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598B1 - Belt torsion prevention device - Google Patents
Belt torsion preven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50001598B1 KR850001598B1 KR1019850004858A KR850004858A KR850001598B1 KR 850001598 B1 KR850001598 B1 KR 850001598B1 KR 1019850004858 A KR1019850004858 A KR 1019850004858A KR 850004858 A KR850004858 A KR 850004858A KR 850001598 B1 KR850001598 B1 KR 8500015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lt
- tubular
- roller
- support
- roller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6—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aligning belt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 1 도는 종래의 관형벨트 콘베이어의 도식적 측면도.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conventional tubular belt conveyor.
제 2 도는 제 1 도에서 Ⅱ-Ⅱ선 방향으로의 횡단면 확대정면도.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front view in the direction of line II-II in FIG. 1;
제 3 도는 제 1 도에서 Ⅲ-Ⅲ선을 따라본 확대평면도.3 is an enlarged plan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in FIG. 1;
제 4 도는 관형벨트의 진행통로가 점선에 의하여 도시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인 확대평면도.4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traveling path of the tubular belt is shown by a dotted line.
제 5 도는 제 4 도에서 ⅩⅣ-ⅩⅤ선을 따라본 종단면도.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XV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67 : 브래킷 68 : 교정로울러 지지대67: bracket 68: calibration roller support
68a : 지저판 68b : 측면판68a:
68c : 고정레버부분 69 : 수직추축핀68c: fixed lever part 69: vertical axis pin
70 : 교정로울러 71 : 슬롯70: calibration roller 71: slot
72 : 솔레노이드 밸브 (solenoid valve)72a : 작동로드72: solenoid valve 72a: working rod
73 : 수직추축핀 74 : 추축아암73: vertical axis pin 74: axis arm
75 : 지지아암 76 : 수평핀75: support arm 76: horizontal pin
77 : 코일스프링 78 : 검출로울러 지지대77: coil spring 78: detection roller support
78a : 검출로울러 기저판 78b : 검출로울러 측면판78a: base plate for
79 : 검출로울러 80 : 마이크로 스위치79: detection roller 80: micro switch
본 발명은 관형벨트 콘베이어 내에서 사용하기 위해 관형벨트를 비틀림으로부터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 tubular belt from torsion for use in a tubular belt conveyor.
분말, 작은알갱이, 부서진 덩어리와 같은 물질을 관모양의 벨트(1)속에 완전히 둘러싸서 어떤방향으로 또 어떤 높이로든지 전달하고 끌어올리기 위한 유연한 관형순환벨트를 포함하고 있는 관형벨트 콘베이어는 이미 개발되어 있다.Tubular belt conveyors have already been developed which contain flexible tubular circulation belts for completely enclosing substances such as powders, granules and broken masses in the tubular belt (1) and for transporting and lifting them in any direction and at any height. .
제 1 도,제 2 도,제 3 도에서 걸쳐 그러한 종래의 관형벨트 콘베이어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유연한 관형 순환벨트(1)는 고무와 같은 유연하고 탄력있는 물질이거나 또는, 어느정도 부드러운 플라스틱 물질, 혹은 이와 유사한 물질로 만들어져 있다. 이러한 유연한 관형순환벨트는 상단구동로울러(2)와 하단구동로울러(3) 사이에 걸쳐져 있으며, 통상구동로울러 축을 돌아서 벨트가 말려져 올라가는 현상에 의해 관형태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관형태의 형성은 벨트의 길이를 따라 서로 내부면과 외부면이 겹쳐짐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관형순환벨트는 일정하게 경사진각에서 관형순환벨트가 말려져 올라간 상태의 반대편으로 내려오기 위한 시작할 때는 일단 펼쳐져서 노출이 된다.Examples of such conventional tubular belt conveyors are shown in FIGS. 1, 2 and 3. The flexible tubular circulation belt 1 is made of a flexible and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of some soft plastic material, or a similar material. This flexible tubular circulation belt is interposed between the top drive roller (2) and the bottom drive roller (3), and forms a tubular shape by the belt being rolled up around the axis of the normal drive roller, which forms the tubular belt.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verlap each other along the length of the. These tubular circulating belts are unfolded and exposed once they begin to descen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urled circulating belt at an inclined angle.
관형순환벨트(1)는 벨트(1)의 움직이는 행로를 따라서 2개의 로울러 즉 상단로울러(2)와 하단로울러(3)사이에 적당한 거리로 설치된 직각틀판(5)에 배치된 여러개의 지지틀(SUPPORT frame)(4)에 의해서 적절히 지지된다. 지지틀(4)의 내부에는 제 2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격벽판(4c)으로 나누어진 2개의 방(chamber) 즉 상단방(4a)와 하단방(4b)가 주어진다. 상단방(4a)를 통해서 관형순환벨트(1)의 운반통로(1a)가 주어지며, 하단방(4b)를 통해서는 귀환통로(1b)가 주어진다. 지지틀(4)의 상단방(4a) 및 하단방(4b) 각각에는 방사상으로 여러개의 지지로울러(6)이 있으며, 이 로울러들은 관형순환벨트(1)와 서로 접하고 있다. 지지로울러(6)는 관형순환벨트(1)의 모양을 관모양으로 만들어주고 또 계속 관모양으로 지탱시켜 준다.The tubular circulation belt (1) has a plurality of supporting frames arranged on a right angle plate (5) installed at a suitable distance between two rollers, that is, the upper roller (2) and the lower roller (3) along the moving path of the belt (1).
제 3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하단로울러(3)에서 펼쳐진 관형순환벨트(1)는 관형순환벨트(1)의 바닥과 양쪽 측면을 받쳐주는 안내로울러(guide roller)(7,8)의 도움으로, 말려져 올라가는 현상에 의해 점차 관모양의 형태로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하단로울러(3) 바로위에 위치한 깔때기(9)로부터 공급된 분말, 작은 알갱이, 부서진 덩어리와 같은 혼합물들이 벨트속으로 싸여져 급송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3, the tubular circulation belt 1 unfolded from the lower roller 3 is supported by guide rollers 7 and 8 which support the bottom and both sides of the tubular circulation belt 1. As a result, it is gradually rolled up into a tubular shape. In this process, mixtures such as powder, pellets and broken mass supplied from the funnel 9 located directly above the lower roller 3 are wrapped and fed into the belt.
관형순환벨트(1)의 양측 끝은 서로 조금겹쳐져 적하(積荷) 물질(10)을 완전하게 둘러싼 후, 관형순환벨트(1)의 운반통로(1a)를 따라서 지지틀(4)의 상단방(4a)을 통하여 이동되어진다. 이동 도중에 상단방(4a)속에 있는 지지로울러(6)에 의해 벨트(1)은 계속 관모양으로 지탱되어 진다. 이 과정에서 벨트의 양측 끝이 서로 겹치는 부분은 벨트의 맨 위부분까지 유지되므로 관형순환벨트(1)에 완전하게 싸여진 물질이 벨트(1)를 새어나올 위험성이 없다.Both ends of the tubular circulating belt 1 overlap each other a little so as to completely surround the dripping material 10, and then the upper side of the
관형순환벨트(1)는 상단구동로울러(2) 근처에서 제 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벨트 휨구조와 꼭같은 구조를 가진 벨트 펼침구조(도시되어 있지는 않음)에 의해서 점차 펼쳐진다. 펼쳐진 관형순환벨트(1)는 상단구동로울러(2)를 돌아서 회전하며 이때 운반되어진 적하물질(10)은 관형순환벨트(1)로부터 상단끝에 위치한 회수기(receiver)(11)로 옮겨진다.The tubular circulation belt 1 is gradually unfolded by a belt unfolding structure (not shown)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belt bending structure as shown in FIG. 3 near the top drive roller 2. The unfolded tubular circulation belt 1 rotates around the top drive roller 2, and the loaded material 10 is transferred from the tubular circulation belt 1 to a
그후, 관형순환벨트(1)은 귀환통로(1b)를 따라서 아래로 이동되어진다. 펼쳐진 관형순환벨트(1)는 안내로울러의 도움으로 말려지는 현상에 의해 점차 둥글게 되어 다시 관모양으로 되게된다. 관형순환벨트(1)는 지지틀(4)의 하단방(4b)을 통하여 지나오게 되며, 이때 관형순환벨트(1)는 하단방(4b)측에 있는 지지로울러(6)에 의해 관모양으로 유지되며 관형순환벨트(1)의 하단부에서 벨트의 양측끝면이 겹치게 된다. 관형순환벨트(1)는 또다른 안내로울러에 의해 점차 펼쳐지게 되고, 펼쳐진 관형순환벨트(1)는 다시 하단로울러(3)를 돌아가게된다. 이와같이 하여 관모양의 벨트콘베이어는 적하물질을 운반하게 된다.Thereafter, the tubular circulation belt 1 is moved downward along the
이러한 종류의 벨트콘베이어는 때때로 수백미터나 되는 먼 거리에도 사용되어진다. 상단로울러(2)와 하단로울러(3)사이의 거리가 상당히 먼 경우에, 관형순환벨트(1)는 다음과 같은 원인들로 인하여 종종 벨트 축주위에서 비틀려진다.Belt conveyors of this kind are sometimes used over long distances of hundreds of meters. In the case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roller 2 and the lower roller 3 is considerably far, the tubular circulation belt 1 is often twisted around the belt axis due to the following causes.
(a) 오래사용으로 인하여 기계적 부분들 및 기타부분에, 부분적인 변형된 마멸이 발생했을 때(a) Long-term use results in partial deformation of the mechanical parts and other parts.
(b) 지지로울러의 위치가 흩트러졌을 때(b) When the position of the support rollers is scattered
(c) 지지로울러와 지지로울러를 지탱하는 부분들을 제작함에 있어서 정확도에 오차가 있을 때(c) When there is an error in accuracy in manufacturing the support rollers and the parts supporting the support rollers;
(d) 지지로울러에 부분적인 마멸 혹은 변형된 마멸이 있을 때(d) there is partial wear or deformation in the support roller;
(e) 유연한 관형순환벨트의 두께, 탄성, 강도등에 불균일성이 있을 때(e) When there is nonuniformity in thickness, elasticity, strength, etc. of flexible tubular circulation belt
특히, 관형순환벨트(1)의 운반통로(1a)에서 비틀려졌을 때, 관형순환벨트 속에 싸여져 있던 적하물질(10)이 세어나오게 되고, 관형순환벨트(1)와 구동모타에 과도한 힘이 걸리게 되어 마멸을 가속시키고 마침내는 여러부분들이 파손되게 한다.In particular, when twisted in the transport passage (1a) of the tubular circulation belt (1), the dripping material (10) enclosed in the tubular circulation belt is counted out, and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tubular circulation belt (1) and the driving motor. It accelerates abrasion and finally causes parts to break.
본 발명의 목적은, 앞에서 설명한 여러 요인들로부터 불합리함을 제거한 유연한 관형순환벨트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간단하고 안정되며 신뢰도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mple, stable and reliable device that prevents torsion of a flexible tubular circulation belt that eliminates irrationality from the various factor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의해, 관형벨트콘베이어 내에서 사용하기 위해 유연한 관형벨트를 비틀림으로부터 방지하기 위한 장치중에 유연한 관형벨트는 서로 일정한 거리를 떨어져 위치하고 있는 첫번째와 두번째로울러 사이에 걸쳐져 있고, 이 양로울러상에서 관형벨트는 펼쳐지며, 이러한 관모양의 형태로 두 로울러사이에서 이동하는 벨트는 지지로울러 셋트에 의하여 지탱되고, 지지로울러는 그와함께 접촉하고 있는 벨트의 둘레 주위를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또한 지지틀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한장치에 있어서 관형벨트가 오른쪽 또는 왼쪽방향으로 비틀려질 경우, 지지틀에 추축으로 갖추어진 교정로울러 지지대에 설치된 교정로울러의 각이 제 1 과 제 2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가 검출로우러에 의해 작동하여 교정로울러를 오른쪽과 왼쪽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된 교정수단에 의해 관형벨트의 진행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면에 경사상태로 걸쳐진 교정로울러의 각을 변화할 수 있는 개량된 장치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exible tubular belt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which are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in a device for preventing the flexible tubular belt from torsion for use in a tubular belt conveyor, and on the tubular belt. In this tubular form, the belt moving between the two rollers is supported by a set of support rollers, the support rollers being arranged radially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belt in contact with it. When the tubular belt is twisted in the right or left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solenoids of the calibration rollers installed in the support rollers are pivotally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when the tubular belt is twisted in the right or left direction. A solenoid valve is actuated by the detection roller And it has a correction roller characterized by an improved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the angle of the spanning correction rollers in an inclined state on a plane orthogonal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ubular belt by the correcting means so as to change to the right and to the left.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면에서 같은 부분들은 같은 번호로 기재되어 있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the same parts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numbers in the drawings.
제 4도,제5도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제 1도, 제2도,제3도의 종래의 벨트콘베이어에서 응용된 것이다.4 and 5 show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pplied to the conventional belt conveyor of FIGS. 1, 2, and 3.
브래킷(67)은 지지틀(4)의 격벽판(4c)에 연결되어 일정한 길이만큼 뒤로 뻗어나와 있다. U모양 교정로울러(68)에는 벨트(1)의 이동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으로 뻗어있는 지저판(68a)과 지저판(68a)의 끝부분에서 지저판(68a)에 직각인 방향으로 뻗어있는 한쌍의 측면판(68b)이 있다. 이 교정로울러 지지대(68)는 지저판(68a)의 중앙을 수직선회핀(69)으로 브래킷(67)의 중앙에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함으로써 브래킷(67)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측면판(68b)은 관형벨트(1)의 진행통로(1a)와 접하고 있는 교정로울러(70)을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한다. 고정레버부분(68c)은 (제 13도 참조) 지저판(68a)의 하단부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고정레버부분의 나머지 한쪽 끝부분은 교정로울러의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한쌍의 슬롯(71)이 있다.The
한쌍의 솔레노이드 밸브(72)에는 고정레버부분(68c)에 관하여 제 4 도에서 좌우 대칭으로 브래킷(67)의 한상단면에 설치된 작동로드(72a)를 형성하고 있고, 작동로드(72a)의 자유단은 그들의 슬롯에서 수직추축핀에 의하여 고정레버부분(68c)의 자유단과 연결되어져 있다.The pair of
추축아암(74)은 수직추축핀(73)에 의하여 브래킷(67)의 하부면 중앙선단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져 있다. 지지아암(75)은 수평핀(76)에 의하여 추축아암(74)의 후 위끝에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져 있다. 이 지지아암(75)은 수평핀(76)에 꼭맞게 코일스프링(77)에 의해 위쪽으로 받쳐져 있다.The
U형태로 된 검출로울러 지지대(detect roller support)(78)에는 지저판(78a)과 지저판(78a)의 끝부분으로부터 지저판(78a)에 직각인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뻗어나온 한쌍의 측면판(78b)이 있다. 측면판(78b)은 관형벨트(1)의 운반방향을 따라 관형벨트(1)에 의해 구르는 검출로울러(78)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고 있으며, 지지아암(75)의 자유단인 나머지 한쪽 끝부분 후면에 고정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72)를 작동시키기 위한 한쌍의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80)는 지지아암(75)의 양쪽면에서 받침대(67)의 후면부에 설치되어 있다.The U-shaped
관형벨트(1)의 운반방향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관모양의 벨트(1)의 진행통로(1a)가 비틀리는 경우, 검출로울러(79)와 함께 지지아암(75)은 관형벨트(1)의 운반방향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즉 제 4도에서는 위쪽으로 이동되어 진다. 그러면, 제 4도에서 윗쪽에 위치한 마이크로 스위치(80)가 지지아암(75)에 의해 동작되어진다. 그 결과, 후위 솔레노이드 밸브(72)는 마이크로 스위치(80)에 의하여 작동되고, 작동로드(72a)를 당겨지며, 교정로울러(70)와 함께 교정로울러 지지대(68)는 제 4도에서 수직추축핀(69) 둘레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교정로울러(70)는 관형벨트(1)의 운반방향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관형벨트(1)에 비틀림힘을 제공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같이, 관형벨트(1)의 진행통로(1a)의 비틀림을 자동적으로 상쇄, 혹은 제거시킨다. 관형벨트(1)의 벨트(1)의 진행통로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비틀릴 때, 관형벨트(1)의 비틀림도 이미 설명된 바와 꼭같은 방식으로 자동적으로 상쇄 혹은 제거되어 진다.When the traveling path 1a of the tubular belt 1 is twisted 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tubular belt 1, the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50004858A KR850001598B1 (en) | 1981-03-04 | 1985-07-08 | Belt torsion preven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30971 | 1981-03-04 | ||
JP56030971A JPS57145709A (en) | 1981-03-04 | 1981-03-04 |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torsion of tubular belt in pipe conveyor |
KR1019810001980A KR850001599B1 (en) | 1981-02-18 | 1981-06-03 | Belt torsion prevention device |
KR1019850004858A KR850001598B1 (en) | 1981-03-04 | 1985-07-08 | Belt torsion prevention devic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10001980A Division KR850001599B1 (en) | 1981-02-18 | 1981-06-03 | Belt torsion prevention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1598B1 true KR850001598B1 (en) | 1985-10-24 |
Family
ID=27287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50004858A KR850001598B1 (en) | 1981-03-04 | 1985-07-08 | Belt torsion preven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5000159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15254A (en) * | 2019-10-23 | 2019-12-27 |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 Use method of belt conveyor, carrier roller assembly and belt conveyor |
-
1985
- 1985-07-08 KR KR1019850004858A patent/KR850001598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15254A (en) * | 2019-10-23 | 2019-12-27 |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 Use method of belt conveyor, carrier roller assembly and belt convey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02395A (en) |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a flexible tubular belt from twisting for use in a tubular belt conveyer | |
US4096939A (en) | Apparatus for feeding glass containers at spaced intervals | |
EP0329235B1 (en) | Dough piece bending device | |
KR850001598B1 (en) | Belt torsion prevention device | |
US20040035189A1 (en) | Conveyor | |
JPH062453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wist in pipe conveyor | |
US2682253A (en) | Color banding machine for cylindrical objects | |
JP3612601B2 (en) | Pipe conveyor twist detection method | |
JPH0515606B2 (en) | ||
US20090133992A1 (en) | Self-Correcting Conveyor Facility | |
KR920701560A (en) | Automatic Socks Flipping Machine Coupling to Interlocking Machine | |
KR850001599B1 (en) | Belt torsion prevention device | |
HU184000B (en) | Device for hindering the torsion of flexiale tubular belts applied on tubular conveyor | |
JPH11278409A (en) | Liquid filling apparatus | |
US3139970A (en) | Arrangement for inverting the sides of belts in endless conveyors and the like | |
FI77960C (en) | Machine for forming whole diggings | |
KR0164196B1 (en) | Turn over equipment for tire | |
KR20130013606A (en) | Device for preventing deviation of belt conveyor | |
US4062439A (en) | Apparatus for transporting yarn packages produced by a textile machine | |
JPH0733165B2 (en) | Detecting device for rolling and twisting in pipe conveyor | |
JP7269399B1 (en) | test chain | |
JP2618733B2 (en) | Curve conveyor with belt guide | |
US3620347A (en) | Egg-handling equipment | |
JP3168505B2 (en) | Belt conveyor with twisted conveying surface | |
JP3585341B2 (en) | Agricultural transport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85070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50925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601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6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860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8810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8910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010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110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209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310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410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51016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510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