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40007251A - 양이온성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세제조성물 - Google Patents

양이온성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세제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7251A
KR840007251A KR1019830006145A KR830006145A KR840007251A KR 840007251 A KR840007251 A KR 840007251A KR 1019830006145 A KR1019830006145 A KR 1019830006145A KR 830006145 A KR830006145 A KR 830006145A KR 840007251 A KR840007251 A KR 840007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lkyl
alkylene
hydroxyalkyl
cati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6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1796B1 (ko
Inventor
오영식
Original Assignee
더 푸록타 앤드 갬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452,655 external-priority patent/US4551506A/en
Application filed by 더 푸록타 앤드 갬불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푸록타 앤드 갬불 캄파니
Publication of KR840007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40Monoamines or polyamines; Sal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양이온성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세제조성물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31)

  1.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쪽성, 쌍극성 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세제 계면 활성제나 그의 혼합물 약 1-75중량%와 하기 (1)-(5)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진흙오염제거/재오염 방지성을 가진 수용성 양이온성 화합물 약 0.05-95중량%로 구성된 세제 조성물.
    (1) 하기 구조식의 에톡시화 양이온성 모노아민류 :
    (2) 하기 구조식의 여톡시화 양이온성 디아민류 :
    또는
    (여기서 M1은 N+또는 N기이며, M2는 각기 N+또는 N기이며, 적어도 하나의 M2는 N+기이다.).
    (3) 하기 구조식의 에톡시화 양이온성 폴리아민류 :
    (4) 중합체 골격, 적어도 2개의 M기, 적어도 하나의 L-X기로 구성된 에톡시화 양이온성 중합체 :
    (여기서 M은 골격에 부착된 또는 그와 하나로 통합된 양이온성기로서 N+양성하전 중심을 가지며 : L은 기 M과 X를 연결해주거나 또는 기 X를 중합체 골격에 연결해 준다.
    (5) 그의 혼합물들
    상기식들에서 A1
    또는 -0-이며 : R은 H 또는 C1-C4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이며, R1은 C2-C12알킬렌, 하이드록시 알킬렌 알케닐렌, 아릴렌 또는 알크아릴렌이나 약 2-20개의 옥시알킬렌 단위를 갖고 있는 C2-C3옥시알킬렌 부분이며 단 어떤 0-N 결합도 형성하지 않으며 ; R2는 각기 C1-C4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L -X이거나 또는 두 개의 R2기가 함께 -(CH2)r-A2-(CH2)S-를 형성하며(여기서 A2는 -0- 또는 -CH2-이며, r은 1 또는 2이며, s는 1 또는 2이며, r+s 는 3 또는 4이다); R3은 각기 C1-C8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벤질, -L -X, 이거나 또는 두개의 R3가 함께 또는 R2하나와 R3가 함께 -(CH2)r-A2-(CH2)S-를 형성하며 ; R4는 p치환부위를 갖는 치환된 C3-C12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케닐, 아릴 또는 알크아릴기이며 ; R5는 C1-C12알킬렌, 하이드로시 알킬렌, 알케닐렌, 아릴렌 또는 알크아릴렌이거나 약 2-20개의 옥시알킬렌 단위를 갖고 있는 C2-C3옥시알킬렌 부분이며 단 이때 어떤 0-0 또는 0-N 결합도 형성하지 않으며 ; X는 H, C1-C4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에스페르나 에페르기 및 그의 혼합물로 부터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비이온성기이며; L은 폴리옥시알킬렌 부분 -〔(R6O)m(CH2CH2O)n〕-을 함유하는 친수성쇄이며(여기서 R6는 C3-C4알킬렌 또는 하이드록시알킬렌이며 m과 n은 -(CH2CH2O)n-이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부분의 적어도 50중량%를 구성하는 그런 수이며; d는 M2가 N+일 때 1, M2가 N일 때 0이며 ; n은 상기 양이온성 모노아민의 경우 적어도 약 12이며, 상기 양이온성 디아민의 경우는 적어도 약 6이며, 상기 양이온성 폴리아민 및 양이온성 중합체의 경우는 적어도 약 3 이며 ; p는 3-8이며 ; q는 1 또는 0이며 ; t는 1 또는 0이며, 단 q가 1일 때 t는 1 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화합물이 에톡시화 양이온성 모노아민이며, 하나의 R2가 메틸이고 2개의 R2가 L-X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m이 0이며, n이 적어도 약 15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화합물이 에톡시화 양이온성 디아민이며, R1이 C2-C6알킬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R1이 헥사메틸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화합물이 에톡시화 양이온성 폴리아민이며 R4가 치환 C3-C6알킬, 하이드록시알킬 또는 아릴기이며; A1이며 ; p가 3-6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4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하나에서 R2가 각기 메틸 또는 -L-X이며 R3가 각기 메틸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4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하나에서 M1과 M2각각이 N+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화합물이 에톡시화 양이온성 중합체이며 중합체 골격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 에테르, 폴리알킬렌, 폴리알크아릴렌, 폴리알킬렌이민, 폴리비닐아민, 폴리알릴아민, 폴리디알릴아민, 폴리비닐피리딘, 폴리아미노트리아졸, 폴리비닐알콜, 아미노폴리우레일렌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기 X에 대한 기 M의 비가 약 2 : 1-1 : 10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기 M과 L-X를 함유하는 중합체 단위들이 중합체의 약 50-10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9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하나에서 기 M과 L-X의 수가 각기 약 3-40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4항 내지 제12항중 어니 하나에서 m과 n이 -(CH2CH2O)n)- 부분이 상기 폴리옥시알킬렌부분의 적어도 약 85중량%를 구성하는 그런 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4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에서 m이 0이고 n이 적어도 약 12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4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에서 X가 H 또는 메틸에테르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9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하기 구조 Ⅰ,Ⅱ 및 Ⅲ을 갖는 것들로 부터 선택된 단위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상기구조들에서 A1또는이며 ; X는 0 또는 1이며 ; R은 H 또는 C1-C4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이며 ; R1은 C2-C12알킬렌, 하이드록시알킬렌, 알케닐렌, 사이클로알킬렌, 아릴렌 또는 알크아릴렌이나 2-20개의 옥시알킬렌 단위들을 갖는 C2-C3옥시알킬렌 부분이며 단 A1과 어떤 0-0 또는 0-N 결합도 형성하지 않으며 ; X가 1일때 R2는 -R5-(단 A1인 경우는 제외)이거나 또는 -(OR8)y- 또는 -OR5-이며 단 A1과 어떤 0-0 또는 N-0 결합도 형성하지 않으며 ; R3는 -R5-(A1인 경우는 제외)이거나 -(R8O)y- 또는 -R5O-이며 단 A1과 어떤 0-0 또는 0-N 결합도 형성하지 않으며 ; X가 0인 경우 R2는 -(OR8)y-, -OR5-, -,,,,,,이며 R3는 -R5-이며 ; R4는 C1-C4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또는 -(R5)k-[(C3H6O)n(CH2CH2O)n]-X이며; R5는 C1-C12알킬렌, 하이드록시알킬렌, 알케닐렌, 아릴렌 또는 아크아릴렌이며 ; R6는 각기 C1-C4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또는-(CH2)r-A2-(CH2)s-이며(여기서 A2는 -0- 또는 -CH2-임) ; R7은 H 또는 R4이며 ; R8은 C2-C3알킬렌 또는 하이드록시 알킬렌이며 ; X는 H,, -R9또는 그의 혼합물이며(여기서 R9는 C1-C4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임) ; K는 0 또는 1이며 ; m과 n은 -(CH2CH2O)n-부분이 -[(C3H6O)m(CH2CH2O)n]- 부분의 적어도 약 85중량%를 구성하는 그런 수이며 ; m은 0-약 5이며 ; n은 적어도 약 3이며 ; r은 1 또는 2이며, s는 1 또는 2이며, r+s는 3 또는 4이며 ; y 는 2-약 20이며, u.v.w는 각기 적어도 2개의 N+중심과 적어도 2개의 X기가 존재하는 그런 수이다.
  17. 제16항에 있어서 A1또는이며 ; R1이 C2-C6알킬렌이며, R2가 -OR5- 또는 -(OR8)y-이며 ; R3가 -R5O- 또는 -(R8O)y-이며 ; R4와 R6가 각기 메틸이며 ; R5가 C2-C3알킬렌이며 ; R7이 H 또는 메틸이며 ; R8이 에틸렌이며 ; X가 H 또는 메틸이며 ; K가 0이며 ; Y가 2-약 12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9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하기 구조 Ⅳ, Ⅴ 및 Ⅵ을 갖는 것들로 부터 선택된 단위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상기 구조들에서 A1은
    또는이며 ; R은 H, C1-C4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이며 ; R1은 치환 C2-C12알킬렌, 하이드록시 알킬렌, 알케닐렌, 아릴렌 또는 알크 아릴렌이거나 C2-C3옥시알킬렌이며 ; R2는 각기 C1-C12알킬렌, 하이드록시알킬렌, 알케닐렌, 아릴렌 또는 알크아릴렌이며 ; R3는 각기 C1-C4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또는 -(R2)k-[(C3H6O)m(CH2CH2O)n]-X이거나 또는 이들은 함께-(CH2)r-A2-(CH2)s-를 형성하며(여기서 A2는 -0- 또는 -CH2-임) : R4는 각기 C1-C4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이거나 두개의 R4는 함께 -(CH2)r-A2-(CH2)s-를 형성하며 ; X는 H,, -R5또는 그들의 혼합물이며(여기서 R5는 C1-C4알킬 또는 하이드록시 알킬임) ; j는 1 또는 0이며 ; K는 1 또는 0이며; m과 n은 -(CH2CH2O)n- 부분이 -[(C3H6O)m(CH2CH2O)n]- 부분의 적어도 85중량%를 구성하는 그런 수이며 ; m은 0-약 5이며 ; n은 적어도 약 3이며 ; r은 1 또는 2, s는 1 또는 2, r+s는 3 또는 4이며 u,v,w는 각기 적어도 2개의 N+ 중심과 적어도 2개의 X기가 존재하는 그런 수이다.
  19. 제18항에 있어서 A1,또는 -0-이며 ; R1또는이며; R4가 각기 메틸이며 ; X가 H 또는 메틸이며 ; K가 0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0. 제16항 내지 제19항중 어느 하나에서 중합체가 하기 구조 Ⅶ,Ⅷ 및 Ⅸ를 가진 것들로 부터 선택된 단위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상기 구조들에서 R1은 C2-C12알킬렌, 하이드록시 알킬렌, 알케닐렌, 사이클로알킬렌, 아릴렌 또는 알크아릴렌 또는 약 2-20개의 옥시알킬렌 단위를 갖는 C2-C3옥시알킬렌이며 단 어떤 0-N 결합도 형성하지 않으며 ; R2는 C1-C4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또는 -(R3)k-[(C3H6O)m(CH2CH2O)n]-X이며 ; R3는 C1-C12알킬렌, 하이드록시알킬렌, 알케닐렌, 아릴렌 또는 알크릴렌이며 ; M'는 M+또는 N 중심이며 ; X는 H,, -R4또는 그의 혼합물이며(여기서 R4는 C1-C4알킬 또는 하이드록시 알킬임) ; d는 M'가 N+일 때 1이고 M'가 N일 때 0이며 ; e는 M'가 N+일 때 1이며 ; K는 1 또는 0이며 ; m과 n은 O-(CH2CH2O)n-부분이 [(C3H6O)m(CH2CH2O)n]- 부분의 적어도 약 85중량%를 구성하는 그런 수이며 ; m은 0- 약 5이며 ; n은 적어도 약 3이며 ; X,Y 및 Z은 적어도 2개의 M+기와 적어도 2개의 N+중심과 적어도 2개의 X기가 존재하는 그런 수이다.
  21. 내용 없음
  22. 제21항에 있어서 R1이 에틸렌이며 R2가 각기 메틸 또는 -[(C3H6O)m(CH2CH2O)n]-X이며 ; X가 H이며 ; K가 0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M'기가 약 50-100%의 N+중심과 약 0-50%의 N 중심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4. 제21항 내지 제23항중 어느 하나에서 X+Y+Z이 약 2-40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5. 제9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하기 구조 X 및 X1를 갖는 것들로부터 선택된 단위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여기서 R1은 C1-C4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또는 -(R2)k[(C3H6O)m(CH2CH2O)n]-X이며 ; R2는 C1-C12알킬렌, 하이드록시알킬렌, 아릴렌 또는 알크아릴렌이며 R3는 각기 C1-C4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이거나 이들은 함께 -(CH2)r-A-(CH2)s를 형성하며(여기서 R4는 -0- 또는 -CH2-임) ; X는 H,, -R4또는 그의 혼합물이며(여기서 R4는 C1-C4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임) ; K는 1 또는 0 이며 ; m과 n은 -(CH2CH2O)n- 부분이 [(C3H6O)m(CH2CH2O)n]- 부분의 적어도 약 85%를 구성하는 그런수이며 ; m은 약 0-5이며 ; n은 적어도 약 3이며 ; r은 1 또는 2이며, s는 1 또는 2이며, r+s는 3 또는 4이며 ; x는 1 또는 0이며 ; y는 x가 0일 때는 1, x가 1일 때는 0이며 ; u와 v는 적어도 2개의 N+중심과 적어도 2개의 x기가 존재하는 그런 수이다.
  26. 제25항에 있어서 R1이 메틸이며, R3가 각기 메틸이며 ; X가 H이며 ; K가 0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7. 제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v가 0이며 u가 약 3-40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8. 제16항-제27항중 어느 하나에서 m이 0이며 n이 적어도 약 12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9. 제1항 내지 제28항중 어느 하나에서 이것이 약 0.1-10중량%의 양이온성 화합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0. 제29항에 있어서 이것이 약 1-3중량%의 양이온성 화합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1. 제1항 내지 제30항중 어느 하나에서 이것이 세제 빌더를 약 80중량%까지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30006145A 1982-12-23 1983-12-23 양이온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세제조성물 KR9200017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5264882A 1982-12-23 1982-12-23
US45264982A 1982-12-23 1982-12-23
US06/452,655 US4551506A (en) 1982-12-23 1982-12-23 Cationic polymers having clay soil removal/anti-redeposition properties useful in detergent compositions
US452,649 1982-12-23
US452,648 1982-12-23
US452,655 1982-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251A true KR840007251A (ko) 1984-12-06
KR920001796B1 KR920001796B1 (ko) 1992-03-02

Family

ID=27412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6145A KR920001796B1 (ko) 1982-12-23 1983-12-23 양이온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세제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20001796B1 (ko)
EG (1) EG17033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796B1 (ko) 1992-03-02
EG17033A (en) 199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45764T1 (de) Zwitterionische polymere mit fleckenentfernungs- und anti-wiederabsetz-eeigenschaften, verwendbar in detergenszusammensetzungen.
IE833041L (en)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cationic compounds¹¹anti-redeposition properties.
CA2187629A1 (fr) Nouveaux complexes d'acide nucleique et de polymer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pour la transfection de cellules
CN101568630B (zh) 用作染料转移抑制剂的疏水改性聚亚烷基亚胺
JP2963668B2 (ja) 帯電防止ベルト
MY102615A (en)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ethoxylated amines having clay soil removal/anti-redeposition properties.
ATE154051T1 (de) Wasserlösliche kondensationsprodukte aus aminogruppen enthaltenden verbindungen und vernetzer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U565773B2 (en) Ethoxylated amine oxides
FR2603293A1 (fr) Melanges thermoplastiques resilients a base de polyamides, et leurs utilisations
ATE241658T1 (de) Wasserdispergierbare härtungsmittel für epoxidharze
BR8703327A (pt) Composicao de revestimento termoestavel
ATE214948T1 (de) Verbesserungen in den oder in bezug zu kontrastmitteln
BRPI0514592A (pt) processo para preparar um copolìmero rico em carboxilato, copolìmero rico em carboxilato parcialmente neutralizado, uso do mesmo, substrato de aglutinação, e, formulações para tratar uma superfìcie metálica, e para aglutinar substáncias fibrosas e/ou granulares
KR840007251A (ko) 양이온성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세제조성물
KR950005880A (ko) 폴리에테르 블록 및 폴리아미드 블록을 함유하는 중합체
KR880006288A (ko) 폴리에테르이미드 에스테르
ATE113627T1 (de) Aromatische copolyam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araus geformte gebilde.
FR2361431A1 (fr) Plastifiants constitues de polyesters a poids moleculaire eleve, a extension de chaine compatibles avec des polymeres d'halogenure de vinyle
KR960703389A (ko) 제지 프로세스 용액에 미세하게 분산된 고상물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
KR900018323A (ko) 개선된 저온 점성을 나타내는 다작용성 점도 지수 개선제
DE59105409D1 (de) Vollaromatische Polyam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araus geformte Gebilde.
DK114284A (da)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stoebemasser paa basis af polyamider og termoplastiske elastomere
KR860004137A (ko) 흙 오염제거/재침착 방지성을 가진 에톡실화아민옥사이드 함유 세제조성물
KR890701695A (ko) 저온에서 높은 충격강도를 갖는 폴리아미드 조성물
FR2393058A1 (fr) Additif pour huiles a base de copolymeres du cyclopentene modif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312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812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312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1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2012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05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2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