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8114A - 고밀도 흡수성 구조체 - Google Patents
고밀도 흡수성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40008114A KR840008114A KR1019840001188A KR840001188A KR840008114A KR 840008114 A KR840008114 A KR 840008114A KR 1019840001188 A KR1019840001188 A KR 1019840001188A KR 840001188 A KR840001188 A KR 840001188A KR 840008114 A KR840008114 A KR 8400081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bsorbent structure
- hydrogel
- fiber
- disposable diaper
- weight ratio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title claims 26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26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18
- 239000000017 hydrogel Substances 0.000 claims 17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9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7
- 229920001131 Pulp (paper) Polymers 0.000 claims 4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claims 4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claims 4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claims 4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3
- SMZOUWXMTYCWNB-UHFFFAOYSA-N 2-(2-methoxy-5-methylphenyl)ethanami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C1CCN SMZOUWXMTYCWNB-UHFFFAOYSA-N 0.000 claims 2
- NIXOWILDQLNWCW-UHFFFAOYSA-N 2-Propen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claims 2
- NLHHRLWOUZZQLW-UHFFFAOYSA-N Acrylonitrile Chemical compound C=CC#N NLHHRLWOUZZQLW-UHFFFAOYSA-N 0.000 claims 2
- VQTUBCCKSQIDNK-UHFFFAOYSA-N Isobutene Chemical group CC(C)=C VQTUBCCKSQIDNK-UHFFFAOYSA-N 0.000 claims 2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claims 2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2
- 239000011162 cor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2
- FPYJFEHAWHCUMM-UHFFFAOYSA-N maleic anhydride Chemical compound O=C1OC(=O)C=C1 FPYJFEHAWHCUMM-UHFFFAOYSA-N 0.000 claims 2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claims 2
- 125000000217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1
- 238000007580 dry-mixing Methods 0.000 claims 1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125000005843 halogen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1
- 125000001183 hydrocarb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150000003856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30)
- 친수성의 섬유와 수불용성의 불연속 하이드로겔 입자들과의 혼합물로 구성되며, 섬유/하이드로겔의 중량비율은 약 30:70 내지 약 98:2이고, 밀도는 약 0.15 내지 약 1g/㎤이며, 수분함량은 건조한 흡수성 구조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10% 이하인, 가요성이 있으며 실질적으로 결합되지 않은 흡수성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거얼리 강성치(Gurley Stiffness Value)가 2g이하인 흡수성 구조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섬유/하이드로겔의 중량 비율이 약 50:50 내지 약 95:5인 흡수성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하이드로겔의 중량비율이 약 75:25 내지 90:10인 흡수성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도가 약 0.15내지 약 0.6g/㎤인 흡수성 구조체.
- 제5항에 있어서, 밀도가 약 0.25 내지 0.4g/㎤인 흡수성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가 목재펄프섬유인 흡수성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 일반식과 같은 4급 암모늄 화합물을 친수성 섬유의 중량에 대하여 약 0.01 내지 약 0.5 함유하는 흡수성 구조체.상기 식에서, R1및 R2는 약 8-22개의 탄소원자를 하이드로카빌기이며, R3및 R4는 1-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고, n 및 m은 2- 약 10의 정수이며, X는 할로겐이다.
-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불용성 하이드로겔이 가수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 그래프트화전분, 아크릴산그래프트화전분, 폴리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렌과 무수말레산의 공중합체,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흡수성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이드로겔 입자의 평균 입자크기가 약 50미크론 내지 약 1mm인 흡수성 구조체.
- 제10항에 있어서, 하이드로겔 입자의 평균 입자크기가 약 30미크론 내지 약 4mm인 흡수성 구조체.
- (a) 친수성 섬유와 수불용성 하이드로겔 입자들로 구성되며 섬유/하이드로겔의 중량비율이 약 30:70 내지 약 98:2인 건조한 혼합물을 공기배향(air-laying)시켜서 웨브로 만들고, (b) 이 웨브를 약 0.15 내지 약 1g/㎤의 밀도로 압축시키는 단계들로 구성되는 가요성이 있고 연속적인 흡수성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친수성 섬유와 하이드로겔 입자와의 상기 혼합물에 있어서의 섬유/하이드로겔 중량비율이 약 50:50인 내지 약 95:5인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친수성 섬유와 하이드로겔 입자와의 상기 혼합물에 있어서의 섬유/하이드로겔 중량비율이 약 75:25 내지 약 90:10인 방법.
- 제12항 내지 제1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가 약 0.15 내지 약 0.6g/㎤의 밀도로 압축되는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가 약 0.25 내지 약 0.4g/㎤의 밀도로 압축되는 방법.
- 제12항 내지 제1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가 목재펄프섬유인 방법.
- 제12항 내지 제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이 가수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 그래프트화전분, 아크릴산 그래프트화전분, 폴리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렌과 무수말레산의 공중합체,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 제12항 내지 제1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이드로겔입자의 평균 입자크기가 약 50미크론 내지 약 1mm인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하이드로겔입자의 평균 입자크기가 약 30미크론 내지 약 4mm인 방법.
- 제12항 내지 제2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배향 되어 웨브로 형성되기 위한 상기 혼합물은 친수성 섬유와 수불용성 하이드로 겔입자를 약 75:25 내지 약 90:10의 중량비율로 건조혼합시켜서 제조된 것인 방법.
- (a) 액체 불투과성의 지지 쉬이트와, (b) 소수성의 상부 쉬이트와, (c) 상기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와 같으며, 지지 쉬이트와 상부 쉬이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성 구조체로 구성되는 1회용 기저귀.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구조체의 단위중량이 약 0.01 내지 약 0.05/㎤인 1회용 기저귀.
-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구조체가 봉합조직에 의해 싸여져 있는 1회용 기저귀.
- 제22항 내지 제2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구조체의 두께가 약 0.5mm 내지 약 1mm인 1회용 기저귀.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구조체의 두께가 약 0.3mm 내지 약 2mm인 1회용 기저귀.
- 제22항 내지 제2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구조체가 모래시계의 형태인 1회용 기저귀.
- 제22항 내지 제2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의 상부 쉬이트(b)와 흡수성 구조체(c)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목재 펄프섬유로된 흡수성 심재를 포함하는 1회용 기저귀.
- 제22항 내지 제2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펄프 섬유로 된 흡수성 심재가 모래시계의 형태이며 흡수성 구조체(c)는 직사각형인 1회용 기저귀.
- (a) 액체 불투과성의 지지 쉬이트와, (b) 소수성의 상부 쉬이트와, (c) 상기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와 같으며 지지 쉬이트와 상부 쉬이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성 구조체로 구성되는 생리대.※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20001064A KR920005720B1 (ko) | 1983-03-10 | 1992-01-25 | 고밀도 흡수성 구조체를 포함하는 제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47384683A | 1983-03-10 | 1983-03-10 | |
US473846 | 1983-03-10 | ||
US529900 | 1983-09-06 | ||
US529,900 | 1983-09-06 | ||
US06/529,900 US4610678A (en) | 1983-06-24 | 1983-09-06 | High-density absorbent structures |
US473,846 | 1995-06-07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001064A Division KR920005720B1 (ko) | 1983-03-10 | 1992-01-25 | 고밀도 흡수성 구조체를 포함하는 제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40008114A true KR840008114A (ko) | 1984-12-13 |
KR920002936B1 KR920002936B1 (ko) | 1992-04-10 |
Family
ID=27044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40001188A KR920002936B1 (ko) | 1983-03-10 | 1984-03-09 | 고밀도 흡수성 구조체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920002936B1 (ko) |
EG (1) | EG15591A (ko) |
-
1984
- 1984-03-09 KR KR1019840001188A patent/KR92000293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4-03-10 EG EG164/84A patent/EG15591A/xx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G15591A (en) | 1987-04-30 |
KR920002936B1 (ko) | 1992-04-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34915A (en) |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of an absorbent structure and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n absorbent struc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is method | |
KR860008745A (ko) | 이중층의 심을 갖는 흡수제품 | |
US5730737A (en) |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of an absorbent structure and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n absorbent struc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is method | |
KR860008033A (ko) | 흡수성 구조물 | |
KR960701622A (ko) | 강력 위킹 액체 흡수 복합재(High Wicking Liquid Absorbent Composite) | |
KR870001820A (ko) | 완전-엠보싱된 흡수재 구조물 | |
ES8506059A1 (es) | Procedimiento de preparacion de un material polimerico poroso | |
GR82394B (ko) | ||
KR890004647A (ko) | 소수성 흡수층을 구비한 흡수제품 | |
GB2082643A (en) | Absorbent structure having gradient densities | |
KR880001244A (ko) | 저밀도 및 저 기초중량 흡수대를 갖는 고밀도 흡수부재 | |
KR950703911A (ko) | 블렌딩된 흡수 코아를 가진 위생 흡수 제품(hygienic absorbent article having blended absorbent core) | |
GB1477943A (en) | Absorbent products for personal use such as compresses sanitary napkins diapers or the like | |
GB2023067A (en) | Disposable product with fluid penetrable top sheet | |
ATE151645T1 (de) | Saugfähige entbundene lochgaufrierte zellstoffpappe | |
IE791121L (en) | Disposable diaper | |
KR840008114A (ko) | 고밀도 흡수성 구조체 | |
SE510466C3 (sv) | Ett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en absorberande struktur och ett absorberande sårförband innehållande en absorberande struktur framställd enligt förfarandet | |
KR890017426A (ko) | 혼합재료로된 흡수 구조물 | |
KR850001815A (ko) | 식물성의 흡수성 물질로 이루어진 흡수성 구조체 | |
SU1142563A1 (ru) | Бумажный материал санитарно-гигиенического и медицинского назначени | |
KR930700703A (ko) | 폴리에스테르 및 일회용 기저귀와 같은 퇴비화가능한 제품에서의 그 용도 | |
KR890016162A (ko) | 세포 및 생물학적 활성물질의 접착을 위한 다공유리 섬유매트 | |
TH3789A (th) | ชิ้นวัตถุดูดซับชนิดใช้แล้วทิ้ง | |
JPS6469542A (en) | Assistant for forming paper she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403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903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403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1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20312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06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9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209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504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603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7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8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903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003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03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3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331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33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