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50002230Y1 - 장판지류 - Google Patents

장판지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230Y1
KR850002230Y1 KR2019830006406U KR830006406U KR850002230Y1 KR 850002230 Y1 KR850002230 Y1 KR 850002230Y1 KR 2019830006406 U KR2019830006406 U KR 2019830006406U KR 830006406 U KR830006406 U KR 830006406U KR 850002230 Y1 KR850002230 Y1 KR 8500022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board
paper
nonwoven fabric
sheet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6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405U (ko
Inventor
신금두
Original Assignee
신금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금두 filed Critical 신금두
Priority to KR2019830006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2230Y1/ko
Publication of KR8500014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4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2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2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next to another layer of paper or cardboar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8Impreg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장판지류
첨부의 예시도는 세겹과 네겹장판지 만으로 본 고안을 예시 설명한 것으로
제1도는 네겹으로 되는 장판지의 일부전개 사시도
제2a도는 네겹으로 되는 성층장판지의 횡단도면도이고, 원형윤곽부내는 동확대도
제2b도는 세겹으로 되는 성층장판지의 횡단면도이고, 원형윤곽부 내는 동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일층형 장판지 2, 3, 4 : 배면층부
5 : 성층장판지.
본 고안은 종래의 한지장판지보다 강인성이 현저히 크고도 값은 한지장판지와 동등 또는 경감되는 장판지의 고안이다.
한지를 원지로 하여 건성유를 함침건조한 종래의 한지장판지는, 양지를 원지로 하는 양지장판지보다 강인성이 현저히 크다.
그러나 한지장판지에서는 그 원료인 딱나무껍질의 원료사정에 복잡한 경제적불합리가 허다함에 반하여 양지장판지는 딱나무껍질을 원료로 하는 것도 아니고 값도 저렴하다.
그러므로 한지장판지는 양지장판지로 인하여 사양화된 상태이다.
그러나 양지장판지는 한지장판지보다 강인성이 지나치게 빈약한 점이 중대폐단임이 또한 공지이다.
그리고 한지장판지와 양지장판지는 모두 그들 원지의 제조과정이 다량의 물을 사용하는 습식초조이므로, 원지의 제조에서는 공업용수에 관하여 번거로움이 크고 또 습지의 건조에서는 다량의 열량을 소비하는 점에 폐단이 있다.
또 한지장판지와 양지장판지를 온돌상판에 장판시공함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밀가루플을 사용하여 호착시공하는 바, 이들의 장판지는 기름먹이종이 이므로 호착시공에는 숙련기능이 필요한 것이어서 번거로우며, 호착부에서 분리되는 번거로움과 폐단도 있었다.
두꺼운 비닐사이트를 장판지로 사용시는 그 제조과정에서 공업용수와 건조용 에너어지 등이 배제되기는 하나, 값이 장판지 보다 고도하고, 또 온돌상판에 호착고정을 아니하는 것이어서 이는 장판지라고 볼 수 없는 대용판체이다.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소 49-27770호, 고안의 명칭 "주름 잡힌 적충지"에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을 종방향으로 인장하여 제조한 선상체를 횡방향으로 인장하여 형성되는 망상체를 종횡으로 적충한 가열수축성의 적층제를 섬유층(2)으로 하고 이 섬유층의 표리양면에 박엽지층(1)(1)을 적층합착하여 이 적층 합착지를 가열 처리함으로서 "주름잡힌 적층지"를 형성함이 발표되었다.
이 적층지의 제조에서도 공업용수와 건조용 에너어지 등의 문제는 배제되며 또 적충지인 점에서 포괄적개념만은 본 고안과 공동이다.
그러나 주름잡힌 종이가 장판지로 될수는 없고, 따라서 그 목적, 구성, 작용효과 및 용도범위 까지가 본 고안과는 전혀 별개인 별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폐단이 배제되고 다음 각항의 조건이 충족되는 장판지를 얻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가) 합성섬유제 부직포를 재료로 하고서 건성유 또는 합성수지를 합침건조하여 되는 단일형장판지를 형성하거나, 또는 이 단일형장판지의 배면부에 합성섬유제 부직포 또는 종이류 만으로 되며 친수성이고 따라서 풀받이가 양호하기 때문에 예를들면 온돌상판부에 대한 접착이 확고히 될 수 있는 배면층부를 배착한 성층장판지를 형성하거나 함에 의하여, 공업용수와 건조용 에너어지의 문제를 상술한 비닐시이트 또는 일본국 실용신안 소49-27770호의 그것과 같이 배제하고서도, 한지장판지 보다 수명이 장구하며 또 한지장판지의 생산원가 이하의 범위에서 생산이 가능하고 유통과정에서 양지장판지와 같은 절곡손상의 폐단이 배제되는 단일층형장판지 내지 이 단일층형 장판지가 표층부를 이루는 성층장판지를 얻는 것.
나) 한지장판지의 제조에서 딱나무껍질로 인하여 필연적으로 유발되던 산업상 및 산업경제상의 애로를 합성섬유제 부직포를 단일층형장판지의 기본 재료로 함에 의하여 배제하는 장판지를 얻는 것 등이다.
본 고안을 첨부의 예시도에 따라 그 구성과 작용효과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본 고안은, 건성유 또는 합성수지 등의 방수성물질을 원지에 분표함유하는 장판지 또는 성층장판지에 있어서, 합성섬유로 되는 부직포의 한장을 함침용원지를 겸하는 함침용 부직포로 하고서 건성유 도는 합성수지 등으로 부터 선택되는 방수성물질을 함침시켜서 단일층형장판지(1)를 형성하거나, 이 단일층형장판지(1)의 배면부에, 건성유 또는 합성수지 등의 방수성물질의 함침이 전혀 없는 부직포 자체 내지 종이류의 한겹내지 여러 겹으로 되는 배면층부(2), (2)(3), (2)(3)(4)를 성층합착하여 성층장판지(5)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판지류의 고안이다.
상술함과 같으므로, 방수성물질을 함유함이 없는 합성섬유부직포 내지 종이류로 되는 배면층부(2) 또는 (2)(3) 도는 (2)(3)(4)를 상술한 단일층형장판지(1)의 배면부에 성층 배착하여 되는 성층장판지(5)가 본 고안의 장판지류에 포함되며, 또 한장으로 되는 부직포의 일층면부에, 적합한 수성접착제를 도포한 다음에 수성접착제의 도포가 없는 타층면부에 건성유 내지 합성수지를 함침건조하여 형성되는 방수성물질 반분함침의 부직포는, 상술한 본 고안 단일층형장판지(1)의 배면부에 한장의 부직포 내지 종이만으로 배면층부(2) 하나만을 성층한 본 고안의 성층장판지(5)와는 그 성층적 구성과 작용효과가 동일 내지 극히 유사한 성층장판지(5)로 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방수성물질 반분함침의 부직포도 본 고안에 포함됨은 담연이다.
상술한 합당성의 수성접착제로는 공지의 수성접착제(예 : 밀가루풀, 전분풀, 아교풀, 카제인풀, 폴리비닐 알코올풀 등 기타)에는 합당량의 글리세린, 글리코올 또는 당분 등을 첨가함에 의하여 건조후의 절곡손상을 방지함이 바람직 하다.
이들 단일층형장판지(1) 또는 이 단일층형장판지(1)로 되는 표층부와 배면층부(2) 또는 (2)(3) 또는 (2)(3)(4)를 형성시키는 부직포의 종류를 예시하면, 단섬유가 폴리비닐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아크릴로니크릴(일반명칭 : 아크릴섬유) 등의 섬유로 되고, 이들 단섬유의 평균길이는 적어도 2-4cm 이며, 단섬유 상호간의 결착은 합성수지의 분말 또는 과립의 응융결착으로 강인성 있게 결착하여 되는 공지의 부직포 자체를 예시하는 바이다.
그리고 배면층부(2), (2)(3), 또는 (2)(3)(4)를 구성하는 종이류의 예로는 두께가 합당한 종이류는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또 성층장판지(5)에서와 배면층부(2), (2)(3), (2)(3)(4)등의 층간합착용에 소요되는 접착제로는 상술한 당분, 글리코올 첨가의 수성접착제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또 이 단일층형장판지(1)를 구성하는 부직포에 건성유의 함침 건조 또는 합성수지를 함침건조하는 과정은 별개의 연속과정으로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또 방수성물질함침의 부직포로 되는 단일층형장판지(1)와, 부직포 또는 종이로 되는 배면층부(2) 또는 (2)(3) 또는 (2)(3)(4) 싱호간의 성층접착과정은, 부직포의 연속적 제조과정에 계속하여 연속적으로 수행함이 산업경제적으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술의 연속적과정이 아닐지라도 본 고안의 단일층형장판지(1) 또는 성층장판지(5)를 경제성 있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연속적이건 비연속식이건을 막논하고 본 고안의 단일층형장판지(1) 또는 성층장판지(5)의 제조에서는, 부직포의 제조가 바로 본 고안 장판지(1) 또는 성층장판지(5)의 원지제조과정으로 된다.
그러므로 공업용수에 관한 번거로움이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소 49-27770호의 그것과 같이 배제되고, 또 딱나무껍질에 기인되는 섬유원료의 경제적불합리가 배제된다.
또 단일층형장판지(1)는 합성섬유의 부직포적조직부를 건성유의 고화물 또는 합성수지가 결착고화 보강하여 되는 구성이므로, 장판지로서의 사용수명이 종래의 한지장판지보다 장구하다.
따라서 이 단일층형장판지(1)를 표층부로 하는 성층장판지(5)의 사용수명도 또한 단일층형장판지(1)와 같이 장구화되는 것이다.
또 이 성층장판지(5)인 경우에 그 배면층부는 방수성물질의 함침이 없는 부직포 또는 종이이어서 친수성이므로, 수성접착제와의 친화성이 양호하다.
그러므로 장판지시공후에 상판부로 부터 장판지가 분리되는 종래의 폐단은 철저히 배제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단일층형장판지(1)와 성층장판지(5)의 원재료를 상술의 합성섬유 제부직포 만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강도가 양호할 것임은 당연이며, 성층장판지(5)에서 배면층부(2), (2)(3), 또는 (2)(3)(4)를 종이로 구성하는 경우에도 강도가 고도한 단일층형장판지(1)에 고착되었으므로 강도가 또한 고도하고 만곡응력에 의하여 걸곡손상되는 폐단은 크게 배제된다.
그러므로 유통과정의 충격에 의한 절곡손상이 전혀 없거나 내지 대폭 배제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장판지는 상술함과 같은 효과를 보유하면서도 그 생산원가가 단일층형장판지(1)인 경우는 사용하는 부직포의 두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이고, 또 성층장판지(5)인 경우는 겹치기의 수효와 사용하는 부직포 또는 종이의 두께에 따라 차이가 있어서 일정한 것이다.
그러나 두께가 한지장판지와 동일한 경우에는 한지장판지의 생산원가와 동등 이하의 범위로 생산공급함이 가능한 것이다.
상술함과 같으므로 본 고안은 종래의 한지장판지와 양지장판지 등이 내포하는 모든 폐단을 상술함과 같이 배제하고서 상술 가), 나)의 목적조건이 충족되는 장판지류를 얻는 것이다.

Claims (1)

  1. 건성유 또는 합성수지 등의 방수성물질은 원지에 분포 함유하는 장판지 또는 성층장판지에 있어서, 합성섬유 부직포의 한장을 함침용원지를 겸하는 함침용부직포로 하고서 건성유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부터 선택되는 방수성 물질을 함침시켜서 단일층형장판지(1)를 형성하거나, 이 단일층형장판지(1)의 배면부에, 건성유 또는 합성수지 등의 방수성물질의 함침이 전혀 없는 부직포 자체 내지 종이류의 한겹 내지 여러겹으로 되는 배면층부(2), (2)(3), (2)(3)(4)를 성층합착하여 성층장판지(5)를 형성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판지류.
KR2019830006406U 1983-07-21 1983-07-21 장판지류 KR8500022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6406U KR850002230Y1 (ko) 1983-07-21 1983-07-21 장판지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6406U KR850002230Y1 (ko) 1983-07-21 1983-07-21 장판지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405U KR850001405U (ko) 1985-04-10
KR850002230Y1 true KR850002230Y1 (ko) 1985-10-10

Family

ID=70158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6406U KR850002230Y1 (ko) 1983-07-21 1983-07-21 장판지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223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187B1 (ko) * 1999-05-18 2002-01-04 김충세 천연유지 질감을 갖는 피브이씨 바닥재
KR102138653B1 (ko) * 2017-12-05 2020-08-11 강성관 친환경 마섬유 장판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405U (ko) 198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6772A (en) Wetlaid biocomponent web reinforcement of airlaid nonwovens
ES2386805T3 (es) Laminado de papel o cartón y método para producir dicho laminado
JP4828769B2 (ja) 紙または厚紙の積層体およびこの積層体の製造方法
US6977111B2 (en) Multi-layer paper peelable into at least two thin sheets
CA1113661A (en) Composite material
KR850002230Y1 (ko) 장판지류
JP7511359B2 (ja) ラミネート用包装紙、こ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包装体
JP2002266294A (ja) 成形容器用原紙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容器
US1897864A (en) Printer's blanket
FI111139B (fi) PVC-muovipäällysteinen tapetti ja pohjapaperin käyttö
KR102747506B1 (ko) 섬유 제품 및 섬유 제품의 제조 방법
NL8005799A (nl) Vezelmat voor het langs droge weg vervaardigen van ruimtelijk geperste vormdelen.
JPH02182213A (ja) 不織布マット
JP2588967Y2 (ja) 下垂用紙
JPH047167Y2 (ko)
JPS5924507Y2 (ja) 防水段ボ−ル
US20070144419A1 (en) Composite paper for embroidering, printing, foil coating and embossing on a same surface
JPH0452048Y2 (ko)
JPH0647722Y2 (ja) 経木の代用となる積層シート
SE512776C2 (sv) Pappers- eller kartonglaminat samt sätt att framställa ett sådant laminat
JPS5976974A (ja) 複層構造の敷設材の製造方法
RU2049673C1 (ru)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древеснослоистый материал
JPS581549Y2 (ja) 畳床
JPS5825951A (ja) 重層ボ−ドの製造方法
JPH0319997A (ja) 軽量板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3072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3072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50529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50909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1985111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512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601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601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00627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