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40002264B1 -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264B1
KR840002264B1 KR1019800004340A KR800004340A KR840002264B1 KR 840002264 B1 KR840002264 B1 KR 840002264B1 KR 1019800004340 A KR1019800004340 A KR 1019800004340A KR 800004340 A KR800004340 A KR 800004340A KR 840002264 B1 KR840002264 B1 KR 840002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elevator car
cam
interlayer
det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4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138A (ko
Inventor
야마 류우 이치 가지
타시게미 이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카다야마 히도하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카다야마 히도하지로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00004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264B1/ko
Publication of KR830004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264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장치
제1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위치검출 장치를 나타낸 구성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장치의 한실시예를 나타낸 구성 및 동작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전자계산기 (7)의 ROM (74)에 격납된 프로그램의 프로우챠아트를 나타낸 도면.
제4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4도는 위치검출장치를 나타낸 구성설명도.
제5도는 위치검출장치를 나타낸 구성및 동작설명도.
제6도는 제3도에 해당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검출하는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를 운전할 때, 엘리베이터카의 위치의 검출은 불가결한 것이며, 이것은 층상선택기에 의해서 행하게 된다.
이 층상선택기에는 여라가지의 것이 있으나, 근년에는 이것을 전자계산기의 연산에 의해 실시되고 있다.
이것을 제1도에 표시한다.
도면중 (1)(2)는 각각 1층 및 2층의 층상, (3)은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1층(1)과 2층 (2)사이에 배치된 결합편(이하 캠이라함). (4)는 엘리베이터카, (5)는 엘리베이터카 (4)에 설치된 스위치로 구성한 층간검출기, (6)은 입력을 전자계산기의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기, (7)은 전자계산기, (8)은 전자계산기 (7)로 연산된 엘리베이터카 위치를 기억시키는 판독 및 기입을 할 수 있는 층상메모리이다. 전자계산기로는인텔(Intel)사제8085A로 구성된 마이크로콤퓨터를 사용하였으나, 이것만이 아니고6다른 적당한 마이크로콤퓨터, 예컨대 모토로울러사의 M6800, 자이로그사(Zilog)의Z80A를 사용하여도 되며 신규의 콤퓨터등 다른 디지탈계산기를 사용하여도 된다.
이 마이크로콤퓨터(7)는 입력포오트 (71)(인텔8212), 중앙처리장치 즉, CPU (72)(인텔 8085A), 개입주기 제어용타이머(73)(인텔 8155), 판독전용 메모리, 즉 ROM (74)(인텔 2716), 판독 및 기입을 할 수 있는 메모리, 즉 RAM (75)(인텔 2114A) 및 출력포오트 (76)(인텔 8212)로 구성 되어있다.
또 층상메모리 (8)도 RAM(인텔 2114A으로 구성되어있다.
엘리베이터카 (4)가 1층 (1)에 있을때 층상메모리 (8)의 값은 1층으로 되어있다.
엘리베이터카 (4)가 상승하여 층간검출기 (5)가 캠(3)과 결합하면, 층간검출기 (5)는 출력을 발생시키고 변환기 (6)를 통해 입력포오트(71)를 통과해 중앙처리장치 (72)에 들어간다.
중앙처리장치(72)에서는 층간검출기 (5)의 출력과 엘리베이터카 (4)의 주행방향에서 층상메모리(8)의 값에 1을 가산하여 그 값을 2층으로 갱신한다.
엘리베이터카 (4)가 2층 (2)에서 하강할 때는 층간검출기 (5)가 캠(3)과 결합하면 층상메모리(8)의 값(2)층에서 1을 감산하여 그 값을 1층으로 갱신한다.
이와같이하여, 연산된 엘리베이터카 위치(이하 엘리베이터카 위치 신호라함)는 실제의 엘리베이터카 위치와 동기하여 변환하게 된다.
보통캠 (3)과 층간검출기 (5)는 일정한시간 결합상태가 지속되므로 중앙처리장치 (72)는 층간검출기 (5)의 출력정보로써, 캠 (3)과 결합하는 순간, 결국 층간검출기 (5)의 출력이 열림(開)에서 닫침(閉)(또는 닫침에서 열림)으로 변화하면 층간검출기(5)가 캠(3)과 결합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정보만을 입력시켜 연산에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수동운전시 엘리베이터카(4)가 캠 (3)의 부근에서 약간 움직이면, 층간검출기 (5)가 캠 (3)과 결합한 상태로 방향이 반전하도록 하는 상황이 일어난다.
이 경우 예로서 상승운전에서 층간검출기(5)가 캠(3)과 결합하면 결합하는 순간에 층상메모리(8)의 값에1이 가산된다.
그대로 상승하여 층간검출기(5)가 캠(3)에서 벗어난후, 방향전환을 하면 다시 층간검출기(5)가 캠에 결합할 때 층상메모리(3)의 값에서 1이 감산되지만, 결합상태 그대로 방향을 반전하면 상기의 감산은 실행되지 않으며,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와 실제의 엘리베이터카아 위치와의 사이에 1층상의 차이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결점을 개량한 것으로서,
층간에 있어서의 불규칙한 엘리베이터카의 움직임이 있어도,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와 실제의 엘리베이터카 위치가 벗어나지 않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위치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음, 제2도 내지 제3도에 의해 본발명의 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중, (13)은 3층의 층상, (14)는 2층 (2)와 3층 (13) 사이에 배치된 캠, (15)는 엘리베이터카 (4)의 동작선, (16)은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이다.
상기 이외는 제1도와 동일하다. 다음에 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지금, 엘리베이터카(4)가 1층(1)에 있을 때, 층상메모리(8)에는 2진수(進數)의 「0001」(10진수의 1, 이하 간단히 「1」로 표기함)이 기억되어있다.
엘리베이터카 (4)가 상승하여 층간검출기 (5)가 캠(3)과 결합하고 층간검출기 (5)가 열림에서 닫침(또는 닫침에서 열림)으로 변화하면(이하 진입(進入)이라함) 그 신호는 변환기 (6)를 통하여 전자계산기(7)의 입력포오트(71)에 입력되고, ROM(74)에 격납된 프로그램 (제3도에 이 프로그램의 프로우챠아트를 나타냄)에 의해 CPU(72)로서 연산되고 층상메모리 (8)의 값에 1이 가산되어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 (16)가 「2」로 갱신된다.
다시 엘리베이터카 (4)가 상승하여 층간검출기(5)가 캠(14)에 진입하면, 위와 동일하게 전자계산기(7)에 의하여 연산되고 층상메모리(8)의 값에 1이 가산되어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는 「3」으로 갱신된다.
엘리베이터카(4)가 3층 (13)에서 하강할 때는, 층간검출기 (5)가 캠(14)에 진입한후 캠(14)에서 이탈할때 층간검출기(5)가 닫침에서 열림 (또는 열림에서 닫침)으로 변화하면 (이하 탈출이라함) 그 신호에 의해 위와 동일하게 전자계산기(7)로써 연산되고, 층상메모리(8)의 값「3」에서 1을 감산하여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는「2」로 갱신된다. 다시 엘리베이터카(4)가 하강하여 층간검출기(5)가 캠(3)에서 진입한 후 탈출하면 위와 동일하게 전자계산기(7)에 의해서 연산되어 층상메모리(8)의 값에서 1이 감산되고,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16)는 「1」로 갱신된다.
다음에 엘리베이터카(4)가 1층 (1)에서 상승하여 층간검출기 (5)가 캠(3)이 진입하여 캠 (3)과 결합한 채로 방향이 반전하였다 하면, 이때,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16)는 상기 진입에 의해 「2」로 갱신되게된다.
엘리베이터카 (4)가 하강하여 층간검출기 (5)가 캠(3)에서 탈출하면,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16)는 「1」로 갱신된다.
또, 엘리베이터카(4)가 2층 (2)에서 하강하여 층간검출기(5)가 캠(3)에 진입하여 캠(3)과 결합한채로 방향이 반전하게 된다. 캠(13)에 진입하였을때 엘리베이터(4)카는 하강주행하고 있으며, 캠(3)을 탈출하지 않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16)는 「2」를 기억한채로 있다.
엘리베이터카(4)가 반전 상승하면, 층상검출기(5)는 캠(3)을 탈출하지만, 상승운전을 위해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16)는 「2」 그대로이고 갱신되지 않는다.
이와같이, 층간검출기(5)가 캠(3)을 상승운전하여 탈출하기전에 방향이 반전하고, 하강운전하여 층간검출기(5)가 캠(3)을 탈출하기 전에 다시 방향이 반전하여도 즉 검출기(5)와 캠(3)(14)이 결합한 그대로 방향반전을 반복하여도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 (16)는 변화되지 않는다.
이와같이, 층간에서 엘리베이터카(4)가 불규칙한 운전하였다고 하여도,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16)와 실제의 엘리베이터카 위치는 정확하게 일치한다.
제4도 내지 제6도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2도의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16)는 호출의 검출이나 감속지령에 사용되므로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16)의 갱신위치는, 층상레벨에서의 거리가 항상 일정하다는 것이 제어 구성상 바람직하다.
그러나, 위에서 구성되는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16)는 캠(3)(14)을 각층간의 중간에 설치하였다하여도, 각층상 간격이 다르게 되면 층상레벨에서의 거리가 다르게 된다.
제4도 내지 제6도의 실시예는 이것을 개량한 것이다.
도면중, (3A)(14A)는 각각 2층 (2)및 3층 (13)의 하방향 소정거리 A이전에 배치된 제1의 캠, (3B)는 (14B) 각각 1층 (1) 및 2층 (2)의 상방향 소정거리 A이전에 배치된 2제 2의 캠, (5A)는 엘리베이터카(4)에 설치되어 제1의 캠(3A)(14A)와 결합하는 제1의 층간검출기, (5B)는 제2의 캠(3B)(14B)와 결합하는 제2의 층간검출기, (16A)는 상승시의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 (16B)는 하강시의 엘리베이터카위치신호이다.
상기 이외는 제1도(단, 캠 (3)및 층간검출기(5)를 제외) 및 제2도와 동일하다.
다음에 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지금, 엘리베이터카(4)가 1층 (1)에 있을때 층상메모리(8)에는 「2」가 기억되고 있다.
엘리베이터카(4)가 상승하여 제1의 층간검출기(5A)가 캠(3A)에 진입하면그, 신호는 변환기(6)를 통하여 전자계산기(7)의 입력포오트 (71)에 입력되고, ROM(74)에 격납된 프로그램(제6도에 이 프로그램의 플로우챠아트를 표시함)에 의해 CPU(72)에서 연산되며, 층상메모리(8)의 값에 1이 가산되어 「3」으로 갱신된다. 다시, 엘리베이터카(4)가 상승하여 제2의 층간검출기(5B)가 캠(3B)에 진입하면 그 신호는 상기와 동일하게 전자계산기(7)에서 연산되며, 층상메모리(8)의 값에 1이 가산되어 「4」로 갱신된다.
위와 동일하게 하여 엘리베이터카(4)가 2층 (2)을 통과하여 제2의 층간검출기(5B)가 캠(14B)에 진입하면, 층상메모리(8)의 값은 「5」로 갱신되고 제1의 층간검출기(5A)가 캠(14A)에 진입되면 「6」으로 갱신된다.
엘리베이터카(4)가 (3)층 (13)에서 하강할 때는, 제1의 층간검출기 (5A)가 캠(14A)에서 탈출하면, 그 신호는 상기와 동일하게 전자계산기(7)에 의해 연산되고, 층상메모리(8)의 값「6」에서 1을 감산하여 「5」로 갱신된다.
다시, 엘리베이터카(4)가 하강하여 제2의 층간검출기(5B)가 캠(14B)에서 탈출하면, 그 신호는 상기와 동일하게 전자계산기(7)에 의해 연산되고, 층상메모리(8)의 값에서 1이 감산되어 「4」로 갱신된다. 동일하게하여, 엘리베이터카 (4)가 2층 (2)을 통과하여, 제2의 층간검출기(5B)가 캠(3B)에서 탈출하면 층상메모리(8)의 값은 「3」로 갱신되고, 제1의 층간검출기(5A)가 캠(3A)에서 탈출하면 「2」로 갱신된다.
다음에 제6도에 의해 상승운전인 경우의 전자계산기의 연산을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카(4)가 1층 (1)에 있을때, 층상메모리(8)의 값은 「2」,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 (16A)는 「1」로 되어있다.
엘리베이터카(4)가 상승하여 제1의 층간검출기(5A)가 제1의 캠(3A)에 진입하면, 층상메모리(8)의 값은 「3」으로 갱신되며, 층상메모리(8)의 값+1)÷2가 연산되어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16A)는「2」(10진수의 계산)로 된다.
다음에 제2의 층간검출기(5B)가 제2의 캠(3B)에 진입하면, 층상메모리(8)의 값은「4」로 갱신되며, 층상메모리(8)의 값+1)÷2가 연산되어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 (16A)는 「2」로 된다.
다시, 엘리베이터카(4)가 상승하여 제2의 층간검출기(5B)가 제2의 캠(14B)에 진입하면, 층상메모리(8)의 값은「5」,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16A)는 (층상메모리(8)의 값)÷2, 즉「2」로 된다. 다음에, 제1의 층간검출기(5A)가 제1의 캠(14A)에 진입하면 층상메모리(8)의 값은 「6」,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16A)는 (층상메모리(8)의 값+1)÷2), 즉 「3」으로 된다.
상기와 같이, 상승운전할 경우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16A)는 제5도와 같이 되며, 각 층상의 소정거리 A이전에서 갱신된다. 하강운전을 할 경우에도 동일하게, 제5도의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16B)와 같이 각층상의 소정거리 A이전에서 갱신되게 되는 것이다.
또, 제5도의 캠(3A), (14A)을 각각 2층 (2)및 3층 (13)의 상승용 감속준비점에 배치하고제2의 캠(3B)(14B)을 각각 1층 (1) 및 2층 (2)의 하강용 감속준비점에 배치하면, 감속준비점 검출용 캠(도시생략)과 공용으로 할 수가 있고, 경제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엘리베이터카가 상승중에는 층간검출기가 캠에 진입함과 동시에 1층상을 가산하고 하강중에는 층간검출기가 캠에서 탈출할 때마다 1층상을 감산하도록 하였으나 상승중에는 층간검출기가 캠에서 탈출할때마 1다층상을 가산하며, 하강중에는 층간검출기가 캠에 진입할때마다 1층상을 감산하도록 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엘리베이터카가 상승중에는 층간검출기가 결합편에 진입할때마다 1층상을 가산하며, 하강중에는 층간검출기가 결합편에서 탈출할때마다 1층상을 감산하든가, 또는 상승중에는 결합편을 탈출할 때마다 1층상을 가산하며, 하강중에는 결합편에 진입할 때마다 1층산을 감산하도록 하였으므로, 엘리베이터카가 층간에 불규칙한 운전을 하여도 엘리베이터가 위치신호와 실제의 엘리베이터카 위치를 정확하게 일치시킬수있다.
또, 엘리베이터카가 상승중에는 제1 및 제2의 층간검출기가 결합편에 진입할때마다 1층상을 가산하며, 하강중에는 제1 및 제2의 층간검출기가 결합편에서 탈출할때마다 1층상을 감산하든가, 또는 상승중에는 결합편을 탈출할 때마다 1층상을 가산하며, 하강중에는 결합편에 진입할때마다 1층상을 감산하여 엘리베이터카의 위치정보가 제1의층간검출기에 의해 갱신되었을 때는 갱신된 값에 1층상을 가산하여 2로 나눈값을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로 하고 엘리베이터카 위치정보가 제2의 층간검출기에 의해 갱신되었을때 갱신된 값을 2로 나눈 값을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로 하도록 한 것이므로 각 층상간격이 같지 않아도 층상레벨로부터 일정한 위치 이전에서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를 갱신할 수 있다.

Claims (1)

  1. 층간에 설치된 결합편을 엘리베이터카에 설치된 층간검출기가 통과하였을 때 전자계산기에 의해 1층상을 가산 또는 감산하므로써 엘리베이터카의 위치를 검출하여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를 발생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을 각 층간에 설치된 제1의 결합편과 제2의 결합편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엘리베이터카가 상승 운전중에는 상기 층간 검출기가 제1및 제2의 결합편에 진입할때마다 1층상을 가산하고, 하강운전 중에는 상기 층간 검출기가 제1및 제, 의 결합편을 탈출할 때마다 1층상을 감산하든가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상승운전 중에는 상기 층간 검출기가 제1 및 제2의 결합편을 탈출할때마다 1층상을 가산하고 하강운전중에는 상기층간 검출기가 제1 및 제2의 결합편에 진입할때마다 1층상을 감산하는 제1의 위치 검출수단과 이 제1의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엘리베이터카 위치정보가 제1의 결합편에 의해 갱신된 때는 그 갱신된 값에 1층상을 가산하여 2로 나눈 값을 상기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로 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 위치정보가 제2결합편에 의해 갱신된 때는 그 갱신된 값을 2로 나눈 값을 상기 엘리베이터카 위치신호로 삼는 제2의 위치검출 수단등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장치
KR1019800004340A 1980-11-13 1980-11-13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장치 Expired KR840002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340A KR840002264B1 (ko) 1980-11-13 1980-11-13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340A KR840002264B1 (ko) 1980-11-13 1980-11-13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138A KR830004138A (ko) 1983-07-06
KR840002264B1 true KR840002264B1 (ko) 1984-12-14

Family

ID=19218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340A Expired KR840002264B1 (ko) 1980-11-13 1980-11-13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2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138A (ko) 198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94121B (fi) Hissikorin henkilösiirtojen määrittäminen
US4411337A (en) Group control for elevators
US54214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automatically correcting the command for deceleration/stoppage of the cage of a lift or a hoist in accordance with variations in the operating data of the system
KR900001581B1 (ko) 엘리베이터의 위치 제어장치
JPS6116713B2 (ko)
JPS6261499B2 (ko)
KR920007368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KR840002264B1 (ko)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장치
US3483950A (en) Elevator control system including a photocell position indicator
TW205029B (ko)
US4354171A (en) Elevator position detector device
US4141435A (en) Elevator control system
EP3187449A1 (en) Mechanism for improving safety for an elevator system
JP7403393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と制御方法
WO2019106778A1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エレベーター、および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
CN108545563A (zh) 提高用户乘坐体验的电梯智能指示系统和方法
GB2117924A (en) Apparatus for decelerating lift at terminating floor
JP259818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716695Y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0270243B1 (ko) 다층순환방식 주차설비의 운전방법
JP2013107759A (ja) エレベータ用自動保守運転装置
JPS5917614A (ja) 無人走行車輛の昇降距離検出装置
KR850000667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JPS6142715B2 (ko)
JPH08175775A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312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31215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