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60001793Y1 - 재봉기의 자동역진기구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재봉기의 자동역진기구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793Y1
KR860001793Y1 KR2019840005753U KR840005753U KR860001793Y1 KR 860001793 Y1 KR860001793 Y1 KR 860001793Y1 KR 2019840005753 U KR2019840005753 U KR 2019840005753U KR 840005753 U KR840005753 U KR 840005753U KR 860001793 Y1 KR860001793 Y1 KR 860001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crank
adjustment
screw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5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504U (ko
Inventor
홍영기
민병금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주식회사
윤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주식회사, 윤영석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05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793Y1/ko
Publication of KR8600005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5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793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14Devices for changing speed or for reversing direction of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재봉기의 자동역진기구 완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장착된 상태의 자동역진기구의 전체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장착된 상태의 자동역진기구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4도는 종래 조정나사가 장착된 상태의 자동역진기구의 전체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고정너트 5 : 완충스프링
6 : 조절너트 6' : 볼
7 : 조정나사 브라켓트 7' : 만곡부
8 : 역진크랭크 17 : 만곡부안내공
18 : 역진크랭크안내공
본 고안은 재봉기의 자동역진기구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재봉기의 자동역진기구로서는 실용신안등록 제 23109 호 “재봉기의 자동역피드장치”가 있으나 이는 제4도와 같이 역진 재봉시 스위치 박스(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연결된 스윗치 레버(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눌러주면 소레노이드(1)가 동작되어 축(2)이 돌출되면서 조정나사(3)를 밀게 되면 역진크랭크(8)가 지축(9)을 기점으로 회전하게 되어 역진 제 1,2 링크(10)(11)와 피이드 조절롯드(12) 및 피이드 조절캠(13)이 서로 연동하게 되고 역진 제 2 링크(11) 상단과 연결된 인장 스프릴걸이 크랭크(14)와 피이드 조절캠(13) 및 피이드 조절 연결대(16)가 하강되면서 링크(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연결 링크(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밀어 역진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소레노이드(1)가 동작되면 축(2)이 돌출되어 조정나사(3)를 치면서 밀게 되어 조정나사(3)가 강한 충격을 받아 각 운동부품에 직접 전달되게 되므로 링크 또는 롯드 등 관련부품이 파손될뿐 아니라 기계 고장을 유발하게 되는 동기가 되었다.
또한 조정나사(3)가 축(2)방향으로 각 부품의 회전반경보다 조금이라도 안으로 조절 고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소레노이드(1)가 완전히 작동되지 못하여 과부하가 걸리게 되므로 소레노이드(1)의 고장이나 기타 관련 전자부품의 고장을 유발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상괴 같은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조정나사 부위에 완충장치를 하므로서 소레노이드에 의하여 각 재봉천 이송기구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한 것으로 철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고안은 제1,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이드 조절롯드(12)로서 피이드 조절캠(13)을 동작시키고 역진 제 2 링크(11) 하단에 역진크랭크(8)와 교착된 역된 제 1 링크(10)를 지축(9)으로 유착하여 소레노이드(1)의 축(2)으로 동작되는 자동역진된기구에 있어서 역진 크랭크(8) 일측면에 조정나사 브라켓트(7)를 고착하고 후단부가 브라켓트(7)의 만곡부(7')에 천설된 안내공(17)에 관통안내되는 조정나사(3)의 선단부에는 역진 크랭크(8)에 천설진 안내공(18)에 안내되는 볼(6')이 일체로 형성진 조절너트(6)를 조절가능하게 나착하여 고정너트(4)로 고정하고, 상기 만곡부(7')와 고정너트(4) 사이에 개삽진 환충스프링(5)에 의해 조정나(3)사를 탄설하여서 진 구조이다.
미설명부호 19는 복구스프링, 20은 조절다이얼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역진 재봉시 스윗치 박스(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연결된 스윗치 레버(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눌러주면 소레노이드(1)가 작동하여 축(2)이 돌출되면서 조정나사(3)를 밀게 되면 역진 크랭크(8)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연결된 모든 기구가 작동하게 되는데 역진 크랭크(8)와 연결진 기구중 어느 하나라도 더 이상 회전이 불가능할 때 소레노이드(1) 축(2)과 당접된 조정나사(3) 선단에 나합되어 있는 조절너트(6)와 고정너트(4)는 완충스프링(5)을 압축시키게 되므로 역진기구 관련부품의 충격을 방지하는 완충작용을 하면서 역진 동작이 이루워지게 된다.
이 때 조절너트(6)에 일체로 형성되어 역진 크랭크(8)에 천설된 안내공(18)에 안내되는 볼(6')은 축(2)의 충격시 마찰력 및 간섭을 극소화하여 작동을 원활하게 하여 주게 되며, 일단 역진동작이 끝날 때는 누르고 있던 스윗치 레버를 놓으면 소레노이드(1)의 전원이 끊어지면서 모든 장치는 원상으로 복귀되어 전진동작을 계속하게 되는 것으로 모든 역진기구부품을 충격으로 인한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을뿐 아니라 소레노이드(1)가 완전히 작동하지 못하여 과부하가 걸리어 소레노이드(1)의 소손 및 기타 관련 전자부품의 소손의 유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피이드 조절롯드(12)로서 피이드 조절캠(13)을 동작시키고 역진 제 2 링크(11) 하단에 역진 크랭크(8)와 교착된 역된 제 1 링크(10)를 지축(9)으로 유착하여 소레노이드(1)의 축(2)으로 동작되는 자동역진기구에 있어서 역진 크랭크(8) 일측면에 조정나사 브라켓트(7)를 고착하고 후단부가 브라켓트(7)의 만곡부(7')에 천설된 안내공(17)에 관통 안내되는 조정나사(3의 선단부에는 역진 크랭크(8)에 천설된 안내공(18)에 안내 된는 볼(6')이 일체로 형성된 조절너트(6)를 조절가능하게 나착하여 고정너트(4)로 고정하고, 상기 만곡부(7')와 고정너트(4) 사이에 개삽된 완충스프링(5)에 의해 조정나사(3)를 탄설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자동역진기구 완충장치.
KR2019840005753U 1984-06-19 1984-06-19 재봉기의 자동역진기구 완충장치 Expired KR860001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5753U KR860001793Y1 (ko) 1984-06-19 1984-06-19 재봉기의 자동역진기구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5753U KR860001793Y1 (ko) 1984-06-19 1984-06-19 재봉기의 자동역진기구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504U KR860000504U (ko) 1986-02-13
KR860001793Y1 true KR860001793Y1 (ko) 1986-08-13

Family

ID=19235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5753U Expired KR860001793Y1 (ko) 1984-06-19 1984-06-19 재봉기의 자동역진기구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79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504U (ko) 1986-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4048A (en) Front derailleur for a bicycle having horizontally positioned linkage members
JPH0729704B2 (ja) グリッパーバー
KR860001793Y1 (ko) 재봉기의 자동역진기구 완충장치
EP0369428A3 (en) A windshield wiper structure
KR860001794Y1 (ko) 재봉기의 자동역진기구 완충장치
US4000706A (en) Skip stitch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US4515185A (en) Apparatus for the constrained actuation of the clamping system of filling-yarn insertion devices in shuttleless weaving machines
KR930000738A (ko) 침봉의 상하 왕복 및 실공급을 위한 조절 장치를 가진 재봉틀
ES8401543A1 (es) Disposicion de ajuste para el empujatelas de una maquina de coser.
ES8407222A1 (es) Perfeccionamientos en las barras de reaccion de rendimiento mecanico variable
KR930008630Y1 (ko) 각 이본침 재봉기의 바늘대 자동변환장치
JPS6119746B2 (ko)
JPS6112943Y2 (ko)
KR900006450Y1 (ko) 단추달이 재봉기의 차단장치
US5065797A (en) Gripper head for shuttleless looms
JPS638783Y2 (ko)
JPS5922126Y2 (ja) 杼換式自動織機の給杼装置
KR800001310Y1 (ko) 쇠톱날 긴착장치
CH532674A (fr) Machine à coudre
JPS5823963Y2 (ja) エンジンの操縦装置
US4235180A (en) Compact feed bar
KR890003064B1 (ko) 작업장치의 위치조절구조
US4566500A (en) Apparatus for the constrained actuation of the clamping system of filling-yarn insertion devices in shuttleless weaving machines
JPH0520037Y2 (ko)
JPS632413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4061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4061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6071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610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701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7011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71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624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6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6112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