은 것이 사용되었을 시 설필이민 반응에 있어서는 중화 반응은 클로로삭신이미드로 재생될 수 있는 소디움삭신이미노의 수용액으로 부산물인 삭신이미드를 전환시킴으로써 이룰수 있다.
예를 든다면, 설필이민을 가열하거나 촉매를 사용하여 오르토-메틸티오 메틸아닐린을 얻고, 이것을 하이드로겐퍼옥사이드와 차례로 반응시켜 출발 물질인 오르토-메틸설피닐메틸 아닐린을 얻는다.
본 발명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벤질 설폭사이드 출발물질을 산할라이드와 반응시기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산할라이드"는 원래의 상태로 할라이드 이온(염소, 불소, 브롬 또는 요오드)으로 분리시킬 수있는 물질이다.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산할라이드는 설포닉에시드, 포스포릭에시드, 포스포닉에시드로부터 얻어지는그들의 유도체들이나, 알킬, 할로알킬, 페닐, 벤질 또는 그들의 치환된 유도체일 수도 있는 유기체를 가지는 카르복실릭에시드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물질들 중에는 아세틸클로라이드와 같은 아실할라이드나 클로로 아세틸클로라이드와 같은 할로아세틸 할라이드를 포함한다.
물론. 하이드로겐 할라이드로 포함되나 가장 적합한 것으로는 하이드로겐 클로라이드이다.
일반적으로 정상 퓨머러반응에 사용되어진 산할라이드는 본 발명에 설명된 비정상 퓨머러반응에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조건 하에서도 상응하는 벤질설파이드를 출발 물질로 해서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와 유사한 물질들로 산화시켜 원래의 벤질설폭사이드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실제적으로 벤질설폭사이드로 단리되거나 출발됨이 없는 본 발명의 비정상 퓨머러 반응을 이용한 공정 중 특이한 것의 하나는 오르토-아미노벤질설파이드 기질을 유효하게 사용하여 시클릭설필이민을 형성시키는데 기초를 두고 있는 것이다.
이 공정에 의하면, 오르토-아미노벤질설파이드는 염소나 설푸릴클로라이드와 같은 할로겐화제와 반응하여 시클릭설필 이민염과 하이드로겐 클로라이드를 생성하며, 화학양론적 양의 물을 첨가하면 가수분해되어 설폭사이드와 하이드로겐 클로라이드로 된다.
원 상태로 생성된 설폭사이드와 하이드로겐 할라이드는 상술한 바와같이 설폭사이드를 단리하지 않거나 또는 하이드로겐 할라이드를 더이상 첨가함이 없이 단일 반응조에서 오르토-아미노 벤질할라이드를 생성한다.
(처음에는 물을 가하지 않고 적접 하이드로겐 할라이드를 시클릭 설필이민에 가하였으나 벤질할라이드 생성물은 얻지 못했다),
또한 이러한 경로(route)는 설폭사이드를 얻기 위하여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를 사용하여 설파이드를 산화시킴으로 다량의 물을 반응에 사용치 않는 것이 장점이다.
산할라이드가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와 같은 할로아실 할라이드나 일급 핵치환체가 아미노기(NHR')일때 오르토-아미노벤질 설폭사이드와 과량의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키면 N-클로로아세틸기를 가지는 비정상 퓨머러반응 생성물(즉, 오르토-아미노벤질 클로라이드)를 얻는다.
다른 할로아세틸 할라이드 역시 같은 결과를 얻는다.
특히 이러한 화합물들은 α-할로아세트 아닐아라이드 제초제 제조의 출발물질로 바람직한 것이다.
벤질설폭사이드와 산할라이드의 비정상 퓨머러반응은 적절한 용매의 존재하에서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용매는 반응물이나 생성물이 실제적으로 불활성 이어야하며 반응물과 생성물에 대하여 적당한 용해도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종류의 용매들은 하이드로카본, 할로하이드로카본, 에테르와 그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하며 적합한 용매로는 가본 테트라콜로라드, 에틸렌 디클로라이드, 트리클로로 에탄이며 가장 적합한 용매로는 에틸렌 디클로라이드 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에서 반응물들의 비율은 경제적 고려와 부산물의 불생성을 우선적으로 하여 결정한다.
그러므로, 어떤 성분에 관련된 고가인 성분이 과량이거나 부족되는 것을 피하여야 하며 근본적으로는 화학 양론적인 비율이 적합하다. 사용된 반응물의 농도는 생성물의 수율에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반응물의 농도는 0.1몰 농도 내지 1.5몰농도가 사용되며, 약 0.5몰 농도일 때 수율은 최적으로 얻어진다.
본 발명의 공정은 0℃로부터 실온이나 그 이상의 온도 범위의 어떠한 편리한 온도이서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반응 은도는 약 0℃로부터 약 200℃까지의 광범위한 온도 범위 내에서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는 약 40℃내지 약 120℃의 온도범위가 사용되나 반응에 가장 적합한 온도 범위는 약 50℃내지 약 85℃이다.
반응은 대기압보다 높거나 낮은 압력하에서 임의의 조건을 선택하여 행할 수 있으나, 실제적으로는 대기압 조건이 가장 적합하다. 반응은 신속히 진행된다. 반응물에 적합한 온도, 압력, 장치 및 그 이외의 조건의 선택은 숙달된 기술로 할 수 있다. 물론 공정은 베치식(batchwise)으로 하거나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설폭사이드 반응물을 불활성용매에 혼합하면서 용해시키고, 혼합물에 기체상의 산할라이드를 기포를 발생시키면서 가하였다.
대부분의 경우 생성물이 무수상태로 될 때까지 반응 생성물을 반응 종료시까지 증류하여 수분을 제거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얻어진 벤질할라이드 생성물은 용액이 용해시 안정하다. 중성의 생성물은 반응 혼합물을 물로 수거하여 재회수할 수 있으며, 생성물은 용매를 분리하여 제기함으로 단리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언급된 오르토-아미노 벤질할라이드 생성물들은 용매가 제거된다면 중합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아닐린 하이드로겐 할라이드염(아닐리움염)과 같은 물질로 회수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것은 벤질할라이드 용액과 하이드로겐 할라이드와 저어주면서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대다수의 아닐리움염은 낮은 온도에서만 형성되기 때문에 하이드로겐 할라이드 처리시 약 0℃ 내지 5℃로 벤질할라이드 용액을 냉각하는 것이 적합하다.
아닐리움염의 침전물과 여과물은 95%나 그 이상의 염수율로 얻어지고 CH3SO2SCH3와 CH3SH와 같은 황을 포함하는 비정상 퓨미러반응 부산물로부터 상당히 유리된 생성물을 얻는다.
아닐리움염은 더 이상의 처리와 조작을 하기 위하여 중화하거나 유기용매 내에서 상당히 순수한 화합물로 용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얻어진 적합한 화합물들은 오르토-아미노 벤질할라이드로 CF3, CN,Cl, CH3, CH2CH3,OCH3와 CO2CH3로 구성된 기로부터 적어도 1개의 2급 핵치환 유도체를 가진다.
가장 적합한 화합물들은 2-클로로메틸-6-트리플루오르메틸 아닐린; 2-클로로메틸-6-시아노아닐린; 2-클로로메틸-6-메틸아닐린; 2-클로로메틸-6-에틸아닐린; 2-클로로메틸-6-메톡시닐린; 2-클로로메틸-6-카르보메톡시아닐린; 2-클로로메틸-5-클로로-6-메톡시아닐린; 앞에서 언급된 아닐린들의 HX염(아닐리움염) ; 2'-클로로메틸-6'-트리플루오로 메틸아세트 아닐라이드; 2-클로로-2'-클로로메틸-6'트리플루오로 메틸아세트 아닐라이드이다.
언급된 화합물들은 제초제 화합물의 제조시 특별한 유용성이 있다. 오르토-아미노벤질 할라이드는 촉매수소 탈할로겐화로 2-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 아닐린과 같은 2-메틸아닐린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예들로는 본 발명자들이 동일자로 미국에 동시 계속 출원한 출원번호 제358,772호의 "오르토-아미노벤질 설폭사이드로부터 오르토-메틸아닐린의 제조방법"과 출원번호 제358,773호의 "오르토-아미노벤질 설폭사이드로부터 오르토-메틸아닐린의 제조 방법" 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2-메틸아닐린이 2-할로아세트 아닐라이드 제초제 화합물로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은 본 발명자들이 1981.12.22자로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번호 제333,345호 "2-할로아세트 아닐라이드 제초제"에 기술되어 있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며 이들의 범위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벤질메틸설폭사이드와 무수 HCl을 정상 퓨머러반응으로 반응시킴(성행 기술의 방법)을 설명한다.
15ml의 카본테트라클로라이드에 1.5g(9.7몰)의 벤질설폭사이드를 넣은 용액을 HCl기포가 발생하도록 환류 교반 가열한다.
생성물을 냉각한 후 NMR과 GC분석결과 벤질알데하이드(60%)와 벤질 메틸설파이드(40g6)의 반응생성물이 검출되었다.
이러한 정상 퓨머러 생성물들의 구조는 GC와 MS분석법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실시예 2]
본실시예는 벤질 설폭사이드가 일급 핵활성치환체(primary nuclearactivating substituent)(메톡시)를 포함할 경우 실시예 l의 과정이 비정상 퓨머러 생성물(4-메톡시 벤질클로라이드)을 만든다는 것을 설명한다.
10ml의 카본 테트라클로라이드에 1g의 4-메톡시 벤질설폭사이드를 용해한 용액을 환류 가열하였다. 무수 HCl가스를 15분간 용액에 통과시켜주고, 용매는 용액이 엷은 핑크색을 띄면 제거하였다.
얻어진 생성물은 GC-MS분석으로 확인하였고, NMR과 GLC에 의하여 표준물질과 비교한 결과 2-클로로메틸-4-메톡시아닐린으로 확인되었다.
수율은 100%를 기준으로 계산한 바 90%의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2-클로로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HCl의 적절한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200g(0.0844몰)에 2-메틸설피닐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 아닐린을 250ml의 에틸렌 클로라이드에 가한 용액을 교반기, HCl유입관, 증류헤드와 온도계가 장치된 500ml의 환저플라스크에 넣고 초기의 끈적끈적한 침전이 탁한 혼합물로 될 때까지 3-5분간 실온에서 HCl가스를 주입하였다.
다음에 HCl로 기포를 발생시키면서 혼합물을 60-63℃로 급히 가열하였다.
가열 및 HCl처리를 10분간 한 후, 1ml의 H2O를 가한 다음 가열하고 혼합물이 맑게될 때까지 HCl처리를 계속하였다(일반적으로 H2O 첨가 후 15분)(이때 플라스크의 측면에 미량의 불용성 물질이 관측되었다).
다음에 맑은 오랜지색 용액을 좀 더 가열하고(이때 HCl의 공급은 중단함), 용매와 H2O는 반응플라스크내에 H2O가 완전히 제기될 때까지 증류하였다(15-20분간 증류로 50-60ml의 용매는 제거되었다). 다음에 맑은 황색용액을 교반과 HCl의 기포를 발생시키면서 0-5℃로 냉각하였다.
침전된 고체는 여과 분리하고 50ml의 차거운 메틸렌 디클로라이드로 세척한 후 가능한 한 충분히 건조되도록 흡인(suck)하였다.
회색을 띄는 백색의 암모니움 벤질클로라이드의 수율은 95%였다(소량의 물을 포함한다). 이 물질의 M.P는 약 70-75℃이다.
C8H8C12F3N에 대한 분석
계산치 : C,39.05; H,3.28; N,5.69
실험치 : C,41.36; H,3.43; N,5.98
[실시예 4-8]
물질의 특성에 따라 구분된 다음 표에 기재된 다양한 2-클로로메틸 아닐리움 하이드로클로라이드염들을 실시예 3과 비슷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실시예 9]
본 실시예는 2'-클로로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아세트아닐라이드의 제조를 설명한다.
7.8g(0.10몰)의 아세틸플로라이드를 100ml의 톨루엔과 12g(0.05몰)에 2-메틸설피닐에 틸-6-트리플루오로메틸 아닐린으로 된 용액에 넣고 가열 환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킨후 15%에틸아세테이트와 85%시클로헥산으로 HPLC로 처리한 결과 푸렉숀 38-53에서 3.2g의 생성물을 얻었으며 푸렉숀 42는 메틸시클로헥센/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하므로써 2'-클로로메틸-6'-트리플루오로 메틸아세트 아닐라이드를 얻었다.
이 물질의 M.P.는 137℃-l40℃이다.
C10H9ClF3NO에 대한 분석
계산치 : C,47.73; H,3.61; N,5.57
실험치 : C,47.55; H,3.57; N,5.48
[실시예 10]
본 실시예는 2-클로로메틸-6-트리플루오로 메틸아닐린 HCl의 또 다른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2리터의 에틸렌 클로라이드와 221.0g(1.00몰)의 2-메틸티오 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 아닐린의 용액에 클로라인(7.60g, 0.017몰)을 기포가 발생하도록 가하면서 20℃이하의 반응온도를 유지하면서 60분 이상 기계적으로 저어 주었다.
초기에는 백색의 서스펜션이 형성되고 첨가를 함에 따라 중간에 매우 두터운 층이 생겼으나 첨가 종료시에는 용해되어 탁한 용액으로 되었다.
다음에 혼합물을 HCl기포 발생이 일정하게 계속되도록 유지하면 60℃로 가열하였다.
물(25ml,1.4몰)을 가하고, HCl처리를 60℃로유지하면서 15분간 계속하자 이때 맑은 용액이 얻어졌다. 과량의 물은 공비 증류(780ml의 용매는 제거되었다)함으로 제거하고 얻어진 용액은 HCl을 기포가 발생하도록 일정하게 공급하면서 0℃로 냉각하였다.
여과 후 l50ml의 차거운 에틸렌디클로라이드로 고체를 세척하고 공기로 건조하여 회색을 띄는 백색의. 2-클로로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 아닐리니움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8.0g(92.7%)를 얻었다. 이 화합물의 특성과 분석결과는 상술한 바와 같다.
[실시예 11]
실시예 10과의 방법상의 차이는 아닐리니움염이 침전될 때까지 반응 혼합물에 HCl을 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클로라인(6g,0.084몰)을 17.5g(0.0792몰)의 2-메틸 티오메틸-6-트리플루오로 메틸아닐린과 160ml의 에틸렌 디클로라이드로된 용액에 15-21℃로 15분간 통과시켰다.
물(2ml,0.11몰)을 가하고 얻어진 탁한 용액을 63℃로 가염하였다.
혼합물을 63℃로 유지하여 30분이 경과한 후 맑은 용액을 얻었다. 과량의 물은 공비증류(65ml의 용매는 제거되었다)함으로 제거하고 용액은 HCl을 기포 발생시키면서 공급하고 0。C로 냉각시켰다.
여과 단리하여 고체 아닐리니움염을 17.7g(90.9%)얻었다.
[실시예 12]
본 실시예는 2-아미노 3-클로로메틸 벤조니트릴의 제조를 설명하였다.
교반기, 리플럭스 냉각기, 온도계와 가스 유입관이 장치된 1리터의 플라스크에 38.85g(0.2몰)의 2-아미노 3-메틸설피닐 메틸벤조니트릴과 500ml의 에틸렌 디클로라이드를 혼합하고, HCl가스를 기포 발생시키면서 통과 시켰다.
진황색의 두꺼운 층이 끈적끈적한 진황색의 반고체로 분리되었다. 첨가를 계속하자 반고체(semi-solid)는 탁한 오렌지색 혼합물로 변하였다.
온도를 35℃로 높이고 반응 종료 가까이 고속으로 저어주기를 10-15분간 하였다.
60℃-65℃로 10분간 HCl을 기포 발생시키면서 공급하자 고체가 형성되었다.
60℃-65℃에서 HCl공급을 서서히 계속하면서 2ml의 H2O를 가하였다.
20분후에 상당량의 끈적끈적한 고체가 얻어졌다.
증류헤드에 전원을 공급하여 온도를 높이고 H2O공비물을 증류 제거하였다(약 125ml가 증류 제거되었다).
얻어진 혼합물은 HCl통과를 계속하면서 빙수욕에서 냉각하여 황색의 고체를 형성한다.
얻어진 고체를 100ml의 차거운 에틸렌 디클로라이드로 세척하고 진공에서 건조하였다.
생성물은 2-아미노3-클로로메틸 벤조니트릴의 아이드로 클로라이드염 이었다.
본 발명의 개선된 사항은 동종 분야의 숙달된 기술자들에게는 명백한 것으로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한하여 국한한다.

Claims (22)

  1. 약 -0.20이하의 함메트 시그마(파라)상수를 갖고 설폭사이드가 받는 친전자성 공격에 데하여 벤질릭카르보니움 이온을 안정화 시킬수 있는 충분한 전자공여성을 가지는 활성기로 구성된 핵치환체를 벤질릭설폭사이드 치환체의 오르토나 파라 위치에 갖는 핵치환 벤질릭설폭사이드를 불활성 용매 존재하에서 비산화성 산할라이드와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핵치환벤질 할라이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언급된 활성 핵치환지를 아미노기 및 알콕시기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언급된 벤질 설폭사이드 치환체의 오르토위치를 아미노기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언급된 벤질 설폭사이드를 메틸티오 메틸아닐린과 할로겐화제를 반응시켜 방향족 시크릭 설필이민을 얻고 여기에 물을 가하여 전위시킴으로써 원래대로 얻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언급된 메틸티오메틸아닐린을 설필이민 전위 반응을 거쳐 상응하는 아닐린으로 부터 얻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이 있어서, 언급된 벤질릭 설폭사이드 치환체를 메틸설피닐 메틸기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이 있어서, 언급된 벤질설폭사이드는 핵치환체의 능력을 방해하지 않는 2급 핵치환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언급된 2급 핵치환체를 CF3, CN, 할로겐, 알킬, 알콕시와 카르보알콕시로 구성된군으로 부터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언급된 비산화성 산할라이드를 아실할라이드, 할로아실할라이드 및 무기산 할라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언급된 비산화성 산할라이드를 염산, 아세틸클로라이드 및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이 있어서, 언급된 벤질 할라이드는 오르토-0아미노벤질 클로라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언급된 불활성 용매는 하이드로카본, 클로로하이드로카본이나 에테르 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언급된 불활성 용매는 에틸렌 디클로라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이 있어서, 언급된 벤질 할라이드 2-클로로메틸-6-트를플루오로메틸아닐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언급된 벤질 할라이드는 2-클로로메틸-6-시아노아닐린임을 특징으르 하는 방법.
  16.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언급된 벤질할라이드는 2-클로로메틸-6-메틸아닐린 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언급된 벤질할라이드는 2-클로로메틸-6-에틸아닐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3항, 제4항 또는 제 5항이 있어서, 언급된 벤질할라이드는 2-클로로메틸-6-메톡시아닐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이 있어서, 언급된 벤질할라이드는 2-클로로메틸-6-카르보메틸시 아닐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3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이 있어서, 언급된 벤질할라이드는 2-클로로메틸-5-클로로-6-메톡시아닐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언급된 벤질할라이드는 2'-클로로-6'-메틸트리플루오로메틸아세트아닐라이드 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3항, 제 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언급된 벤질할라이드는 2-클로로-2'-클로로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 아세트아닐라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30001060A 1982-03-17 1983-03-16 벤질릭 할라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700002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896682A 1982-03-17 1982-03-17
US358966 1982-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058A KR840004058A (ko) 1984-10-06
KR870000246B1 true KR870000246B1 (ko) 1987-02-21

Family

ID=23411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060A KR870000246B1 (ko) 1982-03-17 1983-03-16 벤질릭 할라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EP (1) EP0089330B1 (ko)
JP (1) JPS58167525A (ko)
KR (1) KR870000246B1 (ko)
AT (1) ATE26698T1 (ko)
AU (1) AU562361B2 (ko)
CS (1) CS240955B2 (ko)
DD (1) DD207903A5 (ko)
DE (1) DE3371068D1 (ko)
GB (1) GB2117380B (ko)
HU (1) HU189673B (ko)
MY (1) MY8700115A (ko)
NZ (1) NZ203592A (ko)
PL (1) PL241049A1 (ko)
PT (1) PT76398B (ko)
RO (1) RO87596B (ko)
ZA (1) ZA8318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9311B2 (ja) * 2004-06-21 2011-09-28 井関農機株式会社 ひまわり収穫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4034A (en) * 1973-01-29 1975-07-08 Ohio State Res Found A process for producing azasulfonium sal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371068D1 (en) 1987-05-27
PT76398A (en) 1983-04-01
MY8700115A (en) 1987-12-31
KR840004058A (ko) 1984-10-06
EP0089330B1 (en) 1987-04-22
ZA831840B (en) 1983-12-28
DD207903A5 (de) 1984-03-21
JPS58167525A (ja) 1983-10-03
GB8307289D0 (en) 1983-04-20
CS240955B2 (en) 1986-03-13
RO87596B (ro) 1985-09-01
HU189673B (en) 1986-07-28
EP0089330A3 (en) 1985-03-27
NZ203592A (en) 1986-02-21
CS182983A2 (en) 1985-06-13
AU1249283A (en) 1983-09-22
PT76398B (en) 1985-12-05
RO87596A (ro) 1985-08-31
EP0089330A2 (en) 1983-09-21
GB2117380A (en) 1983-10-12
PL241049A1 (en) 1984-01-30
GB2117380B (en) 1986-04-23
ATE26698T1 (de) 1987-05-15
AU562361B2 (en) 1987-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19164B2 (ja) 殺生物用水溶性3―イソチアゾロン組成物の製造方法
JP4929155B2 (ja) N−([1,2,4]トリアゾロピリミジン−2−イル)アリールスルホンアミドの改善された調製方法
KR870000246B1 (ko) 벤질릭 할라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429082B1 (ko)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의제조방법
JPH05194447A (ja) 2−アミノベンゾチアゾールの製造方法
KR100674098B1 (ko) N,n-디알킬아릴아민 촉매의 존재하에서n-알크(엔)옥시(또는 아릴옥시)카보닐이소티오시아네이트 및 그의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KR20010062688A (ko) 2-알킬-4-이소티아졸린-3-온류의 제조방법
JPS6399051A (ja) イソチアゾロン化合物の製造方法
US4540522A (en) Preparation of substituted benzylic halides
EP0010477B1 (fr) Nouveau procédé de préparation des benzothiazole-sulfénamides
KR870000979B1 (ko) 0-아미노벤질설폭사이드로부터 0-메틸아닐린의 제조방법
US4621139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N-tetrathiodimorpholine
JP4078440B2 (ja) 有機チオ硫酸塩の製造法
JP3309202B2 (ja) ニトロベンゼンスルホニルハライド類の製造方法
US4777292A (en) Preparation of ortho-methyl anilines from ortho-amino benzyl sulfoxides
JP4085291B2 (ja) 3−イソチアゾロン類の製造方法
JP4371416B2 (ja) 高純度2,4−ジクロロ−3−アルキル−6−tert−ブチルフェノール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089331B1 (en) Manufacture of ortho-methyl anilines from ortho-amino benzyl sulfoxides
JPH0820567A (ja) o−ベンゾイル安息香酸アミド類の製造方法
KR960010101B1 (ko) 4-오르소토릴티오세미카바지드의 제조방법
JPH0439446B2 (ko)
JPS6149303B2 (ko)
JPH0220631B2 (ko)
Sherman et al. 40.12 Product Class 12: N-Alkylsulfamic Acids and Derivatives
JPS5911583B2 (ja) 置換スルホンジイミン類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303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606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6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7011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7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