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40001496Y1 - 하수도용 정화조 - Google Patents

하수도용 정화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496Y1
KR840001496Y1 KR2019820010351U KR820010351U KR840001496Y1 KR 840001496 Y1 KR840001496 Y1 KR 840001496Y1 KR 2019820010351 U KR2019820010351 U KR 2019820010351U KR 820010351 U KR820010351 U KR 820010351U KR 840001496 Y1 KR840001496 Y1 KR 8400014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tube
net
cylinder
septic ta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10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179U (ko
Inventor
이동명
Original Assignee
이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명 filed Critical 이동명
Priority to KR2019820010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496Y1/ko
Publication of KR8400031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1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4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496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1/00Cess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하수도용 정화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체 2 : 유출공
2' : 유입공 3 : 상부통체
3' : 절곡단 4, 4' : 격실
5 : 관공 6 : 망통
6' : 망공 7 : 덮개
8, 8' : 도관
본 고안은 하수도용 정화조에 있어서, 정화조의 구조가 간단하여 분해 소제가 용이하면서도 여과망이 찌꺼기에 막히지 않고 정화효율을 보다 높힐 수 있게 한 하수도용 정화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수구의 정화조는 좌우로 수개의 여과실을 형성하여 수직으로 판상의 여과판을 장착하여 여과할수 있게 되어 있거나 망통을 상하로 중첩형성하였으나, 여과실에 쌓인 찌꺼기의 소제가 불편할 뿐 아니라 찌꺼기가 여과판면에 부착되면서 망공을 막아 하수의 배수가 원활하기 못하게 장해를 주는 폐단이 있고, 또한 여과판을 상하 수평의 다단식으로 장착한 것도 있으나 하수가 망면에 평면적으로 퍼지면서 하락하는 중에 여과판의 전면에 찌꺼기가 여과되면서 망공이 막히면 하방의 여과망은 상부의 여과망이 막힌 것으로 인하여 여과기능을 잃고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는 정화조 외부로 물이 넘치는 등의 폐단과 구조가 복잡하면서도 여과효율이 높지 못하고 소제가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외통체의 상부에 절곡단이 형성된 상부통체를 재치하고 상하로 격실을 형성하고 상부통체의 중앙부에 관공으로 천공하여 화분처럼 하방으로 가늘게 경사진 원통형의 망통을 삽설으로써 상부체에 유입한 하수가 망통으로 유입하면서 1차로 망통 외주면에서 여과되고 망통에서 다시 하부의 외통으로 유출하면서 2차로 망통 내주면에서 여과되어 1개의 망통으로 복수개의 여과기능을 가지는 동시 하수가 흐르지 않을 때는 만곡된 경사면으로된 망통의 망공에 붙은 찌꺼기가 하락하여 망공이 상기 개방상태를 유지하면서 하수가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게 하여서 하수의 여과 효율을 높이는 한편 구조가 간단하여 상부체와 망통을 분해하고 외통체를 들어내어 찌꺼기등을 간편하게 소제하면서 안전하게 하수를 여과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방이 상방보다 내경이 약간 작게 되어 주면이 하방으로 경사진 합성수지제의 외통체(1)의 상단 측면에 하수의 유출공(2)을 천공하고 외통체(1)의 약 절반 높이로된 상부체(3)의 상단부에 내경이 보다 작게 절곡단(3')을 형성하여 상부통체(3)를 외통체 (1)의 상부에 재치하면 절곡단(3')으로 인하여 외통체(1)와 상부통체(3)간에 배수로 (b)가 형성되는 동시 상하로 격실(4)(4')이 형성되게 하고, 상부통체(3)의 상단 일측면에 하수의 유입공(2')을 천공하여 상부통체(3)의 중앙부에 관공(5)을 형성하여 화분처럼 상부보다 하부의 내경이 작아 하부의 망공(6')이 상부보다 작게 천공된 망통(6)을 관공(5)에 삽설하여 망통(6)의 하단부가 외통체(1)의 저면에 닿아 상하의 격실(4)(4') 중앙부에 망통(6)으로된 통수로(a)가 형성되게 하며 유입공(2')과 유출공(2)에는 각각 하수의 도관(8)(8')을 적당한 방법으로 관접할 수 있게 하고 상부통체(3)의 상부에 덮개(7)를 복착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주방등에서 하수를 버리면 도관(8)을 통하여 상부통체 (3)내의 결실(4)로 유입된 하수는 망통(6) 상부측에 노출된 망공(6')을 통하여 망통( 6)내부로 유입되면서 상부 격실(4)에서 1차적으로 찌꺼기등이 망통 외주면의 망공(6')에 의하여 여과되고 여과된 하수가 망통(6) 내부의 통수로(a)를 허락하여 망통(6)의 하부측 망공(6')을 통하여 외통체(1)의 하부격실(4')로 유출하면서 망통 내주면의 망공( 6')에 의하여 2차적으로 여과되며 여과된 하수가 하부결실(4')로 유입한 다음 상부통체 (3)의 절곡단(3')에 의하여 외통체(1)와 상부통체(3)간에 형성된 배수로(b)를 돌아 유출공 (2)을 통하여 하수의 도관(8')으로 배출하는 것으로 하수가 흐르지 않을 때에 외통의 상하 격실(4)(4')에는 유출공(2)의 수위로 항상 물이 담겨 있고 망면이 하방으로 경사지면서 원주의 곡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망공(6')에 여과되어 수압으로 잠시 망면에 부착되었던 찌꺼기 등은 격실(4)(4')의 수중 하방으로 자연 하락하여 망공이 상기 개방 상태로 되어 다음의 하수가 흐를때에 배수 저항을 주는 일이 없이 용이하게 배수되는 동시 개방된 망통의 망공에 의하여 찌꺼기를 용이하게 여과시킬 수 있고, 또한 사용중 덮개를 덮고 상부통체에 담긴 1차여과된 침전물과 망통에 담긴 2차여과된 침전물을 위로 간편하게 소제할 수 있고, 또한 어느정도 찌거기의 침전량이 많아 소제해야 할 경우에는 망통과 상부통체를 분해하고 외통체를 들어내어 간편하게 찌거기들을 소제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여과효율이 양호하여 종래의 것에 비하여 정화조 외부로 물이 넘치는 일이 없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하수를 여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단 측면에 유출공(2)이 천공된 합성수지제의 외통체(1)의 상부에 절곡단(3')과 하수의 유입공(2')이 상단부에 형성된 상부통체 (3)를 재치하여 상하 2개의 격실(4)(4')을 구획 형성하고, 상부통체(3)의 중앙부에 관공 (5)을 천공하여 하부망공(6')이 상부보다 작게 천공된 망통(6)을 관공(5)에 삽설하여 상하의 격실 중앙부에 망통이 노출되게 형성하여서 된 하수도용 정화조.
KR2019820010351U 1982-12-23 1982-12-23 하수도용 정화조 Expired KR8400014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10351U KR840001496Y1 (ko) 1982-12-23 1982-12-23 하수도용 정화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10351U KR840001496Y1 (ko) 1982-12-23 1982-12-23 하수도용 정화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179U KR840003179U (ko) 1984-07-20
KR840001496Y1 true KR840001496Y1 (ko) 1984-08-14

Family

ID=72147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10351U Expired KR840001496Y1 (ko) 1982-12-23 1982-12-23 하수도용 정화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4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179U (ko) 1984-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9428A (en) Water reservoir
KR840001496Y1 (ko) 하수도용 정화조
KR200383882Y1 (ko) 오수받이
KR200265933Y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0126380Y1 (ko) 이물질 응집기능을 갖는 배수조에 있어서 정화된 하수의 배수구조
JPS59206537A (ja) 雑排水処理槽
AU715503B2 (en) Easyflow rainwater filter
JPS6014865Y2 (ja) 集合排水トラップ
KR0126381Y1 (ko) 생활오수의 배수조
KR200257167Y1 (ko)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
KR102794554B1 (ko) 세탁실 배수구 트랩 연결 커넥터
KR930005715Y1 (ko) 하수도용 정화조
KR960005431Y1 (ko) 맨 홀
KR960002952Y1 (ko) 절수형 변기 저수조
JPS6335103Y2 (ko)
JPS6015823Y2 (ja) 排水トラツプの流出管
KR860000091Y1 (ko) 하수도의 정화조
KR940000682Y1 (ko) 집수통
KR20080000691U (ko) 배수 트랩
JPS6014866Y2 (ja) 排水トラップ
CN2222748Y (zh) 隔臭地漏器
KR930005724Y1 (ko) 악취 역류 방지용 오수 여과장치
KR930004974Y1 (ko) 종합 배수구
JPS6332203Y2 (ko)
KR200218248Y1 (ko) 집수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212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2122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40222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40721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410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4103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0

Payment date: 19841031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Others

Termination date: 1995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