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60002473Y1 - 초기설정용 리세트 신호발생회로 - Google Patents

초기설정용 리세트 신호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473Y1
KR860002473Y1 KR2019820004085U KR820004085U KR860002473Y1 KR 860002473 Y1 KR860002473 Y1 KR 860002473Y1 KR 2019820004085 U KR2019820004085 U KR 2019820004085U KR 820004085 U KR820004085 U KR 820004085U KR 860002473 Y1 KR860002473 Y1 KR 860002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apacitor
power
output
transis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40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349U (ko
Inventor
이와오 모리
Original Assignee
파이오니아 가부시끼 가이샤
마쓰모되 세이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오니아 가부시끼 가이샤, 마쓰모되 세이야 filed Critical 파이오니아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43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3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473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22Modifications for ensuring a predetermined initial state when the supply voltage has been appli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22Modifications for ensuring a predetermined initial state when the supply voltage has been applied
    • H03K2017/226Modifications for ensuring a predetermined initial state when the supply voltage has been applied in bipolar transistor switches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초기설정용 리세트 신호발생회로
제1도,제2도는 종래예를 표시한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를 표시한 회로도.
제4도는 제3도의 회로동작을 표시한 파형도.
제5도,제6도는 제3도의 회로의 출력 및 제어회로에 공급되는 기타의 신호의 출력타이밍을 표시한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적분회로 3 : 레벨검출회로
4 : 미분회로 5 : 신호출력회로
6 : 전원오프검출회로 C3: 적분콘덴서
b : 레벨검출신호 RESET : 리세트신호
+B1,+B2: 전원
본 고안은, 초기설정용 리세트신호 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오디오기기 혹은 비데오기기등의 기기에 있어서 사용되는 제어회로에 대한 전원공급개시 직후에 있어서 제어회로의 각부의 초기설정을 하기 위한 리세트 신호를 발생하는 초기설정용 리세트신호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초기설정용 리세트신호발생회로를 제1도에 표시한다. 제1도에 있어서, 전원(+B)이 저항(R1)을 통하여 에미터접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공급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전원(+Vcc) 간에는 저항(R2,R3)이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저항(R2)에는 콘덴서(C1)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제어회로에 대한 전원공급개시에 따라서 전원(+B,,+Vcc)이 인가되면 트랜지스터(Q1)가 온으로 된다.
그렇게하면, 저항(R2,R3)의 직렬접속점에 있어서의 레벨이 순간적으로 접지레벨에 거의 같게되어서 부(負)의 펄스로 이루어지는 리세트신호(RESET)가 출력되기 시작한다. 그후 저항(R3)을 통하여 전원(+Vcc)으로부터 콘덴서(C1)에 전하가 공급되어, 이 직렬접속점에 있어서의 레벨이 저항(R3) 및 콘덴서(C1)에 의하여 정해지는 시정수를 가지고 상승하여 전원(+Vcc)을 저항(R3,R2)에 의하여 분압한 레벨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리세트신호(RESET)가 소멸된다. 다음에 제어회로에 대한 전원이 오프되어서 전원(+B,+Vcc)이 제거되면 트랜지스터(Q1)가 오프로되어, 콘덴서(C1)에 축적되어 있던 전하가 저항(R2)을 통하여 방전되어 소멸한다.
상기한 종래의 초기 설정용 리세트신호 발생회로에 있어서, 리세트신호(RESET)의 펄스폭을 충분히 넓게하며 또한 리세트신호(RESET)의 진폭을 충분히 크게하기 위하여 콘덴서(C1)의 충전시간을 정하는 시정수(C1,R3) 및 전원(+Vcc)의 분압비(R2/R3)를 함께 크게할 필요가 생겨, 콘덴서(C1)의 용량이 크게되어 있다.
이때문에, 콘덴서(C1) 및 저항(R2)에 의하여 정해지는 시정수가 크게되어, 전원 온 오프가 단시간내에 반복된 경우에 있어서 콘덴서(C1)에 있어서의 충전전하의 방전이 충분히 되지 않어, 리세트신호(RESET)가 발생하지 않게되어 제어회로가 오(誤)동작한다고 하는 불량상태가 발생한다,
제2도는, 상기한 불량상태가 발생하지 않는 초기설정용 리세트신호 발생회로의 종래예를 표시한 회로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서로 직렬접속된 저항(R4) 및 콘덴서(C2)를 통하여 전원(+B)이 에미터접지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공급되어 있다. 저항(R4) 및 콘덴서(C2)의 직렬 접속점에는 다이오우드(D1)의 애노우드가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우드(D1)의 캐소우드에는 에미터 접지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가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는 예컨대 전원스위치의 상태를 검출하여 전원이 온으로된때에 저레벨되며 전원이 오프 직후로부터 전원(+B)이 제거될때까지 고레벨로되는 전원은 온. 오프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온. 오프 검출회로(1)의 출력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또,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와 접지간에는 저항(R5)이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전원(+Vcc)간에는 콜렉터저항(R6)이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전원이 온 되어서 전원(+B, (Vcc)이 인가되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의 레벨이 순간적으로 고레벨로 되어서 트랜지스터(Q2)가 온으로 되어,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로부터부의 펄스로 이루어지는 리세트신호(RESET)가 출력되기 시작한다.
그후 저항(R4)을 통하여 콘덴서(C2)에 전하가 공급되어, 콘덴서(C2)의 양단간의 전압이 저항(R4) 및 콘덴서(C2)에 의하여 정해지는 시정수를 가지고 상승하여 전원(+B)의 전압으로부터 트랜지스터(Q2)의 온때에 있어서의 베이스. 에미터간의 전압분 만큼 낮은 전압이상으로 된때 트랜지스터(Q2)가 오프로되어, 리세트신호(RESET)가 소멸된다.
다음에, 전원이 오프로되어서 전원 온. 오프검출신호가 고레벨로되면 트랜지스터(Q3)가 온으로 되면서 콘덴서(C2)가 축적되어 있던 전하가 순간적으로 방전되어 소멸한다.
이때문에, 전원 온. 오프가 단시간내에 반복된 경우도 콘덴서(C2)에 있어서의 충전 전하의 방전이 충분히 되어 리세트신호(RESET)가 확실하게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예에 있어서도 전원이 온 직후 순간적으로 리세트신호(RESET)가 출력되기 때문에 전원 오프중에 있어서도 백업 전원의 공급을 받원면서 RAM(읽고 쓰기 메모리)의 기록내용을 보지하는 스탠드바이모우드동작, 혹은 하나의 프로그램의 실행을 하아드웨어적 수단으로 중단하고, 후에 개재할 수 있도록하여 다른 프로그램의 실행으로 옮기는 끼어드는 동작이 가능한 마이크로컴퓨우터가 제어회로로서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불량상태가 발생한다. 즉, 스탠드바이 모우드동작을 지령하는 스탠드바이 신호 및 끼어드는 동작을 요구하는 끼어들기 요구신호가 저레벨신호로부터 이루어져 있으며 이 스탠드바이 신호 및 끼어들기 요구신호의 각각을 출력하는 회로의 출력단자의 레벨이 전원 온때에 있어서 전원의 인가와 거의 동시에 고레벨로되는 것이 통상임으로 스탠드바이 신호 및 끼어들기 우구신호가 충분히 고레벨로 되기전에 리세트신호에 의하여 마이크로컴퓨우터의 초기설정이 이루어진후에 스탠드바이 모우드 동작 지령 혹은 끼어들기 요구가 잘못되어 접수되어서 제어회로가 오동작하게되는 불량상태가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원 온. 오프가 단시간내에 반복된 경우라 하더라도 전원이 온한때로부터 소정시간 경과후에 소정시간폭을 지닌 초기설정용 리세트신호를 확실히 출력하여 제어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초기설정용 리세트신호 발생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초기설정용 리세트신호발생회로는, 전원이 오프된때 순간적으로 충전전하가 방전되는 적분용콘덴서를 배치하여 전원전압을 적분하는 적분회로의 출력의 레벨이 소정레벨에 달하였을 때리세트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고안을 제3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에 있어서, 전원(+B1)으로부터 저항(R7)을 통하여 전하가 적분콘덴서(C3)에 공급되어 축적된다. 이들 저항(R7) 및 콘덴서(C3)에 의하여 적분회로(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콘덴서(C3)의 충전전압이 적분회로(2)의 적분출력(a)으로서 레벨검출회로(3)에 공급된다. 레벨검출회로(3)에 있어서 적분출력(a)은 정전압 다이오우드(ZD1)의 캐소우드에 공급된다. 다이오우드(ZD1)의 애노우드와 접지간에는 저항(R8)이 접속되어 있다.
이 저항(R6)의 양단간에 레벨검출신호(b)가 도출된다. 이 레벨검출신호(b)는 미분회로(4)에 공급된다. 미분회로(4)는, 입력단과 접지간에 직렬접속된 미분콘덴서(C4) 및 저항(R9)으로 구성되어있다. 콘덴서(C4) 및 저항(R9)의 직렬접속점으로 부터 신호출력회로(5)에 있어서의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미분출력(C)이 공급된다.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는 접지되어 있다. 또,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와 배터리 백업되어 있는 전원(+B2)간에는 콜렉터저항(R10)이 접속되어 있다. 이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로부터 리세트신호(RESET)가 출력된다.
한편, 적분회로(2)에 있어서의 콘덴서(C3)의 충방전단자에는 전원 오프검출회로(6)에 있어서의 에미터 접지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거 접속되어 있다. 전원 오프검출회로(6)에 있어서, 예컨대 전원(+B1, +B2)등을 공급하는 전원장치에 포함되는 전원 트랜스에 있어서의 센터탭부(付) 2차권선(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압이 다이오우드(D2,D3)에 의해서 전파정류된 후 평활콘덴서(C5)에 의해서 평활되어 직류전압으로 변환된다. 이 직류전압은, 저항(R11)을 통하여 인버어터(Inv)의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인버어터(Inv)의 입력단자와 접지간에는 인버어터(Inv)의 입력보호용 정전압 다이오우드(ZD2)가 반대 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다. 인버어터(Inv)의 출력이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공급되어서 트랜지스터(Q5)를 온, 오프시킨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의 각부의 동작을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a)도는 적분출력(a)의 파형도, 제4(b)도는 레벨검출신호(b)의 파형도, 제4(c)도는 미분출력(c)의 파형도, 제4(d)도는 리세트신호(RESET)의 파형도이다.
시각(t1)에 있어서 전원투입에 따라서 전원(+B1)이 인가되면 전원(+B1)으로부터 저항(R7)을 통하여 콘C덴서(3)에 전하가 공급되어서 축적되기 시작한다. 그렇게하면, 콘덴서(C3)의 충전전압인 적분출력(a)의 레벨이 저항(R7)과 콘덴서(C3)에 의하여 정해지는 시정수(τ1)를 가지고 상승한다. 이 적분출력(a)의 레벨이 시각(t1)으로부터 시간(T1) 경과후에 있어서 정전압다이오우드(ZD1)의 제너전압과 같은 소정레벨에 달하여서 정전압다이오우드(ZD1)가 온으로 되어서 저항(R8)에 전류가 흘러, 고레벨신호로 이루어지는 레벨 검출신호(b)가 발생한다(시각 T2).
이 레벨검출신호(b)가 미분회로(4)에 있어서 미분되어,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공급되는 미분출력(C)의 레벨이 순간적으로 상승하여 트랜지스터(Q4)가 온으로된때의 베이스. 에미터간 전압(약 0.7V)과 같게된다(시각 t2). 그 결과, 시각(t2)에 있어서 트랜지스터(Q4)가 온으로 되어 리세트신호(RESET)가 출력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시각(t2)으로부터 콘덴서(C4) 및 저항(R7)에 의해서 정해지는 시정수에 응한 시간(T2)이 경과하면, 미분출력(C)의 레벨이 콘덴서(C4) 및 저항(R9)에 의해서 정해지는 시정수(τ2)를 가지고 저하하기 시작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4)가 오프로 되어서 리세트신호(RESET)가 소멸한다(시각 t3).
다음에 전원오프에 따라서 전원오프 검출회로(6)에 공급되어 있는 교류전압이 소멸하면 다이오우드(D1, D2) 및 콘덴서(C5)에 의해서 교류전압으로부터 변환되어서 발생하고 있던 직류전압이 소멸하여 인버어터(Inv)의 입력단자의 레벨이 저레벨로 된다.
그렇게되면,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공급되고 있는 인버어터(Inv)의 출력이 고레벨로 되어서 트랜지스터(Q5)가 온으로 된다. 그결과, 콘덴서(C3)에 축적되어 있는 전하가 급속히 방전되어서 소멸한다. 또, 콘덴서(C3)에 축적되어 있는 전하는 정전압다이오우드(ZD1), 트랜지스터(Q5) 및 저항(R9)을 통하여 방전된다.
이상의 동작에 있어서, 리세트신호(RESET)의 출력되는 타이밍이 전원에 온으로 된 때로 부터 시정수(τ1) 및 정전압다이오우드(ZD1)의 제너전압에 의해서 정해지는 소정시간 경과후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끼어들기 요구신호(IRQ), 스탠드바이신호(ST-BY), 전원(+B2)의 각각이 완전히 고레벨로 된 후 리세트신호(RESET)가 출력되도록 할수가 있는 것이다. 또 전원오프에 따라서 적분 콘덴서(C3)에 있어서의 축적전하가 급속히 방전되어서 적분콘덴서(C3)가 급속히 초기상태로 되돌아오며, 다시 저항(R9)의 저항치를 작게하므로써 미분콘덴서(C4)에 있어서의 축적전하가 급속히 방전되어서 미분 콘덴서(C4)도 급속히 초기상태로 되돌아오도록 할수가 있으므로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원온, 오프가 단시간내에 반복되어서 전원이 오프직후에 재차 온으로 되어도 전원이 온때로부터 소정시간(T1) 경과 후에 소정시간(T2) 폭을 지닌 리세트신호(RESET)가 확실하게 출력되도록 할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초기설정용 리세트신호발생회로는, 전원 온, 오프가 단시간내에 반복된 경우도 전원이 온 때로부터 소정시간 경과 후에 소정시간 폭을 지닌 리세트신호를 확실하게 출력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제어회로의 초기설정이 되지 않던가 혹은 초기설정이된 후 끼어들기 요구신호등이 잘못되어 접수되므로써 제어회로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Claims (1)

  1. 적분용콘덴서를 비치하여 전원전압을 적분하는 적분회로와, 상기 적분회로의 출력의 레벨이 소정레벨에 달하였을 때 레벨검출신호를 발생하는 레벨검출회로와, 상기 레벨검출신호를 미분하는 미분회로와, 상기 미분회로의 출력에 따라서 리세트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회로와, 전원이 오프된 것을 검출하여 상기 적분용 콘덴서에 있어서의 충전전하를 방전하는 전원오프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설정용 리세트신호 발생회로.
KR2019820004085U 1981-07-01 1982-05-25 초기설정용 리세트 신호발생회로 Expired KR86000247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98974 1981-07-01
JP1981098974U JPS586437U (ja) 1981-07-01 1981-07-01 初期設定用リセツト信号発生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349U KR830004349U (ko) 1983-12-30
KR860002473Y1 true KR860002473Y1 (ko) 1986-09-25

Family

ID=29893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4085U Expired KR860002473Y1 (ko) 1981-07-01 1982-05-25 초기설정용 리세트 신호발생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6437U (ko)
KR (1) KR860002473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4446A (ko) * 1973-07-30 1975-04-02
JPS5442455U (ko) * 1977-08-30 1979-03-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349U (ko) 1983-12-30
JPH0317474Y2 (ko) 1991-04-12
JPS586437U (ja) 198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7332A (en) Apparatus for successively charging rechargeable batteries
KR840001226B1 (ko) 수평편향 회로장치용 펄스발생기
CA2136384A1 (en) Microprocessor watchdog circuit
US5212664A (en) Information card with dual power detection signals to memory decoder
JP3474587B2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リセット制御装置
CA2013296C (en) Memory drive device and method
EP0030816B1 (en) A.c. electrical supply signalling arrangements
US4453115A (en) DC Motor control system
JPH01174268A (ja) 直流電源瞬断検出装置
KR860002473Y1 (ko) 초기설정용 리세트 신호발생회로
US5737163A (en) DC-AC converter protection
US5804995A (en) Monitoring circuit for a supply voltage
KR930000668B1 (ko) 점화신호 검출회로
EP0851717B1 (en) Electronic flash device
JP2507594B2 (ja) スロ―スタ―ト回路
JPH08221141A (ja) 電源回路
JPH0345795B2 (ko)
JP2503336B2 (ja) 過充電防止方式
KR970003829Y1 (ko) 가전기기의 정전 감지장치
JPS5838435Y2 (ja) リセット信号発生回路
KR880000768Y1 (ko) 마이콤의 순간 정전시 오동작 방지회로
KR840000475Y1 (ko) 충방전 전지를 이용한 출력전원 제어회로
JPS6430430A (en) Power source circuit
JPH069553Y2 (ja) 電源回路
JPH02174527A (ja) 無停電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2052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30912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20525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60828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6120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612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6122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909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009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109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9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8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Others

Termination date: 1995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