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687B1 - Garag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Google Patents
Garag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50001687B1 KR850001687B1 KR1019800002066A KR800002066A KR850001687B1 KR 850001687 B1 KR850001687 B1 KR 850001687B1 KR 1019800002066 A KR1019800002066 A KR 1019800002066A KR 800002066 A KR800002066 A KR 800002066A KR 850001687 B1 KR850001687 B1 KR 8500016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input
- timer
- circuit
- swit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Figure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도는 구성 부품 배치도.1 is a component layout.
제 2도는 문 개폐장치 본체의 종단 측면도.Figure 2 is a longitudinal side view of the door opener body.
제 3도는 등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back.
제 4도는 레일과 트롤리의 계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gagement state of the rail and the trolley.
제 5도는 제4도의 V-V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in FIG.
제 6도는 본 발명 장치의 기본동작 플로우 챠트.6 is a flow chart of the basic operation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7도는 제어부의 기본 블럭도.7 is a basic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제 8도는 그 상세한 블럭도.8 is a detailed block diagram.
제 9도는 논리처리 회로도.9 is a logic processing circuit diagram.
제10도는 일시 기억회로의 기억패턴.10 is a memory pattern of a temporary memory circuit.
제11도는 기등 회수제어 타임챠트.11 is a light recovery time chart.
제12도는 도어 인디케이터 플로우챠트.12 is a door indicator flowchart.
제13도는 송수신 데이터 포매트.13 is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ata format.
제14도-제27도는 각 동작 플로우 챠트.14-27 are respective operational flow charts.
제28도는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의 회로도,28 is a circuit diagram of a radio control transmitter,
제29도는 비트설정 회로도.29 is a bit setting circuit diagram.
제30도는 비트설정 패턴.30 is a bit setting pattern.
제34도-제37도는 각 동작의 플로우 챠트.34-37 are flowcharts of each operation.
제38도는 주거내에 설치하는 경보기의 외관도.38 is an external view of the alarm to be installed in the residence.
제39도-제43도는 경보기의 동작제어를 포함하는 이상 검지처리의 플로우 차트.39-43 are flowcharts of abnormality detection processing including operation control of an alarm.
제44(a)도, 제44(b)도는 경보기의 구성도.44 (a) and 44 (b) are structural diagrams of an alarm.
제45도는 이상 검지 장치와 제어 장치간을 전파를 이용하여 연결한 블럭도.45 is a block diagram in which an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and a control device are connected by radio waves.
제46도 및 제49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46 and 49 are circuit diagrams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제47도, 제48도는 타이밍 챠트이다.47 and 48 are timing charts.
본 발명은 차고의 주(主)문을 개폐하는 문 개폐조작 수단과, 주문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주 검지수단과, 차고의 창 또는 보조문의 개방 또는 차고내에서의 화재 또는 특수가스의 발생등을 검출하는 보조 검지수단 경보수단(報知手段), 신호처리수단등을 설치하여 각 검지수단에서의 전기 신호를 논리 판단하여 문을 개폐하는 조작수단 및 경보수단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door of the garage, the mai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order, the opening of the window or the auxiliary door of the garage or the generation of fire or special gas in the garage. Auxiliary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warning means (경보 知 手段), signal processing means and the like is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means and the alarm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y logically judging the electric signal from each detection means.
본 발명은 차고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차고내의 이상 상태를 검출하므로서 적확(適確)한 처리 제어를 할 수 있는 차고문 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종래에도 차고문을 모우터에 의해 구동하여 개폐하는 차고문 개폐제어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모우터는 지령용의 푸시버튼 스위치나 무선 제어 스위치에 의해 제어되는 릴레이 회로를 거쳐 전원에 접속되어 소정방향으로 문을 구동한다. 이와 같은 모우터 구동문의 제어 장치는 미국특허 3,178,627(특허 : 1965.4.13일, 발명자 Richard D,Houk)호나 3,906,348(특허 : 1975.9.16일, 발명자 : Colin B.Willmott)호의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Conventionally, a garag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apparatus for driving and opening a garage door by a motor has been proposed. The motor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via a relay circuit controlled by a pushbutton switch for command or a radio control switch to drive the door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uch a motor drive door control device i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f US Patent 3,178,627 (Patent: 1965.4.13, inventor Richard D, Houk) or 3,906,348 (Patent: 1975.9.16, inventor: Colin B. Willmott).
일반적으로 차고내는 차고로서의 기능이외에 각종의 잡다한 물품을 관리하여 두는 물건을 놔두는 곳으로 병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화재 사고나 도난 예방에 관해서는 충분찬 주위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화재사고나 도난 예방등의 검지를 하기 위해 예를들면 온도 검지형이나 연기검지형의 화재사고 검지장치, 광선 차폐형, 리이드 스위치형 또는 전파형의 도난예방 장치가 시판되고 있다. 그렇지만 기제품화된 이러한 장치를 구입하여 차고내에 설치하면 다음과 같은 좋지 못한 상태가 발생한다.In general, the garage is often used as a place to store various miscellaneous items in addition to functions as a garage. For this reason, sufficient surroundings are required for fire accidents and theft prevention. In order to detect such a fire accident or theft prevention, for example, a temperature detection type or a smoke detection type fire accident detection device, a light shielding type, a lead switch type, or an anti-theft type anti-theft device is commercially available. However, if you buy such a pre-installed device and install it in the garage, the following bad condition occurs.
1. 화재사고 검지 장치나 도난 예방 장치등의 이상 상태 검지장치와, 문 개폐 제어 장치가 별개로 설치되므로 상호간의 동작에 관계없이 사고의 예방 효과나 피해의 경감 효과가 적다.1. Since abnormal state detection devices such as fire accident detection device and theft prevention device and door opening / closing control device are installed separately, there is little effect of preventing accidents and reducing the damage regardless of mutual operation.
2. 화재 사고 검지 장치나 도난 예방 장치등의 이상 상태 검지장치와, 문 개폐 제어장치가 별개로 설치되므로서 같은 기능을 가진 부품이 여러개 사용되므로 비경제적이다.2. It is uneconomical because abnormal state detection device such as fire accident detection device or theft prevention device and door opening / closing control device are installed separately and several parts having the same function are used.
3. 화재사고 검지 장치나 도난 예방장치등의 이상 상태 검출장치와, 문 개폐 제어장치가 별개로 설치되므로서 전원 배선이 2가지 개통이 필요하게 되어 배선작업이 복잡하게 된다든가 전원 스위치의 투입이 번잡하다.3. As the abnormal state detection device such as fire accident detection device or theft prevention device and the door open / close control device are installed separately, the power supply wiring needs two openings, which makes the wiring work complicated and the input of the power switch is difficult. It is troublesome.
본 발명의 목적은 차고문의 조작 제어와, 차고내의 이상 상태검지에 의한 처리를 총괄 제어하므로서 차고문을 양호하게 개폐 제어할 수 있는 차고문 개폐장치를 제안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garag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that can open and close a garage door well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garage door and the processing by the abnormal state detection in the garage.
본 발명의 특징은 차고의 주 문을 개폐하는 문 개폐 조작수단과, 주 문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주 검지수단과, 차고의 창 또는 보조문의 개방 또는 차고내에서의 화재 또는 특수 가스의 발생등을 검지하는 보조검지 수단과, 경보 수단과, 신호 처리 수단등을 설치하여 각 검지수단으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논리판단하여 문개폐 조작수단 및 경보수단을 제어하도록 한 점에 있다.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do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of the garage, mai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door, opening of the window or auxiliary door of the garage or the generation of fire or special gas in the garage, etc. An auxiliary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n alarming means, a signal processing means, and the like are provided to logically judge an electric signal from each detecting means to control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means and the alarming means.
본 발명의 차고문 개폐 장치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장치를 내장한 본체(1)와 이 본체 (1)와 연결된 레일(2)과 이 레일(2)에 의해 안내되고 또한 이 본체(1)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로울러 체인(3)에 고착되어 수평 이동하는 트롤리(4)의 주요부로서 이루어진다. 이 본체(1)는 매달림 금구로서 차고의 천정에 매달러지게 되고, 한편 이 레일(2)의 단부는 헤더 브래킷 (Header Bracket)(5)에 의해 차고의 일부에 고정된다.As shown in FIG. 1, the garag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uided by the
한편 차고문(6)은 일반적으로는 수매로 분활되고 또한 서로 연결되어 양측에 설치된 도어 레일(7)을 따라 개폐된다. 그리고 이 차고문(6)의 중량은 도어 밸런스 스프링(8)에 의해 밸런스되어 인력에 의해 개폐 가능한 상태 에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의 상태에 있는 차고문(6)에 도어 브래킷(9)을 고정하고 그리고 이 도어 브래킷(9)과 트롤리(4)를 도어 아암(10)을 개재하여 회동 자재롭게 연결한다. 이것에 의해 차고문은 상기 본체(1)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로울러 체인(3)과, 이 로울러 체인의 작동에 의해 레일(2)을 따라 수평 이동하는 트롤리 (4)에 연등하여 도어 레일(7)을 따라 개폐된다. 상기 본체(1)에의 전원 공급은 전원 케이블(11)을 경유하여 행해 진다.The
그리고 상기 본체(1)에의 동작 지령은 차고의 벽에 취부된 푸시버튼 스위치(12)를 누른다든가 혹은 전파등에 의한 신호를 수신기를 내장한 제어장치(13)에 의해 수신하여 본체(1)에 동작 지령을 출력한다. 또 만약 정전등에 의해 차고문 개폐장치가 동작 불능이 되었을 경우에는 이탈용 끈(14)에 의해 로울러체인(3)과 트롤리(4)와의 연결을 해제시켜 인력에 의해 차고문(6)을 단독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 operation command to the
먼지 제2도, 제3도로서 차고문 개폐장치의 본체 구조를 설명한다. 제2도는 종단 측면도, 제3도는 일부 횡단 상면도이다.2 and 3, the main structure of the garag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will be described. 2 is a longitudinal side view and FIG.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top view.
본체 프레인(15)의 하측에 고정된 모우터(16)의 회전은 모우터 샤프트(16-a)에 고정된 모우터 풀리(17), V벨트(18), 대(大)풀리(19)에 전달된다.Rotation of the
그리고 이 대풀리(19)의 회전은 스프로킷 샤프트(20)를 거쳐 스프로킷(21)에 전달된다. 이 스프로킷(21)에는 로울러 체인(3)이 맞물리게 된다. 이 로울러 체인(3)의 로울러부는 본체 프레인(1)내에서 양측면으로부터 체인 가이드(A)22, 체인가이드(B)23, 체인 가이드(C)24에 의해 안내 된다.The rotation of the large pulley 19 is transmitted to the sprocket 21 via the
레일(2)은 상기 프레인(15)에 레일 고정금구(金具)(25)에 의해 체인 가이드(A)22와 체인 가이드(C)24에 의해 구성되는 홈부와 단차(段差) 및 틈이 없게 고정된다. 로울러 체인(3)의 로울러부는 양측면 이 레일(2)에 의해 안내된다.The
한편 상기 스프로 킷(21)에 의해 권취되는 로울러 체인(3)의 수납은, 체인 가이드(A)22와 체일가이드(B)23으로 구성되는 홈부(溝部)와 단차 및 틈이 없게 고정된 체인 수납케이스(27)의 체인 수납구(溝)(27a)에 의해 행해진다.On the other hand, the housing of the
이상의 구성에 의해 상기 모우터(16)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스프로킷(21)이 회전되어 로울터 체인(3)이 레일(2)을 따라 왕복으로 움직인다.By the above structure, the sprocket 21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drive of the
다음에 제1도로서 설명한 차고문(6)의 개폐동작의 상한점, 하한점 즉, 트롤리(4)의 수평 이동량을 제한하는 리미트 기구에 관해 이하 설명한다.Next, a limit mechanism for limiting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이 로울러 체인(3)의 이동량을 스프로킷 (21)과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하는 대풀리(19)의 외주에 설치한 풀리랙(Pulley Rack)(28)의 이동량으로 변환한다. 이 풀리랙(28)에 맞물리는 피니언(29)을 거쳐 상한리미트 스위치30), 하한 리미트 스위치(31)에 상기 풀리랙(28)의 이동량을 전달한다.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이 상한 리미트 스위치(30), 하한 리미트 스위치(31)의 각각에 하한점 조정 손잡이(32), 하한점 조정손잡이(33)를 설치하고 이것에 의해 본체 외부에서 자유롭게 상한점, 하한점을 조정 가능하게 한다.A lower
상기 차고문이 하강중에 장해물에 닿았을 경우는 안전상 신속하게 검지하여 반전 동작 즉 상승을 해야하며 또 상기 차고문이 상승중에 장해물에 닿았을 경우 안전상 신속하게 검지하여 정지하지 않으면 안된다.If the garage door touches an obstacle during the descent, it should be quickly detected for safety and reverse operation, ie, an increase. If the garage door touches an obstacle during the lift, the garage door must be detected quickly and stopped for safety.
이상 기술한 장해물 검지 기구에 관하여 이하 설명한다. 상기 체인 가이드(C)(22)와 체인 가이드(B)(23)와 체인 가이드(C)(24)에 형성된 체인 안내구외 일부를 곡로(曲路)로 형성하여 이 로울러 체인(3)에 문이 하강할 때 가해지는 압출력, 문이 상승할 때 가해지는 인장력의 각각에 의해 발생하는 힘에 따라 이동하는 방해검지 금구(34)를 설치한다. 이 장해 검지금구(34)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장해 스프링(35)의 압축력을 장해 동작력 조정나사(36)를 돌려줌으로서 스프링 누름판(37)을 이동시켜서 자유롭게 바꿀 수가 있다. 또 장해 검지금구(34)의 움직임에 의해 ON,OFF 하는 장해 검지 스위치(52)에 의해 전술한 장해물을 검지하여 문이 하강할 때는 상승하고, 문이 상승할 때는 정지하도록 한다.The obstacle detection mechanism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A part of the chain guide opening formed in the chain guide (C) 22, the chain guide (B) 23, and the chain guide (C) 24 is formed into a curved path, and the door is connected to the
또 차고내의 조명을 위한 램프(38)를 설치하여 차고문의 움직임에 연동(連動)하여 점, 소등을 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모우터(16) 및 램프를 컨트롤 하는 컨트롤러(39)를 프레일(15)내에 고정하고 그리고 본체켜버(40), 램프커버(41)에 의해 모우터(16), 대풀리(19), 램프(38)를 커버한다. 그리고 램프켜버(41)는 반투명이므로 램프(38)의 빛을 투과시켜서 차고내를 밝게 조명한다.In addition, a
이상 차고문 개폐 장치의 본체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다음에 레일 및 트롤리부에 관하여 제4도 및 제5도로서 설명한다. 레일(2)의 단면구조는 얇은 철판 또는 플라스틱판을 성형한 것이며, 이 레일의 외주부에서 트롤리(4)를 접동 안내 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이 레일(2)에 의해 로울러 체인(3)의 로울러부를 양축면간에 끼이게 하여 로울러 체인(3)의 왕복이동을 직선적으로 행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다음에 이 트롤리 결합은 트롤리(4)에 장구(長溝)(4-b)를 설치하여 이 장구(4-b)에 핀(4-c)을 끼워넣는 것으로 행한다. 이 핀(4-c)은 평상시는 스프링 등에 의해 제4도에 나타낸 상태로 눌려져 있다. 이것은 문의 하강중에 장해물에 충돌한 경우의 충격 흡수를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차고문 개폐 장치는 바닥면(宋面)이 눈이나 얼음등으로 솟아오른 경우 또는 수도용 호스등의 작은 물건등이 있어도 문이 하강할 때 장해검지에 의해 리버스(Reverse)하지 않게하는 대책이 필요하다. 즉 바닥면 위 2인치 이하에서는 장해물을 검지하여도 반전하지 않고 정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의 트롤리(4)와 문(6)의 이동량의 차를 이 장구(4-b)에서 흡수한다.The structure of the main body of the garag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has been described above. Next, the rail and the trolley por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rail (2) is formed of a thin iron plate or plastic plate, to guide the trolley (4) 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rail sliding. The
제6도는 본 발명의 차고문의 기본 동작 순서를 나타낸 상태 천이도이다. 제6도에 있어서 차고문(6)은 전원 투입 후 정지상태(303)에 있다. 이 상태에 의해 조작지형을 받을 때마다 차고문(6)은 상승상태(300) 정지 상태(301) 하강상태(302) 정지 상태(303)를 반복한다.6 is a state transition diagram showing the basic operation sequence of the garage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6, the
이와 같은 조작 지령과는 별도로 상승상태(300)에 있는 차고문(6)에 응등하여 상한 리미트 스위치(30)로부터의 입력이 있으면, 상태(307)를 경유하여 신속하게 정지 상태(301)로 이행한다. 또 하강상태(302)에 있는 차고문(6)에 응등하여 하한 리미트 스위치(31)로부터의 입력이 있으면, 상태(309)를 경유하여 정시간(定時間) 하강상태(304)로 이행하고, 정시간 경과후 정지상태(303)로 된다.Apart from such an operation command, if there is an input from the upper
이 정시간 하강하는 이유에 대하여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차고문(6)을 안전하게 조작하기 위하해 차고문(6)의 이동이 저지된 경우의 처치(處置)에 관하여 설명한다. 차고문(6)이 상승 상태에 있고, 장해 검지입력이 있었을 경우에는, 상태(308)를 경유하여 신속하게 정지상태(301)르 이행한다. 또 차고문(6)이 하강상태(302)에 있고, 장해 검지입력이 있었던 경우에는, 상태(310)를 경유하여 일단 정지상태(305)로 이행하고, 정시간 경과후 1피트 상승상태(306)로 된다.The detailed explanation about the reason for this time descending is mentioned later. In order to safely operate the
이 1피트 상승은 시간 관리되어 있으며 정시간 경과후 정지 상태(301)로 이행한다. 여기서 1피트 상승 상태에서 도중에서 상한 리미트 그위치(30)로부터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이 상한 리미트 스위치로부터의 신호를 우선 처리하여 신속하게 정지상태(301)로 이행한다.This one-foot rise is time controlled and transitions to the stopped
상기 정시간 하강하는 이유에 관해서 이하 설명한다.The reason why the time decreases will be described below.
일반적으로 겨울이 되면 문 하단에 위치하는 바닥면은 결빙한다든가 또는 적설로 인하여 변동하기 쉽다. 만약 바닥면이 초기 설정시보다도 변동하여 상기의 이유에 의해 솟아 오르면 문이 하강했을 경우에 항상 장해 검지스위치(52)가 작동하여 상기 상태(310)로 되므로 문을 닫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하한 리미트 스위치(31)를 문 전체 이전의 상태에서 작동시켜 그후의 정시간 하강으로 문이 전폐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하한 리미트 스위치(31)로부터의 입력이 있었을 경우에는 장해검지 입력을 무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문의 하단부 바닥면이 변동하여도 문의 개폐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그리고 하한점 조정이 용이하게 되어(미국 규격 UL 325.27. 1항 기재내용을 충분히 만족하기 위해) 문 조작성이 현저히 향상된다.In general, the bottom surface of the door in winter is likely to fluctuate due to freezing or snow. If the bottom surface is changed more than the initial setting and rises for the above reason, the
구체적으로는 바닥면으로부터 2인치의 높이에서 하한 리미트 스위치(31)가 동작하도록 조정하여 제6도 정시간 하강 상태(304)에서 충분히 문이 닫히도록 한다. 그러나 만약 정시간 하강 상태(304)에서 장해검지 스위치 (52)가 동작했을 경우는 이 장해 동작을 우선 처리하여 신속하게 정지상태(303)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바닥면까지 2인치 이내에 있는 장해물에 대한 가압력을 완화하고 있다.Specifically, 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차고문 제어에 관해서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처리 플로우차트 제14도~제37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The detailed description regarding the garage door control of this invention mentioned above is demonstrated using FIG. 14-37 of the process flowchart mentioned later.
제7도는 제어부의 기본 블럭도를 나타낸 것이며 기분적으로는 입력회로(312), 논리처리회로(311), 출력회로(313)로 구성된다. 입력회로(312)는 일반적으로 말하는 신호레벨 치환 기능을 가진 인터페이스 회로이며 이 회로에는 차고문(6)의 각종 상태를 나타내는 상한 리미트 스위치(30) 하한 리미트 스위치(31), 장해검지 스위치(52)등의 신호외에 차고문(6) 조작용 신호로서 푸시버튼 스위치(12)나 라디오 컨트롤을 위한 수신기(330)등의 신호가 입력되어 있다. 이러한 신호를 논리 처러회로(311)에서 미리 기억되어 있는 처리 스텝에 따라 가장 적당한 처리를 하여 그 결과를 출력한다. 그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출력회로(313)에서는 이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모우터(16)의 정역전 제어나 차고내 조명램프(38)의 ON-OFF 제어등을 한다.7 shows a basic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which is composed of an input circuit 312, a
제8도는 상기 기본 블럭도를 실시예로서 전개한 것이다.8 illustrates the basic block diagram as an example.
본 실시예에서는 수신기를 내장한 제어장치(13)는 상기 논리 처리회로(311)를 중심으로 하여 신호 처리부 전체를 내장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체(1)에는 모우터(16), 램프(38)로된 구동 부분 및 조명부분과 이 부품을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회로 구체적으로는 트랜스(314), 릴레이로된 모우터 드라이브회로(327),(328), 릴레이로된 램프 드라이브회로(329)등을 내장한다. 제어장치(13)와 본체(1) 사이는 8개의 전선으로 이어져 있다.The
전원 코오드(11)에 의해 공급된 1차전원(115V)는 트랜스(314)에 의해 AC14V로 강압(降壓)되고 정전압회로(315)에서 DC10V로 정전압화되어 회로전압이 된다.The primary power source 115V supplied by the power source code 11 is stepped down to AC14V by the
상한 리미트 스위치(30), 하한 리미트 스위치(31), 장해 검지스위치(52)의 출력은 저항-콘텐서로 구성되는 인터페이스회로(317),(318),(319)에 입력되어 그들 회로 출력이 각각 논리처리회로(311)에 입력되어 있다.The outputs of the upper
조작용 푸시버튼 스위치(12)는 저항-콘덴서로 구성되는 인터페이스회로(320)에 입력되어 그 회로 출력이 논리 처리회로(311)에 입력되어 있다.The
논리처리회로(311)의 출력은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는 드라이브 회로(322)에 입력되어 모우터 (16)를 정회전(正回轉)시키기 위하여 릴레이에 의해 구성된 드라이브회로(327)를 구동한다. 또 트랜지스터로서 구성되는 드라이브회로(323)는 논리처리회로(311)의 출력을 입력하여 모우터(16)를 역전 시키기 위하여 릴레이에 의해 구성된 드라이브회로(328)를 구동한다.The output of the
또 램프(38)를 ON,OFF하는 드라이브 회로로서 릴레이로 구성되는 드라이브 회로(329)는 이 릴레이를 드라이브하는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는 드라이브회로(324)를 거쳐서 논리처리회로(311)에 의해 구동 된다.In addition, the
이 외에 논러처리회로(311)의 출력회로로서는 차고문(6)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도어인디케이터회로(325)나 경보회로(326)가 있지만 상세함에 관해서는 후술한다.In addition, as the output circuit of the
푸시 버튼 스위치(12)는 제어장치(13)의 케이스위에 장착된 문 조작용 스위치이지만 이와는 별도로 송수신 기능을 응용한 라디오 컨트롤 조작지령계가 있다. 이것은 차고에서 떨어질 위치에서 문을 조작하기 위한 것이며 UHF대 전파를 이용하고 있다. 조작으로서는 송신기(331)에 내장된 비트 설정부와 제어장치(13)내의 비트 설정회로(321)를 먼저 맞추어 둔다. 송신기(331)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로서는 이 설정된 비트 정보부가 순차적으로 보내져 온다.The
정보 포매트(Format)의 상세함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보내져온 정보는 수신회로(330)에서 복조되어 2치화 신호화되어 논리처리회로(311)에 입력된다. 여기서 쓰여지고 있는 수신회로의 주구성으로서 초재생회로(일반적으로는 스파티제라고 칭함)를 채용하고 있다.Details of the information format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nt information is demodulated by the receiving
보내져온 정보는 비트 설정회로(321)의 내용과 순차비교하여 모든 비트가 일치하면 비로서 조작신호로서 처리한다. 물론 비트의 설정이 상이한 경우는 차고문의 조작은 불가능하다.The sent information is sequentially compared with the contents of the bit setting circuit 321, and if all bits match, it is processed as an operation signal as a ratio. Of course, if the bit settings are different, it is impossible to operate the garage door.
이 외에 램프(38)의 점등시간을 설정하는 기능과, 차고내의 이상 상태 검지입력신호의 인터페이스 회로(316)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function for setting the lighting time of the
다음에 논리처리회로(311)의 구성에 관하여 제9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차고문(6)을 가장 적당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미리 처리 순서를 프로그램화 하여 기억하는 프로그램 기억회로(340)(이 기억회로 340은 일반적으로 READ ONLY MEMORY=ROM이 쓰여진다)와, 이 프로그램 기억회로(340)에서 돌출되는 명령 코오드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명령 레지스터(341), 이 명령 레지스터에 기억된 명령 코오드내용을 해독하기 위한 명령 디코오더(342)를 갖추고 있으며 명령 코오드와 회로 전체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프로그램 기억회로(340)에 있어서의 명령 코오드의 어드레스의 지정 및 어드레스를 갱신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카운터(343)가 있다. 이 프로그램 카운터(343)에는 프로그램에서 스킵(Skip)처리 (예컨대 서부루틴 점프)를 할때등에 그 리턴 어드레스를 기억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쓰이는 레지스터인 스택(STACK) 레지스터(344)가 접속된다.There is a
그리고 2진 가산등의 논리 연산을 랙하는 논리연산회로(345)나, 이 논리연산 결과 상태를 일시 기억하는 상태표시 레지스터(346), 논리 연산시에 사용되는 누산기등의 레지스터(347), 연산결과의 격납이나 상태 플러그(flag)(예컨대 문이 지금 어떻게 되어 있는지, 동작중 : 1, 정지중 : 0)등의 일시 기억회로(349),(이 일시기억회로 349는 일반적으로 RANDOM ACCESS MEMORY=RAM 쓰여진다)를 가진 상기 논리연산회로(345)에 의해 버퍼(buffer) 레지스터(348)는 어드레스되고, 개개의 주회로는 버스라인(35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버스라인(352)에는 입출력회로(350)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버스라인(352)을 거쳐 입력되는 입출력 상태를 논리연산회로(345), 레지스터(347)상태 표시 레지스터(346)로 구성되는 논리 판정 수단에서 처리한다.And a
이상과 같은 구성에서 특히 처리를 진행하는 데 중요한 역활을 하는 일시 기억회로(349)에 관하여제10도를 예로 들어 설명 한다.With reference to FIG. 10,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일시 기억회로(349)는 연산결과의 격납이나 상태 플래그등의 일시기억에 이용한다. 기억하는 단위로서는 4비트 2바이트로 한다. 분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2바이트의 맵(map)영역을 갖는다. 상기한 상태 플래그로서는 0,1,2의 3바이트를 배당하고 있으며 개개의 플래그의 의미는 후술하는 플로우차트에서 설명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또 10-21의 12바이트는 타이머 요소로서 이용한다. 타이머 군에서 기본이 되는 것은 기본타이머 TM1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15.625msec이다. 이것은 하나의 프로그램의 처리스텝 소요시간을 이미 알기 때문에 일정수의 스텝수를 카운트하여 그것에 맞추고 있다. 즉 본 발명의 1실시예에서는 외부 하아드(hard)로 구성되는 타이머계(系)는 일체 사용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상태플래그타, 이머군을 그 처리스텝에 떠라서 순차 갱신하여 내용과 프로그램 기억회로에 기억되어 있는 명령코오드에 의해 논리연산회로(340)에서 논리 판단하여 최적의 프로그램처리를 결정한다.12 bytes of 10-21 are used as timer elements. The basis of the timer group is the basic timer TM1 and 15.625 msec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processing step time of one program is already known, a certain number of steps is counted and adjusted to it. That 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imer system composed of an external hard is not used at all. The state flagter and the immersion group are updated in sequence in the processing step, and the
다음에 본 발명의 차고문의 동작순서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procedure of the garage door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concretely.
차고문의 동작천이도에 관해서는 이미 제6도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여기서 플로우차트를 설명하기 전에 처리내용에서 특기해야 할 항목에 관하여 기술하여 둔다.The operation transition diagram of the garage door has already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but before describing the flowchart, items to be noted in the processing contents are described.
1) 불연속 입력신호제어1) Discontinuous Input Signal Control
조작용 푸시버튼 스위치 또는 수신도로부터의 입력신호가 새로운 신호인가 혹은 그 전부터 연속하고 있는 신호인가를 식별한다. 이 방법으로서는 입력신호가 OFF가 된 후 타이머 TM4를 세트하여 그 타임오우버하기전에 다시 입력신호가 있었을 경우에는 연속되는 것으로 처리하고, 타임오우버 후라면 새로운 입력신호로서 처리한다. 전자의 타임오우버 하기전의 입력신호는 그 신호가 OFF가 된 후에 다시 타이머 TM4가 세트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이 하고 있다.Identifies whether the input signal from the operation pushbutton switch or the reception diagram is a new signal or a continuous signal from before. In this method, the timer TM4 is set after the input signal is turned off, and if there is an input signal again before the timeover, it is treated as continuous, and after the timeover, it is processed as a new input signal. The input signal before the former timeover is set again by the timer TM4 after the signal is turned off. Moreover, in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n order to improve operability, it is as follows.
1. 문이 동작하기 시작했을 때 즉시 문을 정지하고 싶다라고 하는 상태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문의 이동방향에 장해물이 있는 것과 같은 상태이다. 그래서 문이 동작중의 불연속 타임 TM4치로서 0.25초를 채용하였다.1. When the door starts to operate, a condition occurs that you want to stop the door immediately. For example, there is an obstacl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door. Therefore, 0.25 seconds was adopted as the discontinuous time TM4 value at which the door was operating.
2. 문이 정지한 후 재기동하는 경우는 구동부나 문에 커다란 충격부하가 걸리는 것을 경감하기 위하여 그 정지시간을 충분하게 취할 필요가 있다. 모우터의 회전관성이 0.15초정도에서 십분 소멸하는 것을 실험에서 확인하고 이 문의 정지증의 불연속 타이머 TM4치로서 0.5초를 채용하였다.2. If the door is restarted after stopping, it is necessary to take sufficient time to stop the drive or the door to reduce the large impact load. The experiment confirmed that the rotational inertia of the motor disappeared for about 10 minutes at about 0.15 seconds, and 0.5 seconds was used as the discontinuous timer TM4 value of the stop of this door.
2) 기동회수제어2) Start count control
차고문에 쓰여지고 있는 모우터는 일반적으로 단시간 정격의 것이 많으며 몇회를 연속 동작시키면 모우터내의 디어멀(thermal)스위치(192)가 작동해 버린다. 그 결과 모우터의 하우징이 냉각하지 않으면 더어멀 스위치는 복귀하지 않고 약 20분정도의 기간동안 차고문 조작이 불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태는 보통의 사용상태에서는 일어나기 어렵고 어린이등에 의한 장난에 의한 경우가 많다.Motors used in garage doors are generally of short-term ratings, and the
특히 어린이등에 의한 장난이 있고 계속하여 늘 더어멀 스위치가 작동되고 있으면 모우터의 수명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며, 또 중대한 사고로 연결될 우려가 있다. 그것을 방지하는 안으로서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동회수제어 앨고리듬(algorithm)을 채용하였다.In particular, if there is a mischief by a child or the like, and the thermal switch is constantly operating, the life of the motor may be reduced, which is not preferable, and may lead to a serious accident. As a scheme for preventing it, a start recovery control algorithm as shown in Fig. 11 is employed.
1. 문이 정지후 2분 타이머 TM10을 세트한다.1. Set the 2-minute timer TM 10 after the door has stopped.
2. 이 TM10이 타임오우버하지 않는 동안에 재기동 조작지령이 입력(예를 들면 I상태)됐을 때는, ED카운터(기동회수 카운터)를 보진(步進)시킨다.2. When the restart operation command is input (for example, I state) while the TM 10 is not time out, the ED counter (startup counter) is added.
3. 이 TM10이 타임오우버 후에 재기동 조작지령이 입력된(예를 들면 Ⅱ상태)때는 ED카운터를 그대로 한다.3. The AS and the ED counters when the time TM 10 OY server restart operation instruction is inputted after (for example Ⅱ state).
4. 문이 정지한 후 6분이내에 재기동 조작지령이 입력되지 않은(예컨대 Ⅲ상태)때는 ED카운터를 클리어한다. 이 타이머는 TM11이다. 1,2,3,4항의 처리를 행하여 ED카운터치가 12가 되면 그 이후의 조작지령을 6분간 접수하지 않는다. 문은 6분후에 재조작이 가능해진다.4. When the restart operation command is not input (for example, in the III state) within 6 minutes after the door stops, the ED counter is cleared. This timer is TM 11 . If the ED counter touch reaches 12 by performing the processing of 1,2,3,4, the subsequent operation command is not accepted for 6 minutes. The door can be reworked after 6 minutes.
3) 오픈도어 인디케이터(이하 ODi라 칭한다)3) Open door indic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ODi)
제1도에 나타낸 차고문(6)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소자로서 램프나 발광다이오드를 점멸하는 도어인디케이터회로(325)로 구성된다. 점멸의 상태예를 제12도에 나타낸다.The state of the
4) 이중 안전제어.4) Double safety control.
이동영역을 설정하는 상한 리미트 스위치(30)나, 하한 리미트 스위치(31)가 고장난 경우에는 문이 하강중이라면 바닥면 충돌, 문이 상승중이라면, 상단(上端)스톱퍼에 충돌하여 장해스위치(52)가 작동한다. 그러나 만약 장해스위치(52)가 고장난 경우에는 모우터가 록토오크(LOCK TORQUE)를 발생하여 더어멀 스위치(192)가 ON될 때까지 장해물을 강력하게 계속 누른다. 이 상태는 안전상 바람직하지 못하여 아래에 열거하는 점에 대하여 대비한다.If the
문의 이동거리는 한정지운 수 있으므로(예컨대 9퍼이트≒2.7m)이동시간도 저절로 한정된다. (문속도를 10m/분으로 하면, 이동시간 TT=2.7m/10m/분≒16초) 그래서 문이 동작한 후 타이머 TM8을 세트하여 이 타이머(TM8)이 타임오우버할 때까지 상한, 하한, 장해스위치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는 이상으로 판정하여 장해물 검지처리를 행한다.Since the moving distance of the door can be limited (for example, 9 pts 2.7 m), the moving time is also limited by itself. (If the door speed by 10m / min, travel time T T = 2.7m / 10m / min ≒ 16 seconds) so that after the door operates a timer to set the timer TM 8 (TM 8) until the time to server OY If the upper limit, lower limit, and obstacle switch signals are not input, it is determined as abnormal and the obstacle detection process is performed.
이 기능이 있으면 예컨대 구동계의 일부가 고장이 나서 문이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구체적으로는 벨트가 미끄러져서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고 이 미끄러짐에 의한 발열로 벨트파손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일정시간 후 모우터를 정지하는 것은 안전성 향상의 면에서 유효하다.If this function is present, for example, when a part of the drive system fails and the door does not operate (specifically, the belt slips and does not transmit rotational force, and the belt may be damaged by heat generated by this slip). Stopping the motor is effective in terms of safety improvement.
5) 장해 무시제어5) Disregard ignore control
일반적으로 마찰은 정지마찰로 운동마찰로 나뉘어지며 정지마찰쪽이 크다. 차고문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차고문의 기동시에는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문이 동작중에는 그다지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문이 기동중에 장해검지 스위치(52)가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데는 동작설정지를 크게하지 않으면 안되며 그 결과 문이동중의 장해검지력도 큰 값이 되어 버린다. 그렇게 되면 문의 조작성, 안정성의 면에서는 작은 장해검지력이 요구되는 것과는 상반된 것이 되어 버린다. 그 대책으로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동후, 일정시간(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초간)은 장해검지를 무시하고 있다. 이 근거는 어떠한 문이라도 기동후 1초간은 충분하게 정상이동상태에 있다는 가정을 근거로 한 것이다.Generally, friction is divided into static friction and motion friction, and the static friction side is large. In the case of garage doors, great power is required when the garage door is maneuvered. However, the door does not require much force while it is in operation.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6) 상하한 리미트 스위치제어6) Upper and lower limit switch control
상한 리미트 스위치와 하한 리미트 스위치의 동시 입력이라는 상태는 있을 수 없다. 이와 같은 상태로서는 다음과 같은 경우가 고려된다. 문은 하한위치에 있고 하한 리미트 스위치(31)가 ON이 되어 있을 때 상한 리미트 스위치(30)의 접점이 용착되어 있는 것과 같은 상태 또는 배선의 일부가 단선되어 샤시에 접촉되어 있는 것과 같은 상태가 고려된다. 또 문은 상한 위치에 있고 상한 리미트 스위치(30)가 ON되어 있을 때 하한 리미트 스위치(31)의 접점이 용착되어 있는 것과 같은 상태, 또는 배선의 일부가 단선되어 샤시에 접촉하여 있는 것과 같은 상태가 고려된다.There can be no state of simultaneous input of the upper limit switch and the lower limit switch. As such a state, the following cases are considered. When the door is in the lower limit position and the lower
또 상기 단선현상이나 접점용착이 상, 하한 리미트 스위치에 함께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와 같은 경우의 대책으로서 동시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조작입력신호를 받아도 문을 정지상태인 채로 한다.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disconnection phenomenon and contact welding occur in the upper and lower limit switches. As a countermeasure in such a case, when there is a simultaneous input, the door remains stopped even when an operation input signal is received.
7) 램프점등 시간제어7) Lamp lighting time control
제8도에 나타낸 부가회로(316)에는 램프점등시간 2분 또는 6분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문의 동작개시와 동시에 램프를 점등하고, 문이 정지한 후 설정된 타이머 TM12를 세트하여, 이 타이머의 타임오우버로 램프를 소등하고 있다.In the
8) 수신신호제어8) Reception signal control
라디오 컨트롤 송신기로부터 송실된 신호는 초재생회로(330)에서 복조 2치화되어 논리처리회로(311)에 입력된다. 이 입력신호의 포매트(format)를 제13도에 나타낸다. 이 포매트 방식은 통신 방식에서의 분류상 NRZ(NONRETURN ZERO)방식에 속한다. 방식에 관하여 이하 설명한다.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adio control transmitter is demodulated in
(1) 등기신호(SYNC)는 16비트로 구성하고, 등기신호(SYNC)길이를 카운트하여 그 길이가 일정한 범위에 있는 것을 확인한 후에 동기신호로서 처리된다. 먼저 동기신호(SYNC)길이를 1/16으로 하여 샘플링 주기를 결정한다.(1) The registration signal SYNC is composed of 16 bits, and the length of the registration signal SYNC is counted to confirm that the length is in a certain range, and then processed as a synchronization signal. First, the sampling period is determined by set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SYNC to 1/16.
(2) 샘플링은 동기신호(SYNC)의 하강에 의해 개시한다. 단 스타트비트(ST)만은 샘플링 길이를 1/32로 설정한다. 스타트 비트는 항상 "0"으로 한다.(2) Sampling starts by the falling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SYNC. However, only the start bit (ST) sets the sampling length to 1/32. The start bit is always set to "0".
(3) 데이터 6비트를 샘플링 체크 후 스톱비트(SP)가 "1"임을 체크한다. 이 스톱비트(SP)의 하강에 의해 다음의 샘플링을 개시한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샘플링의 오차집적은 8비트단위로 묶을 수가 있다.(3) After sampling checking 6 bits of data, check that the stop bit (SP) is "1". The next sampling is started by the fall of this stop bit SP. By doing this, the sampling error accumulation can be grouped in 8 bit units.
(4) 프레임 스톱비트(FSP)의 체크완료 "1110"후 조작신호로서 처리된다.(4) After completion of checking of the frame stop bit FSP, " 1110 ", it is processed as an operation signal.
제14도에 본 발명의 메인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전원 투입후부터 처리는 스타트한다. 우선 일시 기억회로(349)를 초기상태로 하기 위해 RAM클리어(360)를 행한다. 다음에 장해물 처리 및 하한점 검출후 처리중 (361)를 체크한다. 장해물 처리증은 제6도의 상태(310)임을 나타내며 하한점 검출후 처리중은, 상태(309)임을 나타낸다. 이 처리중은 푸시버튼 스위치나 승수신에 의한 문조작을 불가하게 하고 있다.14 shows a main flow 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starts after the power is turned on. First, the RAM clear 360 is performed to reset the
처리중이 아닌 때는, ED(기동회수)치 오우버 플래그(362)의 체크를 행하고, 만약 플래그가 "1"이면 푸시버튼 스위치나 송수신에 의한 문조작을 불가하게 하고 있다.When not in process, the ED (start count) value over
플래그가 "0"이라면 푸시버튼 스위치(이하 WLSW라 한다)의 ON OFF를 체크한다. WLSW(363)가 ON이면 기동입력 불연속 타이머 세트(366)를 행한다. OFF이면 수신(이하 RX라 칭한다)입력(364)의 체크를 행하고, 만약 "1"레벨이라면, 다음의 수신처리(365)로 옮긴다. 다음에 운전처리(367)와 타이머처리(368)를 경유하여 장애물처리 하한점 검출후 처리중(361)으로 되돌아와서 1사이클이 형성된다.If the flag is "0", the ON / OFF of the pushbutton switch (hereinafter referred to as WLSW) is checked. If the WLSW 363 is ON, the start input discontinuous timer set 366 is executed. OFF is carried out a check of the recep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X R)
이 메인플로우 챠트에서 운전처리(367)를 제15도~제23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process 367 in this main flow chart will be described using FIG. 15 to FIG.
제15도는 운전처리의 메인플로우 챠트이다. ED치 오우버 플래그(370)의 체크를 한다. 이 ED치 오우버 플래그는 제11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정된 시간에서의 다빈도 기등이 있었던 것을 검지했을 때 세워지는 것으로서, 플래그가 ON이면 정지중 계속처리(371)를 행하고 동작모드로서는 정지인체로 하고 있다.15 is a main flow chart of the operation processing. The ED value over
플래그가 OFF인 때는 동작중 플래그(372)의 체크를 한다. 동작중 플래그가 OFF인 때는 정지를 의미하고, 도어상태표시인 오픈도어 인디케이터회로(325)(ODi)를 일단 소등한다. 이 ODi소등(373)후에 문의 정지상태가 하한 리미트 스위치의 위치에 있는가 어떤가를 알기 위하여 하한 리미트 SW(374)를 체크한다. 만약 OFF이면 ODi점등(375)을 행하고 ON이면 ODi(325)는 소등인채로 한다.When the flag is OFF, the
이 처리에서 제12도에 나타낸 정지상태(301) 또는 상태(303)가 표시된다. 동작중 플래그(372)가 ON이면 장애물 무시기간(376)인가 어떤가를 체크한다. 일시 기억회로에서의 타이머 TM0의 시간에 상당한다.In this process, the stopped
이 타이머 TM0의 치를 체크하여 설정치로 되어 있지 않으면 문기동후 1초이내이므로 장해입력을 무시한다. 장해물 무시기간(376)의 이유는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장애물 무시기간이 아니면 문이 정상이동중임을 나타내고, 장해가 있는지 어떤지 장해물 검지(377)를 체크한다. 만약 장해신호가 입력되어 있으면 장해를 플레그 ON(378), 리버스 모오드 OFF처리후에 장재물 처리(379)를 행한다.If the value of this timer TM 0 is not checked and is not set, the fault input is ignored since it is within 1 second after the door starts. The reason for the obstacle ignore period 376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thus will be omitted. If the obstacle is not ignored, it indicates that the door is moving normally, and the obstacle detection (377)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re is an obstacle. If a fault signal is input, the fault is flagged 378, and the obstruction process 379 is performed after the reverse mode OFF process.
상기 장해물 무시기간(376)이었을 때는 장해물 플래그(380)가 ON인가 OFF인가를 체크한다. 장해물 플래그가 ON인 경우는 장애물 처리중이므로 장해물 처리(379)를 행한다. 장재물 플래그가 OFF의 경우는 기동입력 불연속 타이머(381)가 세트되어 있는지 리세트되어 있는지를 체크한다. 일시 기억회로에서의 타이머 TM4에 상당한다. 이 TM4는 문이 동작중이면 0.28초, 문이 정지상태이면 0.5초가 세트되어 있다.When the obstacle ignore period 376 is reached, it is checked whether the
이 TM4가 리세트되어 있다고 하는 것은 조작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하고 있으며 그대로의 문상태를 계속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동작중 플래그(382)의 체크를 행하고 이 플래그가 ON인 때는 문이 동작중이므로 동작계속처리(383)를 행하고, OFF인 때는 정지중 계속처리(371)를 행한다. 상기 기동입력 불연속 타이머(381)가 세트되어 있을 때는 기동입력 처리완료 플래그(384)의 체크를 행한다. 즉 전혀 새로운 조작신호인가 일단 처리완료의 것인가를 식별한다. 이 플래그가 ON인 때는 그대로This TM is that there are 4, and the reset means and the operation signal does not enter,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state of the door as it is. The flag 382 is checked during operation. When the flag is ON, the door is in operation. Therefore, the operation continuation process 383 is performed. When the flag is OFF, the operation continuation process 371 is performed. When the start input discontinuous timer 381 is set, the start input processing completion flag 384 is checked. That is, it identifies whether it is a completely new operation signal or once processing is completed. As long as this flag is ON
다음에 장해물처리(379)에 관하여 제16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곳의 처리에서는 제3도에 나타낸 상태(388), 상태(309), 상태(310)를 행한다. 단, 상태(309)에서는 정시간 하강중에 검지된 장해의 경우이다.Next, the obstacle treatment 379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this process, the
우선 동작방향 플래그(390)를 체크하여 이 플래그가 ON의 경우는 상승을 의미하고 정지시키기 위한 하한외(下限外) 정지처리(391)를 행한다.First, the
만약 상기 플래그가 OFF의 경우는 하강을 의미하고 있으므로 하한 리미트 SW(392)의 체크를 행한다. 만약 이 하한 리미트 SW ON이면 상태(309)이므로 리버스할 필요는 없으며 하한정지처리(393)를 행한다.If the flag is OFF, it means falling, so the
상기 하한 리미트 SW(392)가 OFF인 때는 리버스 상승하지 않으면 안된다. 다음에 장해물 정지중 그래그(394)를 체크하여 OFF이라면 장해처리상태(305)로 할 필요가 있다. 즉 장해물 정지중 플래그 ON(395), 장해물정지 타이머세트(396)(이것은 제10도 타이머 TM6에 상당한다) 125msec기준 타이머세트(397)(이것은 제10도 타이머 TM3에 상당한다), 정지중 계속처리(398)를 행한다.When the
상기 장해물 정지중 플래그 ON인 때는 장해물 정지타이머(399)를 체크하여 리세트될 때까지 문을 정지 시켜 둔다. 이 설정시간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0.5초로 하고 있다.When the flag during the obstacle stop is ON, the
상기 정지타이머(399)가 리세트된 경우는 제6도의 상태(306)를 구체화하기 위해 장애물 플래그, 장해물 정지중 플래그 OFF(400), 리버스모드 ON(401), 동작중 플래그, 동작방향 플래그 ON(402), 모우터 하강 리세트, 모우터 상승출력(403), 리버스 타이머세트(1.875초)(404)(이것은 제10도의 타이머 TM8에 상당한다), 125m SEC기준 타이머세트(405)(이것은 제10도의 타이머 TM 에 상당한다)를 행한다.When the
다음에 동작중→정지처리(387)에 관하여 제17도를 사용하여 설명 한다. 정지처리로서 동작중 플래그 OFF(410), 문상승 리세트(411), 문하강 리세트(412), 하한 외(外) 정지처리(413)를 행한다.Next, the operation-to-
다음에 정지중→동작처리(388)에 관하여 제 18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Next, the stop-to-
우선 ED카운트 타이머(420)가 세트되어 있는가 어떤가를 체크한다. 이것은 제10도의 타이머 TM10에 상당한다. 세트라면 제11도에 나타낸 I상태에 있고, ED카운터 갱신(+1)(421)을 행한다. 만약 리세트라면 Ⅱ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First, it is checked whether the
다음에 ED치 오우버(422)를 체크한다. 만약 ED치가 오우버한 경우에는 ED치 오우버 플래그 ON(423), ED치 오우버 타이머세트(424), 30SEC기준 타이머세트(425)(이것은 제10도의 타이머 TM9에 상당한다)를 행한다.Next, the
만약 ED치를 오우버하고 있지 않은 때는 ED카운터를 초기 클리어하기 위해 ED카운트 타이머 리세트(426)를 행한다.If the ED value is not overrun, ED count timer reset 426 is performed to initially clear the ED counter.
다음에 상하한 리미트 SW ON(427)을 체크한다. 이것은 상, 하한 리미트 SW의 상태로서 어느 일방이 ON하고 있는 경우는 있으나 동시에 ON하고 있는 경우에는 고장이라고 판정하는 것이며 정지중 계속처리(428)를 행하여 문을 동작시키지 않는다.Next, the upper and lower limit SW ON (427) is checked. This is a state of the upper and lower limit SWs, and when either one is ON but at the same time, it is determined to be a failure and the door is not operated by continuing
다음에 리미트 SW(429)를 체크하고, 상한 리미트 SW ON인 때는 하강출력, 하한 리미트 SW ON인때는 상승출력, 어느쪽의 리미트 SW도 ON하고 있지 않은 때는 동작방향 플래그(430)에서 모드를 결정 한다. 내력(來歷) 모드로서의 동작방향보다 리미트 SW의 입력신호를 우선시키고 있다. 또 상기 동작방향 플래그는 제9도의 일시 기억회로(349)에 기억되지만 전원 투입시는 모두 클리어되므로 플래그는 OFF이다. 즉 플래그의 의미로서는 역방향의 의미만을 행하고 있으며 플래그 OFF는 상승, 플래그 ON은 하강으로 하Next, the limit SW 429 is checked, and the down output is output when the upper limit SW is ON, the rising output is output when the lower limit SW is ON, and the mode is determined by the
또 동작방향 플래그(430)가 ON인 때는 문상승 리세트, 문하강출력(433), 동작방향 플래그 OFF(434)로 하고 다음의 동작방향을 상승으로 하는 처리를 행한다. 동작방향 플래그 결정후에 동작개시 처리(435)를 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다음에 동작개시처리(435)에 관하여 제19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start processing 43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이 처리에서는 동작을 개시함에 있어 모든 관련하는 플래그, 타이머를 설정하고, 타이트 점등을 출력한다. 그리고 ODi점멸플래그 ON(440), 문이동개시 플래그 ON(441), 동작중 플래그 ON(442), 기동입력처리완료 플래그 ON(443), 램프소등 타이머 리세트(444)(이것은 제10도의 타이머 TM12에 상당한다), ED클리어 타이머 리세트(445)(이것은 제10도의 타이머 TM11에 상당한다), ODi점멸 타이머세트(446)(이것은 제10도의 타이머 TM5에 상당한다), 라이트 점등(448), 장해물 무시타이머 세트(449)(이것은 제10도의 타이머 TM6에 상당한다), 12msec기준 타이머 세트(450)(이것은 제10도 타이머 TM3에 상당한다)를 순차 행한다. 다음에 동작중 계속처리(383)에 관하여 제20도, 제21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처리에서는 제6도에 나타낸 상태(304), 상태(306)를 주로 행한다.In this process, all relevant flags and timers are set at the start of the operation, and a tight lighting is output. Then ODi flashing flag ON (440), door movement start flag ON (441), running flag ON (442), start input processing completion flag ON (443), lamp off timer reset (444) (this is the timer of FIG. TM 12 ), ED clear timer reset 445 (this corresponds to timer TM 11 in FIG. 10), ODi flashing timer set 446 (this corresponds to timer TM 5 in FIG. 10), light on 448, the obstacle ignore timer set 449 (this corresponds to timer TM 6 in FIG. 10), and the 12 msec reference timer set 450 (this corresponds to FIG. 10 timer TM 3 ) are sequentially performed. Next, the continuous processing 383 dur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0 and 21. FIG. In this process, the
우선 동작방향 플래그(451)를 체크하여 ON이면 다시 문하강리세트, 문상승출력(452)을 반드시 행한다. 그후 상한 리미트 SW체크(453)를 행하고, ON이면 하한외(外)정지처리(456)를 행한다. 만약 상한 리미트 SW가 OFF이라면 리버스 모드(454)의 체크를 행하고 이 모드가 ON인 경우에는 리버스 타이머를 체크(455)한다. 이 타이머는 제 10도의 타이머 TM6이고, 리세트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제6도의 상태(306)의 1피트 상승한 것에 상당하므로 다음은 하한 정지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세트라면 속행한다.First, if the
상기 동작방향 플래그(451)를 체크하고 OFF라면 다시 문상승 리세트, 문하강 출력(457)을 반드시 행한다. 그후 하한 리미트 SW(458)의 체크를 행하고, ON이면 하한점 검지플래그(459)를 체크한다. 이 플래그가 OFF이면, 지금 하한점 입력이 된 직후이고, 하한점 검지플러그 ON(460)을 함과 동시에 모우터 정지지연 타이머 세트(461)를 행한다. 이것은 제10도의 타이머 TM2에 상당한다. 다음에 문이동시간 감시타이머 리세트(462)를 행한다. 이것은 제10도의 타이머 TM8에 상당한다.If the
상기 하한점 검지 플래그(459)가 ON이면 모우터 정지지연 타이머를 체크(463)하고, 리세트 되어 있으면 제6도의 상태(304)의 일정시간 하강한 것이 확인된 것이 되므로 다음은 하한 정지처리(464)를 행한다.If the lower limit detection flag 459 is ON, the motor stop delay timer is checked (463). If the lower limit detection flag 459 is turned on, the lower limit detection flag 459 is checked. 464).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타이머 TM2를 225msec로 설정하고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imer TM 2 is set to 225 msec.
다음에 하한 정지처리, 하한의 정지처리, 정지계속 처리에 관하여 제22도 제23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Next, the lower limit stop processing, the lower limit stop processing, and the stop continuation processing will be described using FIG. 22 and FIG.
기동 입력 불연속 타이머 세트(470), 장해물처리, 하한점검출후 처리용 플래그 OFF(471), 기동 입력 처리완료 플래그 ON (472)을 행한다. 이것은 조작용 지령 입력으로 정지한 경우나 상, 하한 리미트 스위치 입력으로 정지한 경우도 동일하게 처리한다.The start input discontinuous timer set 470, the obstacle processing, the flag for processing after the lower limit detection OFF 471, and the start input processing completion flag ON 472 are performed.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where it is stopped by the operation command input or when it is stopped by the upper and lower limit switch input.
다음에 ED카운트 타이머 세트(473)를 행한다. 이것은 제10도의 타이머 TM10에 상당한다. 라이트 점동시간은 제8도의 부가회로(316)에서 설정되는 2분 또는 6분 샐렉트 신호를 라이트 점동시간(474)에서 체크 하고, 라이트 소등타이머 2분 세트(475), 라이트 소등 타이머 6분 세트(476)중 어느 한쪽을 선택한다. 다음에 ODi점멸 타이머 리세트(477), ODi 점멸 플래그 OFF(478), ED클리어 타이머 세트(479)를 행한다. 이것은 제10도의 타이머 TM11에 상당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6분으로 설정하고 있다.Next, the ED count timer set 473 is executed. This corresponds to timer TM 10 of FIG. The write start time is checked by the write start time 474 by checking the 2-minute or 6-minute select signal set by the
다음에 30sec기준 타이머 세트(48)를 행한다.Next, a 30 sec reference timer set 48 is performed.
다음의 처리로서 동작중 플래그 OFF(481), 문 하강리세트, 문 상승리세트(48), 문 이동시간 감시 타이머 리세트(483)를 행한다. 다음에 제14도의 메인플로우차트에서의 타이머처리(368)를, 제24도~제27도를 사용하여 설명 한다.During the next processing, the flag OFF 481 during operation, the door lowering reset, the
이 플로우차트 처리부에서는 자체의 스텝수를 계수하여 타이머에 옮겨놓고 있으며, 개개의 타이머 카운터에 관해서는 제10도와 대응하고 있다. 여기서는 기호를 부가하여 맵(map)상과의 대응만을 명확하게 한다. 15.625msec타이머 카운터 갱신(490)을 행하고, 이 타이머 TM1의 타임 오우버를 타임 오우버(491)에서 체크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플로우 챠트의 1사이클은 97텝이고 그것을 4비트로 카운트하면 16번째에 타임 오우버하는 것에 의해 오우버 플로우가 나온다. 1스탭이 10μsec이고, 16×97스텝This flowchart processing unit counts its own step number and replaces it with a timer, and corresponds to FIG. 10 with respect to an individual timer counter. Here, a symbol is added to clarify only the correspondence on the map. A 15.625 msec
타임 오우버(491)의 출력은 15.625msec마다 나오므로 그것을 모우터 정지 지연타이머 카운터 갱신(492)(타이머 TM2), 125m sec기준 타이머 카운터 갱신(493)(타이머 TM3, 타이머 TM3은 +2씩 카운트 하기 때문), 타임오우버(494)에서의 오우버 플로우시는 125m sec가 보증된다.The output of the time over 491 is every 15.625 msec. Therefore, the motor stop delay timer counter update 492 (timer TM 2 ) and the timer counter update 493 based on 125 m sec (timer TM 3 and timer TM 3 are + Since it counts by two), 125 m sec is guaranteed in the over flow in the time over 494.
다음 처리인 수신 성립시 타이머 보정(495)의 내용에 관해서는 후술하지만 이 처리에서는 타이머 보정인때에는 불연속 타이머의 갱신은 행하지 않은 것으로 한다. 수신 성립시 타이머 보정이 아닌때에 기동입력 불연속 타이머 카운터(496)를 체크한다. 카운터치가 0이 아닌때 타이머 카운터갱신(497)(타이머 TM4을 행하고 타임 오우버(498)에서 체크한다. 만약 타임 오우버가 있으면 기동 입력처리 완료 플래그를 OFF(499)를 행한다. ODi점멸 카운터(500)를 체크한다.The contents of the
카운터치가 0이 아닌때 타이머 카운터 갱신(501)(타이머 TM5)을 행하고 타임 오우버(502)에서 체크한다. 만약 타임 오우버가 있으면 ODi점멸처리(503)를 행한다.When the counter value is not zero, the timer counter update 501 (timer TM 5 ) is performed and checked in the time over 502. If there is a time overover, ODi flashing processing (503) is performed.
즉 ODi점멸 플래그에 의해 ODi를 접멸시켜 제12도의 상태(300), 상태(302)를 행한다.That is, the ODi is flickered by the ODi flashing flag to perform the
다음에 장해물 무시 타이머 카운터를 체크(504)한다. 0이 아닌때 타이머 카운터 갱신(505)(타이머TM6)을 행하고 타임 오우버(506)에서 체크한다. 만약 타임 오우버가 있으면 이동시간 감시 타이머 처리 (507)를 행한다. 여기서의 처리는 문 이동 개시 플래그를 OFF로 하여 이동시간 감시 타이머를 세트한다. 다음에이제까지의 처리에서 2 sec기준 타이머 카운터 갱신(508)(타이머 0TM7)을 행하고, 타임 오우버(509)에서 체크한다. 타임 오우버가 있으면 2sec경과가 된다.Next, the obstacle ignore timer counter is checked (504). When it is not 0, the timer counter update 505 (timer TM 6 ) is performed and checked in the time over 506. If there is a time overover, the movement time monitoring
다음에 이동시간 감시 타이머 카운터(510)를 체크한다. 0이 아닌때 타이머 카운터 갱신(511)(타이머TM8)을 행하고 타임 오우버(512)에서 체크한다. 만약 타임 오우버가 있으면 이동시간 오우버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장해물 플래그 ON, 리버스 모드 OFF로 한고 있다. 즉 타임 오우버는 문 기동후, 상한 리미트 스위치, 하한 리미트 스위치, 장해 리미트 스위치로부터의 어느 입력도 없을때 25초후에 발생한다. 그 출력은 장해 검지 처리와 동등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Next, the movement time monitoring
다음에 30sec기준 타이머 카운터 갱신(514)(타이머 TM9)을 행하고 타임 오우버(515)에서 체크한다. 타임 오우버가 있으면 30초 경과로 된다. 다음에 30sec기준 타이머 세트(516)를 행한다. 이것은 30sec기준 타이머 TM9는 타이머 TM7이 베이스로 되어 있기 때문이고, 15카운트에서 오우버 플로우 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타이머 TM9카운터에 "1"을 세트하고 있다.Next, a 30 sec reference timer counter update 514 (timer TM 9 ) is performed and checked by the time over 515. If there is a time over, 30 seconds elapse. Next, a 30sec reference timer set 516 is performed. This is because the 30 sec reference timer TM 9 is based on the timer TM 7 and needs to be overflowed at 15 counts. Here, "1" is set in the timer TM 9 counter.
다음에 ED카운트 타이머 카운터(517)를 체크한다. 0이 아니면 카운터 갱신(518)(타이머 TM10)을 행한다. 다음에 ED클리어 타이머 카운터 갱신(519)(타이머 TM11)을 행하고 타임 오우버(520)에서 체크한다. 만약 타임 오우버가 있으면 ED클리어 처리(521)를 행한다. 여기서의 처리는 ED카운터 클리어, ED치 오우버 플래그 OFF로 하여 제11도의 상태 Ⅲ에 상당한다.Next, the ED count timer counter 517 is checked. If not 0, the counter update 518 (timer TM 10 ) is performed. Next, the ED clear timer counter update 519 (timer TM 11 ) is performed and checked by the time over 520. If there is a time overover, ED clear processing (521) is performed. The processing here corresponds to state III in FIG. 11 with the ED counter clear and the ED value over flag OFF.
다음에 라이트 소등타이머 카운터 갱신(522)(타이머 TM12)을 행하고 타임 오우버(523)에서 체크한다.Next, the write off timer counter update 522 (timer TM 12 ) is performed and checked by the time over 523.
만약 타임 오우버가 있으면 라이트 소등처리(524)를 행한다.If there is a time overover, the
다음에 제14도의 메인플로우챠트 수신처리(365)를 설명하기 전에, 또 한번 송수신 방식에 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Next, before describing the main flow chart reception process 365 in FIG. 14,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cheme will be described again.
송신기(331)의 회로예로서 제28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인버어터(530),531), 저항(R1), (R2), (C1)에 의해 클록 발진 회로를 형성하고 인버어터(532)를 거쳐 카운터(543)에 입력시킨다. 카운터(543)의 하위 3비트는 디코오더(545),(546),(547)에 입력하고, 상위 3비트를 디코오드(544)에 입력한다. 여기서 상위 3비트를 디코오드한(Q1~Q5)출력은, 각각 카운터(543)의 하위(QA)비트의 8배에 상당한다. 그러므로 디코어 더(544)의 출력 (Q1-Q5)에 의해 40비트가 형성된다. 여기서(Q1),(Q2)출력은 3입력 NAND(552)에 입력하고 이것으로 동기신호 16비트 분이된다.A circuit example of the transmitter 331 will be described using FIG. 28. FIG. The clock oscillation circuit is formed by the
그 다음 Q3에서는 인버어터(533)에 의해 디코오더(545)가 선정되어 카운터(543)의 하위 3비트를 더코오드 하고 상기 디코오더(545)의 출력을 오픈 드레인 타입의 입버어터(537)(인버어터 6개분)에 출력하고 이 출력이 비트 설정부인 비트스위치(548)(6접점)를 순차 스캔하여 ON-OFF정보를 인버어터(536)를 거쳐 3입력 NAND(552)에 입력한다.Next, in Q 3 , the
마찬가지로 디코오더(544)(Q4)출력은 인버어더(534)를 거쳐 디코오더(546)가 선정되어 오픈 드레인 타입의 인버어터(539)(인버어터 6개분), 비트 스위치(549)(6접점), 마찬가지로 디코오더(544)의 (Q5)출력은 인버어터(535)를 거쳐 디코오더(547)가 선정되어 오픈 드레인 타입의 인버어터(541)(인버어터 3개분), 비트스위치(550)(3접점)를 순차 스캔한다. 여기서 오픈 드레인 타입의 인버어터(538), (540)는 1개이고 스톱 비트 SP에 대응하고 오픈 드레인 타입의 인버어터(542)(인버어터 3개분)Similarly, the decoder 544 (Q 4 ) output is selected through the
이상의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UHF발질부인 RF오실레이터(551)를 3입력 NAND(552)에서 ON-OFF 제어하면 송신기(331)의 전파 출력으로서 제13도와 같이 된다.By performing the above operation, when the
이와같이 하여 송신되어온 정보를 초재생 회로인 수신회로(330)에서 수신하에 논리처리 회로(311)에 입력한다. 이 논이처리회로(311)에는 비트 설정회로(321)가 배치되어 있다. 이 비트 설정회로(321)의 실시예를 제29도에 나타낸다. 이 회로는 비트스위치(560),(561),(562)와 다이오드(Di1-Di10)로 되고 논리 처리회로 출력(R0-R3),(R10-Rl3),(D1), (D2)의 10비트의 출력을 순차 제어하여 항상 1비트만 "1"로 하고 그 이외의 9비트는 "0"(오픈 드레인이지만 하이임피던스 상태이다)으로 하므로서 비트스위치의 ON-OFF정보를 입력 포오트인 I1,I2에서 취입하고 있다.The information transmitted in this manner is input to the
제30도는 상기 비트 스위치의 정보를 취입할때의 설정패턴이다. 여기서 프레임 No. 라는 것은 데이터에 대응하는 것이며 데이터 (D1-D5)는 프레임 No. 0, 데이터(D-─D10)는 프레임 No. 1, 데이터(D11-D15)는 프레임 No. 2, 프레임 스톱비트는 프레임 No. 3으로 한다. 또 비트카운터로서 스타트비트 ST로부터 스톱비트 SP까지 우수치로 활당한다.30 is a setting pattern when taking in the information of the bit switch. Frame No. Is corresponding to the data, and the data (D 1 -D 5 ) are the frame nos. 0, the data (D-─ D 10 ) is the frame number. 1, data (D 11 -D 15 ) are frame Nos. 2, frame stop bit is frame no. 3. In addition, as a bit counter, it is excellent from start bit ST to stop bit SP.
또 비트 스위치의 정보를 취입할때의 출력 패턴 및 입력포오트는 도면처럼 된다.In addition, the output pattern and input port at the time of taking in the information of a bit switch become like a figure.
다음에 수신처리(365)에 관하여 제31도-제37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Next, the reception process 36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1-37.
장해물 리미트 SW체크(570)는 문이 동작중인때 장해를, 동작방향의 리미트 SW를 체크한다. 동작중이 아닌때는 처리 스텝수를 일치시킨다. 상세한 것은 제37도에 나타낸다. 이 처리에서 장해물이 있었을 경우, 또는 동작 방향의 리미트 SW가 ON되어 있었을 경우는, 스테이터스(STATUS)플래그(이전은 제9도의 상태표시 레지스터내에 있다)를 세트한다. 다음의 처리인 장해물 리미트 SW입력(571)의 체크는 상기 스테이터스 플래그를 체크하는 것만으로 좋다. 스테이터스 플래그 ON일때는 GFC1로 점프한다. 스테이터스 플래그 OFF인때는 동기 신호카운터 갱신(572)을 행한다. 동기 신호 카운터로서는 제9도에 나타낸 일시기억회로(349)의 내부에 제10도와 같이 8비트를 준비하고 있다. 다음에 이 카운터의 값이 일정시간 이상 계속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체크한다. 즉 본래의 동기 신호로서 입력되는 파형의 최대치를 설정하여 두고 그보다도 카운터 값이 크면 이상이라고 판단하여 GFC1로 점프한다. 이 동기신호 카운터 1상한치(573)에서 결과가 N으로 나온 경우에는 수신 데이터=0(574)을 행하고 데이터가 0, 즉 동기신호가 종료하였는지 어떤지를 체크한다. 만약 데이터가 0이 아니라면 처리는 장해물 리미트 SW체크(570)로 되돌아 간다.The obstacle limit SW check 570 checks the obstacle when the door is in operation and the limit SW in the operation direction. When not in operation, the number of processing steps is matched. Details are shown in FIG. When there is an obstacle in this process, or when the limit SW in the operation direction is turned on, a status flag (formerly located in the status display register of FIG. 9) is set. The check of the obstacle limit SW input 571 which is the next process may be performed only by checking the status flag. Jumps to GFC 1 when status flag is ON. When the status flag is OFF, the synchronization signal counter update 572 is executed. As the synchronization signal counter, 8 bits are prepared in the
도면에 나타낸 L1의 루우프를 수신 데이터가 0이 될때까지 반복한다. 수신 데이터=0(574)에서 데이터가 0이 되었을 경우는 동기신호 카운터 2하한치(575)를 체크한다. 즉 본래의 동기신호로서 입력되는 파형의 최소치를 설정하여 두고 그 보다도 카운트치가 적으면 이상이라고 판단하여 GFC1로 점프한다.The loop of L 1 shown in the figure is repeated until the received data becomes zero. When the data reaches 0 in the received data = 0 (574), the
이 동기신호 카운터 2하한치(575)에서 결과가 "Y"로 나온 경우는 Dip SW독입용(讀用)출력패턴초기치세트(576), 프레임 No, 초기치 세트(577)를 제30도와 같이 행한다.If the result is "Y" at the
다음에 제 32도를 설명 한다.Next, FIG. 32 will be described.
샘플링 타이밍 카운터 초기치세트(578)를 행한다. 이것은 다음의 비트 카운터 초기치세트(579)를 일치시켜 제31도, 동기신호 카운터 2, 하한치 (575), Dip SW독일용 출력패턴 초기치 세트 및 프레임 No., 초기치 세트에 요하는 처리시간 길이를 그 상태로부터 시작되는 샘플링 개시까지의 오차로서 수정하는 의미를 가진다.The sampling timing counter initial value set 578 is performed. This coincides with the next bit counter initial value set 579, and shows the processing time length required for FIG. 31, the
장해물 리미트 SW체크(580)는 문이 동작중인때, 장해물 동작방향의 리미트 SW를 체크한다. 동작중이 아닌때는 처리 스텝수를 일치시킨다. 상세한 것은 제37도에 나타낸다. 이 처리에서 장해물이 있었을 경우, 또는 동작 방향의 리미트 SW가 ON되어 있었을 경우는, 스테이터스 플래그(이것은 제9도의 상태표시 레지스터내에 있다)를 세트한다.The obstacle limit SW check 580 checks the limit SW in the obstacle operation direction when the door is in operation. When not in operation, the number of processing steps is matched. Details are shown in FIG. When there is an obstacle in this process, or when the limit SW in the operation direction is turned on, a status flag (this is in the status display register in FIG. 9) is set.
다음의 처리인 장해물 리미트 SW입력(581)의 체크는 상기 스테이터스 플래그를 체크하는 것만으로 좋다. 스테이터스 플래그 ON인때는 GFC1로 점프한다.The check of the obstacle
다음에 스타트 비트의 샘플링(582)의 체크를 행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샘플링 주기로서 스타트 비트인 때는 1/32, 그 이외는 1/16이 된다. 그러므로 샘플링 카운터 갱신(583)은 +2씩 갱신하여 1/32로 하고 샘플링 카운터(584)는 +1씩 갱신한다. 다음에 샘플링 타임 오후버(585)를 채크하여 결과가 N이면 처리는 장해물 리미트 SW체크(580)로 돌아온다. 도면에 나타낸 L2의 루우프를 샘플링 타임 오우버가 될 때까지 반복한다. 제31도의 루우프의 처리스텝수와 제32도의 L2루우프의 처리 스텝수는 동일하게 한다. 샘플링타임 오우버(585)가 "Y"가 되면 샘플링 오차 보정(586)을 행한다.Next, the sampling of the
전술한 L1루우프에서의 처리 스텝수는 32이다. 그러므로, 32처리 스텝/루우프×1/16=2처리스텝/루우프가 되고, 1카운트 2처리 스텝으로서 동기 카운터 하위 디지트(digit)의 치만큼 카운트 하여 오차를 보정 한다.The number of processing steps in the L 1 loop described above is 32. Therefore, 32 processing steps / loop × 1/16 = 2 processing steps / loops are obtained, and the error is corrected by counting by the value of the synchronous counter lower digit as one count two processing steps.
다음에 제33도를 설명한다.Next, FIG. 33 is explained.
수신 데이터를 캐리어에 취입하는 처리(578)을 행한다. 여기 말하는 캐리어라고 하는 것은 제9도에 나타낸 상태표시 레지스터(346)에 있다. 다음에 프레임 No. 3인가 어떤가, 즉 프레임 스톱비트 FSP인이 어떤가 프레임 No. 3(579)에서 체크한다. 만약 Y이면 GFC8으로 점프한다.Processing 578 is performed to receive the received data into the carrier. The carrier referred to here is the
프제임 No. 3이 아니라면 다음의 처리로 옳겨 스타트비트(580)의 체크를 행한다. 스타트 비트인이 어떤가는 비트 카운트치를 봐서 판정한다. 비트 카운터치가 0이면 GFC4로 점프한다.Frame No. If not 3, the following process is corrected and the
비트 카운트치가 0이 아니라면 다음의 처리로 옮겨 스톱비트(581)의 체크를 행한다. 스톱 비트인가 어떤가는 비트카운저치럼 보고 판정한다. 비트 카운터치가 14라면 GFC5로 점프한다. 만약 스톱비트가 아니라면 DiP SW출력(D1),(D2)의 리세트(582),Dip SW독입용 출력패턴 로우드(583)를 처리한다. 그 다음에 프레임 No. 1(584)의 체크를 행한다. 프레임 No. 1이 아니면 Dip SW출력(0-3)출력(585)를 처리한다.If the bit count value is not 0, the transfer proceeds to the next process and the
다음에 출력패턴(586)의 체크를 행하고, 0이면 DiP SW출력(D1)출력(587)을, 또 상기 출력 패턴이 0이 아니면 DiP SW출력(D1)의 리세트(588)를 행한다. 즉 출력패턴을 봐도 알 수 있듯이 (R0-R2)은 4비트 래치이고, D1은 1비트 래치이다. 이와같은 구성상의 이유로 상기 출력패턴 설정방법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플레임 No. 1인때의 Dip SW출력(4-7)출력(589), 출력패턴(590)의 체크, Dip SW출력(D2)출력(591), Dip SW출력(D2)의 리세트(592)도 마찬가지이다.Next, the
다음에 제34도를 설명 한다.Next, FIG. 34 will be described.
제33도의 스톱비트(581)의 체크에서 스톱비트의 입력이라고 판정된 후 그 신호가 스톱비트, 즉 "1"인것을 스톱비트 정상(593)에서 체크한다. 만약 "0"입력이라면 스톱비트가 아니므로 정상적인 수신상태가 아니므로 그후의 샘플링을 행하지 않는다.In the check of the
GFC1로 점프한다.Jump to GFC 1
만약 스톱비트 정상(593)에서 체크되어 정상적인 스톱비트였다면 다음의 처리를 행한다. 수신 데이터(594)의 체크, 장해물 리미트 SW체크(595), 장해물 리미트 SW입력체크(596)를 받복하고, 도중 수신 데이터(594)에서 수신 데이터가 "0"임을 확인한 후 이 루우프에서 빠져나가 다음의 샘플링 카운터 초기치 세트(598)를 행한다. 그 후 GFC10으로 점프한다. 여기서 수신 데이터(594)에서 레벨첵크를 행하고 그 신호가 하강한 시점에서부터 새로운 샘플링을 개시하기 위해 샘플링의 그 시점까지If the stop bit normal 593 is checked and it is a normal stop bit, the following processing is performed. After checking the received
상기 출력패턴=0(607)의 체크에 의해 출력 패턴이 "0"이 아닌때는 아직 동일 프레임내 처리중고 출력패턴 갱신(2배)(610)을 행다.When the output pattern is not " 0 " due to the check of the output pattern = 0 (607), the output pattern is updated (doubled) 610 while still being processed in the same frame.
다음의 처리로서 샘플링 카운터 초가치 세트(610)를 행하고, 비트 카운터 갱신(+2)(611)을 행한다. 제32도에 나타낸 GFC9위치로 점프한다.As the next processing, the sampling counter initial value set 610 is executed, and the bit counter update (+2) 611 is performed. Jump to the GFC 9 position shown in FIG.
제35도에서 CFC8로 점프할때는 데이터가 일치했을때이고, 수신처리, 플로우 챠트에서 평균처리 시간으로서 80msec를 요하고 있다(이것은 1비트가 2msec, 1프레임 40비트로된 때문이다). 그러므로 제14도에서 수신처리(365)를 행하기 위해 타이머 처리(368)가 매우 큰 영향을 받아 버린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는 상기 타이머 처리(368)에 있어서의 15.625m sec타이머를 타이머 카운터 보정 (612)에서 5회 콜(Call)하고 있다. 근사처리를 행하여 메인의 타이머를 보정한다. 다음에When jumping to CFC 8 in FIG. 35, the data is matched and requires 80 msec as the average processing time in the reception process and the flow chart (since 1 bit is 2 msec and 1 frame is 40 bits). 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the reception process 365 in FIG. 14, the
제33도에서 스타트비트(580)체코에서 스타트 비트의 입력이라고 판정된 후 그 신호가 스타트 비트 즉 "0"인 것을 스타트비트 정상(597)에서 체크한다.In FIG. 33, the
만약 "1"입력이라면 스타트비트가 아니므로 정상적인 수신상태가 아니므로 이후의 샘플링을 행하지 않는다. GFC1로 점프한다.If the input is "1", it is not a start bit, so it is not a normal reception state and subsequent sampling is not performed. Jump to GFC 1
만약 스타트 비트 정상(597)에서 체크되어 정상적인 스타트비트였다면 다음의 처리인 샘플링 카운터 초기치 세트(598)를 행한다.If the start bit normal 597 is checked and the normal start bit is set, a sampling counter initial value set 598, which is the next process, is performed.
제35도는 제33도 프레임 No. 3(579)의 체크에서 프레임 No. 3이라고 판정된 경우의 처리이다.35 is a 33th frame No. 3 (579) check frame No. Processing in the case where 3 is determined.
스톱비트(599)에서 스톱비트인가 어떤가를 비트 카운터에서 체크한다. 비트 카운터치가(8),(10),(12)치인 때는 수신테이터=1(600)을 체크한다. 이 비트 카운터치 인때는 수신 데이터는 "1"이 아니면 안되며, GFC7로의 점프는 정상적인 경우를 나타낸다. 만약 수신 데이터가 "0"이라면 수신 상태는 이상이며 GFC1로 점프한다.The bit counter checks whether or not the stop bit is in the
또 스톱비트(599)체크에서 비트 카운터가 14인 경우는 수신데이터=0(601)을 체크한다. 이 비트 카운터 치인때는 수신데이터는 "0"이 아니면 안되며 GFC8로의 점프는 정상적인 경우를 나타낸다. 만약 수신 데이터가 "1"이면 수신상태는 이상이며 GFC1로 점프한다.If the bit counter is 14 in the
제36도는 제33도에서의 계속이다. 프레임 No. =2(602)의 체크에 의해 설정된 Dip SW의 입력 포오트를 구별하고 있다. 제3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프레임 No. =2이라면 입력포오트는 I2이며 Dip SW입력(11-15)에 대응한다. 여기서 Dip SW입력(11-15)(605)을 체크하여 "1"이면 수신 데이터 =1(604)을)체크한다. 또 "0"이라면 수신데이터=0(606)을 체크한다. 체크한 결과 일치되어 있다면 출력패턴=0(607)체크를 행한다. 만약 불일치의 경우는 수신처리용 카운터 제로(0)클리어, 수신처리용 i/0포오트 리세트(614)를 행한다.36 is a continuation in FIG. Frame No. The input ports of Dip SW set by the check of = 2 (602) are distinguished. As shown in FIG. 30, the frame No. If = 2, the input port is I 2 and corresponds to Dip SW input (11-15). Here, the Dip SW inputs 11-15 and 605 are checked to check if the received data = 1 (604) if " 1 ". If " 0 ", the received data = 0 (606) is checked. If the result of the check matches, the output pattern = 0 (607) is checked. If there is a mismatch, the reception processing counter zero (0) is cleared and the reception processing i / 0 port reset 614 is performed.
상기의 경우에서 만약 프레임 No. =2가 아닌때는 입력포오트는 I1이며 Dip SW입력(1~10)에 대응한다. 그래서 Dip SW입력(1-10(603)을 체크하여 "1"이면 수신데이터=1(604)을 체크한다. 또 "0"이면 수신데이터=0(606)을 체크한다. 체크한 결과 일치해 있으면 출력패턴=0(607)체크를 행한다. 만약 불일치의 경우는 수신 처리용 카운터 제로(0)클리어, 수신처리용 i/0포오트리세트(614)를 행한다.In the above case, if the frame No. When not = 2, input port is I 1 and corresponds to Dip SW input (1 ~ 10). Therefore, check the Dip SW input (1-10 (603) and check the received data = 1 (604) if it is "1", and check the received data = 0 (606) if it is "0". If there is, the output pattern = 0 (607) is checked, and if there is a mismatch, the reception processing counter zero (0) is cleared and the reception processing i / 0 forest set 614 is performed.
다음의 처리로서 출력패던=0(607)체크를 행한다. 출력패턴이 "0"이면 데이터 5비트의 체크가 완료된 것을 의미하며, 다음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새로운 데이터 취입패턴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As the next process, output pad = 0 (607) is checked. If the output pattern is " 0 ", it means that
이를 위하여 출력패턴 초기치 세트(608)를 행하고 출력패턴으로서 "1"를 세트한다. 또 프래임 No. 갱신(+1)(609)을 행한다. 다음의 처리로서 샘플링 카운트 초기치 세트(610)를 행하고, 비트 카운터 갱신(+2)(611)을 행한다.For this purpose, an output pattern initial value set 608 is performed and " 1 " is set as an output pattern. Frame No. Update (+1) 609 is performed. Sampling count initial value set 610 is performed as a next process, and bit counter update (+2) 611 is performed.
제32도에 나타낸 GFC9의 위치로 점프한다.Jump to the position of GFC 9 shown in FIG.
제37도는 장해물 리미트 SW 체크처리 내용을 나타낸다. 우선, 동작중 플래그(615)를 체크하고, ON하고 있는, 즉 동작중인 경우는 장해물 SW(616)체크를 행한다. 장해물 SW ON이면 스테이터스 세트(620)를 행한다. 장해물 SW OFF인태는 동작 방향의 리미트 SW를 체크(617)한다. ON이면 스테이터스 세트(620)를 행한다.37 shows the contents of the obstacle limit SW check process. First, during operation, the
OFF이면 스테이터스 리세트(618)를 행한다. 또 상기 동작중 플래그(615)가 OFF해 있는, 즉 정지중이 라면 동작중에서 필요로 하는 처리 스텝수와 맞추지 않으면 정지와 동작중에서 타이머가 변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스텝수 맞춤(619)을 행하고 있다.If OFF, status reset 618 is performed. If the in-
이상과 같은 문 개폐장치는 앞서 미국에 출원한(대응일본 출원 : 특원소 54-21066, 54-21067, 54-21068, 발명자 : Shigeru matsuoka, Toshio Tsubaki, Takehi Tokunaga, Seiji Yonekura, Kenji Nakamura, Mitsuo Suzuki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 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has been previously filed in the United States (corresponding to Japanese applications: Japanese Patent Application Offices 54-21066, 54-21067, 54-21068, inventors: Shigeru matsuoka, Toshio Tsubaki, Takehi Tokunaga, Seiji Yonekura, Kenji Nakamura, Mitsuo Suzuki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다음에 차고내의 이상 상태의 검지와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이상 상태 검지수단으로서, 화재사고 검지장치, 도난 방지장치를 설치한 예를 나타낸다.Next, detection and processing of abnormal conditions in the garage will be described. 1 shows an example in which a fire accident detection device and an anti-theft device are provided as abnormal state detection means.
화재사고 검지장치의 1예로서, 예컨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연기감지(煙感短)-이온화식을 원리로하는 화재사고 검지장치(648)를 자고 천정에 설치한다. 또 도난 방지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잘 쓰여지는 마그네트-리이드 스위치방식을 사용하고, 이 조합의 상태 변화를 포착하는 것에 의해 침입자의 유무를 검지 한다. 즉 침입자가 있다면 창(653)이나 보조문(660)이 폐해(閉合) 상태에 있는 위치에 마그네트(651),(649)리이드 스위치 (652),(650)를 배치한다. 또 상기 화재사고 검지장치(648)의 출력신호는 접점으로 하고, 각각의 검지장치와 각각의 검지장치로부터의 출력신호를 논리 판단하기 위한 제어장치간은 전선(657),(658),(669)로 연결되어 있다.As one example of a fire accident detection device, a fire accident detection device 648, which is generally known based on a smoke detection-ionization principle, is asleep and installed on the ceiling. In addition, a magnet-lead switch system, which is generally used as an anti-theft device, is used,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intruder is detected by capturing the state change of this combination. That is, if there is an intruder, the
또 제어장치(13)에는 상기 이상 상태 검지 장치를 동작시키느냐 아니냐를 지시하기 위한 컨트롤 스위치(654)를 부가한다. 또 경보기로서는 차고내에 설치하는 경보기(655), 주거측(661)에 설치하는 경보기(656)를 가지며 각각은 제어장치(13)와 전선(659-a), (659-b)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경보기(655), (656)는 제8도에 나타낸 경보회로(326)에 의해 구동된다.The
다음에 본 시스템의 동작처리예를 설명하기 전에 이상 상태의 동작조건, 처리조건을 명확하게 한다.Next, before describing the operation processing example of the present system, the operation conditions and processing conditions in the abnormal state will be clarified.
(1) 침입자의 경보는 차고나 주거내 어느 경보수단도 동시에 동작시킨다.(1) The intruder's alarm activates any alarm in the garage or dwelling at the same time.
(2) 차고내에서는 침입자를 검지했을때 경보기(655)와 램프(38)를 동작시킨다.(2) In the garage, the
(3) 문(6)이 하한점 이외에 정지중일때 침입자 검지처리를 행하지 않는다.(3) The intruder detection process is not performed when the
(4) 문(6)이 이동중일때와 문(6) 정지후, 일정 시간은 침입자 검지처리를 행하지 않는다.(4) When the
(5) 화재 사고가 검지되면 차고나 주거내의 경보수단은 모두 동시에 동작시킨다.(5) When a fire accident is detected, all warning means in the garage or dwelling shall be activated at the same time.
(6) 화재 사고가 검지되면 문(6)이 상한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문(6)을 상승시킨다. 이것은 소화를 돕고 또 차고내의 화물 반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6) When a fire accident is detected, the
(7) 본 시스템의 세트, 리세트는 제어장치(13)에 설치한 컨트롤 스위치(654)에 의해 행해진다.(7) The set and reset of this system is performed by the
(8) 경보기는 이상 상태만의 경보 기능만이 아니라 문(6)이 하강중에도 동작시켜, 문(6)부근에 있는 사람들에게 경보 주의를 하도록 한다. 단 경보음은 이상 경보와 구별하기 위해 단속(斷續)(플리커 : Flicker)한다. 이것은 차고내 경보기(655)만으로 한다.(8) The alarm operates not only the alarm function of the abnormal state but also the
(9) 경보기기는 이상 상태시만의 경보 기능만이 아니라 문(6)이 상승중에도 동작시켜 문(6)이 조작되었음을 경보한다. 단 경보음은 이상 경보와 구별하기 위하여 단곡(플리커)으로 한다. 이것은 주거내 경보기(656)만으로 한다.(9) In addition to the alarm function only in the event of an abnormal condition, the alarm device operates while the
제38도에는 주거내에 설치된 경보기(656)의 1예를 나타낸다. 발광 다이오드(665),(666)는 문(6)의 상태 표시를 하기 위한 것이며, 제8도중의 도어 인디케이터 회로(325)의 일부이고, 문(6)이 동작중 점멸, 문(6)하한점 정지인때 소등, 문(6)이 하한점 이외에서 정지인때 점동하는 것은 이미 설명이 끝났다. 부저(667)는 음량절환 스위치(668)로서 동작 음량을 컨트롤 한다. 이 음량절환 스위치(668)는 정상적인 문(6)의 조작시(문 6의 상승중만 플리커 정보)에도 음량이 크면 시끄러우므로 그 대책상 있는 것이다. 그리고 외출중인 때 상기 음량절환 스위치(668)를 큰 쪽으로 해두면 집에 돌아왔을때 물(6)을 상승시켜 차를차고 내에 입고 하려고 하는 것만으로 부저 (667)는 커다란 플리커음을 발생한다. 그리고 만약 침입자가 차고가 아니고 주거내에 있었을 경우 그에 대한 위협 경보가 되어 그 자체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38 shows an example of the
이상과 같은 시스템 배치 조건하에 실시한 처리 플로우에 관하여 제39도~제43도로서 설명한다. 이 처리로서는 전술한 동작 플로우차트에 삽입되는 것이며 전후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미 설명이 끝난 도면과의 관련과 대비시켜 설명하였다.The processing flow performed under the above system arrangement condition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9 to 43. This process is inserted i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flowchart, and has been described in contrast with the relation to the already described drawings in order to clarify the front-rear relationship.
제39도는 제14도에 나타낸 메인 플로우 차트에 삽입과는 이상 검지처리(670)의 삽입위치를 나타낸다. 제40도는 이상 검지처리(670)의 화재사고 입력에 대한 처리내용을 나타낸다. 컨트롤 스위치의 체크(681)를 행한다. 만약 ON이면 화재사고(연기검지 : 煙檢知)가 있는지 어떤지 체크(682)를 행한다. 그 결과 화재사고의 발생이 아니면 GFC1로 점프한다. 그리고 화재 사고의 발생이 확인되면 램프(38) 점등(683), 부저 G, H ON (684), S1 플래그 세트(685)를 행한다. 여기서 부저 G는 차고 경보기(655)의 부저, 부저 H는 주거내 경보기(656)의 부저(667)를 의미한다.FIG. 39 shows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이하 부저 G, H로 설명하여 간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buzzer G and H.
S1플래그는 화재사고 검지처리를 의미하는 플래그이다. 다음에 문(6)의 상태가 어떤지 체크한다. 상한 리미트 스위치의 체크(686)가 그것이다. 만약 상한점에 문(6)이 없으면 강제적으로 문(6)을 상승시킨다. 즉 문 하강 리세트, 문 상승출력(687), 동작 방향플래그 ON(688), 동작개시 처리(689)를 행한다. 이로서 하강중의 문이라면 즉시 반전하여 상승하게 된다. 당연히 상한 위치에 문이 있으면 그대로 있게 된다.The S 1 flag is a flag that means fire accident detection processing. Next, the state of the
앞서의 컨트롤 스위치의 체크(681)에서 컨트롤 스위치가 OFF이라면 다음에 S1플래그의 체크(690)를 행한다. OFF이면 GFC1로 점프한다. ON이면 일단 화재 사고가 검지되고 그후 컨트롤 스위치가 OFF된 것으르 시스템해제 입력이 있다고 판단하여, 부저 G, H(691), S1플래그 리세트(692), 라이트 소등타이머 2분 세트(693)를 행한다.If the check of the control switch of the above (681) the control switch is OFF performs a
여기서 라이트소등 타이머 2분 세트(693)를 행하므로서 컨트롤 스위치(654) OFF시 2분 경과후 램프(38)가 꺼지게 된다.The
제41도는 이상 검지처리(670)의 도난방지 입력에 대한 처리내용을 나타낸다. 동작중 플래그의 체크(94)를 행하고 문의 정지/동작중을 판별한다. 이 플래그가 OFF, 즉 정지중이라면 다음에 컨트롤 스위치의 체크(695)를 행한다. 컨트롤 스위치가 ON되어 있으면 하한 리미트 스위치의 체크(696)를 행한다. 이 결과 만약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OFF하고 있는, 즉 하한 위치 이외에서 문이 정지하고 있는 경우는, 매인 플로우로 점프(RETURN)한다. 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ON되어 있을 때는 S2플래그의 체크(697)를 행한다. 이 S2플래그가 OFF이면 이직 도난 방지기능이 동작할 조건이 성립해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바꿔말하면 문(6)이 정지후 일정기간 경과하지 않는 것으로 된다. 그래서 라이트(48)의 소등하고 있는지 아닌지 체크(698)를 행하고, 라이트(38)가 소등되어 있으면 S2플래그 세트(699)를 행한다. 즉 램프(38)가 소등되므로써 도난 방지 기능이 동작하기 시작한다. S2플래그의 체크(697)에서 이 플래그가 ON해 있는, 즉 전술한 바와같이 정지후 일정시간 경과한 후에 도난방지 입력유무의 체크를 행한다. 이것은 창(653), 보41 shows processing contents for the anti-theft input of the
다음에 차고문을 조작할때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경보기(655), (656)를 사용한 예를 제42도, 제43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경보기는 문(6)의 동작을 표시한다. 이 처리는 제25도에서 설명한 ODi점멸처리 플로우에 삽입되는 것이다. ODi점멸 카운터를 체크(500)하여 카운터치가 0이 아닌때 타이머 카운터 갱신(타이머 TM5)(501)을 행하고 타임 오우버(502)에서 체크한다. 만약 ODi타임 오우버가 있으면 ODi점멸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말하는 ODi 점멸처리라고 하는 것은 ODi 점멸 플래그의 체크(713)를 행하고, 만약 ON이면 ODi점등(714), ODi점멸 플래그 OFF (715), 만약 OFF이면 ODi 소등(716), ODi 점멸 플래그 ON(717)을 행하고, ODi 점멸 타이머 세트(718)를 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일정시간마다 점멸을 반복하게 된다. 다음에 S1플래그의 체크(179)를 행하고 ON이면 GFB3으로 점프하고 OFF이면 GFB4로 점프한다. ON인때는 화재사고가 검지되어 그 처리중이고 문이 상승중임을 나타낸다.Next, an example in which alarms 655 and 656 are used to increase the safety when operating the garage door will be described using FIG. 42 and FIG. 43. Here, the alarm displays the operation of the
또 ODi 점멸 타이머 카운터의 체크(500)에서 만약 0이면 문이 정지중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S1플래그의 체크(710), S2플래그의 체크(711)를 행하고, 두 플래그가 OFF이만 부저 G, F OFF (712)를 행한다. GFB4에서는 ODi 점멸 플래그의 체크(720)를 행하고 이 플래그가 ON이면 동작방향 플래그의 체크(721)를 행한다. ON이면 주거측 부저를 ON하는 부저 H ON (722), 이면 차고내 부저를 ON하는 부저 G ON (723)을 행한다. 즉 문(6)의 상태에 의해 부저 G, 부저 H를 선택하여 경보한다. ODi점멸 플래그의 체크(720)가 OFF이면 마찬가지로 동작방향 플래그의 체크(724)에 의해 부저 H OFF (725), 부저 G OFF (726)를 행한다.In the
이상의 처리에 의해 문이 하강중은 부저 G가 플리커(단속) 경보, 문이 상승중은 부저 H가 플리커(단속)경보할 수가 있다. 또 S1플래그의 S2플래그의 배당은 제10도에 있어서의 0영역으로 한다.By the above process, the buzzer G can alert the flicker (clamp) while the door is lowering, and the buzzer H (clinker) can alert the door while the door is rising. The allocation of the S 2 flag of the S 1 flag is set to 0 area in FIG.
다음에 제38도를 사용하여 설명한 경보기에 관하여 제44도로서 보충 설명한다.Next, the alarm described using FIG. 38 will be supplemented with FIG. 44. FIG.
제44(a)도는 음량 절환 방법으로서 부저(667)에, 직렬로 저항(730)을 연결한 것으로, 음량절환 스위치에 의해 이 저항을 단락하는 경우는 음량대(音量大), 단락하지 않은 경우는 저항 분압(分壓)되어 음량소(音量小)가 된다. 제44(b)도는 전혀 다른 부저(731)를 설치하여 음량절환 스위치에 의해 절환하는 것이다.44 (a) shows a volume switching method in which a
본 발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음량만이 아니라 음질이나 음색에 의해 상태표시 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하나의 안이다. 그리고 복수의 부저를 수동으로 선정하는 경우도 있으나 자동적으로 제어장치(13)에서 선정처리 제어하는 것은 용이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처리는 극히 간단하게 달성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a control to display the status by not only the volume but also the sound quality or tone. Although a plurality of buzzers may be manually selected, it is easy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selection process by 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차고내 경보기를 차고벽면에 설치 하였으나 설치 위치로서는 본체(1)에 내장 또는 본체(1) 측면에 설치하여도 좋으며 특별하게 한정 하지 않아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중 각이상 상태 검지장치로부터의 입력은 전선으로 접속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능을 보다 향상시키는데 전선없이 입력 신호 전달형식을 취하도록 하면 좋다. 그 1예로써 제45도를 사용하여 전파를 이용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And in this embodiment, the alarm in the garage is installed on the garage wall surface, but as the installation position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1) built-in or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 and do not need to specifically limit. Nex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from each abnormal state detection device is connected by an electric wire. However,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signal transmission form may be taken without wires. As an example, the case where radio waves are used using FIG. 45 will be described.
마그네트(651)는 창(653)의 틀(杆)에 설치되고 리이드스위치 (652)를 포함하는 송신기(735)는 벽에 설치되어 있다. 창(653)이 개방되면 리이드 스위치(652)가 OFF되어 트랜지스터(737)가 ON한다. 그 결과 트랜지스터(738)도 ON하여 축전지(736)으로 부터의 전압이 UHF발진부인 RF오실레이터(739)에 인가된다. 그것에 의해 RF오실레이터(739)는 발진을 개시한다. 제어장치(13)내에서는 초재생 회로인 수신회로(740)으로 수신하여, 적분회로(741)에서 그 신호를 적분한다. 일정시간 전파가 지속(持續)하고 있는 것을 콤파레이터(742)에서 비교 체크하여 출력한다. 이 신호가 전선 접속인 때와 동일 회로에 입력되면 좋다.The
단, 문 조작용 전파와는 다르고 UHF발진 주파수를 별도로 하는 복수 채널 방식이 필요하다.However, a multi-channel method is require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radio waves for door operation and separates the UHF oscillation frequency.
또 문 조작용에 사용하고 있는 바와 같이, 비트 코오드 방식을 채용하여 이상 상태를 코오드에 구별해 두도록 하는 방법을 취하면 어떤 이상이 발성하였는지를 용이하게 제어장치측에서 판별할 수 있다.In addition, as used for door operation, by adopting a method of distinguishing an abnormal state from a code by adopting a bit code method,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from the controller side what kind of abnormality has occurred.
이상 화재사고 검지장치와 도난 방지장치의 두 장치에 관하여 실시예로 설명해 왔으나 인체에 위험한 가스인 일산화 탄소와 같은 가스 센서를 설치하여도 본 발명의 효과는 충분하게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스 센서에서의 출력이 있었을 경우 차고내에 사람이 있어, 인사불성이 되어 있을때를 가상하여 문을 자동적으로 열어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킨다. 그리고 경보 수단을 동작시키므로서 이상 경보를 하여 눈을 뜨게한다. 또한 가까이 있는 사람에게 경보가 되어 그 상태를 가능하다면 신속하게 개선 시키도록 촉구하는 주의경보가 된다. 실제의 처리로서는 제39도~제41도에 나타낸 화재사고 검지처리와 같이 처리하면 좋다.Although two devices, a fire accident detection device and an anti-theft device, have been described as an embodiment,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achieved even by installing a gas sensor such as carbon monoxide, which is a dangerous gas to the human body. For example, when there is an output from the gas sensor, there is a person in the garage, and the door is automatically opened to introduce fresh air when the person is unhappy. The alarm is opened while the alarm means is activated. It is also a warning alert that alerts nearby people and urges them to improve the condition as soon as possible. As an actual process, it is good to process similarly to the fire accident detection process shown to FIG. 39-41.
이상 화재 검지후의 처리로서는 문을 여는 것으로 설명을 하였으나, 그러나 옆집으로 화재가 옮겨가는것을 방지하는 의미에서는 반대로 문을 닫는 것유 이효 하다고 판단하는 경우도 있다.Although it was explained that the door is opened as a treatment after the abnormal fire detection, but in the sense of preventing the fire from moving to the next door, it may be judged that closing the door is effective.
이와 같은 처리를 행하는 데는 예컨대 제40도에 나타내고 있는 상한 리미트 스위치의 체크(686)를 하한 리미트 스위치의 체크(686')로 하여 이하문 하강출력, 문상승 리세트(687'), 동작방향 플래그 OFF(688')로 바꾸면 처리 플로우는 달성된다.Such processing is performed by, for example, checking the upper limit limit switch 686 shown in FIG. 40 as the check limit 686 'of the lower limit switch, the following statement falling output, sentence rising reset 687', and operation direction flag. Turning to OFF 688 ', processing flow is achieved.
이상 본 실시예에서는 도난 방지 기능은 하한점에 문(6)이 위치했을때 작용하도록 하고있다. 그러나 본 발명을 더욱 효과적으로 운용하는 것을 고려하면, 새롭게 센서를 추가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즉 약간 바닥면으로부터 문이 열려 정지하고 있는 경우 적어도 그 간격은 사람의 출입이 불가능 하다는 것을 검지 하는 것만으로 좋다. 그렇게 하면 고양이나 개가 출입하기 위한 간격이 있는 것은 당연 생각되고 그와 같은 경우에도 충분하게 본 발명은 유효하게 작용한다. 실제로는 마그네트와 리이드 스위치등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nti-theft function is to act when the
이상 본 실시예에서는 램프(38)의 소등과 동시에 도난방지 기능이 작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램프에 의하여 기능의 ON,OFF를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처리에서는 2분 타이머가 너무 긴 경우가 있어 전용인 타이머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이 타이머 처리로서는 문 정지후에 기동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또 컨트롤 스위치가 ON 한후 기동하여도 좋다. 처리 플로우차트는 용이하게 가상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nti-theft function is activated at the same time that the
본 발명의 응용예로서는 다음과 같을 경우가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시간의 관리를 상기 일시 기억회로의 일부를 개시 수단으로 이용하여 일정처리 스텝마다 계시(計時)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에서는 값싸게 구성할 수 있으나, 시간 정밀도는 그다지 좋지 못하다. 이 시간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수단으로서, 다시 시간만을 계시하는 수단을 별도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프로그램 기억회로에 의해 기등이 걸러고 특정치가 설정될 수 있도록한 회로, 시간계시 회로가 있다. 또는 그와는 별도로 일정주기로 타이밍 펄스를 발생하도록한 회로를 상기 입출력회로에 접속해두고, 이 타이밍 펄스의 입력을 실행중의 프로그램처리 보다 우선하여 처리하도록 하면 좋다. 이와 같이하면, 상기 타이밍 펄스수를 카운트 한다든가 또는 특정의 타이밍 길이에서 그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개시처리를 행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일반적으로는 처입중단 처리라고 칭해지고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문 개폐장치의 기본 상태 천이(遷移)예로서 상승-정지-하강-정지의 사이클 동작으로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응용으로서 다음과 같은 기Application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s follows. In the above embodiment, time management is time-divided for each constant processing step by using a part of the temporary storage circuit as the start means. However, in this way it is cheaper to configure, but the time precision is not so good. As a means of improving this time precision, there is a method of separately using a means of time-time again. Specifically, there are a circuit and a time-measuring circuit which allow the program memory circuit to filter out light and set a specific value. Alternatively, a circuit capable of generating timing pulses at regular intervals may be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circuit, and the input of the timing pulses may be prioritized over the program processing being executed. In this manner, the start processing can be performed by counting the number of timing pulses or by using the input signal at a specific timing length. Such a method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n interruption treatment. In the above embodiment, as a basic state transition example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e cycle operation of rising-stopping-falling-stopping is performed.
조작 입력신호를 수신할때 마다 동작-정지를 반복하고, 상한 위치 또는 하한 위치에 상기 문 개폐장치가 도달한 경우는 상기 문 개폐장치를 정지 시킨다. 그 다음의 조작 입력신호를 받으면 동작 방향을 반전 하고 이 동작 방향 지시에 따라 문을 이동시킨다.Whenever the operation input signal is received, the operation-stop is repeated. When the door open / close device reaches the upper limit position or the lower limit position, the door open / close device is stopped. Upon receiving the next operation input signal, the direction of motion is reversed and the door is mov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tion indication.
상승-정지의 반복 하강-정지의 반복Repetition of Rise-Stop Repetition of Rise-Stop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입력 신호로서 문의 이동 방향을 직접지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는 하고 있지 않으나, 상기 부가 회로에 상승 지시용 스위치, 하강 지시용 스위치를 설치하므로서 이 스위치가 입력되어 있을 때는 이 스위치로 지시되는 방향으로 문을 이동시키는 것은 처리 프로그램에 상기 처리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좋으며 용이하게 구현화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operation input signal is not configured to directly indicat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door. However, when the switch is input by providing a switch for raising and lowering in the additional circuit, the switch is input. Moving the door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 RTI ID = 0.0 > is just < / RTI > added to the processing program and can be easily implemented.
또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문의 이동 방향을 직접 지시하는 수단은 있다. 상한 리미트 스위치, 하한 리미트스위치가 입력되는 회로에서 이 스위치와 병렬로 스위치를 부가하면 좋으며, 처리 프로그램으로서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ON되어 있으면 하강지령, 하한 리미트스위치가 ON 되어 있으면 상승 지령이 출력되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Also in the embodiment, there is a means for directly instruct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door. In the circuit where the upper limit limit switch and the lower limit switch are input, it is good to add a switch in parallel with this switch, and as a processing program, it is easy to output the falling command when the upper limit switch is ON and the rising command when the lower limit switch is ON. I can tell.
상기 실시예에서는 장해 검지후의 처리로서 상승중은, 정지, 하강중은 일정 시간 정지후 일정시간 상승 하도록한 상태 천이 예를 나타내고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as the processing after the detection of an obstacle, an example of a state transition in which ascending during a stop, while descending during a descending time stops after a fixed time, rises for a fixed time.
본 발명은 상기 장해 검지후의 처리로서, 동작중의 문 상태에 따른 제어를 행하는 점에 있으며 문을 반전동작 시킨다든가 또는 일정시간 정지처리를 제거한다든가 또는 일정시간 상승이 아니고 상한 위치까지 상승하는 처리로 하는 등 상기 상태 천이처리 제어의 자유로운 확장도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rocessing after the detection of the obstacle, the control is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the door in operation, the process of reversing the door or removing the stop for a certain time or processing to rise to the upper limit position without rising for a certain time It is possible to freely expand the state transition processing control.
그리고 상기 장해 검지후의 처리로서, 이 처리중은 새로운 조작입력신호를 받지 않고 처리하고 상기 처리가 완료된 후에 새로운 조작 입력신호를 받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장해검지후의 처리로서 이 처러중의 여하에 관계없이 새로운 조작입력을 접수하여 처리하도록 하여도 좋다.As the processing after the failure detection, the processing may be performed without receiving a new operation input signal and the new operation input signal may be received after the processing is completed. As the processing after the failure detection, a new operation input may be accepted and processed regardless of this process.
상기 실시예에서는 문 개폐 장치의 동작시간관리를 행하고 동작시간 이내에 상기 문 개폐 장치의 각종상태 검지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는, 이상 이라고 판단 처리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동작시간 관리를 행하므로서 동작중의 문 상태와는 다른 상태로 하는 것만으로 좋으며 다음과 같은 처리도 생각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operation time management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performed and the various state detection signals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re not input within the operation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cess is abnorm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the operation time management, it is only necessary to make the state different from the state of the door in operation, and the following processing can be considered.
(1) 상기 문 개폐 장치를 정지시킨다.(1)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stopped.
(2) 상기 문 개폐 장치를 반전 시킨다.(2) Reverse the door opener.
(3) 상기 문 개폐 장치가 개(開) 동작중이라던 정지 폐(閉) 동작중이라면 일정시간 개(開) 동작시킨다.(3)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i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in a closed or closed operation.
(4) 상기 문 개폐 장치가 개동작중이던 정지, 폐동작중이면 개동작 시킨다.(4)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operated when the door is opened or stopped and closed.
상기 제2,3,4항에서 문의 동작방향이 반전하는 경우는 일정시간 정지시켜도 좋다. 또 상기 처리중은 이 처리가 완료할때까지 새로운 조작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처리중은 새로운 조작 입력 신호를 접수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실행처리순서에 있어서 상태 검지 장치로부터의 검지 입력으로서 특히 우선적으로 처리를 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개입증단 제어라고 칭하는 실행 프로그램보다 우선하여 처리하도록 상기 상태 검지 장치에 우선도를 부여하여 처리하여도 좋다. 그리고 안전 장치의 부가나, 특정한 신호 입력에 대하여 상기와 같이 우선도 처리를 행하므로서 문 개폐장치를 시스템성능이 항상하는 것은 말할 필요조차 없다.When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door is reversed i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terms, it may be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process, the new operation input signal may not be accepted until the process is completed. It is also possible to accept a new operation input signal during the processing. In the above embodiment, processing is not particularly preferentially performed as the detection input from the state detection device in the execution processing procedure.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give priority to the state detection apparatus so as to process it in preference to an executing program generally called intervention intervention control.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ystem performance is always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by adding safety devices or performing priority processing as described above for a specific signal input.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1) 차고문에 동작 지령을 부여하면, 도난방지 기능이 자동적으로 제거되어 차고내로 들어가는 것이 간단하다.(1) When an operation command is given to the garage door, the anti-theft function is automatically removed and it is easy to enter the garage.
(2) 차고문이 하한 위치 이외에서 정지해 있을 때는 도난방지 기능이 작동하지 않으므로 차고내에서 작업을 하고 있을 때 보조문의 개폐, 창의 개폐가자 재롭다.(2) The anti-theft function does not work when the garage door is stopped outside the lower limit position, so opening and closing of the auxiliary door and opening and closing of the window is convenient when working in the garage.
(3) 제1,2항에 의해 컨트롤 스위치는 항상 ON해 두는 것만으로 좋으며, 세트하여 두는 것을 잊어버린 경우에도 사고 발생이 없다.(3) According to 1 and 2, it is good to keep the control switch ON all the time, and there is no accident even if you forget to set it.
(4) 화재 발생시, 자동적으로 문이 열리므로 화물의 반출, 소화가 용이하게 된다.(4) In case of fire, the door is automatically opened, so it is easy to take out and extinguish cargo.
(5) 도난방지 입력신호가 있을때 부저와 동시에 자동적으로 차고내를 조명하므로 침입자에게 위혐도는 매우 크다.(5) When there is an anti-theft input signal, at the same time the buzzer automatically illuminates the garage, so the infringement is very high for intruders.
다음에 제46도에 따라서 제어장치의 1실시예를 설명한다. (12)는 문 개폐 동작 지령용 푸시버튼 스위치, 201은 마찬가지로 무선 수신장치에서의 문 개폐 동작지령용 릴레이 접점출력, 30은 문 상한 리미트 스위치, 31은 문 하한 리미트 스위치, 52는 장해물 검출 리미트 스위치, 205는 전원상승 시에리세트 신호를 작성하는 리세트 회로, 206,207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208은 J-K 주-종 플립플롭, 209는 NE555(시그네티사제)등을 사용한 타이머회로 210,211은 D타입 플립플롭, 212는 적본회로, 213은 미분회로, 214~222는 NOT소자, 223은 2입력 OR소자, 224~228은 2입력 AND소자, 229,230은 4입력 NOR소자, 231은 2입력 NOR소자, 232는 3입력 AND소자, 233은 제어 전원용 트랜스, 234는 다이오드 스택(Stack), 235는 제어 전원용 IC레귤레이터, 236-238은 릴레이 구동용 트랜지스터, 239-241은 릴레이 코일, 242~244는 상기 릴레이 접점, 245는 문 개폐 구동용 모우터, 38은 램프이다. 이하 회로 동작에 관하여 제47도, 제48도의 타임차트로 보충하면서 설명한다.Next, one embodiment of the control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Denoted at 12 is a pushbutton switch for a door open / close operation command, 201 is a relay contact output for a door open / close operation command at a wireless receiver, 30 is an upper limit limit switch, 31 is a lower limit limit switch, and 52 is an obstacle detection limit switch. 205 is a reset circuit for generating a power-up series reset signal, 206, 207 is a
본 회로에 전원이 투입되면 트랜스(233)에서 다이오드 스택(234) 그리고 IC 레귤레이터(235)를 거쳐 제어용 전원 VDD가 공급된다. 그러면 전원 리세트 회로는 이 VDD의 상승을 적분하여 NOT소자(215)에 의해 리세트 펄스를 출력한다. 이 리세트 펄스는 NOT소자(216)를 거쳐 J-K 주/종 플립플롭(208)을 리세트 하고 그리고 4입력 NOR 소자(229), (230)을 거쳐 각각 D타입 플립플롭(210),(211)을 리세트 한다. 문 개폐 동작지령인 푸시 버튼 스위치(12) 또는 무선수신 장치에서의 릴레이 접점 출력(201)이 하고 NOT소자(214)에 의해 신호 A가 출력되었다고 하면, 신호 A의 상승으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06)는 펄스폭 T1인 신호 B를 출력한다. 이 신호 B는 2입력 OR소자(223), 그 입력 AND소자(224)를 거쳐 신호 C가 출력된다. 신호 C는 J-K 주/종 플립플롭(208)의 클록으로서 입력되어 출력신호 E가 반전하기전의 신호의 하이(HiGH)기간에 2입력 AND소자(226)의 출력이 플립플롭(210)의 클록으르서 입력되고 이 플립플롭(210)은 세트되어 신호 F가 출력된다. 이것은 문 상승 지령으로서 트랜지스터(237)에 의해 문 상승용인 릴레이 코일(240)이 여자(勵磁)되어 이 릴레이 접점(242)이 ON하여 모우터(16)는 정회전(正回轉)한다. 이와 같이하며 모우터는 기동되지만 이것과 동시에 신호 B는 NOT소자(221)를 거쳐 타미머회로(209)에 트리거 신호로서 입력된다.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ircuit, the control power supply VDD is supplied from the transformer 233 via the
이것은 모우터가 기동됨과 동시에 차고내를 조명하는 램프(38)를 동작 지령후 일정시간 점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타이머 회로(209)의 출력이 트랜지스터(236)에 의해 릴레이 코일(239)을 여자하여, 릴레이 접점(244)을 ON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램프(246)는 일정시간 점등할 수가 있다. 다음에 상승지령 출력중에 상한 리미트 스위치(30)가 ON하면 NOT소자(217), 4입력 NOT소자(229)를 거쳐 플립플롭(210)의 리세트 입력이 되어 트랜지스터(237)가 OFF하고, 릴레이 코일(240)이 소자(消磁)되어 릴레This is for the purpose of turning on the
이 신호 D는 4입력 NOR소자(229)를 거쳐 플립프롭(210)의 리세트 신호로서 입력된다.This signal D is input as a reset signal of the flip-
이와 같이 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모우터(16)는 정지된다. 그리고 동작 지령이 상기와 마찬가지로 입력되면 J-K 주/종 플립플롭(208)이 세트되어 있으므로 2입력 AND소자(226)의 출력은 금지되고 2입력 AND소자(225)에서 신호 B가 출력되어 플립플롭(211)을 세트하여 신호 G를 출력한다.In this way, the
이것에 의해 트랜지스터(238)가 ON하고, 문 하각용인 릴레이 코일(241)을 여자하고, 이 릴레이 접점(242)이 ON하고, 모우터(16)는 역전하여 문은 하강 동작한다. 이 하강동작중에 하한 리미트스위치(31)가 ON하면 NOT소자(219)에서 신호 H가 출력되어 적분회로(212)에 의해 시간지연 T2을 두어 4입력 NOR소자(230)를 거쳐 플립플롭(211)의 리세트 신호로서 입력된다. 이것에 의해 상승시의 상한 리미트 ON때와 마찬가지로 모우터는 정지 한다.As a result, the
다음에 장해물 검출 리미트 스위치(52)가 동작했을 때의 회로 동작을 설명한다. 상승 동작중, 즉 J-K 주/종 플립플롭(208)이 세트, 그리고 플릴플롭(210)이 세트, 플립플롭(211)이 리세트되어 있을때, 장해물 검출 리미트 스위치(52)가 동작하면, 이 리미트 스위치(52)는 B접점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OFF가 되고 NOT소자(220)를 거쳐 2입력 NOR소자(231)에서 하이(HiGH)신호가 출력되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07)를 트리거 한다. 이 멀티 바이브레이터(207)의 Q출력 펄스가 4입력 NOR소자(229)를 거쳐 플립플롭(210)을 리세트 한다. 또 이때 4입력 AND소자(232)는 J-K 주/종 플립플롭(208)이 세트되어 있으므로 이 AND소자의 출력은 금지되어 있다. 다음에 하강동작중, 즉 J-K 주/종 플립플롭(208)이 리세트, 플립플롭(210)이 리세트, 플립플롭(211)이 세트되어 있을때 상기와 같이 장해물 검출 리미트(52)가 동작하면 상기와 같이 NOT소자(220)에서 신호 J가 출력되어 2입력 NOR소자(231)를 거쳐 단안접 멀티바이브레이터(207)에서 펄스폭 T3인 신호 K가 출력된다. 이 신호 K에 의해 4입력 NOR소자(230)를 거쳐 플립플롭(211)을 리세트 한다. 이것에 의해 모우터는 정지하고 문의 하강 동작도 정지한다. 그리고 이 펄스신호 K가 하강하면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207)의 Q출력이 상승하여 3입력 AND소자(232)가 하이로되어 신호 L이 출력된다. 이 신호 L은 미분회로(213), NOT소자(222)를 거쳐 신호 M으로 변환되어 2입력 OR소자(223)에 입력된다. 이것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일련의 제어경고를 거쳐 상승 지령인 신호 F가 출력되어 문은 상승하여 상한 리미트 스위치(30)의 신호인 NOT소자(217)의 출력신호 N에 의해 문은 정지한다. 이와 같이 문이 장해물을 검지하면 상승중은, 즉시 동작 정지하고, 하강중은 하강동 작은 즉시 정지하여 T3시간 후 상승 동작을 개시 한다는 안전동작을 보증하고 있다. 그러나 문 하한 점 부근에서 적은 장해물(돌이나 막대기등)이나 동기(冬期)의 바닥면이 눈에 의한 상승등에 의해 장해물 검지 동작이 불필요하게 동작되지 않도록, 하한점 리미트스위치(31)가 ON하면 장해물 검출동작은 2입력 NOR소자(231)에 의해 즉시 금지되지만, 하강동작지령인 신호 G는 적분회로(212)에 의한 시간지연 T2의 신호에 의해 리세트 된다.Next, the circuit operation | movement when the obstacle
이 제어동작에 의해 불편없이 안전하게 문의 개폐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회로실시예에 관하여 제49도로서 설명 한다.By this control operation,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can be performed safely without inconvenience. Next, the circui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50은 화재사고 검출장치의 접점출력, 751은 NE555(시그네틱사제)등을 사용한 타이머회로, 752는 NE555(시그네틱사제)등을 사용한 원쇼트회로, 753~758은 인버어터소자, 759는 버퍼소자, 760-762는 2입력 AND소자, 763~765는 2입력 OR소자, 766~768은 3입력 AND소자, 769,770은 2입력 OR소자, 771은 2입력 AND소자, 772,773은 D타입 플립플롭(이하 FF라 칭한다), 774~777은 트랜지스터를 나타낸다. AND소자(228)의 출력이 하이레벨인 때는 문정지, 로우 레벨시는 문 동작중을 나타낸다. 그래서 이 AND소자(228)의750 is the contact output of the fire accident detection device, 751 is a timer circuit using NE555 (signal), 752 is a one-short circuit using NE555 (signal), 753 to 758 is an inverter element, 759 is a buffer Element, 760-762 are two-input AND elements, 763 ~ 765 are two-input OR elements, 766-768 are three-input AND elements, 769,770 are two-input OR elements, 771 are two-input AND elements, and 772,773 are D-type flip-flops ( 774 to 777 denote transistors. When the output of the AND element 228 is at the high level, the gate is stopped and at the low level, the door is in operation. So this AND element 228
문이 정지하면 발광 다이오드(665),(666)는 소등이지만 하한위치에 문이 없는 것을 인버어터소자(753)와 AND소자(761)에서 체크하여 트랜지스터(775)에 의해 다시 점등계속하도록 한다. 단 하한 위치에 있을 때는 발광 다이오드(665),(666)는 소등인체로 된다.When the door is stopped, the
그리고 타이머회로(751)의 출력은 3입력 AND소자(767),(768)의 각각 일단에 입력되어 있다. 그리고 3입력 AND소자(767),(768)의 각각 일단에는 문의 동작 방향지령이 인버어터소자(756),(757)를 거쳐 입력 되어 있다. 3입력 AND소자(767),(768)의 또 다른 일단에는 이상 검지시의 신호가 입력되지만 평상시는 하이 레벨이다. 그러므로 3입력 AND소자(768)는 2입력 OR소자(763), 트랜지스터(776)를 거쳐 문이 상승중, 주거내 부저(667)를 동작시킨다.The output of the timer circuit 751 is input to one end of each of the three input AND
또 마찬가지로 3입력 AND소자(767)는 2입력 OR소자(764), 트랜지스터(777)를 거쳐 문이 하강중 차고내 부저(647)를 동작시킨다.Similarly, the three-input AND
컨트롤 스위치(654), 리이드 스위치(650),(652), 접점(750)은 필터회로를 통해 각각 인버어터 소자(754) 2입력 OR소자(765), 인버어터소자(755)에 입력되어 있다. FF(772),(773)는 컨트롤 스위치(654)가 OFF인때는 항상 클리어되어 있다. 또 FF(772)는 컨트롤 스위치(654)외에 문이동중의 신호가 2입력 AND소자(762)에 입력되어 있으므로 문의 동작에 의해서도 클리어 된다.The
접점(750)이 ON인때 AND소자(760)를 통해 FF(773)를 세트하여 2입력 NOR소자(769), 인버어터소자(758), 2입력 OR소자(763),(764), 트랜지스터(776),(777)를 거쳐부저(647),(667)를 동작시킨다.When the contact 750 is ON, the
리이드 스위치, 즉 창 또는 보조문의 개방 검주는 문 정지후, 또는 하한점 정지인때 원쇼트 회로(752)를 2입력 NAND소자(771)로 작동시킨다. 즉 타이머업 할 때까지는 2입력 NOR소자의 출력이 하이 레벨로 되지 않으므로 3입력 AND소자의 출력은 나오지 않게 된다. 이 타이머 업후부터 리이드 스위치(650),(652)에서의 신호를 접수하여 만약 검지입력이 었으며 FF(772)를 세트하고, 2입력 NOR소자(769), 인버터어소자(758), 2입력 OR소자(763),(764), 트랜지스터(776),(777)를 거쳐 부저(647),(667)을 동작시킨다.The reed switch, i.e., the open gage of the window or auxiliary door, operates the one-shot circuit 752 as the two-input NAND element 771 after the door stops or at the lower limit stop. In other words, the output of the two-input NOR element does not go high until the timer is up, so the output of the three-input AND element does not come out. After the timer is up, signals from the lead switches 650 and 652 are received, and if a detection input is made, the FF 772 is set, and the two-input NOR element 769,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고문의 조작과 차고내의 이상 상태 검지후의 처리를 총괄 제어할 수 있어 대단히 안전성이 높은 차고문 제어방식이 달성되어 제품에 대한 공헌도는 대단히 크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llective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garage door and the processing after the detection of abnormal conditions in the garage, and a very safe garage door control method is achieved, and the contribution to the product is very large.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00002066A KR850001687B1 (en) | 1980-05-26 | 1980-05-26 | Garag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00002066A KR850001687B1 (en) | 1980-05-26 | 1980-05-26 | Garag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2978A KR830002978A (en) | 1983-05-31 |
KR850001687B1 true KR850001687B1 (en) | 1985-11-22 |
Family
ID=19216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00002066A Expired KR850001687B1 (en) | 1980-05-26 | 1980-05-26 | Garag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50001687B1 (en) |
-
1980
- 1980-05-26 KR KR1019800002066A patent/KR850001687B1/en not_active Expir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2978A (en) | 1983-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S6317996B2 (en) | ||
KR860001573B1 (en) | Door operational control apparatus | |
US6563278B2 (en) | Automated garage door closer | |
US4821024A (en) | Door operator pre-warning system | |
CA1153087A (en) | Automatic door control apparatus | |
US5191268A (en) | Continuously monitored supplemental obstruction detector for garage door operator | |
AU2012101044B4 (en) | Beam protection system for a door operator | |
CA1167552A (en) | Do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 |
AU2005303808A1 (en) |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systems designed to operate movable barriers | |
US8085129B2 (en) | Power conserving mobile transmitter used with an automated barrier operating system | |
US8368522B1 (en) | Car alert device | |
KR850001687B1 (en) | Garag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CN205502846U (en) | Image recognition car door window state detection device | |
JPH01114298A (en) | Remote controller | |
JPS6316554B2 (en) | ||
KR830001614B1 (en) | Door open / close control device | |
US20050107040A1 (en) | Overhead door immobilizer | |
JP2013011129A (en) | Opening/closing body control system | |
JPS6317995B2 (en) | ||
JPH07180447A (en) | Door opening/closing device for garage | |
KR860001585B1 (en) | Door operational control apparatus | |
KR0140490B1 (en) |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window by a hand in the case of accident | |
JPH0224984B2 (en) | ||
JPS6316552B2 (en) | ||
JP2006090043A (en) | Shield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311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31123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