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50000041Y1 - 작동시험변을 가진 유수검지 장치 - Google Patents

작동시험변을 가진 유수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041Y1
KR850000041Y1 KR2019830005305U KR830005305U KR850000041Y1 KR 850000041 Y1 KR850000041 Y1 KR 850000041Y1 KR 2019830005305 U KR2019830005305 U KR 2019830005305U KR 830005305 U KR830005305 U KR 830005305U KR 850000041 Y1 KR850000041 Y1 KR 8500000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ressure
detection device
flow detection
val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53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0537U (ko
Inventor
양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양발브종합메이커
양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양발브종합메이커, 양제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양발브종합메이커
Priority to KR20198300053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0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0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041Y1/ko
Publication of KR8500005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537U/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02Fixed-bed gasification of lump fuel
    • C10J3/20Apparatus; Pl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작동시험변을 가진 유수검지 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유수검지장치의 외관정면도.
제2도는 일부를 파상한 좌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에 의한 횡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B-B선에 의한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주변 1 : 자켓
2 : 통공 2' : 격벽
3 : 시험밸브
본 고안은 기존 소화설비의 주변인 유수(流水)검지장치 (일명 : 알람밸브)에 분단 80리터의 비율의 물을 방출할 수 있는 시험밸브를 설치한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유수검지장치는 대부분체크밸브를 사용한 구조이고 그 체크밸브의 앞뒤 압력차에 의한 밸브의 작동에 따라 생기는 유수에 의하여 배관내의 유수현상을 검지하고 경보 및 가압송수장치를 기동시키는데 사용하고 있으며, 또 소방법 제301조 제1항 규정에는 「유수검지장치는 매분 80리터의 비율로 방수를 시작한 후, 1분이내에 신호를 발신하고 또한 방수가 정지되는 즉시 신호가 정지되어야한다.」라는 조항이 있는바, 그 조항의 검사를 위하여 제작자는 시험설비를 비치해좋고 시험을 하게되어 있으며, 또한 실험이 끝난 유수검지 장치를 수요자가 지정장소에 일단 설치한후, 장기간의 윤휴상태에서 재검사를 할필요가 있을 때에 별다른 시험설비가 없기 때문에 이를 시험하는데 있어 난점이 있다. 즉 재검사를 위하여는 관련배관에서 매분 80리터의 물을 방출시켜야하는데 이를 위하여 스프링 쿨레헤드를 사용할 수도 없고 또 배수용 밸브를 열고 시험하려고 해도 유수량을 마추는데 지극히 곤란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재검사수단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기존의 유수검지장치에 형성된 배수로의 일측에 분단 80리터비율의 물을 방출할 수 있는 시험변을 설치하여 1분이내에 신호발신 여부를 검사할 수 있게하는 유수검지장치를 제공코저하는 것으로, 먼저, 기존의 유수검지장치(일명 : 알람밸브)의 구성과 대강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에서 주변(A) 내에 설치한 체크밸브(C)를 사이에 두고 상하관로(P)(P')의 수압이 같은 압력이거나 상부 관로(P)의 수압이 하부관로(P')의 수압보다 약간 높은 압력상태에서 체크밸브(C)가 폐쇄되고 있다가 제3도에 도시한 핸들(H)에 의하여 배수용밸브(V)를 열면 상부배관로(P)의 압력수가 배수로(a)에서 통로(b)로 진입하여 포켓(d)내로 들어가서 여기에서 배수구(e)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그러면 상부관로(P)측의 수압이 낮아지는 한편, 하부관로(P')에 갇혀있던 압력수가 체크밸브(C)의 밑면에 작용하여 이를 밀어올리는 한편, 압력수의 일부가 제4도의 시이트링(f)의 주면에 뚫은 다수의 소공(g)을 통하여 통로(h)를 거쳐 제2도의 배관(L)으로 안내되고 소량의 압력수는 포켓(d)의 압력일출공(J)으로부터 배수되는 한편, 나머지 압력은 압력스위치(S)에 작용하여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그 압력스위치(S)를 작동시켜서 여기에 내장되고 있는 타이머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 예를들면 30초 동안 지언되었다가 타이머의 신호를 받게되면 부저와 같은 화재경보신호를 발신하고, 또한 펌프의 기동스위치를 작동시키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한 포켓(d)의 압력일출공(J)은 송수가 완료되어 체크밸브(C)가 닫히게되면 시이트링(f) 주위의 소공(g)들은 체크밸브(C)의 패킹(K)에 의하여 밀폐되고 소공(g)들과 연통되고 있는 통로(h)와 배관(L) 및 압력스위치(S)까지에 걸쳐있는 압력을 풀어서 대기압으로 유지시킨다.
또한 체크밸브(C)는 소방법 제301조제2항에서 「유수검지장치는 방수구에서 매분 15리터의 비율로 방수를 시작하여 2분이상 경과하여도 신호가 발신되지 아니하여야한다」라는 조항이 있는데 그 유량을 방출하는 역활을 하게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기존유수검지장치는 이를 지정장소에 일단 설치한후, 유수검지작동의 가동상태의 양부를 상기한 바와 같이 이를 시험하기 곤란하고 또 그 시험을 하기 위하여 배수용밸브(V)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는 소방법 301조제1항에 규정된 매분 80리터의 비율로 방수량을 마추기 곤란하며 또 방수가 정지되는 즉시 신호를 정지시킬 수 있는 시험도 시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3도에도시한 바와 같이, 공지의 유수검지장치인 주변(A)에 형성된 배수로(a)와 포켓(d) 사이에 자켓(1)을 형성한 것에 있어서, 배수로(a)와 자켓(1)사이에 형성된 격벽(2')에 분당 80리터의 비율로 물을 방출할 수 있는 통공(2)를 뚫고 여기에 통상의 좌변인 시험밸브(3)를 설치하여 상기한 통공(2)를 핸들(4)로 개폐하게하고 또 상기한 포켓(d)과 자켓(1)사이를 통로(5)로 연통한 것이다.
이와 같이 개량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초기에는 주변(A)내의 체크밸브(C)를 경계로하여 상하관로(P)(P')에 상기한 바와 같이 같은 압력이거나 상부 관로(P)의 물이 하부관로(P')의 물보다 약간 높은 압력상태로 폐쇄되고 있는 제3도와 같은 상태에서 핸들(4)에 의하여 시험밸브(3)를 열어주면 상부 폐쇄관로(P)에 있던 물이 배수로(a)에서 매분 80리터의 비율로 물을 방출하는 통공(2)을 통하여 자켓(1)으로 지압하고 여기에서 통로(5) 및 배수구(e)에 의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그러면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관로(P)의 물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하부관로(P')의 압력수는 체크밸브(C)를 통하여 일부는 상부관로(P)로 일출되고 나머지 압력은 체크밸브(C)의 밑면에 작용하여 이를 밀어올린다. 이때에 압력수의 일부는 시이트링(제4(f)도)의 주면에 뚫은 다수의 소공(g)과 통로(h)를 거쳐 배관(L)으로 안내되어 압력수의 일부는 포켓(제2(d)도)의 압력일출공(J)으로 배수되는 동시에 나머지 수압은 압력스위치(S)를 작용시켜서 설정압력에 도달되면 그 압력스위치(S)를 작동시키는 도시에 내장되어 있는 타이머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 예를들면 30초 동안 지연되었다가 신호를 발생하여 경보를 발신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실시되는 본 고안의 유수검지장치는 지정된 장소에 설치한 곳에서 배수용밸브(V)는 건드리지 않고 시험밸브(3)의 조작만으로 유수검지작동의 가동상태의 양부를 간단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는 것이므로 유수검지의 재검사를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는 특징적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공지의 유수검지장치인 주변(A)에 형성된 배수로(a)와 포켓(d) 사이에 격벽(2')을 가진 자켓(1)을 형성하여, 상기한 격벽(2')에 분당 80리터비율의 물을 방출할 수 있는 통공(2)을 형성하고, 이를 통상의 좌변으로된 시험밸브(3)로 개폐하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시험변을 가진 유수검지장치.
KR2019830005305U 1983-06-17 1983-06-17 작동시험변을 가진 유수검지 장치 Expired KR8500000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5305U KR850000041Y1 (ko) 1983-06-17 1983-06-17 작동시험변을 가진 유수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5305U KR850000041Y1 (ko) 1983-06-17 1983-06-17 작동시험변을 가진 유수검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041Y1 true KR850000041Y1 (ko) 1985-02-08
KR850000537U KR850000537U (ko) 1985-02-28

Family

ID=19230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5305U Expired KR850000041Y1 (ko) 1983-06-17 1983-06-17 작동시험변을 가진 유수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0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537U (ko) 1985-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65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fluid conduit system
FI74544B (fi) Foerfarande och system foer indikering av laeckage i roersystem.
US5992532A (en) Wet pipe fire protection system
US4729403A (en) Test assembly for water-flow alarms
EP0351061A3 (en) Leak detector
SE8904358D0 (sv) Anordning foer bevakning av laeckning i fluidumledningssystem
US521885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conduit system for an incompressible fluid for leaks
KR850000041Y1 (ko) 작동시험변을 가진 유수검지 장치
JP2003180861A (ja) 消火設備
US4077427A (en) Leak detector valve assembly
JPH10225529A (ja) 泡消火設備
FR2404837A1 (fr) Dispositif de controle de rupture de canalisations flexibles immergees ou flottantes
JP2816733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H0843154A (ja) フローセンサ付フルイディックガスメータを用いて行う内管からのガス漏れ判定方法
JPS5882141A (ja) 漏水監視装置
JP2003315201A (ja) 漏水検査器
JP2001340486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2533372Y2 (ja) スプリンクラー用警報装置
JPH05340837A (ja) 地中埋設水道管の漏水箇所検知方法
CA1065735A (en) Leak detector valve assembly
JPH0541716Y2 (ko)
KR860000228Y1 (ko) 리이크 테스터(leak tester)가 형성된 밸브
JPS6248509B2 (ko)
RU2676503C2 (ru) Способ отключения подачи воды в аварийный участок спринклерной установки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варианты)
JPS5513851A (en) Leakage checking method of safety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3061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3061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41211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504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