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60001694B1 - 탄성가스켓 - Google Patents

탄성가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694B1
KR860001694B1 KR1019830002638A KR830002638A KR860001694B1 KR 860001694 B1 KR860001694 B1 KR 860001694B1 KR 1019830002638 A KR1019830002638 A KR 1019830002638A KR 830002638 A KR830002638 A KR 830002638A KR 860001694 B1 KR860001694 B1 KR 860001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elastic
set forth
auxiliary
be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528A (ko
Inventor
마틴 와렌 챨스
Original Assignee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리챠드 고든 워터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리챠드 고든 워터맨 filed Critical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Publication of KR840005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694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F16J15/02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탄성가스켓
제1도는 가스켓이 설치된 칸막이실의 배열을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원주부분에 대한 확대도.
제4도는 타원 튜우브형 가스켓에 대한 단면도.
제5도는 가스켓 내부에 설치되는 금속스프링에 대한 단면도.
제6도는 보조 탄성부가 설치된 가스켓의 일예에 대한 단면도.
제7도는 보조 탄성부가 설치된 가스켓의 다른 일예에 대한 단면도.
제8도는 원형가스켓에 대한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B-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제10도는 다른 형태의 보조탄성부를 갖춘 가스켓에 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칸막이실 10 : 가스켓의 내부공간
2 : 가스켓 11 : 가스켓의 플랜지
5 : 칸막이 12 : 보조탄성부
6 : 가스켓의 금속스프링 13 : 경한 가장자리
9 : 플랜지의 구멍
본 발명은 누출방지 접속이 필요한 두 부분 사이에서 주위의 분위기에 견디고 두 부분의 팽창 및 수축에 적용할 수 있는 밀봉 또는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여러가지 밀봉퍼티(putty)와 가스 켓이 있지만, 대부분 침식성 분위기에서 그들의 저항력을 잃어버릴 정도로 압력을 받으면 수축 또는 팽창을 겪는 부분 사이에 누출방지 접속이 계속될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팽창 및 수축을 겪는다 하더라로 두 부분의 접합부를 양호하게 밀폐시킬 수 있는 가스켓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스켓은 유연한 탄성재료로 만들어진 긴스트립 또는 타원형 튜우브이고, 긴스트립 또는 타원형 튜우브는 한쪽 또는 양쪽 모서리에 플랜지부분을 갖고 있다. 긴 스트립은 곧은 형태이거나 굽은 형태이고, 그 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장방형, 다각형, 원 또는 타원형 구조등 여러가지 형태가 있다.
제1도는 수평으로 배열된 칸막이실(1)이나 수직으로 겹쳐 설치된 칸막이실(1)에서 각 칸막이실(1) 사이의 가스켓 또는 밀봉(2)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인장봉(7)에 의해 칸막이실의 배열이 양끝벽(8) 사이에서 유지되고 있으나, 칸막이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데에는 다른 적절한 장치를 이용하여도 좋다.
제2도는 제1도의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로서 칸막이실의 노출된 모서리를 따라 장방형 가스켓(2)이 설치되어 있고, 가스켓은 사진틀 모양을 하고 있다. 가스켓(2)의 플랜지(11)에 형성된 구멍(9)은 가스켓을 조이기 위한 것이다.
제3도는 제1도의 원주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두 칸막이실(1) 사이에 가스켓(2)의 일예를 나타내고, 구멍(9)을 이용하여 가스켓이 칸막이(5) 주위표면에 조여진 것을 보여주고 있다. 가스켓이 완전히 설치되었을때 칸막이실(1)내의 공간(3)과는 다른 공간(4)이 형성되며 가스켓(2)의 플랜지와 칸막이(5)를 조이는데는 보울트와 같은 것이 사용됨을 알 수 있다.
제4도는 타원튜우브형가스켓(2)에 대한 확대단면도로서, 가스켓(2)내부에 금속스프링(6)이 설치되어 있고 가스켓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타원형구멍(10)이 형성되어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라 보조 탄성부를 갖춘 탄성가스켓 내부의 금속스프링에 대한 바람직한 일예률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스프링은 강철로 된 두개의 스트립으로 되어 있고, 길이방향을 따라 휘어 있으며, 오목한 면을 서로 마주 보고 있어 타원헝 단면을 이루고 있다. 압축을 받으먼 두 굴곡면이 서로 접근하게 된다. 스프링이 압축되면 굴곡 스트립간의 작은 거리가 모서리의 움직임을 촉진하게 된다. 금속스프링은 스프링 강철로 만들어지나, 압축 및 감압의 반복에 견딜 수 있는 재료이면 무방하다. 또한 다른 구조의 금속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제6도는 가스켓(2)의 일예에 대한 단면도로서 가스켓의 내부공간(10)과 같이 플랜지(11)와 경한 가장자리(13)에 보즈 탄성부(12)가 돌출되어 있다. 보조 탄성부(12) 대신에 공간(10)내부에 제5도에서와 같은 금속스프링이 설치될 수도 있고, 두개가 함께 설치될 수도 있다. 보조탄성부(12)는 가스켓(2)의 효과적인 밀폐표면에 돌출한 다수의 탄성 릿지(ridge) 또는 비드(bead)의 형태이다. 보조 탄성부(12)가 사용될때, 보조탄성부(12)는 단 한개의 릿지나 비드일 수 있지만, 서로 평행한 다수의 릿지 또는 비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플랜지(11)를 따라 릿지(12)가 사용될 수 있다. 경한 가장자리(13)는 가스켓의 측면비를림을 방지하거나 설치중에 가스켓의 위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적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경한 가장자리(13) 그 자체로는 가스켓(2)이 전체적으로 압력을 받을때, 총 밀폐면적을 증가할 수 있을 정도로 두터운 것이어야 하지만, 너무 두꺼우면 가스켓(2)의 가장 효울적인 부분이 필요한 만큼 압력을 받을 수 없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 경한 가장자리(13)에 보조 보강부가 가미될 수도 있고, 또는 기능탭(functional tap)이나 플랜지가 경한 가장자리(13)에 부착될 수도 있다. 플랜지(11)는 굽은 부분이 경사져 부착되어 있지만, 제6도에서와 같은 각도로 부착된 곧은 형태이거나 납작한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단면도에서와 같이 플랜지(11)는 휘어져 있다. 플랜지(11)는 장치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7도는 가스켓(2)의 보조 탄성부가 가스켓(2)의 밀폐표면에 돌출한 다수의 릿지 또는 비드(12)로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필요하다면 릿지 또는 비드(12)가 플랜지(11)를 따라 설치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는 단 한개의 릿지 또는 비드(12)가 각 밀폐표면을 따라 설치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수의 릿지나 비드가 바람직하는 릿지(12)는 가스켓(2)과 반드시 수직일 필요는 없다.
제8도는 가스켓(2)이 원형인 예로서 가스켓의 밀폐표면을 따라 동심으로 위치한 릿지 또는 비드(12)릊 갖추고 있다. 플랜지(11)는 휘어져 경사진 부분이지만, 다른 구조일 수도 있다. 가스켓내의 중심부 공간은 도시된 전 치수에 대해 훨씬 큰것일 수도 있다.
제9도는 제8도의 B-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로서 릿지 또는 비드(12)와 플랜지(11)의 상대적 위치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제10도는 두 부분의 릿지 또는 비드(12)가 가스켓(2)과 예각을 이루며 경사져 있는 가스켓에 대한 단면도이다. 가스켓(2)의 양쪽면을 따라 세 쌍이 서로 마주보며 경사진 릿지(12)가 배열되어 압축을 받을때, 압축받은 릿지는 그것이 경사진 쪽을 향하여 겹치게 된다. 가스켓의 양쪽면에 단 한쌍의 경사진 릿지가 사용될 수 있지만, 두쌍 이상의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제10도에서, 서로 마주보며 경사진 릿지가 이루는 각은 90˚보다 작은 각이 효과적이며, 약 75˚에서 80˚정도가 바람직하다. 각 A와 각 B는 약 10˚±1˚의 값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음중 최소한 한가지로 구성된 보조 탄성부를 갖춘 탄성가스켓을 제작하기 위한 것이다.
1. 서로 평행하거나 동심으로 가스켓폐표면에 설치된 탄성 릿지 또는 비드.
2. 서로 평행하거나 동심으로 가스켓의 밀폐표면에 설치된 탄성릿지 또는 비드와 가스켓의 단면에 구멍 특히 타원형 구멍이 형성된 가스켓.
3. 길이 방향을 따라 휘어 있어 단면에서 볼때 타원형을 이루며 스프링의 크기와 같은 가스켓 구멍내에 설치되는 긴 스트립으로 만들어진 스프링.
4. 가스켓 길이 방향으로 긴 가스켓 내부에 설치되어 가스켓에 작용하는 압력과 감압에 탄성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스프링.
5. 제3항 또는 제4항의 스프링과 함께 사용되는 제2항의 탄성 릿지 또는 비드.
탄성 가스켓은 가스켓이 사용되는 분위기에 따라 천연고무나 합성고무 또는 탄성중합체로 만들어진다. 보통 폴리클로로프렌고무가 많은 화합물질에 견딜 수 있고 어느 정도의 고온에서도 지탱하므로 좋은 재료로 고려된다. 폴리부텐, 폴리부터디엔, 폴리이소프렌, 플루오로폴리머 및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등을 기저로 한 고무가 많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고무는 그 물리적 및 화학적 성질을 개선하기 위해 충전재나 다른 첨가물을 포함한다. 고무에 플루오로폴리머를 싸거나 다른 유연한 피막을 입히거나 또는 외장을 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탄성 가스켓은 본 발명의 보조 탄성부를 성형하여 제작된다. 몇몇 경우에는 가스켓을 부분별로 입출, 주조 또는 성형하여 스프링을 각 부분에 삽입하거나, 서로 접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또는 가스켓의 주조나 성형 작업중에 삽입하는 방법도 있다. 플랜지는 가스켓과 함께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분리 제작하여 가스켓에 접착시키거나 고정시켜도 무방하다.
가스켓의 일반적인 구조는 곧은 형 또는 휘어진 것으로서 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장방형,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의 것등 여러가지가 있다.
제1도에서 제10도는 본 발명의 예를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 및 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큰 장점중의 한가지는 대형 구조물에 가스켓을 사용할때 플랜지를 사용하여 쉽게 조일 수 있으며, 여러개의 칸막이실 사이에 위치시킬때 가스켓이 삐져나오거나 휘어져 쳐지는 등과 같은 현상이 유발됨이 없이 쉽게 압축시킬 수 있다. 또한 플랜지는 가스켓의 주부분을 고정시키는 역할도 하지만 칸막이와 같이 장치내부의 부품으로서 역할도 한다.

Claims (19)

  1. 보조 탄성부를 갖춘 탄성가스켓으로서, 보조탄성부가 가스켓의 밀폐표면을 따라 서로 평행하거나 동심으로 설치된 릿지 또는 비드, 길이 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가스켓에서 밀폐표면을 따라 설치된 탄성릿지 또는 비드, 가스켓의 길이방향 구멍내에 설치되며 단면이 타원형인 긴스트립으로 구성된 스프링 및 가스켓에 작용하는 압축 및 감압에 탄성 반응하며 긴 가스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스프링중의 최소한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스켓.
  2. 제1항의 것으로서, 가스켓의 길이 방향을 따라 플랜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스켓.
  3. 제1항의 것으로서, 보조 탄성부가 탄성릿지 또는 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스켓.
  4. 제1항의 것으로서, 보탄조성부가 가스켓내에 위치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스켓.
  5. 제1항의 것으로서, 보조 탄성부가 내부 스프링과 외부 릿지 또는 비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스켓.
  6. 제1항의 것으로서, 보조탄성부가 내부의 스프링을 구성하며, 가스켓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플랜지가 설치된 것을 특싱으로 하는 탄성가스켓.
  7. 제1항의 것으로서, 보조탄성부가 가스켓의 중심부를 경계로 두 부분으로 나뉜 릿지 또는 비드가 가스켓의 중심부를 향해 치우쳐 설치된 탄성릿지 또는 비드로 구성되며, 압축을 받을때 릿지 또는 비드가 치우친 쪽을 향하여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스켓.
  8. 제7항의 것으로서, 릿지 또는 비드가 가스켓으로부터 약 75˚에서 80˚정도의 예각으로 서로 마주보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스켓.
  9. 제8항의 것으로서, 예각이 약 7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스켓.
  10. 제7항의 것으로서, 가스켓의 길이 방향을 따라 플랜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스켓.
  11. 제1항의 것으로서, 보조 탄성부가 가스켓의 길이방향으로 내부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이 길이 방향에 따라 굴곡되어 있는 가늘고 긴 스트립으로 구성되고 상기 굴곡된 스트립은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스켓.
  12. 제11항의 것으로서 가스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플랜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스켓.
  13. 제12항의 것으로서, 가스켓의 밀폐표면을 따라 설치된 탄성릿지 또는 비드로 구성된 보조 탄성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릿지 또는 비드는 서로 평행하거나 동심으로 설치된 것을특징으로 하는탄성가스켓.
  14. 제1항의 것으로서, 가스켓이 한 부분을 둘러치는 연속 가스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스켓.
  15. 제14항의 것으로서, 둘러싸인 부분이 원형이거나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스켓.
  16. 제14항의 것으로서, 둘러싸인 부분의 삼각형이거나 정사각형 또는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스켓.
  17. 제14항의 것으로서,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스켓.
  18. 유체누출 방지를 위한 밀폐를 유지하기 위해 용기 또는 관의 두개의 접속표면을 밀폐하기 위한 가스켓으로서, 접속표면과 같은 몸체로 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탄성부를 갖고 접속표면을 확실히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탄성부는 용기의 유압작용방향에 직각으로 위치하고 탄성부재 양쪽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 돌출부와, 탄성부의 고유탄성에 관계없이 용기의 접속표면에 탄성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에 내측으로 위치한 대향된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스켓.
  19. 두개의 유체용기의 사이의 접속부를 밀폐할 수 있어서 용기안에 압력을 유지하는 가스켓으로서, 접속부분의 표면형상에 적합한 형태를 갖는 탄성부로 구성되며, 상기 보조탄성부는 용기내의 유체에 작용되는 압력의 방향에 수직으로 탄성부 표면에서 연장되는 탄성돌출부와, 결합될 표면에 대하여 탄성부의 표면을 연장하는 탄성부의 내부에 위치한 스프링의 두개의 볼록한 대향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탄성가스켓.
KR1019830002638A 1982-06-14 1983-06-14 탄성가스켓 Expired KR8600016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841582A 1982-06-14 1982-06-14
US388,415 1989-08-02
US388415 1989-08-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528A KR840005528A (ko) 1984-11-14
KR860001694B1 true KR860001694B1 (ko) 1986-10-17

Family

ID=23534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638A Expired KR860001694B1 (ko) 1982-06-14 1983-06-14 탄성가스켓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111546A4 (ko)
KR (1) KR860001694B1 (ko)
WO (1) WO1984000058A1 (ko)
ZA (1) ZA8342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44734A1 (de) * 1983-12-10 1985-06-20 Kaco Gmbh + Co, 7100 Heilbronn Dichtelement fuer flachdichtungen
FR2721085B1 (fr) * 1994-06-10 1996-07-1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Système à joint d'étanchéité comprimé entre deux portées non parallèles.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8428C1 (ko) *
US2923984A (en) * 1960-02-09 Astragal mounting
NL93033C (ko) * 1900-01-01
US1674038A (en) * 1924-04-18 1928-06-19 Clifton A Glass Floating roof for oil tanks
GB475755A (en) * 1936-12-23 1937-11-25 Henri Lancery Improvements in pipe joints
US2195046A (en) * 1937-03-10 1940-03-26 Frank A Best Flexible and resilient beaded stri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R849454A (fr) * 1938-07-29 1939-11-24 Joint étanche et son mode d'application
US2315588A (en) * 1941-12-04 1943-04-06 American Steel & Wire Co Top seal for pavement joints
US2753074A (en) * 1950-03-06 1956-07-03 Interpa Corp Registered Trust Container seals or closures
DE958482C (de) * 1953-08-27 1957-02-21 Bosch Gmbh Robert Elektrische Dichtung fuer Abschirmgehaeuse
US2859496A (en) * 1957-04-16 1958-11-11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frigeration apparatus
US2914212A (en) * 1957-08-01 1959-11-24 Hammond Iron Works Floating roof weather seal
US3040393A (en) * 1957-08-05 1962-06-26 Baldwin Montrose Chemical Comp Vacuum insertable strip
SU122999A1 (ru) * 1957-10-19 1958-11-30 В.С. Белобров Торовое уплотнение
GB862917A (en) * 1958-02-19 1961-03-15 Juan Andres Arecheta Mota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pparatus for sealing a joint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US3038732A (en) * 1958-04-07 1962-06-12 Texas Pipe Line Company Inflatable seal bushing for pipeline casing
US3026367A (en) * 1959-05-08 1962-03-20 Tech Wire Prod Inc Shielding and mounting strip
FR1239365A (fr) * 1959-07-09 1960-08-26 Expl S Ind Soc Gen Joint d'étanchéité travaillant entre deux espaces à pression également très élevée
US3247312A (en) * 1963-12-26 1966-04-19 Borg Warner Shielding enclosure for electrical equipment
FR1393401A (fr) * 1964-01-31 1965-03-26 Equip Moderne Ind Par Applic D Joint d'étanchéité et structures munies de ce joint
US3398977A (en) * 1965-02-13 1968-08-27 Yoneda Rikizo Pipe coupling
FR1473325A (fr) * 1966-02-04 1967-03-17 Joint d'étanchéité
US3554567A (en) * 1966-03-16 1971-01-12 Carrier Corp Fluid seal
US3508587A (en) * 1966-09-29 1970-04-28 Hans A Mauch Tubular structural member
DE1751550C3 (de) * 1968-06-18 1975-04-17 Messerschmitt-Boelkow-Blohm Gmbh, 8000 Muenchen Dichtung zwischen dem Einlauf eines Strahltriebwerkes und einem zellenfesten Aufnahmering des Einlaufgehäuses
FR1593959A (ko) * 1968-12-03 1970-06-01
US3591190A (en) * 1969-05-23 1971-07-06 Fred Winay Clinch seals
JPS5145327B2 (ko) * 1973-02-14 1976-12-03
US3812316A (en) * 1973-03-28 1974-05-21 Gen Electric Door seal gasket for combined microwave and self-cleaning oven
US4143883A (en) * 1978-02-07 1979-03-13 Controlex Corporation Of America Push-pull control with spring-loaded se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834233B (en) 1985-01-30
WO1984000058A1 (en) 1984-01-05
EP0111546A1 (en) 1984-06-27
KR840005528A (ko) 1984-11-14
EP0111546A4 (en) 1984-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97274A (en) Transition coupling and clamp assembly containing same
US4470608A (en) Resilient gasket having auxiliary resiliency means
US5364109A (en) Sealing gasket with hard interior backbone and integral crush limiters
US3633947A (en) Coupling
US3223426A (en) Sealing ring
US4239242A (en) Pipe union and seal
US5228702A (en) Molded plastic gasket having a combination sealing bead
US4293135A (en) Segmented seal
RU2225553C2 (ru) Двухкольцевое уплотнение це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860001694B1 (ko) 탄성가스켓
US4098490A (en) Valve body-bonnet joint
US5765876A (en) Pipe coupling requiring low closing force
KR200196868Y1 (ko) 가스켓
PL71038B1 (ko)
US4550921A (en) Ring joint gasket
US2274324A (en) Seal
SU374479A1 (ru) .ЁСЕСОЮЗГ'Ап ЯД7'5йт;:-.- .--•::.-'''.У
JP6449725B2 (ja) トンネルセグメント類の継手部に用いる弾性パッキング
JPH0240381Y2 (ko)
JPH024305Y2 (ko)
JP2000120953A (ja) フランジ継手用パッキング
KR200410522Y1 (ko) 물탱크용 패널 및 이의 조립구조
AU1771683A (en) Flanged compression gasket
KR200196870Y1 (ko) 가스켓
JPH012694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30614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307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306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6091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61230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