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50000764Y1 - 복합 조리기(複合調理器) - Google Patents

복합 조리기(複合調理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764Y1
KR850000764Y1 KR2019820000439U KR820000439U KR850000764Y1 KR 850000764 Y1 KR850000764 Y1 KR 850000764Y1 KR 2019820000439 U KR2019820000439 U KR 2019820000439U KR 820000439 U KR820000439 U KR 820000439U KR 850000764 Y1 KR850000764 Y1 KR 8500007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oker
electric heater
control unit
induction he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04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2406U (ko
Inventor
미쓰오 야마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300024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4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7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764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1/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stoves or ranges, e.g. each having a different kind of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합 조리기(複合調理器)
도면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전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내부 기구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제1케이스 (3) : 제2케이스
(4) : 제1가열부(전기 히이터 곤로) (7),(8) : 댐퍼
(11) : 제어부(power unit) (12) : 냉각 팬
(13),(14) : 제2가열부(유도 가열조리기의 톱 플레이트(top plate) 및 유도코일
본 고안은 복수 종류의 조리기를 일체화하여 되는 복합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도 가열 조리기의 케이스 상면에 다른 조리기 예컨대 전기 히이터 근로를 가지는 케이스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여 되는 복합 조리기가 실용화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복합 조리기에 있어서는 전기 히이터 곤로와 유도 가열 조리기와의 사용빈도 혹은 조리장의 상황등에 따라, 전기 히이터 곤로의 케이스와 유도 가열 조리기의 케이스와 상하 반대로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렇지만, 유도 가열 조리기는 톱 플레이트, 유도 코일, 제어부 및 그 유도 코일과 제어부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팬 등을 하나의 케이스로 일괄해서 설치한 것이며 전기 히이터 곤로의 케이스에 대한 형상이나 중량의 점 등에서 상기와 같은 상하 반대 형식을 사용하는데는 구조상의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
그래서, 유도 가열 조리기의 톱 플레이트 및 유도 코일을 개폐측(상측)의 케이스에 설치하고, 그 유도 가열 조리기의 제어부를 전기 히이터 곤로와 함께 고정측(하측)의 케이스에 설치하는 일로 생각되나, 이 경우에는 개폐측의 케이스에 유도 코일 냉각용의 냉각팬이 필요하고 고정측의 케이스에는 제어부 냉각용의 냉각팬이 필요하고, 두개의 냉각팬을 사용하기 때문에 코스트의 상승을 초래함은 물론, 결국은 구조상의 문제를 생기게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하는 바는 코스트의 상승을 초래함이 없이, 또 구조상의 문제가 생기는 일 없이 개폐측 케이스에 있어서의 유도 가열 조리기능의 사용을 가능케하는 복합 조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1)은 본체로서, 이 본체(1)는 제1케이스(2)와 제1케이스(2)의 상면에 대하여 화살표 A-A' 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제2케이스(3)로 된다. 제1케이스(2)의 상면에는 제1가열부 예컨대 전기 히이터 곤로(4)가 설치되고, 이 전기 히이터 곤로(4)를 전후로 설치된 풍류입구(5)와 풍류입구(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풍류출구(5)와 풍류입구(6)의 내측에는 댐퍼(7),(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댐퍼(7),(8)는 제2케이스(3)의 개방시에는 도시하지 않은 용수철의 변화력에 의하여 풍류출구(5) 및 풍류입구(6)에 밀접하여 통풍을 차단하는 동시에, 제2케이스(3)를 닫을시에는 후술하는 댐퍼 개방 클로오(17b),(18)가 당접하므로써 용수철의 변화력은 저하하여 도시와 같이 개방되어 통풍로(通風路)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 제1케이스(2)의 전면측 저부에는 공기 흡입구(9)가 형성되고, 배면측 저부에는 공기 배출구(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케이스(2) 안에는 상기한 전기 히이터 곤로(4)와 후술하는 유도 코일(14)에의 전력 공급제어를 행하는 제어부(11)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냉각팬(1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2케이스(3)의 상면에는 제2가열부 예컨대 유도 가열조리기의 톱 플레이트(13)이 설치되어 있고, 이 톱 플레이트(13)와 대응하는 제2케이스(3) 안에는 유도 코일(14)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2케이스(3)의 전면측 저면에는 제1케이스(2)의 풍류출구(5)와 대응하는 풍류입구(15)가 형성되고, 배면측 저면에는 제1케이스(2)의 풍류입구(6)와 대응하는 풍류출구(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케이스(3)의 내부 전면측에는 <자형의 레버(17)가 그의 대략 중앙부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레버(17)의 일단은 제2케이스(3)의 전면을 관통하여 화살표 B-B'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손잡이(17a)가 되고, 타단은 제2케이스(3)의 저면을 관통하여 댐퍼 개방 클로오(17b)로 되어 있다. 이 댐퍼 개방 클로오(17b)는 제2케이스(3)을 닫을 때, 제1케이스(2)안에 있어 댐퍼(7)를 개방하는 것이다. 또 제2케이스(3)의 배면측 저부에는 풍류출구(16)의 근방에 돌기상의 댐퍼 개방 클로오(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댐퍼개방 클로오(18)는 제2케이스(3)을 닫을 때, 제1케이스(2)안에 있어서 댐퍼(8)를 개방하는 것이다.
또, 제1케이스(2) 안에는, 댐퍼(7),(8)의 개방을 각각 검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19),(20)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이 스위치(19),(20)의 동작에 의하여 예컨대 제어부(11)에 있어서의 유도 가열 조리용의 전력 공급 제어 형태와 전기 히이터 곤로(4)에 의한 히이터 가열 조리용의 전력 공급 제어 형태가 바뀌도록 되어 있다. 또 제1케이스(2)의 전면에는 전원 스위치와 파워콘트롤 손잡이가 있는 조작부(21)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지금, 유도 가열 조리를 행할 경우, 제2케이스(3)를 닫고, 톱 플레이트(13) 상에 피조리 식품이 수납된 철이나 에나멜(enamel) 등의 냄비를 설치한다. 이 때, 제2케이스(3)의 닫음에 의하여 댐퍼(7),(8)가 개방되고,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3)와의 사이에 통풍 경로가 형성됨과 동시에 마이크로 스위치(19),(20)가 온(on)하여 제어부(11)가 유도 가열 조리용의 전력 공급 제어 형태로 바뀐다. 이리하여, 조리의 준비가 완료한 시점에서 전원을 투입하면, 제어부(11)와 유도코일(14)에 의하여 주지의 유도 가열 조리가 개시된다. 또 냉각팬(12)이 작동하고, 공기 흡입구(9)에서 흡입되는 공기가 냉각풍으로서 제어부(11)에 공급됨과 동시에, 그 냉각풍의 일부가 풍류출구(5)와 풍류입구(15)를 통하여 유도코일(14)에 공급된다. 그리고, 유도코일(14)을 거친 냉각풍은 풍류출구(16)과 풍류입구(6)를 통하여 제어부(11)를 거친 냉각풍과 함께 공기 배출구(10)에서 배출된다.
또한 전기 히이터 곤로(4)에 의한 조리를 할 경우, 손잡이(17a)를 들어올려 제2케이스(3)를 개방하고, 전기 히이터 곤로(4) 위에 피조리 식품이 수납된 냄비를 설치한다. 이때 제2케이스(3)의 개방에 의하여 댐퍼(7),(8)가 닫혀, 제1케이스(2)내에 대한 먼지나 식품 찌꺼기의 침입이 방지되는 동시에, 마이크로 스위치(19),(20)가 오프(off)하여 제어부(11)가 히이터 가열 조리용의 전력 공급 제어 형태로 바뀐다. 이리하여, 조리의 준비가 완료한 시점에서 전원을 투입하면, 전기 히이터 곤로(4)의 발열에 의한 조리가 개시된다. 이 경우, 전기 히이터 곤로(4)는 상업용 교류 전원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고, 제어부(11)의 냉각은 불필요하고, 따라서 냉각팬(12)은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도 가열 조리기의 톱 플레이트(13) 및 유도코일(14)을 개폐측의 제2케이스(3)에 설치하고, 그 유도 가열 조리기의 제어부를 전기 히이터 곤로(4) 및 냉각팬(12)과 함께 고정측의 제1케이스(2)에 설치하고, 그 위에 제2케이스(3)을 닫을 때에 개방하는 댐퍼(7),(8)에 의하여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3)와의 사이에 통풍 경로를 형성하도록 하였으므로, 유도가열 조리시에 있어서의 제어분(11) 및 유도코일(14)의 냉각을 하나의 냉각팬(12)으로 효율좋게 행할 수가 있다. 즉 2개의 냉각팬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코스트의 상승을 가져오지 않고 또 구조상의 문제도 생기지 않고, 개폐측의 제2케이스에 있어서의 유도가열 조리 기능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케이스(2)에 설치하는 제1가열부로서 전기 히이터 곤로(4)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그 제1가열부로서는 다른 조리기 예컨대 가스곤로도 좋다. 기타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요지를 변경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 말한 것처럼 본 고안에 의하면, 개폐측의 제2케이스를 닫을 때, 그 닫음에 의하여 개방하는 댐퍼에 의하여 고정측의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와의 사이에 통풍경로를 형성하도록 하였으므로, 냉각팬을 하나만 설치하여도 좋고, 따라서 코스트의 상승을 초래하지 않고, 또 구조상의 문제가 생기지 않고 개폐측 케이스에 있어서의 유도 가열 조리기능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복합 조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상면에 제1가열부를 가지는 제1케이스와, 상면에 제2가열부를 가지며, 상기 제1케이스의 상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제2케이스와, 제1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제2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1케이스내에 설치된 제어부를 냉각하는 냉각팬과, 제2케이스를 닫은 때에 개방하여 그 제2케이스와 제1케이스와의 사이에 통풍경로를 형성하는 댐퍼를 구비하고, 제2케이스를 닫은 때에는 그 제2케이스 내에 제1케이스내의 냉각풍을 인도하여 제어부와 제2가열부를 다 함께 냉각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리기.
KR2019820000439U 1981-01-23 1982-01-20 복합 조리기(複合調理器) Expired KR85000076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1007988U JPS57121817U (ko) 1981-01-23 1981-01-23
JP56-7988 1981-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406U KR830002406U (ko) 1983-11-21
KR850000764Y1 true KR850000764Y1 (ko) 1985-04-29

Family

ID=11680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0439U Expired KR850000764Y1 (ko) 1981-01-23 1982-01-20 복합 조리기(複合調理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7121817U (ko)
KR (1) KR8500007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406U (ko) 1983-11-21
JPS57121817U (ko) 198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8484B1 (en) Composite cooking apparatus
US3032028A (en) Domestic oven ventilation system
US4527542A (en) Oven ventilating system
US3328560A (en) Recirculating venting system for domestic oven
US6965101B2 (en) Cooling structure for oven door of microwave oven usable as pizza oven
EP1457740B1 (en) Method of operating a domestic oven and cooking oven having a cooling fan
JPS5944530A (ja) 加熱調理器
CN214548823U (zh) 多功能烹饪器具
KR850000764Y1 (ko) 복합 조리기(複合調理器)
US3215816A (en) Oven
JP2720522B2 (ja) 加熱装置
GB2258126A (en) Cooling and ventilating oven heated with micrwaves and other means
JPH06257768A (ja) 加熱調理装置
JPS583272Y2 (ja) 調理機器ユニツト
JPH0221694Y2 (ko)
JPS626404Y2 (ko)
CN213421190U (zh) 一种电磁炉
JPS6041461Y2 (ja) 電気オ−ブン
JPS6124802Y2 (ko)
JP2006003030A (ja) 加熱調理器
KR850001167B1 (ko) 복합 조리기
JPS6124818Y2 (ko)
KR0139293Y1 (ko) 가스오븐렌지의 히터장치
JPS596172Y2 (ja) 熱風循環式加熱調理装置
EP0686814B1 (en) Device for the condensing reduction in the cooking space of a microwave ov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2012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2012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503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507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