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681B1 - Hangul/hanja(korean character/chinese character)word processor - Google Patents
Hangul/hanja(korean character/chinese character)word process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60000681B1 KR860000681B1 KR1019840003025A KR840003025A KR860000681B1 KR 860000681 B1 KR860000681 B1 KR 860000681B1 KR 1019840003025 A KR1019840003025 A KR 1019840003025A KR 840003025 A KR840003025 A KR 840003025A KR 860000681 B1 KR860000681 B1 KR 8600006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d
- hanja
- hangul
- words
- charac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2 is a flow char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한자 변환 처리상태도.3 is a Hangul / Hanja convers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롬-3(4)의 용어변화표 예시도.Figure 4 is an illustration of the term change table of the Rom-3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피디스크(7)내의 한글/한자 단어 대응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Hangul / Hanja word correspondence table in th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중장연산앙치 2 : 롬-11: middle longevity anchor 2: rom-1
3 : 롬-2 4 : 롬-33: rom-2 4: rom-3
5 : 시스템램 6 : 키보우드5: System RAM 6: Keyboard
7 : 플로피디스크 8 : 디스플레이화면7: floppy disk 8: display screen
CG : 클럭발생기 AL : 어드레스 랫치CG: Clock Generator AL: Address Latch
DC1~DC2: 디코오더 KC : 키보우드콘트롤러DC 1 ~ DC 2 : Decoder KC: Keyboard Controller
DMC : DMA콘트롤러 FDC : 플로피디스크콘트롤러DMC: DMA Controller FDC: Floppy Disk Controller
DPC : 디스플레이콘트롤러 AR : 어드레스라인DPC: Display Controller AR: Address Line
DT : 데이터 라인DT: data line
본 발명은 한글/한자 워드프로세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입력 된문자열중에서, 어절을 분리한 다음, 이렇게 분리된 어절을 문법해석하여 한자로 변환시켜 주는 어절모우드에 의해 한글/한자변환이 자동적으로 수행되어지도록 된 한글/한자 변환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 Hanja word processor. Particularly, a Hangul / Hanja convers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a word mode that separates a word from a key input string, and then interprets the separated word in grammar. It is about a Hangul / Hanja conversion method.
일반적으로 문서처리시스템인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한글을 한자로 변환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대별되어지게 되는데, 그 한 방법으로서는, 사용자가 한자로 변환해야할 글자를 한자로 입력하게 되면 워드프로세서에서 그 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모두 나열되어 나타나게 한 다음 그중에서 해당되는 한자를 선택하게 됨으로서 변환되게 하는 방법이다.In general, there are two general methods of converting Hangul into Hanja using a word processor, which is a document processing system. As one method, when a user inputs a character to be converted into Hanja, the word processor It is a method to convert all the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sound by displaying them on the display screen and then selecting the corresponding Chinese characters from among them.
이러한 방법은 한번에 한글자씩 밖에는 처리할 수가 없게되고, 또 키(key)의 입력회수가 많아질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한자에 대한 지식이 부족할 경우에는 한자를 선택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게 되었다. 이에 대하여 다른 한가지 방법은, 한자로 변환시킬 수 있는 단어를 그 단어단위로 입력시켜 변환시켜 주게되는 한자모우드 방법, 즉 한자로 변환시켜 주어야할 필요가 있는 한글단어의 전후에다 한자변환범위지정을 위한 디리미터(DELIMITER)를 두어서 한자로 변환시킬 단어를 한글로 입력하므로서 해당되는 음의 한자단어들이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전부 나열되어 나타나게 한 다음 그 중에서 필요한 단어를 선택하여 한글/한자 변환을 실행하게 되어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방법은 상용자가 한자로 변환해야할 단어전후에 특정부호나 기능키를 사용하는 디리미터 지정에 의해 변환범위지정을 하여 한자부분과 한글부분을 일일이 구분해 주어야 하므로많은 불편이 뒤따랐고, 또 한모든 단어와 그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지는 복합어까지도 데이터베이스(한글/한자단어 대응표)에 갖추어 놓아주고 있어야 하므로 기억용량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메모리의 효율적 이용이 어려웠으며, 단어들이 수록된 사전의 단순한 이용에 불과하므로 데이터베디스에 없는 단어는 처리할 수 없게되는 문제가 있었다.This method can not only handle Hangul characters at a time, but also increases the number of key inputs, and when the user lacks knowledge of Hanja, considerable difficulty has been encountered. On the other hand, the other method is the Chinese character mode method, in which a word that can be converted into Chinese characters is inputted and converted into words, that is, before and after the Hangul word that needs to be converted into Chinese characters. By entering a word to be converted into Hanja by placing a delimiter, all the corresponding Hanja words will be listed on the display screen, and the Hangul / Hanja conversion is performed by selecting the required words. It was. This method has caused a lot of inconvenience because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e Hanja part and the Hangul part by specifying the conversion range by specifying a delimiter using a specific code or a function key before and after the word that the operator needs to convert to Hanja. Even compound words consisting of words and more words should be placed in a database (Hanja / Hanja word mapping tabl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use memory efficiently due to the large amount of memory, and it is only a simple use of a dictionary containing words.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not process words that are not in the disk.
본 발명은 상기한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한자변환의 범위지정을 위한 리미터를 디사용치않고 문장중에 나타나는 띄어쓰기나 문장부호(. , ! ?등)을 이용하여 어절단 위로 구분되는 한글문장을 자동적으로 문법해석하여, 어절단위내에서 한자변환이 가능한 부분과 불가능한 부분을 조사나어미등으로 구분함과 더불어, 한자변환이 가능한 부분에서도 접두사와 단어, 접미사 또는 복합어등으로 구분처리하여 어절에 포함되어 있는 한자변환가능 부분을 자동으로 한자변환시키게 되는 어절모우드에 의한 한글/한자 워드프로세서를 제공하고 자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Hangul is divided into word phrases using spaces or punctuation marks (.,! Automatically analyze sentences and classify parts that can be converted into Chinese characters and irreversible parts into word or suffixes, and process them into prefixes, words, suffixes, or compound word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gul / Hanja word processor by word mode that automatically converts Hanja conversion parts contained in the Hanja.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글/한자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한글/한자변환을 처리함에 있어서 문법해석의 처리에는 여러가지 용어들이 사용되어지며, 이러한 용어들은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되나 이는 국어문법에서 정의되는 용어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도있다.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ocess of Hangul / Hanja conversion using Hangul / Hanja word processor, various terms are used in the process of grammar interpretation, and these terms are defined as follows for the convenience of use, but they are defined in Korean grammar. May be somewhat different.
어절 : 문장을 이루는 한토막씩의 문자열을 나타내며 띄어쓰기 또는 문장부호(. , ! ? ;등)에 의해 구분된다.Word: It represents a string of characters that make up a sentence, separated by a space or punctuation mark (.,!?; Etc.).
단어 : 어떠한 뜻을 갖는 최소의 문자결합중에서 특히 한자표기가 가능한 말을 단어라 한다.Words: Words that can b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especially among the smallest combination of letters with a certain meaning, are called words.
접두사 : 한 단어로서의 자격이 없이 임의의 단어앞에 붙어서 뜻이나 어감을 더해주는 문자중에서 특히 한자처리가 가능한 것.Prefix: A character that can be processed with Chinese characters, especially among characters that add meaning or texture by preceding a word without qualification as a word.
접미사 : 한 단어로서의 자격없이 어떤 단어뒤에 붙어서 뜻이나 어감을 더해주는 문자중에서 특히 한자처리가 가능한 것.Suffix: A character that can be processed with Chinese characters, especially among characters that add meaning or texture after a word without qualification as a word.
어미 : 단어 또는 접 미사뒤에 붙어서 변화되는 부분을 통털어 일컫는다.Ending: A term that changes after a word or suffix.
조사 : 체언이나 용언의 명사행에 붙여서 문법적 관게를 나타내거나 그 단어들에 어떤 뜻을 더하는 것.RESEARCH: A grammatical relationship or addition to a word by adding it to a noun line of a statement or verb.
복합어 : 2개 이상의 단어가 조합되어 하나의 단어를 이루는 말.Compound word: A word that combines two or more words to form a single word.
이상과 같은 용어를 이용하여 국어의 문법해석에 필요한 어절의 기본구조를 살표보면 (접두사)+단어+(접미사)+(어미 또는 조사)로 세분되고, 여기에서 단어는 복합어일 수도 있으며 ( )안의 용어는 경우에 따라 존재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어절구조를 토대로 하여 문법적인 해석을 실현시키게 되는 것이다.Using the above terms, the basic structure of the word for grammar interpretation is subdivided into (Prefix) + Word + (Suffix) + (Ending or Survey), where the word may be a compound word or The term indicates that the term exists in some case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alize the grammatical interpretation based on the word structure described above.
제1도는 본 발명을 실현시키도록 된 시스템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가 입력장치인 키보우드(6)에 장치된 한자/어절 모우드 선택기를 어절모우드로 선택하면, 어절모우드의 키데이터가 키보우드 콘트롤러(KC)를 통해 중앙연산장치(1)에 인가되므로 어절모우드에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그 후에 키보우드(6)의 문자키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열들은 그 문자열에 대한 키보우드(6)데이터가 어드레스라인(AR)을 통해 어드레스 랫치(AL)에 랫치되었다가 디코오더(DC1)를 통하여 시스템램(5)내의 문자열 버퍼에 저장됨과 동시에 어드래스랫치(AL)에서 출력되어 데이터라인(DT)상에 유지되고 있는 문자열들의 데이터는디스플레이 콘트롤러(DPC)를 매개하여 디스플레이화면(8)에 차례대로 표기되어 진다.FIG. 1 shows a system configuration for realiz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selects a kanji / word mode selector installed in the
이러한 문자열의 입력에 대한 디스플레이 동작은 어절분이를 위한 제어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제2도의 A단계와 B단계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띄어쓰기(space character) 또는 문장부호(. , ! ? 등)의 키가 선택되어 입력되면 중앙연산장치(1)에서는 시스템램(5)에 그때가지 입력된 문자열을 1어절로 분리하도록 통제 하게된다. 그리고, 1어절로 분리된 부분에 대해 상술한 어절구조에 입각하여 문법해석을 실행하게 되는데, 이와같은 문법해석은 먼저 중앙연산장치(1) 통제하에 DMA몬트롤러(DMC)와 플로피디스콘트롤러(FDC)를 통해서 일례로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한글/한자단어 대응표가 입력된 사전플 로피디스크(7)내의 단어 대응표를 참조하여 실행하게 되는 것으로, 여기서 한글 및 한자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고, 숫자는 KS표상의 코드(HEXADECIMAL)를 사용하였다. 이와같은 한글/한자 대응표에는 2자이상으로 구성되어 어떠한 관념을 나타낼 수 있는 낱말들이 서로 대응되어 작성 되어지며, 2이상의 단어가 조합되어 한덩이의 뜻을 나타내는 복합어는 대응표상에는 그 한글/한자 단어 대응관계가 제어되게 된다. 따라서 복합어는 단어와 단어를 분류하여 검색하므로써 처리되게 된다.The display operation for the input of the character string performs the steps A and B of FIG. 2 before the control signal for wording is input. Here, when a space character or punctuation key (.,!?, Etc.) is selected and input, the
이와 같이 한자변환가능한 단어검색(G단계)을 실행하는 데에는 한글단어에 해당되는 코드값을 이용하여 그에 대응되는 한자단어들의 코드값을 중앙연산장치(1)의 통제하에 디코오더(DC1)를 통해 시스템램(5)내의 버퍼에 저장시키게 된다. 그런후에 분리된 어절에 대해 접두사+단어+접미사+조사(또는 어미)로 된 어절구조에 입각하여 문법해석이 실행되는 바, 어절의 최초에서 2자까지를 단어 대응표상에서 검색하고, 없다면은 2자중에 최초의 문자를 분리하여 롬-3(4)내의 접두사표에서 해당되는 한자 접두사가 존재하는가를 판정하여 접두사표에 존재하면 한자 접두사로 분리하며, 해당접두사(어절의 첫 한글문자)의 뒤에오는 문자, 즉 어절의 2번째 한글문자로부터 시작하여 단어를 이룰 수 있는 한글문자들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같이 사전플로피디스크(7)내의 단어표를 검색하여 어떠한 관념을 갖는 단어를 검색하게 된다. 따라서 「접두사+단어」로 결정(D단계)된 접두사의 한자코드와 단어의 한자코드는 중앙연산장치(1)의 통제하에 디코오더(DC1)를 통해 시스템램(5)내의 버퍼에 저장되어 진다.In order to perform the kanji conversion word search (G step) as described above, the code value of the corresponding Hanja words is determined by using the code value corresponding to the Hangul word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mputing device ( 1 ). This is stored in the buffer in the system RAM (5). Then, the grammar analysis is performed based on the word structure of prefix + word + suffix + search (or ending) for the separated word, and the first to two words of the word are searched in the word matching table.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Hanja prefix exists in the prefix in rom-3 (4) by separating the first character in. If it exists in the prefix, it is separated by the Hanja prefix, followed by the prefix (the first Hangul character of the word). As described above, a word table in the
여기에서, 한글/한자변환이 가능한 단어를 검색한 후에 한 자변환될 단어가 있는가 없는가를 확인하여 단어표상에 의해 검색된 단어가 없으면 한자변환이 불필요한 순수한글로 처리하게되고(E단계), 또 검색된 단어가 1개이상 있는 경우에는 단어뒤에 따르는 문자에 대하 여접미사인가 또는 조사나 어미인가를 검색하게 된다. 즉, 검색된 단어뒤에 오는 한글문자에 대해 제4도에 나타낸 접미사표를 이용하여 그 한글문자가 한 자접미사가 될 수 있는 가를 접미사표에서 검색하여(F단계) 한자접미사이면 시스템램(5)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단어」또는 「접두사+단어」의 뒤에 한자접미사로 검색된 한자코드를 덧붙이고, 그 다음 한글문자들에 대해 제4도에 도시된 롬-3(4)에 저장되어져 있는 조사표 및 어미표를 이용하여 「단어 「접두사+단어」,「단어+접미사」, 「접두사+단어+접미사」중의 하나로 문법해석이 가능한 어절에 알맞게 적용될 수 있는 조사 또는 어미를 조사표 및 어미표상에 있는 결합관계를 검색하여 조사 또는 어미의 결합관계가 타당한가를 결정하게 된다(G 단계).Here, after searching for a word capable of Hangul / Hanja conversion,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word to be converted to Hanja, and if there is no word searched by the word representation, the Hanja conversion is processed as unnecessary pure text (step E), If there is more than one word, the characters that follow the word are searched for as suffixes or as search or ending words. That is, by using the suffix shown in FIG. 4 for the Hangul characters after the searched word, the system can search the suffix for whether the Hangul characters can be a single suffix (Step F). After the "word" or "prefix + word" stored in the buffer, the Chinese character code searched by the Chinese character suffix is added, and then the survey table stored in Rom-3 (4) shown in FIG. Combined relations in the survey table and the ending table by using one or more of the words `` prefix + word '', `` word + suffix '', and `` prefix + word + suffix '' that can be applied to a word that can be interpreted grammatically. Search for to determine whether the linkage of the survey or the mother is valid (step G).
그런데, 1개의 단어를 한자단어표에서 검색한 후에 그 단어 뒤에오는 문자들이 한자로 변환될 수 있는 또 다른 단어라면 이는 먼저 검색된 단어와 조합되는 복합어로 되는 바, 이때에는 접미사와 조사 또는 어미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복합어로 결정 되어지는 것이다. 여기에서, 복합어 결정이 필요하면(H단계)이 단계까지 검색된 단어와 접두사의 한자를 시스템램(5)내의 버퍼에 저장시키게 되고(I 단계), 뒤에 따르는 단어에 대해 사전플로피디스크(7)내의 단어표를 이용하여 단어들의 복합관계를 검색하게 된다(C 단계).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복합어의 검색처리과정(C. H단계)에서 복합어라고 판정된 것은 그 복합어(앞에서 검색된 단어에 연결될 뒤어 단어)를 새로운 단어로 취급하여 단어표를 참조하여 검색된 한자코드값을 시스템램(5)내의 버퍼에 저장시킨 후 접미사와 조사 또는 어미와의 접속관계를 결정하는 검색과정(F 단계)을 다시 실행하게 되며, 복합어 처리가 필요 없으면 I 단계까지를 한자로 변환시키게 된다.However, if one word is searched in a Chinese word table and the letters following the word are another word that can be converted into Chinese characters, this is a compound word that is first combined with the searched word. It is not a compound word. Here, if compound word determination is required (step H), the searched words and prefix kanjis are stored in the buffer in the system RAM 5 up to this step (step I), and the following words in the
일례로,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효율적인 생산관리이다.」라는 문장이 입력되면 중앙연산장치(1)에서는 「비효율 적인」과 「생산관리이다.」와의 사이에 띄어쓰기를 위해 선택되는 간격키(SPACE KEY)의 제어신호를 감지하여 「비효율적인」을 1어절로 분리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생산관리이다.」의 예문에서 쓰여진 문장부호(.)에 대당되는 기능키의 제어신호에 의해 「생산관리이다.」를 뒤에오는 어절과 독립된 어절로 분리하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the sentence "Inefficient production control" is input, the
그리고, 「비효율 적인」이라는 어절에 대해 상기한 바 있는 어절구조, 즉 접두사+단어+잡미사+조사(또는 어미)의 순서에 따라 문법해석을 실행하게 되는바, 여기에서 접두사와 접미사 또는 조사(어미)는 어절에 따라 그 쓰임이 상기의 어절구조에 항시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Then, the grammar analysis is execut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word structure, that is, the order of prefix + word + suffix + search (or ending), where prefix, suffix or search ( The term "mother" does not always apply to the word structure.
「비효율 적인」이라는 어절에서 중앙연산장치(1)는 어절의 최초글자인 "비"와 뒤어오는 "효"의 문자들을 단어표상에서 검색하여 없으면 첫글자인 "비"를 접두사표에서 검색하여 "非"임을 인식하게 되며, 이어서 "효"와 "율"을 단어표상에서 다시 검색하게 된다. 그리하여 "효율"이 한자 "效率"임을 판독하게 되고, 접두사와 단어인 "비(非)+효율(效率)을 시스템램(5)내의 버퍼에 입력시켜 저장하게 된다. 이어 접미사 처리과정에 따라 롬-3(4)내의 접미사표를 이용하여 한글문자 "적"이 한자변환이 가능한 한자접미사 "的"임을 판독하여 시스템램(5)내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비효율(非效率)"뒤에 접속되어 "비효율(非效率)+적(的)"이라는 한자말의 코드값을 버퍼에 갖게되고, 그 다음에 롬-3(4)내의 조사표 및 어미표를 이용하여 「접두사+단어+접미사」뒤에 조사 「인」이 접속되어 있음을 인식하여 한글 "비효율적인"을 한자 "非效率的인"으로 디스플레이 화면(8)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In the word "inefficient", the central computing unit (1) searches for the first letter of the word "bee" and the following "hyo" in the word table. It recognizes that it is non, and then searches for "hyo" and "rate" again in the word table. Thus, it reads that "efficiency" is the Chinese character "效 率", and stores the prefix and the word "non + efficiency" into a buffer in the system RAM 5. Then, the ROM is processed according to the suffix processing. The suffix in -3 (4) is used to read the Hangul character "red" as a Chinese character suffix "的" which can be converted to Hanja, and is connected after the "inefficiency" stored in the buffer in the system RAM (5). The buffer will contain the code value of the word "inefficient + red" in the buffer, and then search after "prefix + word + suffix" using the lookup table and the ending table in Rom-3 (4). Recognizing that the "in" is connected, the Hangul "inefficient" is displayed on the
한편, 동음이의어등의 선택이 필요한 경우에는 입력장치인 키보우드(6)의 문자키와 기능키에 의해 시스템램(5)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동음이의어에 따른 한자들이 디스플레이 화면(8)에 나타나게 되고, 그에 따라 원하는 한자단어를 선택하여 한자변환을 실행하게 된다. 이상의 분법해석에서 처리되지 않는 어절은 순수한글 또는 외래어로 판단하여 한자로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처리하게 되며 한글/한자 변환이 실행되어 디스플레이 될 한자는 그 코드값에 따성 롬-2(3)에 있는 한자 이미지(Image)를 디스플레이 화면(8)에 표시된 한자의 위치에 대체시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어절모우드를 처리하다가 한자/어절모우드 선택키를 한자모우드로 위치하고, 사용자가 입력장치인 키보우드(6)의 문자키를 누르면 중앙연산장치(1)에서는 이하의 한글/한자변환이 단어선택에 의한 한자모우드에 의해 실행됨을 인식하여 입력되는 문자열을 시스템램(5)의 버퍼에 저장시키고, 한자모우드에 으해 한글/한자변환를 실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lection of the homonym is required, the Chinese characters of the homonym stored in the buffer of the system RAM 5 are displayed on the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한자가 필요한 문서를 작성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간단하게 한글만을 입력하면 어절모우드에 의해 자동적으로 필요한 단어를 한자로 변환시켜 주므로 사무처리가 훨씬 빨라지고 또한 정확한 한자변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음에 따라 문서작성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simply inputs Hangul, the word automatically converts the necessary word into Hanja by the word mode, so that office work is much faster and accurate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is possib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document preparation.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40003025A KR860000681B1 (en) | 1984-05-31 | 1984-05-31 | Hangul/hanja(korean character/chinese character)word process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40003025A KR860000681B1 (en) | 1984-05-31 | 1984-05-31 | Hangul/hanja(korean character/chinese character)word process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8422A KR850008422A (en) | 1985-12-16 |
KR860000681B1 true KR860000681B1 (en) | 1986-05-29 |
Family
ID=19234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40003025A Expired KR860000681B1 (en) | 1984-05-31 | 1984-05-31 | Hangul/hanja(korean character/chinese character)word process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6000068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3510B1 (en) * | 2005-02-22 | 2007-01-24 | 엔에이치엔(주) | A text input device and a text input method in the text input device |
-
1984
- 1984-05-31 KR KR1019840003025A patent/KR860000681B1/en not_active Expir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8422A (en) | 1985-1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24141B1 (en) | Apparatus for Hangul output and method thereof | |
KR860000681B1 (en) | Hangul/hanja(korean character/chinese character)word processor | |
JPS58123129A (en) | Converting device of japanese syllabary to chinese character | |
JPH0380363A (en) | Document processor | |
JP2862236B2 (en) | Character processor | |
JPH027159A (en) | Japanese processor | |
JPH08272780A (en) | Processor and method for chinese input processing, and processor and method for language processing | |
JPH0454523Y2 (en) | ||
JPH0350668A (en) | Character processor | |
JPH0581945B2 (en) | ||
JPH0154744B2 (en) | ||
JPS6298456A (en) | Japanese language input device | |
JP3084864B2 (en) | Text input device | |
JPS63104173A (en) | Japanese word processor | |
JPS60207948A (en) | "kana"/"kanji" conversion processor | |
JPH01118961A (en) | translation device | |
JPS6132171A (en) | Document forming device having adjunct key group | |
JPH0421901B2 (en) | ||
JPH08335217A (en) | Reading converting method and document preparation device | |
JPS60225972A (en) | Switching device of clause inputting level | |
JPH04372047A (en) | Kana/kanji converter | |
JPS63140365A (en) | Kanji converting device | |
JPS6450164A (en) | Document generating and editing device | |
JPH01133175A (en) | Word converter | |
JPS6175471A (en) | Logotype learn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4053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6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60501 |
|
O035 |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
Free format text: OPPOSITION NUMBER: 001986001252; OPPOSITION DATE: 19860729 |
|
PO0301 | Opposi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Opposition Patent event code: PO03011R01D Patent event date: 19860729 Opposition date: 19860729 Opposition identifier: 0019860012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