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295B1 - Device for inserting slide fastener chains on slides - Google Patents
Device for inserting slide fastener chains on slid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50001295B1 KR850001295B1 KR1019840003620A KR840003620A KR850001295B1 KR 850001295 B1 KR850001295 B1 KR 850001295B1 KR 1019840003620 A KR1019840003620 A KR 1019840003620A KR 840003620 A KR840003620 A KR 840003620A KR 850001295 B1 KR850001295 B1 KR 8500012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
- fastener chain
- guide
- slides
- grip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의 그립을 보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rip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의 A―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의 파스너 체인의 양측 엘레멘트를 해체시키기 위한 분리롤러를 보인 측면도.4 is a side view showing a separation roller for dismantling both elements of the fastener chai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a)도, 제5(b)도, 제5(c)도는 양측이 분리된 파스터 체인을 그립이 원운동을 하면서 슬라이드에 삽설하는 상태를 보인 작용 상태 설명도.5 (a), 5 (b), and 5 (c) are explanatory views of the operation stat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ipper is inserted into the slide while the grip is circularly moved, with both sides separated.
제6도는 본 발명의 그립이 원형의 궤적을 그리면서 습등하기 위하여 에어실린더를 이용한 장치의 일예를 보인 평면도.6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pparatus using an air cylinder to wet the grip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drawing a circular trajectory.
제7도는 안내홈에 삽입된 본 발명 롤러의 상태를 보인 일부 사시도.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제8도는 안내홈에 삽입된 본 발명 롤러의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the 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serted into a guide groove.
제9도는 슬라이드의 양견구가 형성된 각도에 맞추어 그립의 단부가 움직이는 궤적을 보인 작용 설명도.FIG. 9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trajectory of an end of a grip moving in accordance with an angle at which both shoulders of a slide are formed; FIG.
제10도 및 제11도는 본 발명의 그립이 원형의 궤적을 그리면서 습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크랭크를 이용한 장치의 일예를 보인 평면도 및 그 측면도.10 and 11 are plan and sid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device using a crank to allow the grip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lide while drawing a circular trajectory.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파스너 체인 공급릴 2 : 파스너 체인1: fastener chain supply reel 2: fastener chain
3 : 파스너 체인 안내롤러 4 : 파스너 체인 안내판3: fastener chain guide roller 4: fastener chain guide plate
5 : 파스너 체인 절단도 6 : 슬라이드 유도 및 파지기구5: fastener chain cutting figure 6: slide guide and gripping mechanism
7,7' : 감지기 및 발신부 8 : 파스너 체인을 양측으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롤러7,7 ': Detector and transmitter 8: Separation roller to separate fastener chain on both sides
9,9' : 분리롤러의 솔레노이드 10 : 리미트 스위치9,9 ': Solenoid of separation roller 10: Limit switch
11,11' : 그립 17 : 크랭크나 에어실린더 등의 왕복운동 수단.11,11 ': Grip 17: Reciprocating means such as a crank or an air cylinder.
본 발명은 장척(長尺)의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이하 파스너 체인이라 함)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후 이를 슬라이드에 삽설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utting a long slide fastener chai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astener chain)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serting the same into a slide.
종래에는 파스너 체인을 슬라이드에 삽설하기 위하여 파스너 체인의 단부 좌 우를 평행하게 가지런히 손으로 잡고 슬라이드의 협소한 양견구에 정확하게 삽입하도록 하였으므로, 작업자가 손 끝에 신경을 집중시켜 정확히 행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따라서 작업능률이 저하되어 생산성이 저조하였던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파스너 체인에 슬라이드를 부설하기 위한 장치”(특허공고 79-1247)가 제안 되었으며 이는 슬라이드의 유도 및 파지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 할 수 있는 반면에, 파스너 체인을 슬라이드에 삽설하는 과정에서, 파스너 체인의 단부가 슬라이드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격벽에 도달하기 바로 직전에 파스너 체인의 양단부를 적절한 힘으로 벌려주면서 진행 방향으로 당겨주어야 하는 극히 정밀한 동작이 요구되므로 이는 자동화 할 수 없었으며 따라서 상기 작업은 여전히 작업자가 손으로 할 수 밖에 없었으므로 이것 역시 생산성을 향상시키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insert the fastener chain on the slide, the right and left ends of the fastener chain were held in parallel and precisely inserted into the narrow shoulders of the slide.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roductivity was low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work efficiency, and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device for laying a slide in the fastener chain has been proposed (Patent Publication 79-1247).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fastener chain on the slide, while the end of the fastener chain is inserted into the slide, both ends of the fastener chain are opened with an appropriate force just before reaching the bulkhead. This requires a very precise operation to be pulled in the direction of progress while giving this could not be automated and thus the work still had to be done by hand by the operator this also did not improve the productivity.
본 발명은 이와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여 파스너 체인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공정과 슬라이드에 삽설하는 제반 공정을 간단한 구조로써 자동화할 수 있게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se problems and enables the process of cutting the fastener chain to a certain length and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slide chain into a slide with a simple structur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공급릴(1)에 의하여 파스너 체인(2)을 일정속도로 공급하며 이를 안내롤러(3) 및 안내판(4)에 의하여 안내 되도록 하고 절단도(5)에 의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게 하며, 슬라이드 유도 및 파지기구(6)에 의하여 슬라이드가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보지되게 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안내판(4)의 후방에 감지기(7) 및 발신부 (7')를 수직선상으로 대향되도록 설치하고 그 후방에는 상하 좌우의 롤러 직경이 상이한 분리롤러(8) 및 그 솔레노이드(9), (9,)를 배치하며, 감지기(7)의 하방에서부터 슬라이드 유도 및 파지기구(6)후방의 리미트 스위치(10)까지의 공간을 공지의 왕복운동 수단(17)에 의하여 습등되는 그립(11), (11')이 서로 대칭이 되는 반원형의 체적을 그리면서 이동하게 한 것으로 미설명 부호 12는 슬라이드이며 13은 슬라이드 파스너의 좌우 엘레멘트이고 14은 그립의 작동간이다. 그리고 16은 좌우 그립(11), (11')이 안내홈(15)의 형상을 따라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롤러이며 18은 그립(11), (11')를 승하강시키는 솔레노이드이고 19는 그립(11), (11')의 연장간이며 20은 파스너 체인의 엘레멘트가 그리는 궤적도, 21은 그립(11), (11')의 선단이 그리는 궤적도이며 22는 슬라이드의 양견구이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먼저 파스너 체인(2)이 감긴 공급릴(1)을 회전시켜 줌으로써 파스너 체인(2)이 안내롤러(3)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절단도(5) 및 안내판(4)을 경유하여 감지기(7) 및 발신기(7')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발신기(7')에서 나온 빛이나 적외선등이 감지기로 가는 도중 차단되며 따라서 감지기(7)는 변화된 신호를 제어기(도면에는 불표시함)에 입력시켜 솔레노이드(18)를 작동시키게 되어 작동간(14)이 상승되므로 좌우 그립(11), (11')은 파스너 체인(2)의 양측을 제5(a)도에 보인바와 같은 상태로 물게 된다. 또한 동시에 제어기는 절단도(5)를 순간적으로 하강시켜 파스너 체인(2)을 절단한다. 그리고 제어기에 의하여좌우 그립(11), (11')을 습등하는 크랭크나 래크기어 혹은 에어실린더 등의 왕복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좌우 그립(11), (11')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분리롤러(8)를 통과하게 된다.First, by rotating the feed reel 1 wound around the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분리롤러(8)의 상하측 및 좌우의 롤러가 그 직경이 상이하게 되어 있으므로 서로 맞물려 체결되어 있던 파스너 체인(2)의 양측 엘레멘트(13)는 분리롤러(8)를 통과하는 동안 제4도에 보인 바와 같이 해체되어 파스너 체인(2)의 양측이 분리되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일정 길이 만큼 분리시켜 준 후에는 제어기에 의하여 솔레노이드(9), (9')는 상측의 롤러는 상승시키고 하측의 롤러는 하강시키며 파스너 체인(2)의 양측을 물고 있는 그립(11), (11')은 계속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제6도 및 제7도에 표현된 바와같이 왕복운동 수단(17)에 연결된 그립(11), (11')의 연장간(19)하부에 롤러(16)가 유설되고 이는 안내판의 안내홈(15)에 의하여 안내되는 것이어서, 결국 그립(11), (11')은 안내홈(15)의 형상인 반원형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제5(b)도와같이 그립(11), (11')간의 거리가 확장되는 상태가 된다. 이어서 제5(c)도에 보인 바와같이 그립(11), (11')간의 거리가 다시 좁혀지면서 슬라이드(12) 양견구(22)의 형성각도(θ)에 일치되도록한 상태로 파스너 체인(2)을 끼우고 다시 그립(11), (11')은 평행 이동을 하게되어 리미트 스위치에 도달하므로 제어기는 리미트 스위치(10)의 신호를 받아 그립(11), (11')의 솔레노이드(18)및 분리롤러용 솔레노이드(9), (9')를 “OFF”시켜서 스립(11), (11')은 물고 있던 파스너 체인 양측을 놓게 되고 상, 하 분리 롤러(8)는 또다시 맞물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어기는 그립(11), (11')이 감지기(7)와 발신부(7')의 수선상에 위치하도록 복귀시켜서 안내판(4)을 통과한 파스너 체인이 도달하면 또 다시 감지기의 작동으로 그립의 솔레노이드(18)가 작동되고 전기한 바와같은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슬라이드(12)에 파스너 체인(2)이 삽설된 제품은 제어기에 의하여 하방으로 낙하되며 아울러 파스너 체인(2)에 슬라이드(12)를 계속 삽설하기 위하여 공지의 슬라이드 유도 및 파지기구(6)가 슬라이드(2)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좌우 양측의 엘레멘트가 체결된 가지런한 상태에서 파스너 체인(2)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이를 슬라이드(12)에 삽설하기 위하여 파스너 체인을 좌우로 벌려주는 과정에서 특히 좌우로 당겨서는 용이하게 벌어지지 않는 파스너 체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하 및 좌우의 직경이 다른 롤러가 맞물려 있는 사이에 좌우의 파스너 체인의 엘레멘트가 끼워지게 하여 제4도에 보인 바와같이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한 슬라이드의 양견구(22)의 성형각도(θ)에 맞추어 안내홈(15)의 형상을 요설하면 슬라이드 양견구(22)의 성형각도(θ)와 일치하는 각도로 슬라이드(!2)에 파스너 체인(2)이 인입되게 할 수 있어 삽설 작업이 극히 원만하게 되고 신속하게 되는 것이다.이와같이 하여 본 발명은 파스너 체인의 양측 엘레멘트가 체결된 상태에서 소정의 길이로 가지런히 절단한 후에는 상 하 좌우의 직경이 상이한 롤러를 갖는 분리롤러에 의하여 양측의 엘레멘트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슬라이드의 양견구(22)성형 각도에 맞추어 파스너 체인이 정확하게 삽설되게 할 수 있고 이러한 제반 공정을 완전히 자동화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원가의 절감 및 불량율을 극소화 시킬 수 있게되는 유용한 발명이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left and right rollers of the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40003620A KR850001295B1 (en) | 1984-06-26 | 1984-06-26 | Device for inserting slide fastener chains on slides |
JP17761484A JPS6130241A (en) | 1984-06-26 | 1984-08-28 | Device for inserting and mounting sliding fastener to slid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40003620A KR850001295B1 (en) | 1984-06-26 | 1984-06-26 | Device for inserting slide fastener chains on slid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1295B1 true KR850001295B1 (en) | 1985-09-12 |
Family
ID=19234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40003620A KR850001295B1 (en) | 1984-06-26 | 1984-06-26 | Device for inserting slide fastener chains on slide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S6130241A (en) |
KR (1) | KR850001295B1 (en) |
-
1984
- 1984-06-26 KR KR1019840003620A patent/KR85000129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4-08-28 JP JP17761484A patent/JPS6130241A/en active Gran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139852B2 (en) | 1989-08-23 |
JPS6130241A (en) | 1986-0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56148A (en) | Wire and cable drive apparatus in wire and cable cutting and stripping system | |
US5412856A (en) | Wire marking, cutting and stripping apparatus and method | |
US425204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rod-like workpieces in a severing machine | |
EP0134702A1 (en) | Apparatus for cutting electric wire in specified length | |
US5247732A (en) | Cable handling and preparation apparatus | |
DE3873645D1 (en) | METHOD AND TOOL FOR AUTOMATICALLY BINDING CABLES WITH AN ENDLESS BINDING STRIP. | |
JPH0381245B2 (en) | ||
CA1037692A (en) | Cutting and insulation stripping apparatus for twisted wire pair | |
US4034450A (en) | Marker sleeve installation | |
US4161269A (en) | Web clamp | |
KR850001295B1 (en) | Device for inserting slide fastener chains on slides | |
EP077985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kiving belt ends | |
EP0675577A2 (en) | Cable feeding device for automatic connecting apparatus | |
RU2108886C1 (en) | Apparatus for feeding metallic strip with grippers | |
ATE78772T1 (en) | DEVICE FOR MEASURING A WEB OF FILM FOR WRAPPING OF OBJECTS FEED ALONG A HORIZONTAL SUPPORT. | |
EP0281243B1 (en) | Wire strand stacker | |
CN214133702U (en) | Automatic head bundling machine | |
CN211638130U (en) | Feeding guide mechanism of cold header | |
US4793759A (en) | Wire strand stacking method | |
CN206806884U (en) | A kind of liner agency | |
CN217370229U (en) | Wire cutting equipment | |
CN206883703U (en) | A kind of cable bursts at the seams equipment | |
EP0078285B1 (en) | Procedure for the cutting up of two half carcasses of pigs | |
GB159531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metal wire from a covering of insulating material | |
JP3606084B2 (en) | Electric wire switch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406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5081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511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512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85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8809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8912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009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1091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109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