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60002106A - 구조관의 유효내경 변형장치 - Google Patents

구조관의 유효내경 변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106A
KR860002106A KR1019850005608A KR850005608A KR860002106A KR 860002106 A KR860002106 A KR 860002106A KR 1019850005608 A KR1019850005608 A KR 1019850005608A KR 850005608 A KR850005608 A KR 850005608A KR 860002106 A KR860002106 A KR 860002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diameter
insert
structural
tubular insert
tu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5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242B1 (ko
Inventor
스테픈 커리 죤
Original Assignee
비. 더블류. 모리슨
웨스팅 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 더블류. 모리슨, 웨스팅 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비. 더블류. 모리슨
Publication of KR860002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2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3Supporting or hanging of elements in the bundle; Means forming part of the bundle for inserting it into, or removing it from, the core; Means for coupling adjacent bundl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34Assembling, maintenance or repair of the bu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구조관의 유효내경 변형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연료봉이 없지만 계기관을 포함하는 전형적인 핵 연료 집학체의 부분 골격도.
제2도는 하나의 연료집합체 격자의 절개 사시도로, 하나의 격자셀을 통해 뻗어 있는 계기관과 그 속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내경(ID) 변형인써트(insert)를 예시하고 있음.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경 변형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연료집합체 (16):제어봉안내관 (18):지지격자 (20)(24):슬리이브 (22):계기관 (26):인써트 (34):센터링로우브 (36):성형로우브 (38)(40):환원외경 (42):중앙로우브 (52):돌출부 (60):팽창장치 (62):핀 (63):자루부분 (66)‥타인(Tine) (80):헤드 (82):당김봉 (84):하중탄성조립체.

Claims (13)

  1. 구조관은 유효내경을 변경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관(22)에 삽입될수 있으며, 그를 통하여 뻗어있는 축방향 보어(48)을 가지는 관형 인써트(26)로 구성되며, 상기 관형 인써트는 외측 원주상에 인써트를 관속으로 센터링 하기 위한 장치(34,42)와, 구조관과 결합되도록 방사상으로 팽창할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성형 로우브(3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구조관의 유효 내경 변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센터링 장치는, 축방향으로 떨어져 간격을 가진 원주상에 한쌍의 로우브(34)로 구성되며, 상기 로우브의 각각은 인써트의 삽입을 허용하는 구조관(22)의 내경보다 충분히 작은 외경, 그리고 실제같은 외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구조관의 유효내경 변형장치.
  3. 제1항 혹은 제2항에서, 센터링장치는, 실제로 관형인써트의 대향단부로 부터 등거리에 있고, 관형인써트의 삽입을 허용하는 구조관(22)의 내경보다 충분히 작은 외경 그리고 실제적으로 같은 외경을 가지는 긴 원주상의 로우브(42)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구조관의 유효내경 변형장치.
  4. 제1항, 제2항, 혹은 제3항에서, 센터링 장치는 원주상에 간격을 가진 다수의 세로슬롯(44)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구조관의 유효 내경 변형장치.
  5. 제1항, 제2항, 제3항, 혹은 제4항에서 상기 혹은 각각의 변형로우브(36)는 충분히 축소된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방사상으로 팽창되어지도록 변형로우브의 양측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충분히 떨어져 확장되어 있는 관형 인써트의 벽 부분(38,40)에 설치되어 원주상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관의 유효내경 변형장치.
  6. 제5항에서, 관형 인써트는, 상기 혹은 각각의 변형로우브(36)와 변형로우브에 연결된 축소된 두께의 벽부분(38,40)에 형성한 원주상에 간격진 세로의 팽창슬롯(4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관의 유효내경 변형장치.
  7. 제5항 혹은 제6항에서, 팽창장치(60,62)는 관형 인써트(26)의 축방향의 보어(48)에 자유롭게 삽입되어 질수 있고, 각각 방사상 외부로 돌출한 팽창 표면(74)을 가지는 원주상에 간격을 가진 다수의 세로의 타인(66)을 형성한 단부 부분(64)을 가지는 긴 관형의 자루(63)로 구성되며, 상기 관형의 인써트는, 상기 혹은 각각의 축방향의 팽창할수 있는 벽부분(38,40)의 내측 표면에서 하나의 축방향에서 자루와 관형의 인써트 사이에 운동에 관련하여 자루의 단부부분(64)을 받아들이며, 타인의 팽창표며(74)이 실제로 상기 혹은 각각의 변형 로우브(36)와 함께 정렬 되었을때 대향방향에서 인써트와 자록 사이에 운동에 관련하여 정지 시키도록 자루 단부 분에서 쇼울더(72)와 함께 작용하기 우해 형성한 돌출부(54)를 가지며, 상기 팽창장치는, 관형의 자루(63)의 단부부분(64)에서 삽입할수 있는 팽창핀(62) 및, 팽창핀을 통과하게하여, 이것에 의하여 정렬된 인서트의 팽창할수 있는 벽부분(38,40)에 관련하여 방사상으로 팽창하는 돌출한 팽창표면(74)을 통과하게하는 타인(66)과 작용할수 있는 테이퍼(78)를 가지는 팽창핀(62)을 포함하며, 상기 타인은, 팽창핀의 운동이 타인을 방출하자마자, 타인의 본래 위치를 다시 찾는 충분한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구조관의 유효내경 변형장치.
  8. 제7항에서, 팽창핀(62)은, 관형의 자루를 통하여 및 그 대향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당김봉(82)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구조관의 유효내경 변형장치.
  9. 제7항 혹은 제8항에서, 관형의 자루(63)는 그위에 상기관형 인써트(26)외 이것과 동일한 부가적인 관형의 인써트를 끝과 끝을 마주보게하여 지지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구조관의 유효내경 변형장치.
  10. 제9항에서 팽창장치(60,62)는, 타인을 포함하는 단부부분으로 부터 대향하는 단부에 인접한 자루에 배치된 하중 탄성 조립체(84)를 포함하며, 상기하중 탄성 조립체는 타인과 함께 상기 단부부분으로 향한 축에서 관형 인써트를 한쪽으로 치우치게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구조관의 유효내경 변형장치.
  11. 제1항에서 10항중 어느한 항에서, 관형의 인써트(26)는, 상기 하나의 변형로우브(36)와 동일한 제2변형로우브(36)를 가지며, 인써트로부터 축방향으로 선결된 거리로 간격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관의 유효내경변형장치.
  12. 제11항에서, 구조관(22)은, 구조관은 축방향에서 선결된 크기를 가지는 횡방향 지지격자(18)를 통하여 뻗어 있으며, 상기 관형 인서트에서 두변형로우브(18) 사이에 선결된 거리는, 관형 인써트(26)가 격자를 통하여 뻗어 있는 구조관 부분내에 있을때, 두변형로우브가 격자의 대향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구조관의 유효내경 변형장치.
  13. 제12항에서 격자(18)는, 격자를 통하여, 뻗어있고, 상기 대향면의 양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구조관(24)이 뻗어있는 슬리이브(36)를 포함하며, 상기 선결된 두변형 로우브(24) 사이의 거리는 상기 슬리이브(24)보다 더 감소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구조관의 유효내경 변형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50005608A 1984-08-03 1985-08-03 구조관의 유효내경 변형 장치 KR930008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637,374 US4859408A (en) 1984-08-03 1984-08-03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structural tubes in nuclear reactor fuel assemblies
US637,374 1984-08-03
US637374 1984-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106A true KR860002106A (ko) 1986-03-26
KR930008242B1 KR930008242B1 (ko) 1993-08-27

Family

ID=24555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5608A KR930008242B1 (ko) 1984-08-03 1985-08-03 구조관의 유효내경 변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59408A (ko)
JP (1) JPS6142431A (ko)
KR (1) KR9300082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5707A (en) * 1991-09-10 1993-06-01 Siemens Power Corporation Instrument thimble tube shroud
JP3196762B2 (ja) 1999-04-20 2001-08-06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チップ冷却構造
FR2860334B1 (fr) * 2003-09-30 2007-12-07 Framatome Anp Assemblage de combustible nucleaire comprenant un dispositif maille de renfort et utilisation d'un tel dispositif dans un assemblage de combustible nucleaire
US20080084957A1 (en) * 2006-10-06 2008-04-10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Nuclear reactor fuel assembli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0224A (en) * 1968-03-29 1970-11-17 Texaco Inc Rigidized support element
US4069573A (en) * 1976-03-26 1978-01-24 Combustion Engineering, Inc. Method of securing a sleeve within a tube
US4088414A (en) * 1976-09-02 1978-05-09 Fallein Daryl L Coupling for joining sections of pipe and method for its use
US4132437A (en) * 1976-10-18 1979-01-02 Arvin Industries, Inc. Interlocking pipe ball joint
US4229259A (en) * 1977-09-08 1980-10-21 Westinghouse Electric Corp. Grid sleeve bulge tool
US4182152A (en) * 1977-09-08 1980-01-08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Grid sleeve bulge tool
US4277091A (en) * 1979-04-19 1981-07-07 Hunter John J Coupling for lined pipe
US4716017A (en) * 1984-08-03 1987-12-29 Westinghouse Electric Corp. Apparatus for securing structural tubes in nuclear reactor fuel assemblies
US4776198A (en) * 1984-08-03 1988-10-11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structural tubes in nuclear reactor fuel assembl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42431A (ja) 1986-02-28
KR930008242B1 (ko) 1993-08-27
JPH0223249B2 (ko) 1990-05-23
US4859408A (en) 198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77770A (en) Masonry anchor bolt
MY128564A (en) Resilient bush and method of pressure-insertion of a resilient bush
KR830003036A (ko) 도관 연결구
KR910004977A (ko) 세관부재의 단부 연결구
ES399833A1 (es) Una disposicion de perno de anclaje.
KR850007672A (ko) 진동 안정기와 진동 감소방법
KR830006765A (ko) 원자로 연료집합체용 제어봉 안내관
KR900002887A (ko) 파이프 단부와 그 상대부재의 납땜방법
KR880011518A (ko) 금속관 단부 상호의 연결구조
KR860002106A (ko) 구조관의 유효내경 변형장치
US4875524A (en) Casing centralizer
CN207568511U (zh) 一种可变径套管扶正器
KR880011488A (ko) 복합 시프트 레버(shift lever)용 진동 감쇠 커플링
GB1363570A (en) Piezoelectric igniter
KR860002683A (ko) 가요성 신축관 커플링
US4331305A (en) Rigid and compressible dye tubes
KR840006521A (ko) 파이프 연결장치
KR880004287A (ko) 증기 발생기에서 튜브를 안내하기 위한 튜브형 격자
YU50396A (sh) Razporni umetak
JPS62185193A (ja) 加圧水形原子炉内でグロ−ブフィンガのような移動自在なチュ−ブ状導管を横方向に保持するための装置
US5255298A (en) Locking sleeve plenum spring retainer
US6016681A (en) Bullet tube expanding apparatus
US3936009A (en) Collapsible dye tube
GB1268622A (en) Expansible anchoring device
JPS5524742A (en) Method and device for locating and expanding pi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508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006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508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3073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31127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