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50002284Y1 - 곡물통에 내설된 게이지 - Google Patents

곡물통에 내설된 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284Y1
KR850002284Y1 KR2019830003742U KR830003742U KR850002284Y1 KR 850002284 Y1 KR850002284 Y1 KR 850002284Y1 KR 2019830003742 U KR2019830003742 U KR 2019830003742U KR 830003742 U KR830003742 U KR 830003742U KR 850002284 Y1 KR850002284 Y1 KR 8500022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uge
rice
pulley
nylon yarn
pie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3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839U (ko
Inventor
김남수
Original Assignee
김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수 filed Critical 김남수
Priority to KR2019830003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2284Y1/ko
Publication of KR8400068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8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2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284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곡물통에 내설된 게이지
제1도는 본 고안의 조립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3(a)도는 본 고안 적재실의 적재량을 도시한 측단면도.
제3(b)도는 본 고안 적재실의 적재량이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게이즈 4 : 바늘
5 : 스프링 6 : 풀리
7 : 나이론사 8 : 케이스
9 : 돌출부 10 : 나공
11 : 보울트 12 : 돌봉
13 : 요구 14 : 작동편
16 : 절곡부 17 : 구멍
18 : 돌출봉 19 : 절곡편
본 고안은 곡물통 내면에 곡물의 적재량에 따른 압력으로 곡물통의 전면에서 용량을 측정할 수 있게된 곡물통에 내설된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곡물 저장통 전면에 투시창을 부착하여 곡물통 내로 곡물을 주입시 투시창에 곡물의 량을 볼 수 있게 되었으나 곡물저장통에 저장된 쌀을 소모한 다음 반복하여 곡물저장통에 쌀을 주입하면서 투시창에 쌀겨가 많이 묻게되므로 쌀의량을 측정할 수 없게되던 문제점이 생기게 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해 그 구조와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지의 곡물통(1)전면 상부로 게이지(2)를 볼 수 있도록 투시창(3)을 설치하고 내면에 게이지(2)를 지시하는 바늘(4)의 축 후단에 스프링(5)을 설치시 스프링(5)의 일츨끝단은 게이지(2) 내면 돌출봉에 걸고 타측은 축에 끼워넣은 풀리(6)면에 고정시켜 풀리(6)의 둘레로 감은 나이론사(7)가 스프링(5)의 탄력성을 갖으며 하부로 연장된 U자형 케이스(8)의 하단 돌출부(9)의 나공(10)에 나사조임한 볼트(11)의 내면으로 나이론사(7)의 끝단을 팽팽하게 고정을 하면서 케이스(8)의 내면에 다수의 돌봉(12)을 세워놓은 중심의 요구(13) 내로 팽팽하게 당겨진 나이론사(7)를 끼워 넣어주되 다수의 돌봉(12) 사이에 설치되는 작동편(14)의 양측 돌출봉(18)을 케이스(8)의 절곡부(16) 양측구멍(17)에 끼워 맞춤시 작동편(14)의 상면에 반원형 요구(15)가 나이론사(7)에 닿지 못하게 되고 작동편(14) 의하면 족곡편(19)이 돌출봉(18)을 중심으로 내면에 밀리게될 때 팽팽하게 돌봉(12)의 요구(13) 사이를 연결한 나이론사(7)가 절곡편(19)에 의해 수축되며 스프링(5)에 탄력설치된 풀리(6)를 회전하게 되므로 축상의 바늘(4)이 게이지(2)의 눈금을 지시할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곡물통(1) 내로 곡물을 넣게되면 쌀이 저장실에 주입되면서 케이스(8)의 절곡부(16) 양측구멍(17)에 끼워 맞춤한 작동판(14)의 양측 돌출봉(18)을 중심으로 작동편(14)의 절곡편(19)이 쌀의 압력으로 밀리며 나이론사(7)를 상하돌봉(12)의 요구(13)에서 케이스(8) 내면으로 눌러주게 되므로 스프링(5)에 탄력설치된 풀리(6) 둘레의 나이론사(7)가 풀리면서 풀리를 회전을 하게되어 풀리(6)의 축상에 바늘(4)이 게이지(2)에 표시되어 있는 눈금을 쌀이 주입되는 만큼 순차적으로 작동편(14)을 작동하게 되는 동시에 바늘(4)이 쌀의 주입량을 지시할 수 있게된 것으로 도면 제3(a)도는 작동편(14) p가 쌀을 주입하기 전에서 p'쌀이 주입된 상태로 돌봉(12)의 요구(13) 사이로 연장된 나이론사(7)가 풀리(6)와 바늘(4)을 회전시켜 용량을 알리게 되었다.
그리고 쌀을 저장한 상태에서 쌀을 유출시 스프링(5)의 탄력으로 팽팽하게 당겨지는 나이론사(7)가 케이스(8)의 작동편(14)에 양측 돌출봉(18)을 중심으로 하면의 절곡편(19)을 밀어내게 되어 곡물통(1)의 전면투시창(3)으로 볼 수 있는 게이지(2)의 바늘(4)에 의해 곡물량을 측정하게 된 것으로 종래의 곡물통 전면에 투시창을 설치하여 쌀겨가 묻으며 쌀의 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던 점을 감안한 본 고안은 쌀의 주입된 상단면까지 작동편(14)에 압력을 주게되어 곡물통 전면 투시창(3)을 통해 게이지(2)상의 바늘(4)로 정확하게 쌀의 저장량을 측정하면서 주부들의 생활계획을 세워주게 되었다.

Claims (1)

  1. 공지의 곡물통(1) 전면 상부로 게이지(2)를 볼 수 있도록 투시창(3)을 형성한 것에 있어서, 게이지(2)면에 바늘(4)을 축에 설치하며 축의 후단에 풀리(6)를 설치시 게이지(2) 내면 돌출봉과 풀리(6)면에 스프링(5)의 양측단을 연결하여 풀리(6)에 감긴 나이론사(7)가 탄력을 갖으며 케이스(8) 내면에 다수의 돌봉(12)상단 요구(13)를 거쳐 하단 돌출부(9)의 나공(10)에 볼트(11)의 내면으로 볼트(11) 조임시 고정하게 되고 케이스(8)의 절곡부(16) 양측구멍(17)에 끼워 맞춤한 작동편(14)의 돌출봉(18)을 중심으로 작동편(14)의 하단 절곡편(19)이 나이론사(7)를 눌러 줄 수 있게된 곡물통에 내설된 게이지.
KR2019830003742U 1983-04-27 1983-04-27 곡물통에 내설된 게이지 Expired KR8500022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3742U KR850002284Y1 (ko) 1983-04-27 1983-04-27 곡물통에 내설된 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3742U KR850002284Y1 (ko) 1983-04-27 1983-04-27 곡물통에 내설된 게이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839U KR840006839U (ko) 1984-12-17
KR850002284Y1 true KR850002284Y1 (ko) 1985-10-15

Family

ID=19229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3742U Expired KR850002284Y1 (ko) 1983-04-27 1983-04-27 곡물통에 내설된 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22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167A (ko) * 2002-03-15 2002-04-03 권영준 건초용 절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167A (ko) * 2002-03-15 2002-04-03 권영준 건초용 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839U (ko) 198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88855A (en) Oil level gauge
US5284062A (en) Sensor for measuring elongations
KR850002284Y1 (ko) 곡물통에 내설된 게이지
EP0524699A1 (en) Non-oscillating caster
GB788329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securing elements for constructional parts of synthetic material
US3036793A (en) Reel assembly fastener
US3065838A (en) Ribbon spool
US2718784A (en) Liquid level gauge
US4157691A (en) Spool case for sewing machines
US4301597A (en) Dipstick
US2856748A (en) Spring finger unit for harvester reels
CN209682036U (zh) 一种汽车检具用卡扣固定机构
US2990179A (en) Archery target
US4838083A (en) Float activated gauge
US3031831A (en) Sheet metal cotton picker bar and spindle assembly
KR800000610Y1 (ko) 안강 어망의 부봉 연결장치
JPS6466521A (en) Strain gauge type scale
JPH03505126A (ja) ラケット糸の引張試験機
US4463668A (en) Baler twine needle with breakoff tip portion
US4851187A (en)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US1620463A (en) Checkstrap holder
CN220204340U (zh) 一种高可靠性螺钉
KR800002295Y1 (ko) 타이어 튜우브용 공기밸브
US4236481A (en) Measuring instrument
CN213937584U (zh) 一种精梳机马达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3042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3042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50415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5091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601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601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6012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80213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80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30724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