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40002329B1 - Process for producing a hot dip galvanized steel strip - Google Patents

Process for producing a hot dip galvanized steel str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329B1
KR840002329B1 KR1019810000341A KR810000341A KR840002329B1 KR 840002329 B1 KR840002329 B1 KR 840002329B1 KR 1019810000341 A KR1019810000341 A KR 1019810000341A KR 810000341 A KR810000341 A KR 810000341A KR 840002329 B1 KR840002329 B1 KR 840002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nc alloy
oxygen
weight
plating
steel she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03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30005390A (en
Inventor
닛또하지메
간고 사까이
가쓰시 사이또오
Original Assignee
신닛뽕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사이도오 에이시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뽕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사이도오 에이시로오 filed Critical 신닛뽕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810000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329B1/en
Publication of KR830005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53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329B1/en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23C2/18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from elongated material
    • C23C2/20Strips;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23C2/261After-treatment in a gas atmosphere, e.g. inert or reducing atmosp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용융침지식 아연도강판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제1도는 용융아연을 모금속으로한 합금에서의 마그네슘 함유량과 역시 아연을 모금속으로 한 아연도강판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림.1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gnesium content in an alloy with molten zinc as a parent metal and a galvanized steel sheet with zinc as a parent metal.

제2도는 모금속으로 하여서 이루어진 아연금속(이하 아연합금이라 칭함)에서의 알미늄량과 강판 표면에 도금한 아연합금의 부착량과의 상관관계도.2 is a correlation diagram between the amount of aluminum in the zinc met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zinc alloy) made of a parent metal and the amount of zinc alloy plated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제3도는 강판표면에 도금된 아연합금의 중량과 강판 표면에 도금하는 아연합금의 부착량과의 상관관계도.3 show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eight of zinc alloy plated on the surface of steel sheet and the amount of zinc alloy plated on the surface of steel sheet.

제4도는 아연합금 도금에 있어서 주석과 마그네슘의 함량과 아연합금 도금의 흑변현상과의 상관관계도.4 show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in and magnesium contents in the zinc alloy plating and the blackening phenomenon of the zinc alloy plating.

제5도는 강판에 도금한 아연합금에 있어서의 주석과 알미늄의 함량과 아연합금 도금에 있어서의 입자간 부식의 발생량과의 사이의 상관관계도.5 is a correlation diagram between the contents of tin and aluminum in the zinc alloy plated on the steel sheet and the amount of occurrence of intergranular corrosion in the zinc alloy plating.

제6도는 산소조절 분위기하에서의 산소분자량과 각 강판 표면에 도금되는 용융아연의 3가지 서로 다른 형태의 합금에서 발생된 드로스(dross)와 금속증발량과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것으로 이때 강판표면은 전술한 산소 조절분위기하게 두고 도금량은 각기 목표량에 맞추어져 있는 것으로 전제한다.FIG. 6 show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lecular weight of oxygen and the amount of dross and metal evaporation generated in three different types of alloys of molten zinc plated on the surface of each steel sheet under oxygen-controlled atmosphere. It is assumed that the plating amount is adjusted to the target amount in an oxygen controlled atmosphere.

제7조는 제6조에서와 같은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본원발명에 관한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그림.Article 7 illustrates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using the correlation as in Article 6.

제8도는 강판 표면에 도금된 용융아연 합금에 있어서의 마그네슘량과 전술한 산소조절분위기하에서의 산소분자량과 그리고 용융아연 합금도금에 있어 스키밍(skimming) 발생현상과의 상관관계도.8 is a correlation diagram of the magnesium content in the hot-dip zinc alloy plated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and the oxygen molecular weight under the oxygen-controlled atmosphere and the occurrence of skimming in the hot-dip zinc alloy plating.

제9도는 산소조절분위기에서의 산소분자량과 강판표면에 도금시키는 용융아연을 모금속으로 한 합금의 량과 그리고 용융아연합금의 도금에 있어서 디프레숀(depression) 손실과 휠리-휨(Fill-form) 손실발생과의 상관관계도.9 shows the molecular weight of oxygen in an oxygen-controlled atmosphere, the amount of an alloy based on molten zinc that is plated on the steel plate surface, and the loss of depression and fill-form in the plating of molten zinc alloy. ) Correlation with loss occurrence.

제10도는 산소조절분위기하에서의 산소분자량과 강판에 도금되는 다른 용융아연합금의 중량과 그리고 용융아연 합금도금에 있어서의 디프레숀손실과 휠리-휨손실 발생과의 상관관계도.FIG. 10 show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lecular weight of oxygen under the oxygen control atmosphere, the weight of other molten zinc alloy plated on the steel sheet, and the occurrence of deflection loss and wheelie-bending loss in the molten zinc alloy plating.

제11도는 산소조절분위기하에서의 산소분자량과 강판표면에 도금되는 아연합금과의 상관관계도.11 is a correlation diagram of the molecular weight of oxygen and the zinc alloy plated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under an oxygen control atmosphere.

제12도는 본원발명의 실시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를 구체화시켜 설명한 그림으로서 강판표면에 도금되는 용융아연합금량을 조절하는 구체적인 수단을 산소조절분위기하에서 나타낸 그림.FIG. 12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apparatus used for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specific mean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molten zinc alloy plated on the surface of a steel sheet under an oxygen control atmosphere.

제13도는 강판표면에 도금되는 아연합금에 대해 산소조절분위기 하에서 응고과정을 끝내게 하는 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그림.FIG. 13 is a detailed view of a device for finishing the solidification process under an oxygen control atmosphere for a zinc alloy plated on a steel plate surface.

제14도는 본원발명의 실시장치에 대한 설명도로서, 산소조절분위기를 두가지부분 즉 도금조절부분(2a) 냉각부분(2b)으로 나누어 설명한 그림.FIG. 1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oxygen control atmosphere is divided into two parts, namely, a plating control part 2a and a cooling part 2b.

제15도는 본원발명의 실시장치에 대한 설명도의 하나로서, 산소조절분위기가 소요산소분자량과 질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가 혼합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그림.FIG. 15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oxygen control atmosphere is composed of a space in which a required oxygen molecular weight and an inert gas such as nitrogen are mixed.

제16도는 본원발명의 실시장치에 대한 설명도의 하나로서, 강판 표면에 도금되는 용융아연합금의 중량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한 냉각가스 송풍장치에 대한 그림.FIG. 16 is an explanatory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iagram of a cooling gas blower installed to control the weight of a molten zinc alloy plated on a steel plate surface.

제17도는 본원발명의 실시장치에 대한 설명도의 하나로서, 강판표면에 도금하는 용융아연합금이 불활성가스와 공기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산소조절분위기하에서 완전히 응고되도록 하는 장치에 대한 그림.FIG. 17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molten zinc alloy to be plated on a steel plate surface is completely solidified under an oxygen control atmosphere composed of a mixture of an inert gas and air.

제18도는 본원발명의 실시장치에 대한 설명도의 하나로서, 용융아연합금으로 도금된 강판이 용융아연 합금량을 조절하는 대한 수단으로서의 제1산소조절분위기속에 들어가는 과정과 다음에 용융아연 합금의 도금이 제2산소조절 분위기속에서 완전히 응고되는 것을 설명하는 그림이다. 여기에서 제2산소조절 분위기는 가변적이며 제1 및 제2분위기는 각기 공기와 불활성가스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다.18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teel plate plated with molten zinc alloy enters into a first oxygen control atmosphere a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molten zinc alloy and then plated with a molten zinc alloy. The figure explains the complete coagulation in the second oxygen-controlled atmosphere. Here, the second oxygen control atmosphere is variable and the first and second atmospheres are each composed of a mixture of air and inert gas.

제19도는 본원발명의 실시장치에 대한 설명도의 하나로서, 강판표면에 용융아연 합금을 도금한 것을 제1의 산소조절분위기하에 놓은 다음 제1의 분위기로 싸여있는 제2냉각분위기하에 놓은 것을 설명한 그림. 여기에서 공기와 불활성가스의 혼합가스는 제1분위기의 출구에서 강판표면에 도금한 아연합금으로 향하여 송풍되고 불활성가스는 제2분위기의 출구에서 강판표면에 도금된 아연합금으로 향하여 송풍된다.FIG. 19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lated molten zinc alloy is coated on a steel plate surface under a first oxygen control atmosphere and then under a second cooling atmosphere wrapped in a first atmosphere. Drawing. Here, the mixed gas of air and inert gas is blown toward the zinc alloy plated on the steel plate surface at the outlet of the first atmosphere, and the inert gas is blown toward the zinc alloy plated on the steel plate surface at the outlet of the second atmosphere.

제20도는 제19도에서 도시한 제1산소조절분위기 속으로 송풍되는 혼합가스속에서의 공기량과 역시 제19도에서 도시한 제1산소조절 분위기속으로 M지점(地點)에서 송풍되는 산소분자량과의 상관 관계도.FIG. 20 shows the amount of air in the mixed gas blown into the first oxygen control atmosphere shown in FIG. 19 and the amount of oxygen molecular blown at M point into the first oxygen control atmosphere shown in FIG. Correlation diagram.

제21도는 본원발명의 실시장치에 대한 설명도의 하나로서 산소조절분위기로부터 흘러나온 가스흐름이 전술한 분위기의 외부에서 강판에 불필요한 진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판표면에 도금되는 아연합금을 향하여 송풍되는 것을 보이는 그림.FIG. 21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blows toward the zinc alloy plated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in order to prevent the gas flow flowing out of the oxygen control atmosphere from occurring in the steel sheet outside of the above-mentioned atmosphere. Picture that seems to become.

제22도는 제23도에서 도시한 장치에서 산소조절분위기속으로 투입되는 공기량과 산소조절분위기하의 세군데(3 locations)에서의 산소분자량과의 관계도.FIG. 22 is a 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the oxygen control atmosphere in the apparatus shown in FIG. 23 and the molecular weight of oxygen at three locations under the oxygen control atmosphere.

제23도는 본원발명의 실시에 대한 설명도의 하나로서 산소조절분위기로부터 나온 가스흐름이 산소조절 분위기출구에서 강판 표면에 도금되는 아연합금을 향하여 송풍되는 것을 도시한 그림.FIG. 2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gas flow from an oxygen control atmosphere is blown toward a zinc alloy plated on a steel plate surface at an oxygen control atmosphere outlet.

본원 발명은 아연도 강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용융아연합금욕을 사용하여 내식성을 아주 현저히 증가시키는 방법의 발명에 관한 것이다. 아연도 강판 제조방법에 있어 용융아연도에 의한 방법은 내식성이 우수하므로 빌딩, 구조물, 주택, 자동차본체등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는 아연이라는 금속이 양호한 활성을가지므로써 조직이 치밀한 아연합금 형태를 만들므로써 내식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아연의 부식율은 부식된 금속체의 성질과 형태 그리고 주위의 부식환경에 크게 좌우된다. 예를들면 유황성분을 함유한 가스, 산 또는 알칼리성분이 가득찬 주위 환경하에서는 내식성이 좋다는 아연합금이라도 각각 유화물 산화물 또는 알칼리와 반응한 용체(solution)가 되어 부식이 빨라지게 마련이다. 따라서 철판에 아연층을 피복(도금)시킨 것을 부식되지 않도록 하게 하려면 상술한 부식환경속에서 벗어나도록 해야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galvanized steel sheet and to a method of significantly increasing corrosion resistance using a molten zinc alloy bath.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galvanized steel sheet, the method based on molten zinc has been widely used in buildings, structures, houses, automobile bodies, etc. because of its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This is because the metal called zinc has good activity and thus the structure increases the corrosion resistance by forming a dense zinc alloy form. The corrosion rate of zinc is highly dependent on the nature and form of the corroded metal body and the surrounding corrosion environment. For example, under a gaseous, acidic or alkali-containing ambient environment, even zinc alloys with good corrosion resistance become solutions that react with sulfide oxides or alkalis, resulting in faster corrosion.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corrosion of the coating (plating) of the zinc layer on the iron plate, it must be released from the above-mentioned corrosion environment.

그런데 아연이 중성(中性) 분위기하에서 도금될때에는 그 산물인 아연합금은 치밀한 조직이 되고 중성용액에서의 용해(부식)가 불가능하게 할 수가 있으므로 중성분위기하에서 염화이온(chlorine ion) 농도만 크지 않도록 한다면 내식성에 있어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 예로서 도로위에 염분이 많이 뿌려져 있으면 자동차 몸체는 아연도 강판으로 되어있더라도 부식이 촉진되어 견뎌낼 수가 없게된다. 통상 아연도 강판은 중성분위기하에 놓여지면 강판위에 도금된 아연 스스로를 희생시키므로써 내식성을 증가시키는 활동이 대단히 크기 때문에 아연도의 부식율이 감소되면 자기 희생에 의한 내식성 활동이 활발히 나타난다. 예를들면 소금을 녹인 3%의 염수에 순수한 아연을 넣을때라도 중성분위기하에서는 그 부식율은 원래의 부식율보다 1/20-1/50 수준으로 줄어든다. 이에 따라 강판에서의 부식효과가 만족스럽게 얻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환경하에서 아연부식율이 원래의 부식율에 비해 1/20-1/50 수준으로 줄어든다면 이는 바로 아연피복(도금)을 하므로써 내식성을 20배 내지 50배 증가시킨다는 말이며 그렇게 만할 수 있다면 아연도금의 도금량이 1/20-1/50 수준으로 줄 수 있다는 논리가 성립된다.However, when zinc is plated in a neutral atmosphere, the product zinc alloy becomes a dense structure and may not be able to dissolve (corrosive) in a neutral solution,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ion is not so high under a medium atmosphere. If so, satisfactory results in corrosion resistance can be obtained. For example, if a lot of salt is sprayed on the road, even if the car body is made of galvanized steel, corrosion is accelerated and cannot be tolerated. In general, galvanized steel sheet has a very large activity of increasing corrosion resistance by sacrificing the zinc plated on the steel sheet when placed under a medium-phase atmosphere. Therefore, when the corrosion rate of zinc is reduced, the corrosion resistance activity due to self-sacrifice is active. For example, even when pure zinc is added to 3% of salt-dissolved brine, the corrosion rate is reduced to 1 / 20-1 / 50 below the original corrosion rate even in the mid-level atmosphere. Accordingly, the corrosion effect in the steel sheet can be satisfactorily obtained. Therefore, if the zinc corrosion rate is reduced to 1 / 20-1 / 50 level compared to the original corrosion rate under the above-mentioned environment, it means that the corrosion resistance is increased by 20 to 50 times by zinc coating (plating). If so, the logic that the galvanizing amount can be reduced to 1 / 20-1 / 50 is established.

과거에 아연도강판은 주로 빌딩과 구조물구축용으로 많이 쓰였다. 이것이 현재에와서 그 용도가 더욱 확산되어, 주택, 자동차, 가구용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아연도강판은 상술한 새로운 용도에 맞는 성질을 가져야할 필요성을 갖게 되었는데 다시 말해 대단히 우수한 내식성 외에도,In the past, galvanized steel sheet was mainly used for building and structure construction. This is the use that has become more widespread nowadays, and is being used for homes, cars and furniture. So galvanized steel sheet has a need to have properties for the new uses described above, in other words, in addition to very good corrosion resistance,

1) 강판과 피복아연 사이의 밀착성이 좋을 것.1) Good adhesion between steel plate and coated zinc.

2) 외관이 미려하고 변색이 없어야 할 것.2) Beautiful appearance and no discoloration.

3) 도금된 아연표면의 최종 표면처리성이 좋은 것.3) Good surface finish of plated zinc surface.

즉 화학처리라든가 유기물 피복이라든가 페인팅등이 미려하게 될 수 있는 성질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 그것이다.That is, chemical treatment, organic material coating, painting, etc. should have the property to be beautiful.

본원 발명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아연을 모금속(母金屬)으로하는 합금 0.1∼0.2%(중량)의 마그네슘원소를 함유하도록 하는데 있다. 마그네슘은 강판표면에 아연을 모금속으로하는 합금(이하 이연합금이라 칭함)을 도금시킬 경우 내식성을 아주 현저히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인 예를들면 제1도의 경우 99.97%라는 고순도(전기적 생산방법으로 얻어짐)의 아연과 마그네슘을 합금화시켜 도금한다. 다른 강판도 0.22%(중량)알미늄, 불순물로서 0.1%(중량)납 0.01%(중량)카드미늄과 0.02%(중량)철, 그리고 제1도에서와같이 0.1∼2.0%(중량)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있는 또 다른 아연합금으로 도금하기도 한다.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is invention is to contain the magnesium element of 0.1-0.2% (weight) of the alloy which uses zinc as a base metal. Magnesium significantly increases the corrosion resistance when plating zinc-based alloys (hereinafter referred to as "lead alloys") on the surface of steel sheets. For example, in the case of FIG. 1, high purity (obtained by electrical production method) of 99.97% is alloyed and plated with magnesium. Other steel sheets also contain 0.22% (weight) aluminum, 0.1% (weight) lead, 0.01% (weight) cadmium and 0.02% (weight) iron as impurities, and 0.1-2.0% (weight) magnesium as shown in FIG. It is also plated with another zinc alloy.

강판도금 결과를 테스트하는 방법에 대해 공업규격(KS, JIS)는 3일동안 염수(鹽水)를 스프레이서켜 검사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때 각 강판의 중량손실은 바로 부식율을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제1도는 아연에 마그네슘을 소량첨가하므로써 부식율의 감소, 즉 내식성이 현저히 증가하고 있음을 뚜렷이 보여 주고 있다. 예를들면 0.5%(중량) 마그네슘을 함유한 아연합금 도금강판의 부식율은 마그네슘을 전혀 첨가하지 않은 아연합금이나 아연으로 도금할 때의 부식율의 1/7정도 밖에 안된다. 역시 마그네슘을 1.0%(중량) 함유할 경우 이 수치는 1/10정도로 줄어든다. 제1도는 마그네슘을 2.0%(중량)까지 포화시켜 첨가할때까지의 아연합금에 대한 마그네슘의 내식성 효과가 어떤 것인지 뚜렷이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마그네슘은 2.0%이상 함유되더라도 효과는 더 이상 변함이 거의없음) 또한 내식성 효과를 만족스럽게 얻기 위해서는 아연합금에 적어도 마그네슘 함량을 0.1%(중량) 이상으로 함이 필요하다는 사실도 제1도에서 알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있어 중요한 점은 아연합금에 첨가하는 마그네슘함량은 0.1∼2.0%(중량) 범위에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본원 발명에 이용되는 아연합금에는 그외에도 0.5%(중량)이하의 알미늄이 통상 첨가된다. 다시 말해 아연합금은 0.1∼2.0%(중량) 마그네슘, 0.5%(중량) 이하의 알미늄 나머지는 거의 아연으로 통상 구성된다.Industrial Standards (KS, JIS) stipulate the test of spraying salt water for 3 days. At this time, the weight loss of each steel sheet is a standard for determining the corrosion rate. FIG. 1 clearly shows that the addition of a small amount of magnesium to zinc significantly reduces the corrosion rate, that is, the corrosion resistance. For example, the corrosion rate of galvanized steel sheets containing 0.5% (by weight) magnesium is only about one seventh that of zinc alloys containing no magnesium or zinc. Also, if you contain 1.0% magnesium, this figure is reduced to about 1/10. Figure 1 clearly shows the effect of magnesium on the zinc alloy until the magnesium is saturated to 2.0% (by weight). (In this case, even if magnesium is contained more than 2.0%, the effect is almost unchanged.) Also, in order to obtain a satisfactory corrosion resistance effect, it is also necessary to make zinc alloy at least 0.1% (weight) or more. Able to know. Therefore, the important poin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magnesium content added to the zinc alloy should be in the range of 0.1 to 2.0% (weight). In addition to the zinc allo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luminum of 0.5% (weight) or less is usually added. In other words, the zinc alloy is 0.1 to 2.0% by weight magnesium, and the aluminum balance of 0.5% or less by weight is usually composed of almost zinc.

아연합금에 알미늄을 첨가하면 강판표면을 도금하는 아연합금의 밀착성을 강화시켜 준다. 제2도는 아연합금에 첨가한 알미늄 함량과 강판에 도금한 아연합금의 밀착성(결합강도 : Bonding strength)과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는데 각 데이타는 마그네슘을 1.0%(중량)첨가시킨 용융아연합금에 알미늄을 각각 0, 0.05, 0.1, 0.15, 0.2, 0.3, 0.4 또는 0.5%(중량)첨가시킨 것을 각기 다른 강판에 도금할 때의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아연합금도금량은 50g/m2이다.The addition of aluminum to the zinc alloy enhances the adhesion of the zinc alloy to the steel plate surface. 2 show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luminum content added to the zinc alloy and the adhesion strength (bonding strength) of the zinc alloy plated on the steel sheet, and each data was added to the molten zinc alloy containing 1.0% (weight) magnesium. The numerical value at the time of plating on different steel plates which added aluminum, 0, 0.05, 0.1, 0.15, 0.2, 0.3, 0.4, or 0.5% (weight), respectively is shown. The zinc alloy plating amount is 50g / m 2 here.

아연합금 도금층이 벗겨지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강판에 대해 볼(ball)로 때려 그 충격에 견디는 강도를 시험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철제 볼(iron ball)은 직경 25mm를 가진 것으로 아연합금층에 사출시키고 부착성 시험테이프를 아연합금 도금층표면에 붙인 다음 떼어내서 묻어나는 량이 얼마나 되는가를 측정한다. 아연합금 부착강도는 전표면적당 아연합금 도금층이 벗겨져 나간 표면 비율로 계산한다.In order to measure the degree of peeling of the zinc alloy plating layer, the steel plate is struck with a ball and tested for strength to withstand the impact. The iron ball used here has a diameter of 25 mm and is injected into the zinc alloy layer and attached. Apply the test tape to the zinc alloy plated layer surface, remove it and measure how much it gets off. The zinc alloy adhesion strength is calculated as the ratio of the surface peeled off of the zinc alloy plating layer per total surface area.

제2도는 아연합금도금의 밀착성이 아연합금에 0.1%(중량)나 그 이상 첨가하였을 때는 뚜렷이 증가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강판표면에 도금되는 아연합금량과 부착성과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강판을 0.2%(중량) 마그네슘과 0.2%(중량) 알리늄을 함유한 용융아연 합금용액(A), 마그네슘을 0.5%(중량) 알리늄을 0.2%(중량) 함유한 용융아연합금용액(B), 마그네슘을 1.0%(중량), 알미늄을 0.2%(중량) 함유한 용융아연합금용액(C) 및 마그네슘만 0.2%(중량) 함유한 용융아연합금용액(D)에 각각 담가보았다. 연후에 침지된 강판을 꺼내고 다음 도금되는 량을 목표량에 맞추기 위해 강판표면의 용융된 도금층을 불어내도록 가스를 분사시킨다. 도금공정이 완료되면 도금의 부착성을 철재볼로 충격시험(ball impact test)하여 측정하는데 그 결과를 제3도에 도시하였다.FIG. 2 shows that the adhesion of zinc alloy plating increases markedly when 0.1% (weight) or more of zinc alloy is added. Molten zinc alloy solution (A) containing 0.2% (weight) magnesium and 0.2% (weight) aluminium, and 0.5% (weight) magnesium ) Molten zinc alloy solution (B) containing 0.2% (weight) of aluminium, 1.0% (weight) of magnesium, 0.2% (weight) of molten zinc alloy solution (C) and magnesium containing 0.2% (weight) of aluminum ) Were immersed in the molten zinc alloy solution (D). After the removal, the immersed steel sheet is taken out and gas is blown to blow the molten pl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in order to match the next plated amount with the target amount. When the plating process is completed, the adhesion of the plating was measured by a ball impact test with a steel ball, and the result is shown in FIG. 3.

그림 3을 보면 아연합금(A), (B), (C)가 대단히 우수한 부착성을 그 반대로 알미늄을 전혀 첨가하지 않은 (D)의 경우에는 부착성이 열등함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통상 0.1%(중량)이나 그 이상 알미늄을 첨가하면 강판표면에서의 아연합금도금의 부착성이 증가되는데 큰 효과를 가진다. 허나 0.5%(중량)이나 그 이상 알미늄을 첨가하면 경우에 따라 아연합금 도금시의 내식성이 감소할 때가 있다. 이것은 아연합금에 주석이나 납성분을 가진 알미늄을 많이 첨가하므로써 아연합금에서의 입자간 부식(또는 입간부식 ; intergranular corrosion) 촉진되기 때문이다.Figure 3 shows that zinc alloys (A), (B), and (C) have very good adhesion properties.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D) with no aluminum added, the adhesion properties are inferior. In general, adding more than 0.1% (weight) or more of aluminum has a great effect in increasing the adhesion of zinc alloy plating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However, when 0.5% (weight) or more of aluminum is added, the corrosion resistance during zinc alloy plating sometimes decreases. This is because the addition of tin or lead-containing aluminum to the zinc alloy promotes intergranular corrosion (or intergranular corrosion) in the zinc alloy.

상술한 바와 같이 아연합금에 알미늄을 0.1%(중량)미만 첨가한 것은 강판표면에 대한 부착성이 좋지 못하다. 그런데 아연합금을 강판표면에 도금하기 전에 주석, 니켈이나 구리로 미리 도금하면 0.1%(중량)미만의 알미늄을 함유하고 있는 아연합금의 부착성은 그렇게 하지 않을때보다 향상되어 0.1%(중량)이상 알미늄을 함유하고 있는 아연합금의 그것과 같게 된다. 이는 미리 도금한 금속층(이하 "예비도금"이라 칭)이 강과아연합금 상호간의 불필요한 확산을 막기 때문이다. 예비도금은 주석, 니켈, 구리 이온을 함유하고 있는 도금 욕조에 강판으로 된 음극을 설치하여 공정 처리되며 도금중량은 0.001∼1g/m2의 범위로 한다. 또 다른 공정에서는, 도금해야 할 금속 이온을 함유하고 있는 도금욕조에 강판으로 된 음극을 설치하고 탈지와 경우에 따라서는 산세까지 공정 처리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ddition of less than 0.1% (by weight) of aluminum to the zinc alloy is poor in adhesion to the steel sheet surface. However, if the zinc alloy is plated with tin, nickel or copper before plating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the adhesion of zinc alloy containing less than 0.1% (weight) of aluminum is improved than that without it. The same as that of zinc alloy containing. This is because a pre-plated metal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plating") prevents unnecessary diffusion between steel and zinc alloys. Pre-plating is carried out by installing a negative electrode made of steel in a plating bath containing tin, nickel and copper ions, and the plating weight is in the range of 0.001 to 1 g / m 2 . In another process, a negative electrode made of steel sheet is placed in a plating bath containing metal ions to be plated, and subjected to process for degreasing and, if necessary, pickling.

이 방법은 예비도금 공정과 탈지공정을 동시에 처리하는데 대단히 효과가 좋다. 예비도금 공정은 예비도금해야 할 금속이 강판표면에 굳게 부착될수만 있다면 여하한 것을 써도 좋다.This method is very effective for simultaneously processing the preplating process and the degreasing process. The preplating process may be used as long as the metal to be preplated can be firm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예비도금된, 주석, 니켈 구리층은 고농도의 실리콘, 망간, 경우에 따라 알미늄 그밖에도 도금성을 저해하는 고장력강, 킬드강 또는 연속주조강등과 같은 강제로 만든 강판표면에 대해서도 아연도금 부착성 강화에 큰 효과를 부여한다.The pre-plated tin and nickel copper layers can be used to enhance galvanized adhesion to steel plates made of high concentrations of silicon, manganese and, in some cases, aluminum and other steels such as high-strength steel, killed steel or continuous cast steel, which impair plating. Give a great effect.

마그네슘만이거나 마그네슘과 알미늄성분 둘다 함유하고 있는 아연합금으로 도금한 강판표면은 표면산화로 인하여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검게 변색되는 수가 있다. 본원발명은 주석을 아연합금에 첨가하므로써 이와같은 흑변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구된 발명이다.Surfaces of steel sheets coated with zinc alloys containing only magnesium or containing both magnesium and aluminum may discolor over time due to surface oxida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tudied to prevent such blackening by adding tin to zinc alloy.

제1표는 서로 다른 7개의 강판에 마그네슘, 알미늄, 주석을 여러가지로 함유한 아연합금을 도금시킨 경우의 데이타이다.The first table shows data obtained by plating zinc alloys containing magnesium, aluminum, and tin on seven different steel sheets.

각 도금강판은 표면에 무수크롬산을 가한 2%(중량)용액으로 처리한 후 뜨거운 공기를 불어 넣어 건조시켰다.Each plated steel sheet was treated with a 2% (weight) solution to which chromic anhydride was added to the surface, followed by drying by blowing hot air.

이렇게해서 나온 도금강판 표면의 크롬무게는 10-25mg/m2의 범위내에 산포된다.The chromium weight on the surface of the plated steel sheet thus obtained is dispersed in the range of 10-25 mg / m 2 .

각 판상에 있어 크롬산 처리부분과 처리 않은 부분은 38℃의 일정온도에서 밀폐실에 넣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여 보았다. 즉 각 강판에서 크롬산 처리부분과 처리않은 부분의 반쪽은 다른 강판위에 얹고 방수지로 싸두고 그 다른 반쪽은 직접 공기중에 노출시켜 따로 떨어지게 하여 보았다.For each plate, the chromic acid treated part and the untreated part were put in an airtight chamber at a constant temperature of 38 ° C. and tested in the following manner. That is, in each steel plate, half of the chromic acid treated part and the untreated part were placed on the other steel plate, wrapped in waterproof paper, and the other half was directly exposed to the air to be separated separately.

[표 1]TABLE 1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1

그 결과 각 강판의 표면에 흑변이 나타나는데 소요되는 시일은 표 1과 같다. 표 1은 아연합금 도금 No, 3,4와 같이 주석 첨가없이 마그네슘과 알미늄판을 첨가하였을 때 3개월이내로 흑변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반해 아연합금 1과 같이 마그네슘과 주석을 첨가하지 않고 알미늄만을 첨가한 것은 덜 변색된다. 역시 알미늄 마그네슘, 주석을 첨가하는 아연합금 5,6,7의 도금의 경우 변색현상에 대해 간단히 완강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말하자면 마그네슘과 알미늄 성분을 둘다 아연합금에 첨가하면 흑변현상을 없애는데 큰 효과가 있음을 반중하는 것이다. 제4도는 흑변현상과 아연합금에 첨가한 마그네슘과 주석함량과의 상관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아연합금에 마그네슘과 주석을 빗금 그은 부분과 같은 량으로 첨가하여 도금할 경우 6개월에 이르기까지 38℃의 온도에서 계속 두었을때 변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있는 아연합금에 0.1%(중량)이상 주석을 첨가하면 이러한 흑변현상이 현저히 줄어든다.As a result, the seals required for the appearance of black sides on the surface of each steel sheet are shown in Table 1. Table 1 shows blackening within 3 months when magnesium and aluminum plates were added without adding tin, such as zinc alloy plating Nos. 3 and 4. On the contrary, the addition of only aluminum without magnesium and tin, such as zinc alloy 1, is less discolored. In the case of the zinc alloy 5, 6, 7, which is also added to aluminum magnesium and tin, it can be seen that it is simply stubborn against discoloration. This is to say that the addition of both magnesium and aluminum to the zinc alloy is very effective in eliminating blackening. 4 show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lackening phenomenon and the magnesium and tin content added to the zinc alloy. In this case, when the zinc alloy is added in the same amount as magnesium and tin, the plated parts are discolored when they are kept at a temperature of 38 ° C. for up to 6 months. However, the addition of more than 0.1% (weight) of tin to the zinc alloy containing magnesium significantly reduces this blackening phenomenon.

본원 발명은 아연 합금에 있어 불필요한 입자간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발명인바 아연합금에 있어 주석첨가량은 최소 0.1%(중량)에서 최대 다음의 방정식으로 도출되는 량이 가장 적절하다. 즉 주석첨가 상한 A(%)=1.07-1.33×B 여기서 B는 알미늄의 함량(%)을 나타낸다. 부식시험은 0.5% 마그네슘과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은 알미늄과 주석 함량을 함유하고 있는 용융아연 합금으로 도금한 각 강판에 대해 실시하는데 통상 2주동안 100℃ 은온도에서 증기(steam)가 가득한 분위기속에 도금강판을 두어 실험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for preventing unnecessary intergranular corrosion in the zinc alloy, the amount of tin added in the zinc alloy is the most appropriate amount deriv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 at least 0.1% (weight). Namely, tin addition upper limit A (%) = 1.07-1.33 × B where B represents aluminum content (%). Corrosion tests are carried out on each steel plate coated with a molten zinc alloy containing 0.5% magnesium and aluminum and tin content as shown in Figure 5, usually steam filled at 100 ° C for 2 weeks. The plated steel sheet was placed in the experiment.

시험이 끝난 후 아연합금 도금상의 입자간 부식이 얼마나 일어났나 측정하였다. 그 결과가 바로 제5도에서 나타나 있는데, 알미늄이나 주석의 함량을 빗금 그은 부분안으로 하였더니 그 결과 입자간 부식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입자간 부식을 피하기 위해서는 주석량 A와 알미늄량 B는 상술한 방정식을 만족시켜야 한다. 내식성, 강판표면에의 부착성, 흑변형상에 대한 저항성, 입자간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생각해볼때 아연합금에 있어 마그네슘, 알미늄 그리고 주석량이 이들을 결정하는 요소가 됨을 알 수 있다. 추천할만한 아연합금이란 0.1∼2.0%(중량) 마그네슘 0.1∼5.0%(중량) 알미늄, 그리고 최소 0.1%(중량) 최대 A%(중량)의 주석을 함유하는 합금이다. 여기서 A(%)=1.07-1.33×B (B는 알미늄함량 퍼센트를 나타낸다)After the test, it was measured how much the intergranular corrosion occurred on the zinc alloy plating. The result is shown in FIG. 5, where the content of aluminum or tin is in the hatched portion, and as a result, intergranular corrosion occurs. To avoid intergranular corrosion, the amount of tin A and the amount of aluminum B must satisfy the above equation. Considering the corrosion resistance, adhesion to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resistance to black deformation, and resistance to intergranular corrosion, it can be seen that magnesium, aluminum and tin amounts are the determining factors for zinc alloys. A recommended zinc alloy is an alloy containing 0.1-2.0% magnesium by weight 0.1-5.0% aluminum by weight and at least 0.1% by weight tin by up to A% by weight. Where A (%) = 1.07-1.33 × B (B denotes aluminum content percentage)

상술한 바와 같이 주석은 아연합금 도금에 있어 흑변현상을 방지하는데 대단히 효과적이다. 비스마스, 실리콘도 흑변현상을 방지하나 그 효과는 주석에 비할바 못된다. 그렇다면 본원 발명에 있어 아연합금에 있어 최소한 첨가해야 할 주석대신 비스마스와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 최소한 대치할수는 있다. 본원발명에 있어 아연합금에 함유된 마그네슘은 제품 표면이 번쩍거리는 무늬를 가진 스팽글(spangling property)을 만드는 요소가 된다는 사실이 관측되었다.As described above, tin is extremely effective in preventing blackening in zinc alloy plating. Bismarth and silicon also prevent blackening, but the effect is comparable to that of tin. The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zinc alloy can be at least replaced by a group consisting of bismuth and silicon instead of tin to be added at lea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sium contained in the zinc alloy was observed to be a factor in creating a sparkling property with a shiny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product.

그런데 경우에 따라 아연합금 도금에선 스팽글 성을 촉진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스팽글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납, 주석, 안티몬 또는 비스마스를 첨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연합금에 0.1∼0.25 납성분을 첨가시킨다. 그러나 납은 소량이 함유되더라도 아연합금 도금시 입간부식을 가속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입간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아연합금에 있어서의 납 첨가량은 소량일수록 좋으므로 가급적 0.01%(중량)이하로 함이 바람직하다.In some cas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promote sequining properties in zinc alloy plating.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add lead, tin, antimony or bismuth which serves to promote sequinability. 0.1 to 0.25 lead component is added to a zinc alloy generally used for this purpose. However, even though a small amount of lead is contained, it plays a role in accelerating intergranular corrosion during zinc alloy plating.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intergranular corros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mount of lead added in the zinc alloy is better, so that it is preferably 0.01% (weight) or less.

본원 발명에 있어 납을 넣지 않고 마그네슘을 넣은 아연합금의 스팽글 성은 주석, 비스마스, 또는 안티몬을 첨가하면 가속화된다. 또한 안티몬을 첨가하면 비록 아연합금에 있어서의 흑변현상을 방지하지는 못해도 스팽글 성을 촉진하는데 대단히 효과적이라는 사실은 주목할만한 일이다. 그렇다면 최소한 주석의 일부를 안티몬으로 대신 쓸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마그네슘은 부식에 대한 아연합금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데 대단히 뚜렷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마무리 도금성(finish-coating property)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아연도 강판은 대단히 훌륭한 마무리 도금성을 나타내고 있다. 통상 아연도 강판의 마무리 도금전에 아연합금 도금표면은 마무리 도금과 아연합금 도금사이의 부착을 촉진시키기 위해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종래의 아연합금 도금에 적용하는 것과 같은 조건하에 인산용액으로 처리한다. 그 처리결과 단단하고 안정된 인산막이 아연합금 도금표면에서 얻어지며 그 결과 인산용액 처리된 아연합금 도금은 종래의 어떠한 마무리 도금법에 의해서라도 단단히 마무리 도금결과를 얻어 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quinability of zinc alloy containing no lead is accelerated by adding tin, bismuth or antimony.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addition of antimony is very effective in promoting sequining, although it does not prevent blackening in zinc alloys. Then at least some of the comments can be used as antimony instead. As mentioned above, magnesium has a very pronounced effect in improving the corrosion resistance of zinc alloy against corrosion. It is also effective in promoting finish-coating properties. The galvanized steel sheet in this invention shows the outstanding finish plating property. Normally, before finish plating of galvanized steel sheets, the zinc alloy plating surface is treated with a phosphate solution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ose applied to conventional zinc alloy plating containing no magnesium to promote adhesion between the finish plating and the zinc alloy plating. As a result of the treatment, a hard and stable phosphate film is obtained on the zinc alloy plating surface. As a result, the phosphate solution treated zinc alloy plating can be firmly obtained by any conventional finishing plating method.

예를들면 음극전극 석출도금법과 양극 전극석출도금법, 그리고 베이킹도금법을 들 수 있는데 전자는 자동차의 페인팅피복과 칼라강판(color steel plates)의 상도(상上鍍) 및 하도(下鍍)에 그리고 베이킹 피복법은 주택용에 사용된다. 본원 발명에 있어 아연도 강판의 우수한 도금성을 얻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여 보았다. 즉 알미늄, 마그네슘, 주석 그리고 철성분을 표 2에서와 같은 량으로 함유하고 있는 용융아연 합금으로 여러가지 강판을 각각 도금하여 보았다.Examples include cathode electrodeposition plating, anode electrodeposition plating, and baking plating. The former is applied to top and bottom coats and top coats of car paint and color steel plates. The covering method is used for housin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obtain excellent plating properties of the galvanized steel sheet. That is, various steel sheets were plated with molten zinc alloys containing aluminum, magnesium, tin and iron in the amounts shown in Table 2.

각 아연도 강판을 전처리제(pre-treating agent)를 함유한 아연인산염으로 보통의 방법으로 전처리하였다. 연후에 음극 전극석출법으로 피복하였더니 그 피복두께가 약 20미크론이 되었다. 다음 강판의 절단부가 대기중에 노출되도록 강판의 각 시험편의 피복층을 횡방향으로 절단한다. 그다음 시험편에 공업표준규격(KS, JIS)에서 정하는 바에 의하여 1000시간 염수로 살수하였다. 그 결과 절단면 주위가 부식되었다. 부식부분의 폭(mm)에 대한 측정결과는 표 2와 같다.Each galvanized steel sheet was pretreated with zinc phosphate containing a pre-treating agent in the usual way. After the coating, the coating was coated with a cathode electrode precipitation method and the coating thickness was about 20 microns. Next, the coating layer of each test piece of the steel sheet is cut transversely so that the cut portion of the steel sheet is exposed to the atmosphere. Then, the test piece was sprinkled with brine for 1000 hours as defined by the Industrial Standards (KS, JIS). As a result, the periphery of the cut surface was corroded. The measurement results for the width (mm) of the corroded parts are shown in Table 2.

이와는 별도로 피복강판의 각시험편을 염수로 스프레이하는 방법도 있는데 강판 전표면의 50%가 적녹(red rust)으로 덮이게 될때까지 계속한다.Separately, each test piece of the coated steel sheet may be sprayed with brine. Continue until 50% of the entire surface of the steel sheet is covered with red rust.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표 2]TABLE 2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2

주 : *1은 갈바아닐링법(glvannealing method)으로 도금처리한 것임.Note: * 1 is plated by the galvannealing method.

표 2에서 시험편 3,4,5는 본원 발명의 공정과 일치하고 그 결과 대단히 내식성이 높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페인트피복은 강판표면을 화학처리한 아연합금 도금위에 대단히 굳게 고착됨을 보여주고 있다. 아연합금도금에 마그네슘을 첨가하면 상술한 여러가지 잇점을 가져온다. 그러나 동시에 여러가지 불편한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는데 그 예를들면 크로스 훠메이숀(cross-formation)이 증가되고 용융아연 합금중량을 조절하기 어렵고 불필요한 스킴(skim)을 만들며 바람직하지 못한 흑변 또는 변색현상을 촉진시키는 결과가 발생하여 도금이 불균일하게 되고 조악한 스팽글성이 나오는 등의 폐해가 초래된다. 따라서 마그네슘을 첨가한 아연합금을 종래의 용융침지식 도금법으로 도금할 경우 그 공정상 어려움이 많고 품질상으로도 불만족스런 결과를 빚는다.In Table 2, specimens 3, 4, and 5 are consistent with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 very high corrosion resistance, and paint coating is very firmly fixed on the zinc alloy plating of the steel sheet surface. The addition of magnesium to zinc alloy plating brings several advantages as described above. At the same time, however, it can also cause a number of uncomfortable results, such as increased cross-formation, difficulty in controlling the weight of the molten zinc alloy, creating unnecessary schemes, and promoting undesired blacking or discoloration. The result is that the plating is uneven and a bad effect such as coarse sequins is produced. Therefore, when zinc-containing zinc alloy is plated by the conventional melt immersion plating method, the process is difficult and the quality is unsatisfactory.

본원 발명은 바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마그네슘을 첨가한 용융아연합금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단점을 제거하는데 관한 연구 결과인 것이다. 마그네슘을 함유한 용융아연합금으로 강판을 도금하는데 있어 중요한 점은 용융아연합금욕분위기를 산소분위기로 하고 강판에 도금되는 용융아연합금이 한계치에 이르도록 조절한다는 점이다. 통상 마그네슘은 산소에 대해 대단히 강하게 반응한다. 산화된 마그네슘은 용융아연합금옥에서 드로스(dross)를 생성한다. 종래의 용융침지식 아연도금법에서는 강판을 용융아연합금욕에 침지시키고 욕조에서 꺼낸다음 도금총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용융아연합금을 증기로 분사시키는 방법을 쓰고 있음에 대하여 이 방법은 용융아연합금에 첨가한 마그네슘이 대기중에서 산화되도록 조절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때로 바람직하지 못한 스프래싱현상(splashing phenomenon; 튀김현상)을 나타내기도 하고 산화는 용융아연속에서 도로스를 만드는 결과를 빚기도 한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와 같은 용융침지식 아연도금법은 마그네슘을 함유한 아연합금법에 그대로 이용할 수가 없다. 상기 드로스 생성을 방지하기 위해서 공기분사대신 산소를 함유하고 있지 않은 가스를 사용하는 방법이 시도 되었으나 산소가 없기 때문에 아연합금 용융액의 상당부분이 증발됨을 초래하였다. 이 증발된 금속은 용융침지장치의 내면에 축적된다. 그렇게 되면 여러가지 폐해를 초래하는데 이는 바로 산소를 함유하고 있지 않는 가스는 결국 드로스 생성방지에 기여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In view of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sult of research on eliminating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using a molten zinc alloy containing magnesium. An important point in plating steel sheet with magnesium-containing molten zinc alloy is that the molten zinc alloy bath atmosphere is the oxygen atmosphere and the molten zinc alloy plated on the steel sheet is controlled to reach the limit value. Magnesium usually reacts very strongly with oxygen. Oxidized magnesium produces dross in molten zinc alloy jade. In the conventional hot dip galvanizing method, a steel sheet is immersed in a hot dip zinc alloy bath, taken out of a bath, and then sprayed with a hot dip zinc alloy to control the total coating amount. Magnesium is controlled to oxidize in the atmosphere. However, this method sometimes results in undesirable splashing phenomena and oxidation results in the formation of dorothes in molten zinc.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hot dip galvanizing method cannot be used as it is in the zinc alloy method containing magnesium. In order to prevent the dross formation, a method of using a gas containing no oxygen instead of air injection was attempted, but since no oxygen was present, a large portion of the zinc alloy melt was evaporated. This evaporated metal is accumul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elt immersion apparatus. This causes a variety of hazards, which means that gases that do not contain oxygen will eventually not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dross production.

예를들면 강판을 제7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용융침지식 도금장치를 이용하여 속도를 분당 80M(80M/min)로 하고 0.5%(중량) 마그네슘을 함유한 아연합금으로 용융침지도금 시킬때, 제7도의 강판(1)을 용융아연을 담은 아연도금 솥에 침지시키고 섭씨 150도로 유지하면서 스나웃트(6)를 통과시킨다. 강판은 용융아연욕속에서 싱크롤(sink roll; 5)을 지난다음 욕조에서 꺼낸다. 다음에 밀폐실의 산소조절 분위기하에 둔다. 산소조절분위기하에서의 산소분자 농도는 소정의 목표치로 조절한다. 밀폐실(2)에서의 산소조절분위기는 용융아연합금의 중량을 도금층 위로 가스를 분사하거나 하여 목표치로 조정한 제1구간과 소정의 온도로 도금된 것을 냉각시키는 제2구간으로 이루어진다. 밀폐실(2)에서 한쌍의 노즐이 배열되어 있다. 가스는 노즐(7)을 통해 도금강판 표면의 양면위에 분사하므로써 강판표면상의 용융아연합금의 중량을 조절한다.For example, when the steel sheet is melt-immersed by zinc alloy containing 0.5% (weight) magnesium at a speed of 80 M / min using a melt immersion plating apparatus as shown in FIG. The steel plate 1 of 7 degrees is immersed in a galvanized pot containing molten zinc and passed through the snout 6 while maintaining 150 degrees Celsius. The steel sheet passes through a sink roll 5 in a molten zinc bath and is then removed from the bath. Next, the chamber is placed under oxygen control atmosphere. Oxygen molecule concentration under an oxygen control atmosphere is adjusted to a predetermined target value. The oxygen control atmosphere in the sealed chamber 2 consists of a first section in which the weight of the molten zinc alloy is injected onto the plating layer or adjusted to a target value and a second section cooling the pl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the sealed chamber 2, a pair of nozzle is arranged. The gas is sprayed on both surfaces of the plated steel sheet through the nozzle 7 to control the weight of the molten zinc alloy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밀폐실(2)에서의 산소분자농도는 노즐(7)의 상하로 부터 100mm 지점에서 가스를 채취하여 고감도 산소축정기로 측정하며 그 결과를 제6도에 도시하였다. 여기에서 커브 I밀폐실(2)의 산소 조절분위기하에서의 산소분자량과 산소조절분위기의 제1구역에서 0.5%(중량)의 마그네슘과 나머지 성분중 99.99%의 고순도를 가진 전기아연으로 구성되는 용융아연합금에서 발생되는 증발량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낸것이다. 산소조절분위기하의 각 제1구역에서의 금속증발량은 10피피엠(p.p.m)의 산소분자량에 얻어지는 분위기에 대한 제1구역에서의 금속증발량이 비율로 표시한다. 커브 I은 제1구역에서의 산소분자농도가 100피피엠니아 그 이상일때 금속증발이 일어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제6도에서의 커브 II는 산소조절분위기하의 제1구역에서의 산소분자농도와 제1구역에서 0.2%(중량)알미늄. 0.1%(중량) 납, 0.01%(중량) 카드미늄 0.015%(중량) 철분 및 나머지 아연으로 이루어지는 용융아연합금욕에서 발생하는 금속증발량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알미늄함유 아연합금욕의 경우, 제1구역에서의 산소분자 농도가 50피피엠 또는 그 이상일 때 금속증발은 일어나지 않는다. 제6도에서의 커브 III은 산소조절분위기하의 제1구역에서의 산소 분자농도와 커브 II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알미늄함유 동일 아연합금욕에서 생성되는 드로스량과의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The oxygen molecular concentration in the sealed chamber 2 was measured by a high-sensitivity oxygen accumulator by collecting gas at 100 mm from the top and bottom of the nozzle 7,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Here, molten zinc alloy composed of the oxygen molecular weight in the oxygen controlled atmosphere of the curve I sealed chamber (2) and the electric zinc having 0.5% (weight) of magnesium in the first zone of the oxygen controlled atmosphere and high purity of 99.99% of the remaining components. This shows the correlation with the amount of evaporation generated at. The evaporation amount of the metal in each first zone under the oxygen control atmosphere is expressed as the ratio of the evaporation amount of the metal in the first zone to the atmosphere obtained at an oxygen molecular weight of 10 p.p.m. Curve I shows that metal evaporation does not occur when the oxygen molecular concentration in the first zone is above 100 pipmnia. Curve II in FIG. 6 is the oxygen molecular concentration in zone 1 under oxygen controlled atmosphere and 0.2% (weight) aluminum in zone 1. Correlation with the amount of metal evaporation generated in a molten zinc alloy bath consisting of 0.1% lead by weight, 0.01% by weight cadmium 0.015% by weight iron and the remaining zinc is shown. In the case of the aluminum-containing zinc alloy bath described above, metal evaporation does not occur when the concentration of oxygen molecules in the first zone is 50 ppm or more. Curve III in FIG. 6 show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xygen molecular concentration in the first zone under the oxygen control atmosphere and the amount of dross produced in the same zinc alloy bath containing aluminum as described above in curve II.

각 제1구역에서 생성되는 드로스의 량은 대기중에서 생기는데 대한 각 제1구역에서의 금속증기 발생량의 비로 계산한다. 커브 III은 제1구역에서의 산소분자량이 1000피피엠이나 그 이하일때 드로스가 생성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1000피피엠 이상이 될때에는 산소분자량의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드로스도 현저히 증가된다.The amount of dross produced in each first zone is calculated as the ratio of the amount of metal vapor generated in each first zone to that produced in the atmosphere. Curve III shows that dross is not produced when the molecular weight of oxygen in the first zone is 1000 ppm or less. However, when it is more than 1000PM, as the concentration of oxygen molecular weight increases, the dross also increases significantly.

그림 6에서 나타난 결과로 부터 강판위에서 생성되는 아연합금의 중량은 낮은 목표치로 산소분자량 농도를 조절하므로써 임의로 변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미리 낮은 값으로 산소분자량 농도를 조정하므로써 불필요한 드로스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산소분자량 농도를 낮은 값으로 맞추게 되면 용융아연도금속도를 고속도로 할 수 있다. 종래의 속도는 분당 150M/min이하였는데 이는 작업속도를 고속도로하면 용융아연합금욕에서 드로스가 생성됨과 동시에 불필요한 스프레쉬 현상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1구역에서 산소분자량 농도를 작게 하므로써 용융아연합금욕에 마그네슘을 첨가 하더라도 용융아연도금 속도를 150M/min 이상으로 속도를 올릴 수가 있게 되었다. 대기중에서 종래의 용융아연도금 방법에서는 아연합금 도금을 대기중에서 실시하고 아연합금의 중량(두께)을 조절하는데 사용하는 분사가스를 공기로 하였는데, 아연합금도금 중량을 감소시키는데 분사가스압의 분사압력의 증가가 효과 적이었다. 그러나 분사압력을 올리면 올릴수록 불필요한 스프레쉬 현상이 증가하여 작업을 어렵게 만들뿐이었다. 종래의 용융아연도금방법으로 냉각분위기하에서의 산소소분자 농도를 조절하지 않고 작업을 하면 아연합금욕에서 대량의 드로스가 발생하거나 금속증발이 크게 발생한다. 그러나 산소조절 분위기하에서 제1구역에서의 산소분자 농도를 한계치로 조절하므로써 용융아연합금 도금 두께를 별 어려움이 없이 얇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From the results shown in Figure 6, it can be seen that the weight of zinc alloy formed on the steel sheet can be arbitrarily changed by adjusting the oxygen molecular weight concentration to a low target value.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oxygen molecular weight concentration to a low value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unnecessary dross. Therefore, if the oxygen molecular weight concentration is set to a low value, the molten zinc metal can be highwayd. Conventional speed is less than 150M / min per minute because the high speed of work to produce dross in the molten zinc alloy bath and at the same time unnecessary splash phenomenon occurs. However, by reducing the oxygen molecular weight concentration in the first zone, even when magnesium is added to the molten zinc alloy bath, the molten zinc plating rate can be increased to 150 M / min or more. In the air, the conventional hot-dip galvanizing method uses the injection gas used to perform zinc alloy plating in the air and to adjust the weight (thickness) of the zinc alloy as air, and increases the injection pressure of the injection gas pressure to reduce the zinc alloy plating weight. Was effective. However, increasing the injection pressure only increased the unnecessary spray phenomenon, making the work difficult. In the conventional hot dip galvanizing method, when working without adjusting the oxygen small molecule concentration in a cooling atmosphere, a large amount of dross or metal evaporation occurs in the zinc alloy bath. However, by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oxygen molecules in the first zone under the oxygen control atmosphere to a limit value, the thickness of the hot-dip zinc alloy can be reduced without any difficulty.

산소조절분위기하에서의 제1구역에서의 산소분자 농도를 감소시키면 분출가스의 분사압을 높이지 않고도 아연합금 도금중량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예를들면 산소조절분위기하의 제1구역에서 산소분자농도가 100피피엠일때 생성되는 아연합금도금 중량은 대기중에서 생성될 때의 80%에 해당한다. 즉 본원 발명의 실시에 의해 작업속도 분당 150m 이상의 고속도에서 용융아연합금 도금 두께를 얇게하여 작업할 수 있다.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oxygen molecules in the first zone under an oxygen control atmosphere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zinc alloy plating weight without increasing the injection pressure of the ejected gas. For example, the zinc alloy plating weight generated at the oxygen molecular concentration of 100 ppm in the first zone under the oxygen control atmosphere is 80% of that produced in the atmosphere. That is, according to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work by making the molten zinc alloy plating thickness thin at a high speed of 150 m or more per minute.

종래의 용융침지식 아연도금법에서는 냉각 및 분출가스가 공기로 되어 있어 아연합금 도금의 표면이 산화되기 쉽다. 그 결과 유동상태에 있는 잔여 용융아연합금 도금을 덮는 고체피막층이 생성된다. 여기에 분출가스를 분사시키면 상기 고체피막층에 주름이 진다. 아연합금 도금층이 완전히 응고된 다음에도 그 표면에는 주름살이 남으며 그 결과 생성된 고체피막층은 아연합금 도금중량이 목표치로 조절되는데 있어 장애물이 된다.In the conventional hot dip galvanizing method, the cooling and blowing gas is made of air, and the surface of the zinc alloy plating is easily oxidized. The result is a solid coating layer that covers the remaining hot dip zinc alloy plating in flow. Spraying the blowing gas here causes wrinkles to the solid coating layer. Even after the zinc alloy plating layer is completely solidified, wrinkles remain on the surface, and the resulting solid coating layer is an obstacle to adjusting the zinc alloy plating weight to a target value.

예를 들어 제8도에서 도시한 방향으로 온도 섭씨 450도, 작업속도 분당 80m에서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있는 용융아연합금으로 각 강판을 도금하고, 산소분자를 함유하고 있는 분출가스를 제8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은 압력 1.0kg/cm2에서 용융아연합금 도금표면으로부터 거리 10mm떨어져 있고 두께 0.6mm를 가지는 분출가스 스릿트(slit) 구멍을 통해 아연용융 도금표면에 분사시 스키밍현상이 일어나는 것이 관측되었다. 그 결과 제8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산소조절분위기를 가진 산소분자농도하에서의 스키밍현상과 아연합금에의 마그네슘 첨가량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스키밍 현상은 제8도에서 사선으로 표시) 즉 다시 말해 용융아연 합금에 마그네슘을 2.0%(중량)이하를 함유시킬 경우, 1000피피엠이나 그 이하의 산소 분자량을 갖고 있는 산소조절분위기하의 제1구역에서는 전혀 스키밍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며 또한 마그네슘을 0.5%(중량) 첨가량을 줄이면 산소분자량이 3000피피엠되는 산소조절분위기로 하더라도 전혀 스키밍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For example, each steel plate is plated with a molten zinc alloy containing magnesium at a temperature of 450 degrees Celsius and a working speed of 80 m / min in the direction shown in FIG. 8, and the ejected gas containing oxygen molecules is shown in FIG. At a pressure of 1.0 kg / cm 2 , a skimming phenomenon was observed when spraying the zinc molten plated surface through a jetting gas slit hole 10 mm away from the hot dip zinc alloy plated surface and having a thickness of 0.6 mm.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skimming phenomenon under the oxygen molecule concentration and the amount of magnesium added to the zinc alloy as shown in FIG. 8 (the skimming phenomenon is indicated by the diagonal line in FIG. 8). In other words, if the molten zinc alloy contains less than 2.0% magnesium by weight, no skimming occurs at all in the first zone under an oxygen control atmosphere with an oxygen molecular weight of 1000 ppm or less, Reducing the amount of% (weight) does not cause any skimming at all, even in an oxygen-controlled atmosphere with an oxygen molecular weight of 3000 ppm.

즉, 용융침지식 아연도금법으로 만들어지는 용융아연 도금 강판을 생성함에 있어 용융아연합금에 마그네슘을 첨가하면 확실히 매끈한 표면을 얻을 수 있으며, 그러기 위해 산소조절분위기하에서 산소분자농도를 1000피피엠이나 그 이하로 하고 마그네슘 첨가량을 2.0%(중량)나 그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In other words, in the production of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made by hot dip galvanizing, the addition of magnesium to the hot dip zinc alloy ensures a smooth surface, so that the oxygen molecular concentration can be reduced to 1000 p.m. or less under an oxygen controlled atmosphere. It is necessary to make magnesium addition amount 2.0% (weight) or less.

통상 아연합금도금량은 전술한 바와같이 아연합금 도금이 유동상태에 있을 때 그 표면에 분출가스에 분사에 의해 조절된다. 이때의 작업은 용융아연합금욕 표면 바로 위에서 이루어진다. 이 작업이 끝나면 합금도금은 응고하기 위하여 산소조절분위기에 노출한다. 응고과정 도중 때로는 불필요한 디프레숀 손실과 휠리-휨손실이 발생한다. 예를들어 각 용융침지식 아연도금에서 각 강판을 마그네슘 0.51% 또는 1.0%(중량)알미늄 0.2%(중량), 납 0.1%(중량), 카드미늄 0.01%(중량) 및 철성분 0.01%(중량)을 함유하고 있는 아연합금의 용융액으로 도금할 때 용융아연합금 도금은 제9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산소 분자량 농도를 가진 산소조절 분위기하에서 응고되며 또한 그 도금량은 제9도에서 보는 바와 같은 값으로 조절되고 각 아연합금도금 표면에서의 디프레숀손실과 휠리-휨손실이 관측되었는데 그 결과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Usually, the zinc alloy plating amount is controlled by spraying on the surface of the ejected gas when the zinc alloy plating is in the flow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work at this time takes place directly on the surface of the molten zinc alloy bath. After this is done, the alloy plating is exposed to an oxygen-controlled atmosphere to solidify. During the solidification process sometimes unnecessary depression loss and wheely-bending loss occur. For example, in each hot dip galvanizing, each steel plate is made of 0.51% magnesium or 1.0% (weight) aluminum 0.2% (weight), lead 0.1% (weight), cadmium 0.01% (weight) and iron 0.01% (weight). When galvanizing with a molten zinc alloy containing molten zinc alloy, the molten zinc alloy is solidified under an oxygen-controlled atmosphere having an oxygen molecular weight concentration as shown in FIG. 9 and the plating amount is as shown in FIG. Controlled and deflection losses and wheelie-bending losses were observed at each zinc alloy plated surface, as shown in FIG.

추가원소로서 0.3%(중량)주석을 함유한 아연합금을 제외하고 상술한 바와 똑같이 작업한 결과를 제10도에 도시하였다. 제9도와 10도를 참조하면 그림 상부에 위치한 사선 그은부분에 서발생함을 알 수 있다. 디프레숀 손실은 아연합금도금 작업에 있어 가장 잘 알려지고 있는 현상이다. 이에 비하면 휠리-휨 손실은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있는 아연합금 도금작업시 나타나는 현상일 뿐이다.Except for the zinc alloy containing 0.3% (weight) tin as an additional element, the result of the sam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9 and FIG. 10, it can be seen that the diagonal line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figure. Depression loss is the best known phenomenon in zinc alloy plating operations. In comparison, wheelie-bending loss is only a phenomenon during zinc alloy plating containing magnesium.

제9도에서 산소조절분위기하의 산소분자 농도가 100∼1000피피엠의 범위로 조절되면 디프레숀과 휠리-휨 손실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런데 제10도에서와 같이 아연합금에 주석이 첨가되면 산소분자량이 100∼100,000피피엠 함유한 산소조절분위기하에서도 디프레숀과 휠리-휨 손실은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융아연 합금도금 중량이 200g/m2미만이고, 산소조절분위기하의 산소분자량이 100,000피피엠 이상될 경우 결코 휠리-휨 손실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In FIG. 9, if the oxygen molecule concentration under the oxygen control atmosphere is adjusted in the range of 100 to 1000 ppm, depression and wheely-bending loss do not occur. However, when tin is added to the zinc alloy as shown in FIG. 10, it can be seen that even in an oxygen-controlled atmosphere containing an oxygen molecular weight of 100 to 100,000 ppm, depression and wheely-bending loss do not occur. When the hot-dip zinc alloy weight is less than 200 g / m 2 and the oxygen molecular weight in the oxygen controlled atmosphere is more than 100,000 Pm, wheely-bending loss does not occur.

제10도에서와 같은 아연합금 도금강판표면은 제11도에서와 같은 광택을 나타내고 있다. 제11도를 참조하면 산소조절분위기하에서 산소분자농도가 300피피엠이나 그 이하일 때 만들어지는 도금강판은 스팽글이 없든(spangle-free) 미려한 거울같은 광택을 갖는다. 그러나 이것이 500피피엠 이상이되면 그 광택은 보통의 것으로 되어 버린다. 그리고 그 중간 수준인 300∼500피피엠에서는 광택도 그 중간성질을 가지므로 도금강의 광택도를 마음대로 맞추려면 산소조절 분위기하에서 산소 분자농도를 조절하는 일이 필요하다.The surface of the zinc alloy plated steel sheet as in FIG. 10 shows the same gloss as in FIG. Referring to FIG. 11, the plated steel sheet produced when the oxygen molecular concentration is 300 ppm or less under the oxygen control atmosphere has a spherical-free mirror-like luster. However, when it is over 500PM, the gloss becomes normal. In the intermediate level of 300 to 500PM, the gloss has an intermediate property, so to adjust the glossiness of the plated steel freely,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oxygen molecular concentration under the oxygen control atmosphere.

마그네슘 함유 아연합금 도금 작업상 이와같이 중요한 특성은 본원발명 이전에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는 것이다. 제6도 제8도에서 제11도에 이르기까지 나타나 있는 중요한 특성에서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원하는 품질수준을 가진 아연합금 도금강판을 얻기 위해서는 최소한 산소조절분위기하여, 특히 그 중에서도 아연합금 도금중량을 조절하는 분출가스의 분사 노즐주위의 제1구역에서 산소분자 농도가 특정치에 이르도록 제한조정을 가하는 일이 중요하다. 도금중량과 산소조절 분위기제한 조정 구역범위는 용융아연합금의 스프레쉬 발생량과 아연합금도금의 두께 목표량, 용융아연합금의 성분 및 도금작업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통상 산소조절 분위기하의 도금중량 조절구역은 용융아연합금욕 바로 직상에 그리고 가스 분사노즐의 위치에서 위로 1000mm의 위치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산소조절 분위기의 도금량 조절구역에서 산소분자 농도는 1000피피엠이하, 가급적 50∼1000피피엠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연합금도금량이 50g/m2미만일 때 산소분자 농도는 10∼1000피피엠 범위로 한다.This important property in magnesium-containing zinc alloy plating operation is not known at all prior to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clearly seen from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shown in Figs. 6 to 8, in order to obtain a zinc alloy coated steel sheet having a desired quality level, at least an oxygen-controlled atmosphere, in particular the zinc alloy plating weight, It is important to make a restriction adjustment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oxygen molecules reaches a specific value in the first zone around the injection nozzle of the jetting gas to be controlled. The range of plating weight and oxygen control atmosphere limiting control area is determined by the amount of splash generation of the hot dip zinc alloy, the target thickness of the zinc alloy plating, the composition of the hot dip zinc alloy and the plating operation speed. It is usually preferred that the plating weight control zone in an oxygen controlled atmosphere is at a position of 1000 mm immediately above the molten zinc alloy bath and above the position of the gas injection nozzle. Oxygen molecule concentration in the plating amount control zone of the oxygen control atmosphere is preferably set to less than 1000PM, preferably 50 to 1000PM. When the zinc alloy plating amount is less than 50g / m 2 , the oxygen molecule concentration is in the range of 10 to 1000PM.

본원발명은 제12도에서 제23도에 이르기가지 도시한 바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한다. 제12도를 참조하면 산소조절 분위기는 밀폐실(2a)에서 만들어지며 이 밀폐실은 아연도금용 솥(3)을 포함한 용융아연합금욕조(4) 위에 위치한다. 한쌍의 가스분사 노즐(7)은 상기 용융아연합금욕조(4) 표면 바로 위에 위치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mplishes such a task using a device as shown in FIGS. 12 to 23. Referring to FIG. 12, the oxygen control atmosphere is made in a sealed chamber 2a, which is located above the molten zinc alloy bath 4 including the galvanizing pot 3. A pair of gas injection nozzles 7 are located directly on the surface of the molten zinc alloy bath 4.

강판(1)은 입구(6)를 통해 인도되어 용융아연합금욕조(4)로 침지되고 여기에서 싱크롤(5)을 통해 수직되게 윗쪽으로 빠지면서 한쌍의 가스분사 노즐(7) 사이를 통과한다. 이 단계에서 용융아연 합금도금은 유동상태(점성을 갖는상태)에 있다. 분출가스는 노즐(7)로 부터 분사되어 강판표면상의 용융아연합금의 두께를 목표치로 조정되도록 한다. 소정의 아연합금두께로 도금된 강판(1L)을 밀폐실(2a)를 나오는 동안 밀폐실 위에서 완전히 응고된다. 다시 말하면 아연합금 도금이 응고 부착된 도금강판(1S)이 얻어진다.The steel sheet 1 is guided through the inlet 6 and immersed in the molten zinc alloy bath 4 where it passes through the sink roll 5 vertically upwards and passes between the pair of gas spray nozzles 7. At this stage, the molten zinc alloy plating is in a flow state (viscous state). The blowing gas is injected from the nozzle 7 to adjust the thickness of the molten zinc alloy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to a target value. The steel plate 1L plated with the predetermined zinc alloy thickness is completely solidified on the sealed chamber while leaving the sealed chamber 2a. In other words, a plated steel sheet 1S in which zinc alloy plating is solidified is obtained.

제13도에서 도시한 장치에서, 밀폐실(2a)의 상부는 밀폐실(2a)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이 상부 밀폐실(2b)에서 강판 표면의 용융아연합금도금층이 소정의 응고속도(solidification rate)로 완전히 응고된다.In the apparatus shown in FIG. 13, the upper part of the sealed chamber 2a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aled chamber 2a, and in this upper sealed chamber 2b, the hot-dip zinc alloy plated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has a predetermined solidification rate. solidify completely at a rate.

산소조절분위기하의 산소분자 농도는 상부 밀폐실(2b)에서 100피피엠 이하이다. 제14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은 장치도에서 상부 밀폐실(2b)은 하부 밀폐실(2a) 위에 별도로 떨어져 위치하며 용융아연합금도금은 소정의 응고속도로 완전히 응고된다. 제15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장치도에서 밀폐실(2a)은 외벽(2c-1)과 내벽(2c-2)으로 구성되며 외벽(2c-1)과 내벽(2c-2) 사이에 통로를 만들어 준다. 그리고 내벽의 하단이 용융아연합금욕조(4)로 부터 통로(2c-3)를 안쪽공간(2c-4)에 이르도록 공간을 둔다. 한쌍의 분출가스 분사노즐(7)을 안쪽공간(2c-4)에 위치시키고 역시 이 노즐을 불활성가스 공급원(9a)에 연결한다. 이 불활성가스는 노즐(7)로 부터 강판표면의 용융아연합금도금층으로 향하여 분사된다.The oxygen molecule concentration under the oxygen control atmosphere is 100 ppm or less in the upper closed chamber 2b. In the apparatus diagram as shown in FIG. 14, the upper hermetic chamber 2b is separately placed above the lower hermetic chamber 2a, and the molten zinc alloy plating is completely solidified at a predetermined solidification rate. In the apparatus diagram as shown in FIG. 15, the sealed chamber 2a is composed of an outer wall 2c-1 and an inner wall 2c-2, and a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wall 2c-1 and the inner wall 2c-2. Make it.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ll has a space from the molten zinc alloy bath 4 to the passage 2c-3 to the inner space 2c-4. A pair of blowing gas injection nozzles 7 is placed in the inner space 2c-4 and this nozzle is also connected to the inert gas supply source 9a. This inert gas is injected from the nozzle 7 toward the molten zinc alloy pl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통로(2c-3)는 공기와 같이 미리 정해진 산소분자량을 가진 가스공급원(10)과 불활성가스공급원(9b)에 연결된 도관(8)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불활성가스는 산소함유가스와 혼합되고 혼합된 가스는 내공간(2c-4)으로 인도되어 통로(2c-3)를 통해 산소 조절분위기를 만들어 준다.The passage 2c-3 is connected to a gas supply source 10 having a predetermined molecular weight of oxygen such as air and a conduit 8 connected to the inert gas supply source 9b. The inert gas is mixed with the oxygen-containing gas and the mixed gas is led to the inner space 2c-4 to create an oxygen control atmosphere through the passage 2c-3.

밀폐실(2a)내의 산소조절분위기압은 주위를 둘러싼 대기압보다 5∼10mmH2O 높은 압력수준으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대기중의 공기는 밀폐실(2a) 내부로 들어가서 출구(W1)를 통하여 밀폐실(2a)의 상부로 밀려난다. 가스가 산소분자를 갖지 않고 가스공급원(10)으로부터 분사되면 산소분자량은 산소조절 분위기하에서 10피피엠 이하로 된다.The oxygen control atmosphere in the sealed chamber 2a is maintained at a pressure level of 5-10 mmH 2 O higher than the surrounding atmospheric pressure. Therefore, the air in the atmosphere enters the sealed chamber 2a and is push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aled chamber 2a through the outlet W 1 . When the gas is injected from the gas supply source 10 without oxygen molecules, the oxygen molecular weight becomes 10 ppm or less under the oxygen control atmosphere.

제16도에서 도시한장치에서 공급원(9)으로 공급되는 불활성가스의 공급원으로(10)부터 공급되는 미리 정해진 산소분자량을 가진 가스와를 혼합하 혼합가스는 직접 밀폐실 내부(2a)로 인도되어 산소조절분위기를 공급한다.In the apparatus shown in FIG. 16, the mixed gas is mixed with a gas having a predetermined oxygen molecular weight supplied from the source 10 of the inert gas supplied to the source 9, and the mixed gas is directly led to the inside of the sealed chamber 2a. Supply oxygen control atmosphere.

그리고 밀폐실(2a)상부에 챔버(chamber)를 만들고 이 챔버가 밀폐실(2a)의 출구(W1)를 둘러싸고 스릿트(벌어진 틈)만 들어 주도록 한다. 이 챔버(2d)는 불활성가스의 공급원(9b)에 연결된다. 불활성가스는 챔버(2d)속으로 인도된 후 스릿트를 통해 강판에 분사되어 출구(W1)를 지나도록 하므로써 불활성가스 흐름의 커튼을 만들도록 하며 이 불활성가스 커튼은 밀폐실(2a)내부로 부터의 분위기를 차폐하는데 효과적이다.And a chamber (chamber) is made in the upper part of the sealed chamber 2a, and this chamber surrounds the outlet W 1 of the sealed chamber 2a, and let only a split (open space | gap) is input. This chamber 2d is connected to a source 9b of inert gas. The inert gas is guided into the chamber 2d and then injected into the steel sheet through the split to pass through the outlet W 1 to create a curtain of inert gas flow, which is introduced into the closed chamber 2a. Effective for shielding the atmosphere from

제17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불활성가스는 그 공급원(9a)으로부터 공급되어 한쌍의 가스분사 노즐(7)을 통해 밀폐실(2a) 내부로 분사된다. 또한 이 불활성가스와 미리정한 산소분자량을 함유하는 공급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는 직접 밀폐실(2a)내부로 들어간다. 밀폐실상부는 긴상부 밀폐실(2b)의 하부에 연결된다. 이렇게하여 밀폐실(2a)내부와 상부밀폐실(2b)은 산소조절분위기로 충만된다. 이 긴 상부밀폐실(2b)은 밀폐실(2a)에서의 산소조절분위기에 의한 불필요한 대기오염을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다.As shown in FIG. 17, the inert gas is supplied from the supply source 9a and injected into the sealed chamber 2a through the pair of gas injection nozzles 7. In addition, the gas supplied from the supply source 10 containing the inert gas and the predetermined molecular weight of oxygen enters directly into the sealed chamber 2a. The upper part of the sealing chamber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upper part sealing chamber 2b. In this way, the interior of the sealed chamber 2a and the upper sealed chamber 2b are filled with an oxygen control atmosphere. This long upper airtight chamber 2b is effective in preventing unnecessary air pollution by the oxygen control atmosphere in the sealed chamber 2a.

제18도에서 도시한 장치에서 챔버(2d)가 미리 산소분자량 함량을 정한 가스의 공급원(10)에 연결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밀폐실(2a)은 제16도에서 도시한것과 같다. 밀폐실(2a)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부 밀폐실(b)은 밀폐실(2a) 위에 정렬되도록 한다. 상부밀폐실(2b)은 도금강판(1)이 지나는 길에 정렬되도록 한다. 상부밀폐실(2b)은 도금강판(1)이 지나가는 길을 둘러싸는 스릿트를 각각 가지고 있는 상부챔버(2e)와 하부챔버(2f)로 나누어져 있다.In the apparatus shown in FIG. 18, the closed chamber 2a is as shown in FIG. 16, except that the chamber 2d is connected to a source 10 of gas having a predetermined oxygen molecular weight content. The upper hermetic chamber b away from the hermetic chamber 2a is arranged above the hermetic chamber 2a. The upper sealing chamber (2b) is to be aligned on the way the plated steel sheet (1) passes. The upper hermetic chamber 2b is divided into an upper chamber 2e and a lower chamber 2f each having a slit surrounding the path through which the plated steel sheet 1 passes.

가스혼합물은 공급원(9)으로 부터 공급되는 불활성가스와 미리 산소분자량을 정한 가스와의 혼합가스로 이루어진다. 혼합가스의 일부는 직접 상부밀폐실(2b) 내부로 인도되어 다른 일부는 상부챔버(2e)로 인도된 다음 스릿트를 통해 상부밀폐실(2b)의 입구(W2)로 향해 분사되며 또 다른 혼합가스의 일부는 하부챔버(2f)로 들어가서 상부 밀폐실의 입구(W3)를 향해 스릿트를 통해 분사된다. 강판상의 용융아연합금도금층은 강판이 상부밀폐실(2b)에 머무르는 동안 완전히 응고된다.The gas mixture is composed of a mixed gas of an inert gas supplied from the source 9 and a gas having a predetermined molecular weight of oxygen. A part of the mixed gas is directly led into the upper hermetic chamber 2b, the other part is led to the upper chamber 2e, and then sprayed through the slit toward the inlet W 2 of the upper hermetic chamber 2b. A part of the mixed gas enters the lower chamber 2f and is injected through the slit toward the inlet W 3 of the upper closed chamber. The hot-dip zinc alloy plated layer on the steel sheet is completely solidified while the steel sheet stays in the upper sealing chamber 2b.

제19도에서 도시한 장치에서 그 공급원(9a)으로부터 공급되는 불활성가스는 한쌍의 노즐(7)을 통해 내벽(2c-2)의 내부로 분사된다. 공급원(9)로부터 공급된 불활성가스와 미리 정해진 산소분자량을 함유하고 공급원(10)으로 부터 공급되는 가스와의 혼합가스는 내벽(2c-2)의 상부에서 형성되는 내부 상부 챔버속으로 인도된 다음 내벽(2c-2)의 내부입구(W1)을 둘러싸고 있는 스릿트를 통해 분사된다. 통로(2c-3)는 내벽(2c-2)과 외벽(2c-1)사이에 만들어 진다.In the apparatus shown in FIG. 19, the inert gas supplied from the source 9a is injected into the inner wall 2c-2 through the pair of nozzles 7. The mixed gas of the inert gas supplied from the source 9 and the gas supplied from the source 10 containing a predetermined oxygen molecular weight is led into an inner upper chamber formed at the top of the inner wall 2c-2, and then It is injected through the slit surrounding the inner inlet W 1 of the inner wall 2c-2. The passage 2c-3 is made between the inner wall 2c-2 and the outer wall 2c-1.

내벽(2c-2)의 하단은 아연합금욕조(4)표면에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있고 통로(2c-3)는 내벽(2c-2)으로 둘러싸인 내부공간(2c-4)에 연결되어 있다. 외부상부챔버(2d-2)는 외벽(2c-1)의 상부에 만들어 진다.The lower end of the inner wall 2c-2 has a space between the surfaces of the zinc alloy bath 4 and the passage 2c-3 is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2c-4 surrounded by the inner wall 2c-2. The outer upper chamber 2d-2 is made on top of the outer wall 2c-1.

불활성가스는 상부챔버(2d-2)로 들어가고 다음 통로(2c-4)의 외부입구(W2)를 둘러싸고 있는 스릿트를 통해 분사된다. 불활성가스의 분사흐름은 대기로부터 통로(2c-3)를 차단하기 위한 외부커튼을 만든다. 분사가스혼합체의 일부는 직접 내부공간(2c-4)으로 흘러 들어가고 남은 부분은 통로(2c-3)를 통해 흘러 들어간 다음 내부공간(2c-4)에 들어간다.The inert gas enters the upper chamber 2d-2 and is injected through a slit surrounding the outer inlet W 2 of the next passage 2c-4. The injection flow of the inert gas makes the outer curtain to block the passage 2c-3 from the atmosphere. Part of the injection gas mixture flows directly into the interior space 2c-4 and the remaining portion flows through the passage 2c-3 and then enters the interior space 2c-4.

본원발명의 작업예로서 제19도에서 보인바와 같은 장치가 이용된다. 노즐(7)은 용융아연합금욕조(4)의 표면 위로 약 150mm 되는 위치에 둔다. 내부 및 외부입구 W1과 W2는 폭 약 200mm로 한다.As a working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as shown in FIG. 19 is used. The nozzle 7 is placed at a position approximately 150 mm above the surface of the molten zinc alloy bath 4. The inner and outer inlets W 1 and W 2 shall be approximately 200mm wide.

150mm폭을 가진 강판은 제19도에서 보는바와 같은 기구를 사용하여 분당 80M 속도로 도금한다.A 150mm wide steel plate is plated at 80M / min using the same mechanism as shown in Figure 19.

시간당 유량 16M3(Q2)의 질화가스와 각각 유량이 시간당 2.5, 10, 17.5, 25 릿터되는 공기와의 혼합가스가 상부챔버(2d-1)로 들어간 다음 스릿트를 통해 분사된다. 또한 질화가스도 압력 0.5kg/cm2하에서 각각 폭 400mm 두께 0.3mm의 스릿트를 가지는 노즐을 통해 분사되며 이 노즐(7)은 서로 30mm 사이에 떨어져 있도록 배치한다. 가스공급이 없을때 내부공간(2c-4)에서 산소조점 분위기하의 산소분자 농도는 5-15피피엠이 된다.A mixed gas of an hourly flow rate of 16M 3 (Q 2 ) of nitride gas and air having a flow rate of 2.5, 10, 17.5, and 25 liters per hour, respectively, enters the upper chamber 2d-1 and is then injected through the slit. In addition, the nitriding gas is also injected through a nozzle having a slit having a width of 400 mm and a thickness of 0.3 mm under a pressure of 0.5 kg / cm 2 , and the nozzles 7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30 mm. When there is no gas supply, the concentration of oxygen molecules in the atmosphere of oxygen concentration in the internal space 2c-4 becomes 5-15PM.

대기유량(Q3)과 산소분자농도와의 산관관계는 제20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즉 대기유량(Q3)이 시간당 2.5, 10, 17.5, 25 릿터이면 그에 대응하는 산소분자 농도도 각각 10∼250피피엠, 100∼500피피엠, 900∼1000피피엠, 1500∼2000피피엠 이 결과로서 나타난다. 여기서 산소분자농도는 제19도에 도시한 M점에서 측정한 것인데, 위치 M은 노즐(7)의 50mm상방에 내벽(2c-2)으로부터 30mm의 공간을 사이에 두고 있다.The relationship between atmospheric flow rate Q 3 and oxygen molecule concentration is shown in FIG. 20. In other words, if the air flow rate Q 3 is 2.5, 10, 17.5, and 25 liters per hour, the corresponding oxygen molecule concentrations are 10-250, 100-500, 900-1000, 1500-2000, respectively. Here, the oxygen molecular concentration is measured at point M shown in FIG. 19, and the position M has a space of 30 mm from the inner wall 2c-2 between 50 mm above the nozzle 7.

제21도의 장치에서 한쌍의 에어쿳숀팻트(11; Air cushion pat)는 밀폐실(2a)의 상부에 정렬되어 있다. 밀폐실(2a)에서 함유하고 있는 가스의 일부는 밀폐실(2a)의 중앙부에 해당하는 위치 M2에서 설치한 홀(12; hole)로부터 배출된다. 그리고 송풍기(12)에 의해 도관(14)를 통해 에어쿳숀팻트(11)로 들어간다. 도관(14)에서 배출된 가스는 공급원(10)으로부터 공급된 산소분자량을 미리 정한 가스와 혼합한다.In the apparatus of FIG. 21, a pair of air cushion pats 11 are arranged on top of the sealed chamber 2a. A part of the gas contained in the sealed chamber 2a is discharged | emitted from the hole 12 provided in the position M2 corresponding to the center part of the sealed chamber 2a. The blower 12 then enters the air cushion 10 through the conduit 14. The gas discharged from the conduit 14 mixes the oxygen molecular weight supplied from the source 10 with a predetermined gas.

이와는 별도로 불활성가스는 노즐(7)을 통해 분사되어 밀폐실(2a)내부로 들어간다. 필요하면 불활성가스와 산소분자와의 혼합가스는 밀폐실(2a)의 내부의 상부, 경우에 대해서는 상부와 하부에 들어갈 수 있다. 혼합가스흐름은 에어쿳숀팻트(11)로부터 분사되므로써 강판의 불필요한 진동을 방지하게 하며 외기(外氣)로 부터 밀폐실(2a)내부를 차단시키는데 도움이 된다.Apart from this, the inert gas is injected through the nozzle 7 and enters the sealed chamber 2a. If necessary, the mixed gas of the inert gas and the oxygen molecules can enter the upper part of the interior of the sealed chamber 2a, i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case. The mixed gas flow is injected from the air cushion fat 11 to prevent unnecessary vibration of the steel sheet and helps to block the inside of the sealed chamber 2a from the outside air.

제21도에서 도시한 장치를 이용한 본원발명의 작업예를 본다면 폭 150mm를 가진 강판을 분당 80M 속도로 도금하고, 각 에어쿳숀팻트의 스릿트를 100×100×3mm하고, 에어쿳숀팻트로부터 공급되는 혼합가스의 유량을 분당 4.4M3로 하며 팻트는 각기 30mm 사이에 두고 떨어지게 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According to the working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apparatus shown in FIG. 21, a steel plate having a width of 150 mm is plated at a speed of 80 M / min, the slit of each air cushion portion is 100 × 100 × 3 mm, and is supplied from the air cushion portion. The flow rate of the mixed gas is 4.4M 3 per minute and the fats are separated between 30mm each.

각각 폭 350mm, 두께 0.5mm의 스릿트를 가진 노즐(7)은 각기 20mm 사이에 두고 위치 시킨다. 질화가스는 압력 1.0kg/cm2에서 분당 유량 3.9M3로 분사되게 한다. 그리고 노즐(7)로 부터 공급되는 불활성가스에 대한 에어쿳숀팻트(11)에 공급되는 혼합가스 비율을 1.4:1 이하로 한다. 이 비율이 1.4:1 이상이 되면 밀폐실(2a)내부 압력은 부(負)의 값을 가지게 된다. 이 부압(negative pressure)은 대기를 빨아들여 밀폐실(2a)내부로 끌어 들이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럴때는 질화가스와 불활성가스를 추가로 흡입시켜 채우는 것이 필요하다.The nozzles 7 each having a width of 350 mm and a thickness of 0.5 mm are positioned between 20 mm each. Nitrogen gas is allowed to be injected at a pressure of 1.0 kg / cm 2 at a flow rate of 3.9 M 3 per minute. And the ratio of the mixed gas supplied to the air cushion fat 11 with respect to the inert gas supplied from the nozzle 7 shall be 1.4: 1 or less. When this ratio is more than 1.4: 1, the pressure inside the sealed chamber 2a has a negative value. This negative pressure results in the intake of air into the airtight chamber 2a.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inhale and fill the nitriding gas and the inert gas.

밀폐실(2a)내부에 산소조점분위기하의 산소분자농도는 표 1에서와 같은 것으로 M1, M2, M3 위치에서 각각 측정한 것인데 그 결과를 제22도에 도시하였다.The concentration of oxygen molecules under oxygen atmosphere in the sealed chamber 2a is as shown in Table 1, and measured at M1, M2, and M3 positions, respectively,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제22도에서 공기가 공급되지 않으면 밀폐실(2a)에서의 산소조절분위기하의 산소분자농도는 10피피엠 정도로 내려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기의 흐름이 각각 분당 20릿터, 50릿터, 100릿터 일때와 산소분자농도와 의사이에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In FIG. 22, when no air is supplied, it can be seen that the oxygen molecular concentration under the oxygen control atmosphere in the closed chamber 2a is lowered to about 10 Pm.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oxygen flow and the oxygen concentration at 20 liters, 50 liters and 100 liters per minute are as follows.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3

제23도에서 도시한 장치에서, 상부 밀폐실(2b)는 하부밀폐실(2a)에 연결되고 한쌍의 에어쿳숀팻트(11)는 상부 밀폐실(2b)의 정부(頂部)에 배열시켜 출구(W)가 팻트(11)사이에서 있도록 되어 있다. 하부밀폐실(2a)에 함유되는 가스는 닫힌 송풍기(12)에 의해 하부 밀폐실(2a)의 중앙부에 위치한 홀(13)에서 배풍(排風)시킨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공급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소분자를 혼합시킨다.In the apparatus shown in FIG. 23, the upper airtight chamber 2b is connected to the lower airtight chamber 2a, and the pair of air cushions 11 are arranged at the top of the upper airtight chamber 2b so that the outlet ( W) is between the fats 11. The gas contained in the lower hermetic chamber 2a is ventilated by the closed blower 12 in the hole 13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hermetic chamber 2a. And if necessary, the oxygen molecules supplied from the source 10 are mixed.

혼합가스는 에어쿳숀팻트(11)를 통해 분사된다. 밀폐실(2a)에서의 산소조절분위기는 공급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소분자함유 가스와 공급원(9)로 부터 공급되는 불활성가스로 부터 준비된다.The mixed gas is injected through the air cushion fat 11. The oxygen control atmosphere in the closed chamber 2a is prepared from the oxygen molecule-containing gas supplied from the source 10 and the inert gas supplied from the source 9.

본원발명을 실시함에 필요한 장치는 반드시 상술한 바와 같은 것으로 할 필요는 없다. 본원발명의 실시에 있어 산소조절분위기하의 산소분자농도가 특정치로 조정되게 할수만 있다면 여하한 장치를 사용해도 무방한다. 다음 실시예는 본원발명의 목적을 분명히 밝힐 목적으로 예거한 것이다. 단 이 실시예들은 어디까지나 실시예에 지나지 않을 뿐이고 본원발명의 실시상의 한계범위를 정하는것은 아니다.The apparatus required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as described above.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device may be used as long as the oxygen molecule concentration under the oxygen control atmosphere can be adjusted to a specific value. The following examples are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se examples are only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pract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7]Example 1-7

1-7까지 각예에서 표 2와 같이 마그네슘과 주석을 적당량 함유하고 납성분을 0.15%(중량)함유한 불순물과 알미늄 0.2%(중량) 함유시키고, 카드미늄을 0.01%(중량), 철을 0.01%(중량)을 함유한 아연합금을 섭씨 450도에서 용융시킨다.In each case from 1 to 7, as shown in Table 2, an appropriate amount of magnesium and tin, 0.15% (by weight) of impurities, 0.2% (by weight) of aluminum, cadmium (0.01%), iron (0.01) Zinc alloys containing% (weight) are melted at 450 degrees Celsius.

제21도에서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산소조절분위기하의 산소분자농도를 M1위치에서 50피피엠, M2위치에서 100피피엠, M3위치에서 500피피엠으로 조절한다. 강판은 용융아연합금욕조에서 작업속도 분당 50m의 속도로 도금한다.50th the concentration of molecular oxygen under controlled oxygen atmosphere by using the same device as in Figure 21 in position pipiem M 1, M 2 100 pipiem in location, is adjusted to 500 M 3 pipiem in position. The steel plates are plated at a rate of 50 m / min in the molten zinc alloy bath.

아연합금도금량은 각각 20mm 사이를 두고 떨어져 있는 한쌍의 노즐을 통해 1.0kg/cm2압력으로 가스를 분사시켜 50g/m2로 조정한다. 용융침지식 아연도금법으로 해도 드로스생성이나 금속증발 발생으로 인한 어려움은 없다. 도금강판의 성질은 표 2와 같다.The zinc alloy plating amount is adjusted to 50 g / m 2 by spraying the gas at 1.0 kg / cm 2 pressure through a pair of nozzles spaced between 20 mm each. Even with the hot dip galvanizing, there is no difficulty due to dross generation or metal evaporation. The properties of the plated steel sheet are shown in Table 2.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4

주: (*1) : 철구충격테스트(Ball-impact test)함.Note: (* 1): Ball-impact test.

(*2) : 시편을 서로 마주 얹고 포장지로 싼 경우임.(* 2): Specimens are placed on top of each other and wrapped in wrapping paper.

(*3) : 공업시험규격(JIS Z 2371)에 의함.(* 3): According to Industrial Test Standard (JIS Z 2371).

[실시예 8-14]Example 8-14

제19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장치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7에서 각각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며 산소조절분위기속에 둔 가스분사 노즐 주위에서 산소분자농도가 100∼250피피엠으로 조절되도록 한다.Except for the apparatus as shown in FIG. 19, the same method as described in each of Examples 1-7 was used, and the oxygen molecular concentration was adjusted to 100 to 250 ppm around the gas injection nozzle placed in the oxygen control atmosphere. .

아연합금의 도금액이 도금후 산소조절분위기 밖에서 완전히 응고되도록 한다. 그결과 실시예 8-14에서의 도금 강판은 각각 실시예 1-7까지의 그것과 같은 성질을 보여주고 있다.The plating solution of the zinc alloy is allowed to solidify completely outside the oxygen control atmosphere after plating. As a result, the coated steel sheets in Examples 8-14 showed the same properties as those in Examples 1-7, respectively.

[실시예 15-16]Example 15-16

실시예 15에서와 같이 아연합금에 함유되는 0.1%(중량)의 알미늄농도, 실시예 16에서의 0.5%(중량)의 알미늄농도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같은 방법과 동일하며 그결과 생산되는 도금 강판의 성질은 실시예 6에서의 것과 거의 동일하다.As in Example 15, except that the aluminum concentration of 0.1% (by weight) contained in the zinc alloy and the aluminum concentration of 0.5% (by weight) in Example 16 are the same as those of Example 6, and are produced as a result. The properties of the plated steel sheet were almost the same as in Example 6.

Claims (1)

0.1중량%∼2중량%의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아연합금 용융액으로 강판의 최소한 한면을 도금하는 단계 상기 강판표면에 생성되는 용융아연합금도금의 중량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용융 아연합금도금이 응고(고화)하는 단계, 그리고 용융 아연합금도금이 계속하여 용액상태에 있는 단계중 최소한 한부분에서 밀폐실에 의해 한정되는 산소조절분위기로 용융아연합금도금이 노출되고 이러한 분위기에서 산소분자의 함유량이 그곳으로 산소가스나 산소함유가스를 도입함으로써 50∼1000ppm으로 조절되고 반면 용융아연합금도금의 무게가 상기 산소조절분위기내에서 그 위로 불활성가스를 분사함으로써 조절되는 공정들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침지식 아연도금 강판의 제조방법.Plat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teel sheet with a zinc alloy melt containing 0.1 wt% to 2 wt% magnesium, and adjusting the weight of the hot dip zinc allo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 And at least one of the stages where the molten zinc alloy plating is still in solution, the molten zinc alloy plating is exposed to the oxygen-controlled atmosphere defined by the sealed chamber, and oxygen content therein in the atmosphere. Melt immersion typ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to 50 ~ 1000ppm by introducing a gas or oxygen-containing gas while the weight of the molten zinc alloy plating is controlled by injecting an inert gas over it in the oxygen control atmosphere Method of manufacturing galvanized steel sheet.
KR1019810000341A 1980-04-25 1981-02-04 Process for producing a hot dip galvanized steel strip Expired KR8400023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341A KR840002329B1 (en) 1980-04-25 1981-02-04 Process for producing a hot dip galvanized steel str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5-55153 1980-04-25
JP55-55152 1980-04-25
KR1019810000341A KR840002329B1 (en) 1980-04-25 1981-02-04 Process for producing a hot dip galvanized steel stri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390A KR830005390A (en) 1983-08-13
KR840002329B1 true KR840002329B1 (en) 1984-12-19

Family

ID=19220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341A Expired KR840002329B1 (en) 1980-04-25 1981-02-04 Process for producing a hot dip galvanized steel stri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32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622B1 (en) * 1999-12-27 2004-09-13 주식회사 포스코 A Method for Manufacturing Hot Dip Coated Steel Sheet Having Good Surface Appeara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390A (en) 198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9211A (en) Process for producing a hot dip galvanized steel strip
AU2006218005B2 (en) Coated steel sheet or coil
US6921439B2 (en) Flux and process for hot dip galvanization
CA2761776C (en) Method for producing a coated metal strip with an improved appearance
JP2012526915A (en) Method for producing a coated metal band having an improved appearance
KR101879093B1 (en) Alloy plated steel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surface qua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S6330984B2 (en)
KR840002329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hot dip galvanized steel strip
EP0020464A1 (en) Process of producing one-side alloyed galvanized steel strip
US4282273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galvanizing a wire
KR100929485B1 (en) Alloying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manufacturing equipment
JPH0533312B2 (en)
US3597261A (en) Method of coating copper plated strands with zinc
KR100448622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Hot Dip Coated Steel Sheet Having Good Surface Appearances
JPH04160142A (en) Hot dip galvanizing steel sheet and its manufacture
JPH0293053A (en) Production of zn-mg alloy plated steel sheet having high corrosion resistance
KR100525907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galvannealed steel sheets
JP2841898B2 (en) Alloy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surface smoothness
KR20150073034A (en) Anti-corrosion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anti-blackening proper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10063534A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galvannealed steel sheets with good anti-powdering
JP3376914B2 (en)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JP3095935B2 (en) Hot-dip Zn plating method
JPH01201456A (en) Continuous hot dip metal plating method and equipment
JPS6230864A (en) Hot dip metal coating apparatus
JP2000178705A (en)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excellent in blackening resistan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8812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88123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