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50000407B1 - Bogies for railway vehicles - Google Patents

Bogies for railway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407B1
KR850000407B1 KR7901784A KR790001784A KR850000407B1 KR 850000407 B1 KR850000407 B1 KR 850000407B1 KR 7901784 A KR7901784 A KR 7901784A KR 790001784 A KR790001784 A KR 790001784A KR 850000407 B1 KR850000407 B1 KR 850000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le
frame
wheel set
bowlster
whe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79017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30000601A (en
Inventor
죠오지 폴라아드 머리스
서튼 앨런
Original Assignee
테렌스 사무엘 킬번
부리티슈 레일웨이즈 보오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렌스 사무엘 킬번, 부리티슈 레일웨이즈 보오드 filed Critical 테렌스 사무엘 킬번
Priority to KR7901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407B1/en
Publication of KR830000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6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407B1/en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26Mounting or securing axle-boxes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 B61F5/30Axle-boxes mounted for movement under spring control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철도 차량용 대차Trolley

제1도는 본 발명 대차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olley.

제2도는 대차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the bogie.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에 따른 반단면도.3 is a half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제4도는 교차 브레이스를 위한 탄성 연결부의 확대 세부도.4 is an enlarged detail view of an elastic connection for a cross brace.

제5도는 보울스터(bolster)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제3도의 유사도.5 is a similarity of FIG. 3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bolster.

제6도는 개조된 수직완충설비의 제1조에 유사한 부분 반단면도이다.6 is a partial half sectional view similar to that of Article 1 of the modified vertical buffer system.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대차(臺車)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체가 트럭 또는 대차에 지지된 철도차량 뿐만 아니라, 차체가 차륜세트들, 가량 4륜 차량에 직접 지지되는 차량, 및 차륜세트들의 조합체에 지지되는 차량에 적용되며,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분절(分節)되어 있고 두 차량의 인접 단부들이 단일의 공통 대차에 지탱되는 그러한 철도차량에도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way vehicle bogie.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not only to railway vehicles in which the body is supported on a truck or a bogie, but also to a vehicle in which the body is supported on wheel sets, a vehicle directly supported by a four-wheeled vehicle, and a combination of wheel set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each other. The same applies to those railroad cars that are segmented and whose adjacent ends of the two vehicles are supported on a single common bogie.

현재의 철도차량은 그 주행능력에 있어서 차체와 차륜사이의 강직도와 점성 혹은 마찰저항의 조건에 따라 설계된다. 따라서, 그들 변수가 차체와 차륜의 상대적 운동을 저지하기 때문에 높은 안정성이 얻어지는 반면, 철도트랙의 커어브 주행시에 내부 성능저하가 야기된다.Current railway vehicles are design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rigidity and viscosity or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wheels in the driving capability. Therefore, high stability is obtained because these variables prevent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body and the wheel, while deterioration of internal performance is caused when the track of the rail track is run.

철도 트랙의 커어브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차량의 운동을 허용하면서 고속에서 차량의 양호한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활축(活軸)이 각조의 차축베어링에 장착된 최소한 2개의 차륜세트를 가지고 있고, 한 차륜세트의 최소한 하나의 차축베어링이 차축 베어링들 간의 연결부들의 최소한 중간에서 아무런 수직하중도 지탱하지 않는 브레이스(brace)수단을 통해 다른 차륜세트의 최소한 하나의 차축 베어링과 상호 탄성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브레이스 수단은 차륜세트가 평행하나 정렬되지 않은 위치에 있을때는 높은 복원력을, 그리고 차륜세트가 정렬되어 있으나 평행하지 않은 위치에 있을때는 낮은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차륜 세트들간의 버팀대를 제공하는 그러한 장치가 철도차량에 제안되어 왔다.In order to provide good stability of the vehicle at high speed while allowing relatively free movement of the vehicle in the curve of the railroad track, the live shaft has at least two wheel sets mounted on each axle bearing, and one wheel set At least one axle bearing is mutually resilient to at least one axle bearing of the other wheel set via brace means that bear no vertical load at least in the middle of the connections between the axle bearings. The brace means are such devices that provide braces between wheel sets that produce high restoring forces when the wheel sets are in parallel but unaligned positions and low restoring forces when the wheel sets are in aligned but non-parallel positions. It has been proposed for rolling stock.

그러한 장치는 본 출원인의 영국 특허 제1179723호에 기술되어 있고 본 발명의 목적은 그러한 장치의 유리한 구성 및 기타 다른 개량점을 제공하는데 있다.Such a device is described in Applicant's British Patent No. 1179723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vantageous configuration and other improvements of such a device.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라 각조의 차축 베어링에 활축이 장착된 최소한 2개의 차륜세트를 가지고 있고, 한 차륜세트의 최소한 하나의 차축베어링이 차륜세트들 사이에 버팀대(brace)를 제공하는 브레이스수단을 통해 다른 차륜 세트의 최소한 하나의 차축베어링과 상호 탄성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브레이스 수단은 차량의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각 차륜세트의 상기 차축베어링들을 내장하는 차축 박스들 사이에 강직하게 연결된 차륜세트의 프레임 구조물을 가지고 있고, 상기 프레임 구조물이 차량의 차축 높이보다 낮은 수준에서 상기 탄성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race means having at least two wheel sets with axle mounted on each axle bearing, wherein at least one axle bearing of one wheel set provides a brace between the wheel sets. Is mutually resiliently connected to at least one axle bearing of another wheel set, the brace means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rigidly connected between the axle boxes containing the axle bearings of each wheel set. It is provided with a railway vehicle having a structure, wherein the frame structure is formed and arrang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elastic connection at a level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axle of the vehicle.

한 실시예에서, 각 프레임 구조물은 각 차축박스에 강직하게 연결된 상향연장 프레임 부재에 양 단부가 연결된 대략 얕은 V형태의 횡으로 배치된 수평연장 프레임 부재를 가지고 있고, 그 횡단 프로임 부재는 그들의 정점에서 상기 탄성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In one embodiment, each frame structure has an approximately shallow V-shaped horizontally extending frame member connected at both ends to an upwardly extending frame member rigidly connected to each axle box, the transverse frame members being their verti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elastic connecting portion.

상기 프레임 구조물은 상기 차축 높이보다 낮은 수준에서 상기 탄성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보울스터(bolster)가 차륜 세트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내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rame structure is connected by the resilient connection at a level lower than the axle height, and a bolster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wheel sets.

그 보울스터는 차량의 측부 프레임들 아래에서 2차 스프링 장착물(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코일스프링)에 의해 지지된 측부 플렌지를 설치하여도 좋고, 그 설비는 2차 스프링 장착물의 작용선이 측부 프레임과 차륜세트의 각 차축 박스 사이의 1차 스프링 장착물의 작용선과 실제로 동일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The bowlster may be provided with side flanges supported by secondary spring mounts (preferably flexible coil springs) under the side frames of the vehicle, the arrangement of which the line of action of the secondary spring mounts It is desirable to ensure that the line of action of the primary spring load between each axle box of the wheel set is substantially the same.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라, 철도차량은 차축박스의 피치운동을 억제하기 위해 1차 스프링 장착물을 거쳐 각차축 박스에 연결된 측부프레임을 가져도 좋고, 그 경우 각 상기 1차 스프링 장착물의 평면 강직도는 상기 탄성 연결부의 측방 강징도 보다 적도록 설계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railway vehicle may have a side frame connected to each axle box via a primary spring mount to suppress the pitch movement of the axle box, in which case the planar rigidity of each primary spring mount Is designed to be less than the lateral stiffness of the elastic connection.

일 형태에서 각 1차 스프링 장착물은 요구되는 수직/평면 강직도비를 제공하는 고무 패드(pad)를 가질 수 있다.In one form each primary spring mount may have a rubber pad that provides the required vertical / plane stiffness ratio.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라, 1차 스프링 장착물을 거쳐 각 차축박스에 연결된 측부 프레임을 가지고 있고 제1측면에서 언급한 종류의 철도차량에 있어서, 상기 각 측부프레임은 부프레임이 매달려 있는 I 단면의 브릿지(bridge)부재를 가진 조립식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브릿지 부재 및 부프레임이 그들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내로 보울스터의 각 측부 플렌지가 돌출하여 있으며, 상기 각 측부 플렌지가 2차 스프링 장착물을 거쳐 각 부프레임(sub-frame)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in a railway vehicle of the type mentioned in the first aspect, having a side frame connected to each axle box via a primary spring mount, each side frame is an I with a subframe suspended. It has a prefabricated structure with a bridge member of cross section, wherein the bridge member and the subframe form a space therebetween, and each side flange of the bowlster protrudes into the space, and each side flange is secondary It is supported by each sub-frame via a spring mount.

상기 공간내에는 보울스터를 위한 수직 및 측방의 댐퍼장치가 내장되어 있으며, 그 장치는 상기 측부 플렌지의 부프레임들에 부착되고 그 사이에 횡으로 연장하는 마찰 라이너(liner)와 접촉하도록 스프링편향수단에 의해 요구된 양만큼 부하되는 1조의 마찰 블록을 가지고 있다.In the space there are built-in vertical and lateral dampers for the bowlster, which springs are attached to subframes of the side flanges and in contact with a friction liner extending laterally therebetween. It has a set of friction blocks that are loaded by the required amount.

본 발명의 제3측면에 따라 제1측면에 언급된 종류의 철도차량에 있어서, 상기 각 차축박스는 카트리지(cartridge)베어링을 지지하기 위한 반원형의 베어링 지지표면을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카트리지 베어링은 일부 원형의 스트랩에 의해 정위치에 강직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그 스트랩은 차축 박스에 적절히 고정되어 있고 상기 카트리지 베어링위로 단단히 조여 있다.In the railway vehicle of the kind mentioned in the first aspect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axle box is formed to provide a semicircular bearing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a cartridge bearing, the cartridge bearing Is rigidly fixed in place by some circular straps, which straps are properly secured to the axle box and tightened onto the cartridge bearings.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 있어서 양호한 커어브주행을 위해 차륜 접지부가 고효율적인 원추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ll aspects of the invention, it is desirable that the wheel ground portion have a high efficiency cone for good curve driving.

본 발명의 상기 특징들이 쉽게 이해되고 다른 특징들이 명백하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대차 및 2개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하여 실시예로서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hat the abov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and other features apparent, the railway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wo oth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s examples.

제1도-제3도에서, 본 발명의 대차(臺車)는 두 개의 차륜세트 (1), (2)를 가지고 있고, 각 세트는 활축(4)에 장착된 차륜들(3)을 가지고 있다(즉, 각 활축은 차륜(3)에 견고히 연결되어 있다). 제1-3도에 도시된 차륜들은 0.05-0.5, 바람직하게는 0.2-0.3범위의 고효율적인 원추도를 가지고 있다. 차륜세트(1)는 차축 베어링(5)내에서 회전하며, 차륜세트(2)는 차축베어링(6)내에서 회전한다. 그 차축베어링은 본 실시예에서 각 차륜세트 차축의 양단부에 배치되나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그 각 베어링 위치에는 180도 이하의 내각을 가진 베어링 지지표면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박스(7)가 설치되어 있다. 반원형(또는 약간 덜 반원형)인 베어링 지지표면(8)을 제공함으로서 카트리지 베어링(9)은 상기 표면에 쉽게 위치될 수 있고 부분원형의 스트랩(10)(제1도)에 의해 적소에 강직하게 고정될 수 있다. 각 스트랩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볼트들(11)을 사용하여, 또는 스트랩의 일단부에 있는 적당한 분리가능한 커플링 (예를들면, 후크형 죠인트)과 타단부에 있는 볼트를 사용하여 카트리지 베어링(9)상에 조여있다.In Figures 1 to 3, the trolley of the invention has two wheel sets (1), (2), each set having wheels (3) mounted on the slide shaft (4). (Ie each shaft is firmly connected to the wheels 3). The wheels shown in FIGS. 1-3 have high efficiency cones in the range 0.05-0.5, preferably 0.2-0.3. The wheel set 1 rotates in the axle bearing 5, and the wheel set 2 rotates in the axle bearing 6. The axle bearings are arranged at both ends of each wheelset axle in this embodiment, but this is not essential. Each bearing position is provided with a box 7 designed to provide a bearing support surface with an internal angle of 180 degrees or less. By providing a semicircular (or slightly less semicircular) bearing support surface 8 the cartridge bearing 9 can be easily positioned on the surface and rigidly held in place by a partially circular strap 10 (FIG. 1). Can be. Each strap uses either bolts 11 as shown in FIG. 1 or a suitable detachable coupling (eg hook-type joint) at one end of the strap and bolts at the other end. It is tightened on the cartridge bearing 9.

차축박스(7)는 교차 브레이스의 일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교차 브레이스는 각 차륜세트(1), (2)의 차축박스(7)들 사이에 연장하여 있는 두 개의 강직한 프레임 구조물들 (12), (13)로 구성되어 있다,이 실시예에서, 각 프레임 구조물은 얕은 V형의 횡단 프레임부재들(14)을 가지고 있고, 그의 양단부가 상향경 사진 종단 프레임부재(15)에 용접되어 있다. 그들 프레임 부재는 그 구조가 횡단 및 종단으로 강직하도록 적당한 단면을 가지고 있다. 각 구조물의 프레임 부재(15)의 자유단부는 플랜지(16)를 가지고 있고, 그 플랜지에 의해 그 부재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볼트에 의해, 또는 용접 혹은 다른 어떤 강직한 연결부에 의해 각 차축 박스에 견고히 부착되어 있다. 각 프레임 구조물(12), (13)의 각 횡단 프레임 부재(14)는 그의 정점에 연결판(14a)이 설치되어 있고, 그 연결판(14a)이 설치되어 있고, 그 연결판(14a)에 의해 횡단부재들은 각 차륜세트 (1)과 (2)의 상대적 선형이동은 억제되나 차륜세트 서로에 대해 적은 복원 토오크를 가지고 자유롭게 회전이동(커어브통과를 위한 수평 면상의 회전)하는 것은 허용하는 어떤 적당한 장치에 의해 유연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 유연한 연결부는 또한 프레임 구조물(12)와 (13)사이에 그러므로 각 차륜세트 (1)과 (2)사이에 제한된 양의 차동로울 및 핏치 운동을 허용하여야 한다. 예를들면, 연결판(14a)는 돌출부와 채널부(제4도 참조)를 가지고 있고 그 돌출부는 채널 벽에 접합된 고무 패드(14b)를 거쳐 채널의 벽에 연결되어 있다(제4도 참조). 다른 설비에 있어서는 그러한 연결을 위해, "구형" 베어링 즉, 죠인트 부품들간에 유연한 삽입물이 있는 유니버설 죠인트나 또는 "굽힘성" 강철을 사용한다. 이 실시예에서 각 프레임 구조물 (12), (13)은, 제1도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V-프레임 부재(14) 또는 (15)의 평면상에서 각 프레임 부재들 (15)사이에 횡으로 연장하는 용접 부착된 지주(17)를 가지고 있다. 그 지주(17)는 교차브레이스의 종단강직도를 증진시킨다.The axle box 7 is integrally formed with a part of the cross brace, so that the cross brace has two rigid frame structures extending between the axle boxes 7 of each wheel set 1, 2. 12 and 13, in this embodiment, each frame structure has shallow V-shaped transverse frame members 14, both ends of which are welded to the upwardly inclined end frame member 15. It is. These frame members have a suitable cross section so that the structure is rigid in transverse and longitudinal ends. The free end of the frame member 15 of each structure has a flange 16 which is firmly secured to each axle box by means of the flange, by means of bolts as shown, or by welding or some other rigid connection. Attached. Each transverse frame member 14 of each of the frame structures 12 and 13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late 14a at its apex, and a connecting plate 14a is provided with the connecting plate 14a. The transverse members thereby suppress the relative linear movement of each wheel set (1) and (2) but allow free rotational movement (rotation on the horizontal plane for the passage of the curve) with little restorative torque relative to the wheel set. It is connected flexibly by a suitable device. The flexible connection must also allow a limited amount of differential and pitch motion between the frame structures 12 and 13 and therefore between each wheel set 1 and 2. For example, the connecting plate 14a has a protrusion and a channel portion (see FIG. 4), which is connected to the wall of the channel via a rubber pad 14b bonded to the channel wall (see FIG. 4). ). Other installations use "spherical" bearings, ie universal joints or "bendable" steel with flexible inserts between the joint parts. Each frame structure 12, 13 in this embodiment is each frame member 15 in the plane of each V-frame member 14 or 15 as shown in FIGS. 1 and 2. It has the post-welded strut 17 extended laterally. The strut 17 enhances the longitudinal stiffness of the cross brace.

횡단 프레임부재(14)가 프레임부재(15)의 경사에 의해 차륜세트의 차축(4)의 높이 아래에 잘 지지되어 있는 것을 제1도로 부터 쉽게 알 수 있다. 이것은 대차의 주 측부 프레임(19)들 사이에 보울스터(18)(제3도)를 수용하는 적당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각 측부프레임(19)는 대차의 종방향으로 연장하여 있고 차륜세트(1) 및 (2)의 적당한 차축박스(7)에 의해 그의 양단부가 지지되어 있다. 각 프레임의 각 단부는 차축박스가 핏치운동하지 못하게 작용하며 1차 스프링 장착물을 제공하는 고무패드(20)쌍들을 거쳐 각 차축박스에 유연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들 고무패드(20) 각각의 측방강직도는 교차브레이스 구조물(12), (13)사이의 유연한 연결의 측방 강직도 보다 작아서 사용시의 종방향 및 횡방향운동이 낮은 합력(合力)으로 1차 스프링 장착물에 의해 수용되는 경향이 있는 데, 즉 1차 스프링 장착물이 낮은 강직성을 갖는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그 고무패드(20)은 허용 가능한 수직/측방 강직도비를 얻기위해 강판(21)들(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은)을 결합한 층상 결합체 형태로 되어 있다.It can be easily seen from the first road that the transverse frame member 14 is well supported under the height of the axle 4 of the wheel set by the inclination of the frame member 15. This is to provide a suitable space for receiving the bowlster 18 (FIG. 3) between the main side frames 19 of the bogie. Each side frame 19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gie and is supported at both ends thereof by suitable axle boxes 7 of the wheel sets 1 and 2. Each end of each frame prevents the axle box from pitching and is flexibly connected to each axle box via a pair of rubber pads 20 providing a primary spring mount. The lateral stiffness of each of these rubber pads 20 is less than the lateral stiffness of the flexible connection between the cross-brace structures 12 and 13, so that the primary spring mounts with a combination of low longitudinal and lateral movements in use.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a tendency to be accommodated by, i.e., the primary spring mount has low rigidity. The rubber pad 20 is in the form of a layered bond that combines the steel plates 21 (as shown in FIG. 1) to obtain an acceptable vertical / lateral stiffness ratio.

제1도에서, 고무패드/판 결합체는 수평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1차 스프링 장착물을 위한 소망의 종측/측방 강직도를 형성하도록 수평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 차축박수(7) 및 1차 스프링 장착물은 스프링 장착물의 고무패드(20)가 차륜세트(1) 및 (2)의 차축위로 비교적 작은 높이에 있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측방 및 종측이동을 위한 고무패드의 작용선은 대차 아래로 비교적 낮게 위치하여 있다. 교차 브레이스 장치의 횡측 프레임부재(14)가 비교적 낮은 위치에 있음으로서 형성된 공간과 관련된 그 특징은, "가요성 코일" 스프링(즉, 수직운동과 더불어 전단운동을 하게 설계된 코일 스프링)의 작용선이 1차 스프링 장착물의 고무패드(20)을 위한 작용선과 실제로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으나 바람직하기 때문에 측방 및 수직이동을 위해 2차 스프링 장착물을 제공하도록 소위 가요성 코일 스프링의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In FIG. 1, the rubber pad / plate assembly is shown horizontally but may be dispos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relative to the horizontal to form the desired longitudinal / lateral stiffness for the primary spring mount. The axle clap 7 and primary spring mount should be arranged such that the rubber pad 20 of the spring mount is at a relatively small height above the axles of the wheel sets 1 and 2. Therefore, the line of action of the rubber pad for the lateral and longitudinal movements is positioned relatively low below the bogie. The feature associated with the space formed by the transverse brace member 14 of the cross brace device being in a relatively low position is that the line of action of the "flexible coil" spring (i.e. coil spring designed to shear with vertical movement) is 1 The line of action for the rubber pad 20 of the car spring mount is not necessarily necessarily the same, but is preferred and thus facilitates the use of the so-called flexible coil spring to provide a secondary spring mount for lateral and vertical movement.

특히 제1도 및 제3도에서, 가요성 코일 스프링 장착물(22)는 차륜세트(1)과 (2)사이의 중앙위치에서 대차의 각 측부상에 설치되고, 그 장착물의 각 스프링이 측부 프레임(19)의 부프레임(24)상의 스피곳트(Spigot) (23)위에 스프링의 하단부가 위치되어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각 스프링의 상단부는 보울스터(18)의 측부 플렌지(26)의 하측으로 부터 돌출하는 또 다른 스피곳트(25)위에 위치되어 있다.In particular in FIGS. 1 and 3, the flexible coil spring fitting 22 is mounted on each side of the bogie at a central position between the wheel sets 1 and 2, with each spring of the mounting being flanked. It can be readily seen that the lower end of the spring is located above the spigot 23 on the subframe 24 of the frame 19. The upper end of each spring is located on another spigot 25 protru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side flange 26 of the bowlster 18.

이 실시예의 각 측부 프레임(19)은 통상의 주조물 대신 강판으로 만들어져 있고, 부프레임(24)가 매달려 있는 브릿지(bridge) 부재(27)을 포함하고 있다. 그 브릿지부재 및 부프레임은 장방형 공간(28)을 형성하고 그 공간내에 가요성 코일 스프링(22)과 보울스터(18)의 플렌지(26)가 위치되어 있다. 각 측부프레임의 브릿지부재 및 부프레임은 근본적으로 I-단면으로 되어 있고, 만족한 피로수명을 확보하기 위해 I-단면의 코기는 사용시 받는 부하의 분포에 따라 변한다. I-단면의 변화가 제1도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Each side frame 19 of this embodiment is made of steel sheet instead of a normal casting and includes a bridge member 27 on which the subframe 24 is suspended. The bridge member and the subframe form a rectangular space 28 in which the flexible coil spring 22 and the flange 26 of the bowlster 18 are located. The bridge members and subframes of each side frame are essentially I-crossed, and the corrugation of the I-crossed varies with the distribution of loads in use to ensure satisfactory fatigue life. The change in I-section is shown specifically in FIG.

부프레임(24)가 브릿지 부재(19)로부터 매달려 있고 일정한 단면의 I-단면부(24a)와 두 개의 삼각형 필렛(fillet)부분(24b)로 되어 있는 것을 그 도면으로 부터 알 수 있다. 필렛 부분(24b)의 웨브(web)에는 일정간격으로 정렬된 장방형 요흠부(29)쌍들이 설치되어 있고, 그 요흠부들은 두 개의 브레이크 비임(30)의 단부들을 지지하는데 적합하게 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각 브레이크비임의 각 단부는 상기 각 웨브에 부착되고 그 요홈부들 사이에 연장하는 보강판(31)상에 얹히도록 각 요홈부(29)안을 통하여 배치된 두 개의 스피곳트 부분(30a)와 (30b)를 제공하도록 양분되어 있다.It can be seen from the figure that the subframe 24 is suspended from the bridge member 19 and consists of an I-section 24a and two triangular fillet portions 24b of constant cross section. Webs of the fillet portion 24b are provided with pairs of rectangular recesses 29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he recesses being adapted to support the ends of the two brake beams 30. For this purpose each spigot portion 30a is disposed through each recess 29 so that each end of each brake beam is mounted on a reinforcement plate 31 attached to the respective web and extending between the recesses. ) And (30b).

이러한 고정설비는 통상의 단일 스피곳트 고정설비와 비교되어 브레이크비임에 대해 증진된 비틀림 억제와 측부 프레임(19)에 대한 보다 만족한 부하분포를 제공하는 잇점을 가지고 있다. 명료하도록 각 브레이크 비임(30)의 일부만이 제2도에 점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This fixture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improved torsional suppression for the brake beam and a more satisfactory load distribution for the side frame 19 compared to conventional single spigot fixtures. For clarity only a portion of each brake beam 30 is shown in dashed lines in FIG. 2.

원한다면 측부 프레임(19)의 설계에 있어서 복잡한 형상 또는 절제부가 보울스터(18)에 형성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표준 단면 및 판들(종래의 주조물 구조 대신)을 사용하여 보울스터를 조립할 수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보울스터의 단면은 통상의 주조물 구조로 되어 있고, 링크(32)를 가진 수직 댐퍼장치를 가지고 있으며, 링크(32)는 보울스터와 각 측부에 피봇되어 있고 그의 하단부가 부프레임(24)에 의해 지탱된 부분(33)에 의해 마찰계합된다. 댐퍼운동의 수직 범위를 제한하도록 슬로트(34)가 설치되어 있다. 측부프레임의 브릿지 부재와 보울스터 사이에서 횡방향 완충을 하도록 유사한 장치(39)가 제공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울스터 상면의 중앙부(35)는 보강되어 있고, 그 부분에는 주조된 환상 요홈부(36)이 설치되어 있어 교합환상 링(38)으로 차체의 하부 프레임(37)을 회전자재하게 지지한다.If desired, standard cross-sections and plates (instead of conventional casting structures) can be used to assemble the bowlster, since complex shapes or cutouts need not be formed in the bowlster 18 in the design of the side frame 19. The cross section of the bowlster shown in FIG. 3 is of a conventional cast structure and has a vertical damper device with a link 32, the link 32 being pivoted on the bowlster and on each side and the lower end thereof unfitted. Friction is engaged by the part 33 supported by the frame 24. The slot 34 is provided to limit the vertical range of the damper motion. A similar device 39 is provided for transverse cushioning between the bridge member of the side frame and the bowlster. As shown in FIG. 3, the center portion 35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wlster is reinforced, and a cast annular recess 36 is provided at the portion thereof, and the lower frame 37 of the vehicle body is formed by an occlusal ring 38. Rotate freely.

제5도에서, 조립식구조의 보울스터(18)은 제3도의 주조 보울스터와 다르게 도시되어 있다. 그 구조물은 상부 강판(40)을 가지고 있고, 그 강판의 상부 표면위에 환상 링(41)이 중앙에 배치되고 그 표면에 용접되어 있어 환상 요흠부(36)을 제공한다. 그 강판(40)은 접시형 하부판(42)에 의해 강직하게 만들어져 보강되어 있고, 그 하부판(42)는 판(40)의 하측에 용접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측부플렌지(26)을 구성하는 판(40)의 돌출외연부를 형성한다.In FIG. 5, the prefabricated bowlster 18 is shown differently from the cast bowlster of FIG. The structure has an upper steel plate 40, on which an annular ring 41 is cente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and welded to the surface to provide an annular recess 36. As shown in FIG. The steel plate 40 is rigidly made and reinforced by the plate-shaped lower plate 42, and the lower plate 42 is welded to the lower side of the plate 40, and is not essential in this embodiment, but the side flanges 26 Protruding outer edge of the plate 40 constituting the () is formed.

상술한 바와 같은 측부 프레임(19)의 설계에 의하면 그 안에 형성된 장방형 공간(28)때문에 제3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다른 수직 댐퍼장치의 다른 형태가 제기되었다. 그리하여 제6도에서, 그 댐퍼장치는 두개의 측부프레임(19)의 사이에 횡으로 연장하고 그 부프레임(24)에 견고히 부착되어 있는 두개의 수직마찰 라이너(43)를 가지고 있다. 그 각 라이너는 마찰 블록(44)와 마찰계합하여 수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찰 블록(44)는 스프링 편향 수단(45)에 의해 그들 각 라이너에 걸리도록 부세되며, 그 스프링 수단은 댐퍼장치의 마찰효과및 완충속도를 제어하도록 미리 정해진 부하를 제공한다. 또 다른 댐퍼장치가 극히 소형의 단위로 만들어질 수 있고 가요성 코일 스프링 장착물(22)위의 공간(28)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음을 제6도로부터 알 수 있다.The design of the side frame 19 as described above has resulted in another form of vertical damper arrangement different from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due to the rectangular space 28 formed therein. Thus, in FIG. 6, the damper device has two vertical friction liners 43 which extend transversely between the two side frames 19 and which are firmly attached to the subframe 24. Each liner is arranged to frictionally receive and accommodate the friction block 44. The friction block 44 is biased by spring biasing means 45 to engage their respective liners, the spring means providing a predetermined load to control the frictional effect and the damping speed of the damper device. It can be seen from FIG. 6 that another damper device can be made in an extremely small unit and can be disposed in a portion of the space 28 above the flexible coil spring mount 22.

Claims (1)

1쌍의 차축 베어링(5,6)에 장착된 활축(4)을 갖춘 적어도 1개 차륜세트(1,2)를 가지고, 한 차륜 세트의 적어도 한 차축 베어링이 차륜세트 끼리를 지지하는 브레이스 수단을 거쳐 다른 차륜세트의 적어도 한 차축 베어링과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브레이스 수단이 차량의 횡방향을 향한 프레임 구조물(12,13)로 되어 있고 또한 각 차륜세트의 차축 베어링을 수용하는 차축박스들(7)사이에 연결되어 있도록한 철도차량용 대차에 있어서, 각 프레임 구조물(12,13)은 각 차축박스(7)에 강고히 연결된 상향 연장 제2프레임 부재(15)들에 외측 단부가 강고히 연결된 횡단 수평 연장 제1프레임 부재(14)들로 되어 있고, 상기 횡단 프레임 부재(14)들은 그 내측 단부들이 차축높이 아래 수준에서 탄성 연결부(14a, 14b)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보울스터(18)는 상기 프레임 구조물들(12,13)에 의해 형성된 차륜세트들 사이의 공간에서 대차의 비교적 아래에 장착되고, 상기 제1프레임 부재들(14)은 보울스터(18) 밑을 자유로이 통과함으로써 보울스터(18)가 용이하게 조립 및 제거될 수 있고 상기 탄성 연결부(14a,14b)가 용이하게 수리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대차.Brace means having at least one wheel set (1, 2) with a slide shaft (4) mounted on a pair of axle bearings (5, 6), wherein at least one axle bearing of one wheel set supports the wheel sets. Axle boxes which are elastically coupled to at least one axle bearing of the other wheel set, the brace means being frame structures 12, 13 facing the vehic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which also accommodate axle bearings of each wheel set. (7) In the trolley for a vehicle to be connected between, each frame structure (12, 13) is firmly connected to the axle box (7), the outer end is firmly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member 15 extending upwardly Connected transverse horizontally extending first frame members 14, the transverse frame members 14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by elastic connectors 14a, 14b at their inner ends at a level below the axle height, 18) the above Mounted relatively below the bogie in the space between the wheel sets formed by the recess structures 12, 13, the first frame members 14 pass freely under the bowlster 18, thereby making the bowlster 18 free of charge. ) Can be easily assembled and removed, and the elastic connecting portion (14a, 14b) can be easily repaired.
KR7901784A 1979-05-31 1979-05-31 Bogies for railway vehicles Expired KR8500004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1784A KR850000407B1 (en) 1979-05-31 1979-05-31 Bogies for railway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1784A KR850000407B1 (en) 1979-05-31 1979-05-31 Bogies for railway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601A KR830000601A (en) 1983-04-16
KR850000407B1 true KR850000407B1 (en) 1985-03-26

Family

ID=19211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1784A Expired KR850000407B1 (en) 1979-05-31 1979-05-31 Bogies for railway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40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84272A (en) * 2016-07-22 2016-12-07 中车长江车辆有限公司 Rolling stock fluid pressure type is from heightening bogi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84272A (en) * 2016-07-22 2016-12-07 中车长江车辆有限公司 Rolling stock fluid pressure type is from heightening bog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601A (en) 198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7262A (en) Railway truck
US4332201A (en) Steering railway vehicle trucks
US4067261A (en) Damping railway vehicle suspension
US4136620A (en) Self steering railway truck
US4552074A (en) Primary suspension for railroad car truck
US4003316A (en) Articulated railway car trucks
US3961584A (en) Railway car truck
US5107773A (en) Railway trucks
US4676172A (en) Frameless radial truck
US4353309A (en) Motorized railway vehicle truck
US4244297A (en) Articulated railway car trucks
US3547046A (en) Railway locomotive truck with low traction point
Orlova et al. The anatomy of railway vehicle running gear
FI82424B (en) BOGGIEKONSTRUKTION FOER JAERNVAEGSVAGN.
US4075950A (en) Railway locomotive truck with resilient suspension
US4823706A (en) Railway wagon suspension system
KR850000407B1 (en) Bogies for railway vehicles
EP0144780B1 (en) Frameless radial truck
JPS5950546B2 (en) Railway undercarriage support device
CN101837792A (en) Trailer bogie for metric rail
Polach Coupled single-axle running gears—a new radial steering design
GB2174964A (en) Bogie mounting
CA1052625A (en) Railway vehicle suspensions with diagonally interlinked axles
EP0981472B1 (en) Linear steering truck
US4817535A (en) Stand alone well car with double axle suspen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403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40327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