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50001368B1 -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368B1
KR850001368B1 KR8205406A KR820005406A KR850001368B1 KR 850001368 B1 KR850001368 B1 KR 850001368B1 KR 8205406 A KR8205406 A KR 8205406A KR 820005406 A KR820005406 A KR 820005406A KR 850001368 B1 KR850001368 B1 KR 850001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riving
electric motor
signal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5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733A (ko
Inventor
사도루 요꼬다
노부오 안자이
Original Assignee
가다야마 히도하지로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다야마 히도하지로,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다야마 히도하지로
Publication of KR840002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66B1/3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with AC powered elevat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66B11/0446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with screw-nut or worm-screw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66B11/045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with planetary or epicycloidal gear, e.g. differential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66B11/048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with a clutch or a coupling system between several motors, e.g. switching different speeds, progressive starting, torque limitation, flywhe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5/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two or more electric motors
    • H02P5/7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two or more electric motors controlling two or more AC dynamo-electric motors
    • H02P5/74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two or more electric motors controlling two or more AC dynamo-electric motors mechanically coupled by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
제1도는 종래의 에레베이터 구동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의 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제어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를 단면으로 표시한 측면도.
제6도는 전력변환장치의 회로도.
제7도는 제6도의 전력변환장치의 운전 및 방향지령 발생장치의 주파수 및 상순(相順) 지령발생장치의 상세한 회로도.
제8도-제13도는 전력변환장치의 동작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125 : 승실(乘室) 2 : 구동로우프
4, 126 : 균형추 7 : 편향활자
8 : 구동륜 12, 22, 30 : 감속기
13, 23, 33, 36, 123 : 전동기 14, 24, 34, 37, 124 : 제동기
16 : 회전계 17, 27 : 제어장치
31 : 웜기어 32, 35 : 합
101, 102, 103 : 음극다이오드 104, 105, 106 : 양극다이오드
108-113 : 트랜지스터 114-119 : 다이오드
120 : 인버터 124 : 권상기
127 : 승강장 128 : 승강장버튼
135 : 콘덴서 142 : 펄스발생기
145 : 대코오터 146-151 : OR소자
본 발명은 승실을 현지하는 구동로우프를 권설한 구동륜을, 감속기구를 통하여 전동기로 구동하는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와 제2도는 종래의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1)은 승강로, (2)는 이 승강로(1)을 승강하는 승실, (3)은 이 승실(2)의 정상에 일단이 고정된 구동로우프, (4)는 구동로우프(3)의 타단에 결합되어서 승실(2)의 운동과는 역행하여 승강로(1)을 승강하는 균형추, (5)는 상기 승강로(1)의 정상에 설치된 기계실, (6)은 이 기계실(5)에 설치된 기계다이, (7)은 상기 기계다이(6)에 고정되어 균형추(4)의 중심(重心)을 향하여 현수되게 구동로우프(3)을 편향시키는 편향활자, (8)은 상기 구동로우프(3)이 권설된 구동륜, (8a)는 이 구동륜(8)의 구동축, (9)는 이 구동축(8a)에 직결되어 평행측치차가 있는 저속축, (10)은 이 저속축(9)와 소정의 감속비로 결합된 중간치차, (11)은 이 중간치차(10)와 소정의 감속비로 계합된 평행축치차가 있는 고속축, 상기저속축(9), 중간치차(10) 및 고속축(11)은 감속기(12)를 구성하는 것이다. (13)은 고속축(11)에 회전축의 일단이 연결된 전동기, (14)는 이 전동기(13)의 회전축을 재지시키는 제동기, (15)는 상기 전동기(13)의 회전축의 타단에 고착된 프라이호일, (16)은 전동기(13)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계, (17)은 이 회전계(16)의 신호를 수신하여 전동기(13)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승실(2)가 정지 중에는 전동기(13)은 작동하지 않고, 감속기(12)의 고속축(11)은 제동기(14)에 의하여 제지되며, 중간치차(10)을 통하여 저속축(9), 구동축(8a) 및 구동륜(8)도 제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승실(2)는 구동로우프(3)에 의하여 현수 정지되는 것이다.
또한 전동기(13)이 제어장치(17)에 의하여 작동되면 제동기(14)가 해방되어 전동기(13)이 회전한다. 이때의 회전수는 회전계(16)에 의하여 검출되어서 제어장치(17)에 귀환되어 전동기(13)을 소정의 속도로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감속기(12)의 고속축(11)은 전동기(13)에 의하여 구동되어 다시 중간치차(10)을 통하여 감속되어서 저속축(9), 구동축(8a) 및 구동륜(8)을 회전시켜서 다시 구동로우프(3)와 구동륜(8)과의 마찰구동에 의하여 승실(2)가 승강되는 것이다.
그런데 구동륜(8)에는 승실(2)의 전중량이 부하됨으로써 승실(2)의 적재용량이 변동되면 구동축(8a) 및 이 구동축(8a)를 구동하는 감속기(12)의 치차에 필요하게 되는 강도가 변동된다.
또한 승실(2)의 승강속도가 변동되면, 감속기(12)의 감속비나 전동기(13)의 극수(數極)도 변경되게 된다.
더우기 전동기(13)에 부수되어 제어장치(17)도 변동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에레베이터에는 승실(2)의 승강속도 및 적재용량에 대응하여 다 종류의 전동기(13) 및 제어장치(17)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양산화하기 어렵고 고가로 되는 결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결점을 감안하고 발명한 것으로 승실의 적재용량이 적은 소형에레베이터용 전동기를 준비하고 승실의 적재용량은 많은 에레베이터에는 상기 전동기를 복수대 사용하도록 하여 에레베이터를 구동하는 전동기의 양산화를 도모하여 생산비를 저렵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승실을 현수지지하가 구동로우프는 권설된 구동륜을 감속기구를 통하여 구동하는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구에 복수의 전동기를 계합시키며 또한 이들 전동기를 동시에 작동시켜 병행운전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도록 한 것이므로 상기 전동기의 사용개수를 증감시킴으로써 상기 에레베이터의 사양에 적합한 전동기의 출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에레베이터의 설계에 따른 전동기를 다종류 준비할 필요가 없게되어 양산화를 도모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생산가를 저렵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 (12)는 구동륜축(8a) 방향에 대하여 구동륜(8) 일측에 장설되어 제2도에 도시된 종래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 제1의 감속기. (13)은 동일하게 제1의 전동기로서, 3상 유도전동기이다.
(14)는 동일하게 제1의 제동기,
(15)는 동일하게 제1의 프라이호일,
(16)은 제1의 전동기(13)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계,
(17)은 제1의 전동기(13)을 제어하는 제1의 제어장치,
제4도에 있어서 (17a)는 이 제1의 제어장치(17)내에 설치되어 승실(2)의 운전속도를 발생시키는 지령속도 발생장치,
(17b)는 3상 교류전원(18)을 일단 직류로 변환한 후 재차 3상 교류전원을 발생시키는 제1의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제어장치(VVVF)로서,
회전계(16)의 신호와 지령속도 발생장치(17a)의 신호와의 차신호에 의하여 주파수및 전압을 변경하여 제1의 전동기(13)을 제어하는 것이다.
제3도에 있어서, (19)는 제1의 감속기(12)의 저속축(9)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또한 구동륜(8)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으로 된 부위에 장설된 제2의 저속축,
(20)은 동일하게 제2의 중간치차,
(21)은 동일하게 제2의 고속축으로 제2의 저속축(19),
제2의 중간치차(20) 및 제2의 고속축(21)은 제2의 감속기(22)를 구성하는 것이다.
(23)은 제2의 고속축(21)에 연결되어 제1의 전동기(13)과 동일하게 설계된 제2의 전동기,
(24)는 제1의 제동기(14)와 동일하게 설계된 제2의 제동기, (25)는 제1의 프라이호일(15)와 동일하게 설계된 제2의 프라이호일,
(27)은 상기 제2의 전동기(23)을 제어하는 제2의 제어장치로서, 제1의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장치(17)와 동일하게 구성된 제2의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제어장치(VVVF)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예레베이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승실(2)가 정지중에는 제1의 전동기(13) 및 제2의 전동기(23)은 함께 작동하지 않게 되고 제1의 감속기(12) 및 제2의 감속기(22)는 각각 제1의 제동기(14) 및 제2의 제동기(24)에 의하여 제지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승실(2)는 구동로우프(3)에 의하여 현수 정지되는 것이다.
승실(2)의 문짝(도시없음)이 폐문되어 기동조건이 정비되면, 제1의 전동기(13) 및 제2의 제어장치(27)에 의하여 작동되며,
동시에 제1의 제동기(14) 및 제2의 제동기(24)가 각각 개방되어서 승실(2)가 구동된다.
제1의 전동기(13)의 회전수는 회전계(16)에 의하여 검출되며, 지령속도발생장치(17a)의 속도형식과 비교된다.
이 비고신호에 의하여 제1의 전동기(13) 및 제2의 전동기(23)이 각각 제1의 VVVF(17b) 및 제2의 VVVF(27b)에 의하여 제어되어서 승실(2)를 소정의 속도로 운전하는 것이다.
승실(2)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지령속도 발생장치(17a)에서 감속형식이 발생하여 제1의 전동기(13) 및 제2의 전동기(23)이 감속되며, 이에 따라서 승실(2)도 감속되는 것이다.
더우기, 승실(2)가 정지점에 도달하면, 제1의 전동기(13) 및 제2의 전동기(23)은 공히 작동하지 않으며, 동시에 제1의 제동기(14) 및 제2의 제동기(24)는 동시에 작동하여 승실(2)를 제지시키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승실(2)는 제1의 전동기(13)과 제2의 전동기(23) 2대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한 것이어서, 제1의 전동기(13)의 2배의 출력을 갖는 전동기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더우기 또한 제1의 전동기(13) 및 제2의 전동기(23)은 3상 유도전동기로서 각각 제1의 VVVF(17b) 및 제2의 VVVF(27b)에 의하여 제어되게 하였으므로 승실(2)의 정격속도에 상응하게 주파수의 상한치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하면,
상기 주파수에 따라서 등기속도고 변화되어 소정의 정격속도로 승실(2)을 구동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승실(2)의 정격속도가 상이한 에레베이터에 대하여서도 구동륜(8), 제1의 감속기(12),
제1의 전동기(13), 제2의 감속기(22) 및 제2의 전동기(23)은 각각 동일한 설계의 것으로 대처할 수 있어서 양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구동로우프(3)은 승실(2)의 대략중앙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서 구동륜(8)은 승강로(1)의 대략중앙에 배치될 필요가 있어 구성상 제약을 받게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전동기도 필연적으로 배치위치가 결정되어 용량이 커지면 외형도 커져서 기계실(5)의 벽도 여러가지 제약을 받게 된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전동기는 제1의 전동기(13)과 제2의 전동기(23)으로 분산되어서 소형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같은 제약을 피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구동륜(8)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제1의 전동기(13)과 제2의 전동기(23)이 배치되게 하였으므로 기계실(5)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우기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의 감속기(12) 및 제2의 감속기(22)는 어느 것이나 평행축치차가 있는 것으로 하였으나,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성된 것도 무방하다. 즉, (30)은 감속기, (31)은 이 감속기(30)에 수납되어 저속축(9)에 고착된 웜기어,
(32)는 이 웜기어(31)의 상부에 계합되는 제1의 웜,
(33)은 이 제1의 웜(32)에 직결된 제1의 전동기,
(34)는 이 제1의 전동기(35)을 지제시키는 제1의 제동기, (35)는 상기 웜기어(31)의 하부에 계합하는 제2의 웜,
(36)은 이 제2의 웜에 직결된 제2의 전동기,
(37)은 이 제2의 전동기(36)을 제지시키는 제2의 제동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도 구동륜(8)은 저속축(9), 웜기어(31) 및 제1의 웜(32)를 통해 제1의 전동기(33)에 의하여
그리고 제2의 웜(35)를 통해 제2의 전동기(36)에 의하여 각각 구동되므로 용량이 큰 전동기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고,
이 점에 있어성도 전동기의 양산화를 기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웜과 웜기어에 의한 감속이므로 제3도에 도시한 평행축치차에 비하면 진동이 적은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감속기로서 주지된 유성로울러(도시없음)를 사용하여도 상기한 바와같은 양산화가 가능함과 동시에 제5도에 도시한 것보다도 더욱 진동이 적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더우기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의 전동기(13) 및 제2의 전동기(23)은 3상 유도전동기로 된 것을 사용하였으나, 이것을 각각 직류전동기로 하고, 또한 제1의 제어장치(17) 및 제2의 제어장치(27)을 각각 직류가변전압제어장치로 하여
전압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직류전동기의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하면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승실(2)의 속도가 상이한 에레베이터도에 동일한 설계에 의한 전동기 및 감속기로 대응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더우기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동기 그대로 구동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에레베이터는 전부하에 가까운 상태에서는 승실(2) 축이 균형추(4)보다도 무거워서 하강 운전에서는 가속되기 쉬운 것이다.
반대로 무부하에 가까운 상태에서는 상승운전에 가속되기 쉬운 것이다.
따라서 제1의 전동기(13) 및 제2의 전동기(23)은 양자가 동일하게 제어될 필요는 없고, 승실의 부하상태와 운전방향에 의하여 제2의 전동기(23)을 소세시켜서 타성으로 회전시켜 제1의 전동기(13)에만 작동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에 의하여 전력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제4도에 도시된 지령속도 발생장치(17a), 가변전압 가변수제어장치(17b)에 대하여 설명한다.
더우기(27b)로 표시된 제어장치는(17b)로 표시된 제어장치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6도에는 VVVF(17b)이 상세한 것이 표시되어 있으면, R.S.T는 전원변압기 TR에 접속된 3상 교류전원. (101), (102), (103)은 음극이 상호 접속된 다이오드, (104), (105), (106)은 음극이 각각 다이오드(101), (102), (103)의 양극과 3상교류전원 R.S.T에 접속되어 양극이 상호 접속된 다이오드, (107)은 다이오드(101)-(106)에 의하여 구성된 정류회로로서, 3상 교류를 전파정류하여 직류를 출력하는 것이다.
(107A)는 정류회로(107)의 출력측에 접속된 평활콘덴서,
(108), (109), (110)은 콜렉타가 각각 정류회로(107)의 직류측 플러스단자에 접속된 트랜지스터,
(111), (112), (113)은 콜렉타가 각각 트랜지스터(108), (109), (110)의 에미터에 접속되어 에미터가 각각 정류회로(107)의 직류측 마이너스단자에 접속된 트랜지스터,
(114)-(119)는 각각 트랜지스터(109)-(113)에 역병열로 접속된 다이오드,
(120)은 트랜지스터(108)-(113) 및 다이오드(114)-(119)에 의하여 구성된 인버터장치로서,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여 다이오드(108)-(110)의 에미터에 각각 접속된 간선 U.V.W에 가변주파수의 3상 교류를 발생하는 것이다.
(122a)-(122c)는 간선 U.V.W에 각각 접속된 전자접촉기,
(123)은 축(123a)를 통하여 권상기(124)에 연결된 3상 유도전동기로서, 전자접촉기(122a)-(122c)이 폐로에 의하여 가변주파수의 3상 교류에 의하여 작동되어서 권상기(124)를 회전시켜 구동로우프(124A)를 통하여 승실(125) 및 균형추(126)을 승강시키는 것이다.
(125a)는 승실(125)에 설치된 승실조작반,
(127)은 숭실(125)에 의하여 서어비스되는 승강장,
(128)은 이 승강장(127)에 설치된 승강장버튼,
다음에서 지령속도발생장치(17a)에 대하여 설명한다.
(129)는 이 승강장 버튼(128)에 의하여 등록된 승강장호출이나, 승강장 조작반에 의하여 등록된 승실호출에 의하여 결정되는 승실(125)의 운전방향이나, 운전지령을 출력하는 운전및 방향지령발생장치,
(130)은 이 운전및 방향지령발생장치(129)의 출력신호가 입력되어 각각 독립 작동하는 6개의 출력단자가 트랜지스터(108)-(113)의 베이스에 접속된 주파수 및 상순(相順) 지령발생치장로서 운전및 방향지령발생장치(129)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트랜지스터(108)-(113)을 도통시켜서 간선 U.V.W에 3상 교류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제7도에 있어서 제6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한 부분을 표시한 것이고, (+Vcc)는 직류정극, (-Vcb)는 직류부극, (131)은 3상유도전동기(123)을 기동할 때 폐로되는 기동지령 접점으로서, 일단이 직류정극(+Vcc)에 접속되어 있다.
(132)는 승실(125)가 목적하는 층에 도달하기 이전의 소정거리에서 감속지령이 발생하면 폐로되는 감속지령접점으로서,
일단이 직류부극(-Vcb)에 접속되었다.
(133)은 일단이 기동지령접점(131)의 타단에 접속된 저항기,
(134)는 일단이 저항기(133)의 타단에 접속되어 타단이 감속지령접점(132)의 타단에 접속된 저항기,
(135)는 일단이 저항기(133)의 타단에 접속되어 타단이 접지된 콘덴서,
(136)은 양극이 접지되어 콘덴서(135)를 병열로 접속시킨 다이오드,
(137)은 기동지령접점(131), 감속지령접점(132), 저항기(133), (134), 콘덴서(135), 다이오드(136)으로 구성되어 콘덴서(135)의 일단이 전압을 속도지령신호 VP로 하여 발생하는 속도지령발생회로,
(139)는 일단이 직류정극(+Vcc)에 접속되어 승실(125)를 상승시킬때 폐로되는 상승지령접점,
(140)은 일단이 상승지령접점(139)의 타단에 접속되어 타단이 접지된 하강지령접점으로서, 승실(125)를 하강시킬때 폐로되는 것이다.
(141)은 상승지령접점(139) 및 하강지령접점(140)으로 구성되어 상승지령접점(139)의 타단의 전압을 방향지령신호 Vd로 하여 발생하는 방향지령발생회로로서, 이 방향지령발생회로(141)과 속도지령발생회로(137)은 운전방향 및 속도지령발생장치(129)를 구성하는 것이다.
(142)는 속도지령신호 Vp가 입력되어 이 입력신호에 상용한 수의 펄스신호(143a)를 출력하는 펄스발생기(144)는 단자 U/D에 방향지령신호 Vd가 입력되어 단자 I에 펄스신호(143a)가 입력되는 2일의 가감산계수기로서 상승지령접점(139)가 폐로되어서 방향지령신호 Vd가 직류정극(+Vcc)(이하에서 신호 H라고 함)로 되었을때 펄스신호(143a)의 펄스를 가산하고,
또한 가항지령접점(140)이 폐로되어서 방향지령신호 Vd가 접지전위(이하에서 신호 L라고 함)로 되었을때 펄스를 감산하여 각각 신호선(144a)에 2진수의 1자리째의 신호를, 신호선(144b)에 동일하게 2자리째의 신호를,
다시 신호선(144c)에 동일하게 3자리째의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것이다.
(145)는 가감산 계수가(144)의 신호에 의하여 작동되어 신호선(145a)에서 순차택일적으로 신호 H를 출력하여 나가서 신호선(145f)에 신호(H)를 출력하게 되면, 재차 신호선(145a)에 복귀하여 신호 H를 출력하는 데코오더,
(146)은 신호선(145a)와 신호선(145b)가 입력단자에 접속된 OR 소자로서 출력선(146a)가 트랜지스터(108)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동일하게 하여 (147)-(151)은 신호선(145b)와 신호선(145c), 신호선(145c)와 신호선(145d),
신호선(145d)와 신호선(145e), 신호선(145e)와 신호선(145f) 및 신호선(145f)와 신호선(145a)가 각각 입력단자에 접속된 OR소자로서 출력선(147a)-(151a)가 각각 트랜지스터(113), (109), (111), (110) 및 (112)의 베이스에 접속되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력변환장치에 있어서 3상 교류전원 R.S.T에서 공급되는 3상 교류는 정류회로(107)로 전파정류된다.
평활콘덴서(107A)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정류회로(107)의 출력전압 E7은 주지하는 바와같이 제8도에 표시하는 파형이 된다.
평활콘덴서(107)이 접속되면 출력전압 E7은 평활한 파형이 된다.
한편 정류회로(107)에 입력되는 3상교류중 3상 교류전원 R.S간의 전압 Ers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피이크치의 발생시각이 출력전압 E7의 1개의 피이크치와 일치한다.
그리고 3상 교류전원 R를 흐르는 선전류 Ir7에 대하여 고찰하면 위상(π/3-2π/3) 사이에서는 다이오드(101), (105)가 도통하고,
위상(2π/3-π)의 사이에는 다이오드(101), (106)이 도통한다.
더우기 위상(4π/3-5π/3)의 사이에서는 다이오드(103), (104)가 도통하고,
위상(5π/3-2π) 사이에서는 다이오드(102), (104)가 도통한다.
따라서 3상 교류전원 R를 흐르는 선전류 Ir7은 제9도에 도시한 파형이 된다.
3상 교류전원 S.T에 대하여서도 동일하다. 이제 승실(125)는 상승방향으로 계속 운전되어 운행중이며, 소정층에 정지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상승지령접점(139)가 폐로되어 방향지령신호 Vd는 신호 H가 되어 가감산계수기(144)에 입력되어 있다.
기동지령이 출력되면 전자접촉기(122a)-(122c)가 폐로됨과 동시에 기동지령접점(131)이 폐로되어서 콘덴서(135)는 저항기(133)을 통하여 충전되며 그전압, 즉 속도지령신호 Vp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증가한다.
펄스발생기(142)는 속도지령신호 Vp에 대응하는 수의 펄스신호(143a)를 출력한다.
그리고 가감산계수기(144)는 이 펄스신호(143a)를 가산한다.
즉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각 t1으로 0번째의 펄스신호(143a)가 입력되면 신호선(144a)-(144b)는 어느 것이나 신호 L로 되어 있다.
다음에 1번째의 펄스신호(143a)가 입력되면 신호선(144a)가 신호 H로 되고,
신호선(144b), (144c)는 어느 것이나 신호 L대로로 된다. 2번째의 펄스신호(143a)가 입력되면 신호선(144b)가 신호 H로 되고, 기타는 신호 L가 된다.
3번째의 펄스신호(143a)가 입력되면 신호선(144a) 및 신호선(144b)가 공히 신호 H로 되고, 신호선(144c)는 신호 L대로로 된다. 4번째의 펄스신호(143a)가 입력되면 신호선(144c)가 신호 H로 되고, 기타는 신호 L가 된다.
5번의 펄스신호(143a)가 입력되면 신호선(144a)와 신호선(144c)가 신호 H가 되고, 신호선(144b)는 신호 L가 된다.
더우기, 시각 t2에서 6번째의 펄스신호(143a)가 입력되면 신호선(144a)-(144c)는 어느 것이나 신호 L가 된다.
즉 6진카운터를 구성하는 것이다. 레코오더(145)에 6진의 신호가 입력되면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펄스신호(143a)에 동기하여 신호선(145a)-(145f)에 순차신호 H가 출력된다. OR소자(146)-(151)에는 시간적으로 인접하여 신호 H가 출력되는 한쌍의 신호선(145a)-(145f)가 각각 입력되기 때문에 출력선(146a)-(151a)에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신호선(143a)-(145f)에 출력되는 신호 H의 2배의 계속시간의 신호 H를 출력하고, 동시에 2분의 신호선(146a)-(151a)가 신호 H가 된다.
트랜지스터(108)-(103)은 신호선(146a)-(151a)의 신호 H에 의하여 도통되어서 간선 U.V.W에 3상 교류를 발생시켜, 3상유도전동기(123)을 작동시켜서 승실(125)를 상승구동한다.
속도지령신호 Vp의 상승과 동시에 펄스신호(143a)의 펄스간격이 축소되어 인버터장치(120)에서 출력되는 3상 교류의 주파수가 높게되어 3상유도전동기(123)이 증속된다.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t3초후에 승실(125)가 감속성에 도달하면 감속지령접점(132)가 폐로되어 콘덴서(135)에 축적된 전하가 저항기(134)를 통하여 방전된다.
속도지령신호 Vp는 점감(漸減)되어 시간 t4에서 0이 된다.
이에 따라서 펄스신호(143a)의 펄스간격도 넓어져서 인버터장치(120)에서 출력되는 3상 교류의 주파수가 낮아져서 3상 유도전동기(123)이 감속된다.
시간 t4에서 속도지령신호 Vp는 0이 되어 3상유도전동기(123)이 정지한다.
다음에 승실(125)를 하강시킬 경우에는 펄스발생기(142)의 펄스신호(143a)가 가감계수기(144)로 감산되어 그 결과가 신호선(144a)-(144c)에 출력된다.
데코오더(145)는 상승시의 상회전과는 역의 상회전의 3상 교류가 인버터장치(120)에서 발생되게 신호선(145a)-(145f)에 신호를 출력한다. 3상 유도전동기(123)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승실(125)를 하강시켜서 목적으로 하는 층에 착상(着床)시키는 것이다.

Claims (14)

  1. 승실을 현수 지지하는 구동로우프가 권설되는 구동륜을 감속기구를 통하여 전동기로 구동하는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륜에 연결된 복수의 감속기구 : 상기 감속기구에 각기 연결되어 상기 감속기구를 통하여 상기 구동륜을 구동하는 복수의 전동기 ; 및 상기 전동기를 승실의 기동에서 정지까지의 전기간 또는 일부기간 병행운전시키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동기를 3상 유도전동기로 하고, 제어장치를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재어 장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전동기를 직류전동기로 하고, 제어장치를 가변전압제어장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어장치를 전동기마다 1조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의 1대에 연결되어 전동기의 운전시의 속도신호를 발생하는 속도검출수단을 보유하고, 이 하나의 속도검출수단의 신호에 기인하여 상기 각 제어장치가 각 전동기를 운전제어하는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동기에 연결된 복수의 재동기를 보유하고, 이 제동기는 상기 전동기의 운전제어에 동기시켜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동작제어 되는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승실의 운전방향과 부하상태에 의하여 전동기의 하나를 부새제어하고 나머지의 전동기를 소세제어하는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에레베이터가 전부하 또는 전부하에 가까운 상태에서 하강운전시킬때, 또는 무부하 혹은 무부하에 가까운 상태에서 상승 운전될 때에는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동기중의 하나를 부세제어하여 에레베이터를 운전하는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속기구 및 상기복수의 전동기구는 상기 구동륜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의 위치 관계로 배설되어 있는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속기구 및 상기 복수의 전동기는 모두가 상호 동일한 구성과 동일한 설계에 의한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속기구, 상기 복수의 전동기 및 상기 복수의 재동기는 상호 동일한 구성과 동일한 설계로 된 에레베이트의 구동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구는 평행축지차군으로 구성되어 있는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구는 상기 전동기에 연결된 웜과, 이 웜과 교합하는 웜기어와, 이 웜기어에 연결되어서 상기 구동륜을 회동시키는 출력축을 보유한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구는 하나의 웜기어와, 이 웜기어에 대하여 대칭된 위치에서 교합하는 복수의 웜을 보유하는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
KR8205406A 1982-01-25 1982-12-02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 KR8500013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9904 1982-01-25
JP57009904A JPS58130874A (ja) 1982-01-25 1982-01-25 エレベ−タの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733A KR840002733A (ko) 1984-07-16
KR850001368B1 true KR850001368B1 (ko) 1985-09-24

Family

ID=11733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5406A KR850001368B1 (ko) 1982-01-25 1982-12-02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S58130874A (ko)
KR (1) KR850001368B1 (ko)
CA (1) CA1221479A (ko)
GB (1) GB2118130B (ko)
HK (1) HK82785A (ko)
MY (1) MY8600268A (ko)
SG (1) SG60185G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234B1 (ko) * 2004-12-21 2006-09-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승강기 탑승자의 체중을 이용한 저층건물용 발전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9879A (en) * 1996-05-06 1997-12-23 Sakita; Masami Elevator system
DE29924759U1 (de) * 1998-02-26 2005-06-23 Otis Elevator Co., Farmington Zugelement für einen Aufzug
ITPR20010094A1 (it) * 2001-12-21 2003-06-21 Selcom Spa Apparato di movimentazione cabine o piattaforme mobili,
KR100526200B1 (ko) * 2002-01-19 2005-11-03 장순길 케이지와 카운터 웨이트 사이에 변속 장치를 사용한 엘리베이터
EP1411017A1 (en) * 2002-10-14 2004-04-21 GMV S.p.A. Energy saving lift system
JP2005289532A (ja) 2004-03-31 2005-10-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EP1760030B1 (en) * 2004-06-25 2011-10-0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GR1005680B (el) * 2006-10-24 2007-10-11 Κωνσταντινος Τσασιταλιδης Μηχανη ανελκυστηρα ελξεως με ηλεκτρομειωτηρα στροφων κοιλου αξονα ο οποιος καταπονειται μονο σε στρεψ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91449B1 (fr) * 1980-10-08 1985-07-12 Ppm Sa Treuil de lev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234B1 (ko) * 2004-12-21 2006-09-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승강기 탑승자의 체중을 이용한 저층건물용 발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82785A (en) 1985-11-01
GB2118130A (en) 1983-10-26
GB8302012D0 (en) 1983-02-23
JPS58130874A (ja) 1983-08-04
KR840002733A (ko) 1984-07-16
MY8600268A (en) 1986-12-31
GB2118130B (en) 1985-06-05
CA1221479A (en) 1987-05-05
SG60185G (en) 198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8299A (en) AC elevator control system
JPS6361265B2 (ko)
KR850001368B1 (ko) 에레베이터의 구동장치
US4094385A (en) Levelling apparatus for AC elevator
JP2622398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NZ205756A (en) Controlling lift:loop gain adjustable in relation to cab loading
JPH0355389B2 (ko)
JPS6315231B2 (ko)
JP330272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US4738346A (en) Driving unit for passenger conveyor system
KR940003953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US4086983A (en) Elevator control system
US4479565A (en) Control apparatus for a.c. elevator
US5777280A (en) Calibration routine with adaptive load compensation
US4150734A (en) Elevator control apparatus
JPH0632553A (ja) エレベータ装置
US7588124B2 (en) Speed control method of elevator-purpose inverter and speed control apparatus thereof
JPH0664853A (ja) エレベーターのレベル制御装置
KR860000338B1 (ko) 교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JP3149416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JP2858172B2 (ja) 立体駐車設備の速度制御装置
KR20190130232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동기 제어방법
JPH02228288A (ja) 駆動制御装置
JPH0419161Y2 (ko)
JPH09227037A (ja) 交流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212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50827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5113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51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851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80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108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9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