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40001032Y1 - 흑연 도가니형 유도로 - Google Patents

흑연 도가니형 유도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032Y1
KR840001032Y1 KR2019820006528U KR820006528U KR840001032Y1 KR 840001032 Y1 KR840001032 Y1 KR 840001032Y1 KR 2019820006528 U KR2019820006528 U KR 2019820006528U KR 820006528 U KR820006528 U KR 820006528U KR 840001032 Y1 KR840001032 Y1 KR 8400010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ite crucible
furnace
molten metal
induction furnace
c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65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121U (ko
Inventor
쓰구하루 오오모리
미찌오 가와사끼
Original Assignee
후지덴기 세이조오 가부시기 가이샤
아베 히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덴기 세이조오 가부시기 가이샤, 아베 히데오 filed Critical 후지덴기 세이조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200065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032Y1/ko
Publication of KR8300001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1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0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032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6Crucible or pot furnaces heated electrically, e.g. induction crucible furnaces with or without any other source of heat
    • F27B14/061Induction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10Cruci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2014/0843Lining or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10Crucibles
    • F27B2014/104Crucible li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ucibles And Fluidized-Bed Furna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흑연 도가니형 유도로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의 흑연도가니형 유도로의 각각 단열층이 다른 구성예를 표시한 단면 설명도.
제3도는 본 고안에 관한 흑연 도가니형 유도로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단면 설명도.
제4도는 제3도에 표시한 로의 단열층의 구성을 표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본 고안은 흑연 도가니를 사용한 유도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절연식 로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흑연 도가니를 사용한 유도로의 구조로서는, 제1도에 표시한 백라이닝식과, 제2도에 표시한 코일시멘트식이 알려저 있다.
제1도에 표시한 백라이닝식 흑연 도가니는, 흑연 도가니(GC)의 외주부 및 저부에 내화물로 된 백라이닝(BL)을 시공하고, 이 백라이닝(BL)의 외주부에 코일(C)을 감은 것이다. 또, 제2도에 표시한 코일시멘트식 흑연 도가니는, 흑연 도가니(GC)의 외주에 절연공간을 두어서 코일시멘트(CC)를 둘러싸서 배설하고, 이 코일시멘트(CC)의 외주부에 코일(C)을 감아서 고정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백라이닝식 흑연 도가니에 있어서는 시공성을 배려하였을 경우, 백라이닝의 두께를 비교적 크게 할 필요가 있으며, 또 후자의 코일시멘트식 흑연 도가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므로, 내화물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전기특성의 역율과 효율이 나빠진다는 결점이 있다. 또, 백라이닝식 흑연 도가니의 경우, 내화물을 갱신할때의 시공성이 나쁘다는 난점이 있다. 또한 양 흑연도가니에 있어서, 백라이닝 및 코일시멘트의 열전도율이 크기 때문에, 흑연 도가니로부터 코일에의 열전달이 커저서, 로 전체의 방열손실이 크다는 난점이 있다. 특히 코일시멘트식 흑연도가니에서는, 절연공간이 외부 개방형이 되어 있기 때문에 열방산이 현저하다.
또한, 상기 종래의 흑연 도가니에 있어서는, 용탕누출 등으로 인한 용탕을 로 외부에 빼기 위한 검출, 기타의 안전설계가 충분히 시행되어 있지 않았다.
그래서, 본 고안자들은 종래의 흑연 도가니를 사용하는 유도로의 결점을 모두 극복해서, 전기특성의 개선과 시공성 및 안전성이 뛰어난 고성능의 유도로를 얻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흑연 도가니의 외주에 공기층을 개재시켜서 단열재를 둘러싸서 배설하고, 단열재의 외주부에 코일을 감고, 흑연 도가니는 그 저부를 단열재를 개재하여 로 바닥재위에 재치하여, 상기 공기층의 저부측을 밀폐함과 동시에 흑연 도가니의 개구단 외주부에 단열성 쐐기부재를 착탈자재케 장착해서 공기층을 완전히 밀봉하므로서, 흑연 도가니의 작업성이 양호하게 됨과 동시에 보수가 용이해지고, 외부로의 열방산을 방지해서 전기특성을 개선하고, 단열성이 뛰어난 유도로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흑연 도가니를 재치하는 로 바닥재에 용탕 빼기구멍을 천설하고, 이 구멍내에 용탕누출검출용 감지기를 삽통 배설하고, 또한 이 구멍의 일부에 용탕이 접촉하였을 경우에 쉽게 소실되어 버리는 재료로 구성된 가림판을 착설해서 폐색하여 두면, 공기층을 따라서 누출된 용탕을 로 외부에 빠져나가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용탕누출검지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고, 이 종류 유도로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반적인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단열성 및 전기특성이 향상하고, 적업성과 안정성에 뛰어난 흑연 도가니형 유도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흑연 도가니의 외주에 밀봉 공기층을 개재시켜서 단열재를 둘러싸서 배설하고, 단열재의 외주에 코일을 감고, 또한 이 흑연 도가니를 용탕 빼기구멍을 형성한 로 바닥재 위에 재치하여, 용탕 빼기구멍을 상기 공기층에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 도가니형 유도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흑연 도가니형 유도로에 있어서, 흑연 도가니의 외주에 배치되는 단열재는 다층구조로 되어 있으며 외주부에 절연물을 개재하여 코일을 감으면 가장 적합하다.
또, 상기의 흑연 도가니형 유도로에 있어서, 용탕 빼기구멍은 로 바닥재에 한개 혹은 그 이상 천설하고 상기 구멍내에 용탕 누출검출용의 감지기를 삽통 배설하고, 또한 상기 구멍의 적당한 곳에 용탕의 접촉으로 소실되어 버리는 가림판을 착설하여 두면 매우 적당하다. 마찬가지인 구성으로 된 용탕 빼기구멍을 로 바닥재의 중심부에 천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흑연 도가니의 상부 개구단의 외주에 쐐기부재를 착탈자재케 장착해서 공기층을 밀봉하도록 구성하면 흑연 도가니의 교환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호적한 것이다.
다음에, 본 고안에 관한 흑연 도가니형 유도로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에 있어서, (10)은 흑연 도가니를 표시한 것이며, 이 흑연 도가니(10)의 외주에 공기층(간극)(12)을 형성해서, 단열재(14)로 둘러서 배치하여 공기층을 포함한 단열층을 형성한다. 또한, 단열층은 일반적으로 제4도에 표시함과 같이, 공기층(12)을 둘러싸는 제1단열재(16)와 제2단열ㄹ재(18)로 된 다층구조로 하고, 그 외주부에 절연물(20)이 착설되고 이 절연물(20)의 외주부에 코일(220이 감겨진다. 흑연도가니(10)는 그 바닥을 단열재(24)를 개재하여 로 바닥재(26)위에 재치한다. 따라서, 흑연 도가니(10)의 외주에 형성된 공기층(12)은 바닥에서 밀폐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흑연 도가니형 유도로는 로 벽재(28)에 기대게되고 저절로 기울어질 수 있게 구성된다.(제3도 참조).
본 고안에 관한 흑연 도가니형 유도로에 있어서는, 흑연 도가니(10)의 외주에 형성되는 공기트ㅇ(12)의 정상부에 단열성 쐐기부재(30)를 착탈자재케 장착해서 공기층(12)을 밀봉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흑연 도가니(10)의 외주에 있어서의 단열층을 공기층(12)과 열저항이 높고, 얇은 단열재(14)롤 구성되어 있으므로, 흑연 도가니(12)로부터 코일(22)까지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역율 및 효율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공기층은 단열성 쐐기부재(30)로 정상개구부가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흑연도가니(10)와 코일(22) 사이의 효과적인 단열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보온전력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소비전력이 저어서 용해율이 큰, 즉 에너지 효율이 높은 전기특성이 향상된 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단열층의 일부에 공기층(12)을 형성한 결과, 흑연 도가니(10)의 착탈 교환조작 및 단열재의 교환시공이 용이하게 되어, 용탕누출의 검출 및 누출용탕의 로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적절하고 정호가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성과 안전성이 높여진다.
또한, 흑연 도가니(10)가 깨지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였을때, 용탕이 누출된 것을 코일(22)에 도당시키지 않으며 단열층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흑연 도가니(10)를 재치하는 로바닥재(26)에는 흑연 도가니(10)의 외주에 형성되는 공기층과(12)연통하도록 용탕 빼기구멍(32)을 한개 혹은 그 이상 천설한다. 이용탕 빼기구멍(32)에는 용탕누출 검출용의 감지기(34)를 삽통 배치함과 동시에 구멍(32)의 적소에 용탕이 접촉되었을 때 소실되어 버리는 재료로 구성된 가림판(36)을 착설한다. 또한, 마찬가지인 구성으로 된 용탕 빼기구멍(32)을, 로바닥재(26)의 중심부에 단열재(24)를 관통해서 형성하면 호적하다.
이와 같이 용탕 빼기구멍(32)을 천설하므로서, 평상시는 이 용탕 빼기구멍(32)이 가림판(36)에 의해서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층(12)을 밀봉상태로 유지해서 단열 및 보온효과를 효과있게 달성하고 용탕 누출이 생겼을 경우에는 이 상태를, 감지기(34)와 흑연도가니(10) 사이의 도통으로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검지하여, 용탕을 즉시 로 외부에 빠저나가게 하여 로의 안전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호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 있어서 여러가지의 설계변경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

  1. 흑연 도가니 외주에 절연공간과 코일을 설비한 유도로에 있어서, 상기 흑연 도가니(10)의 외주에 밀봉 공기층(12)을 개재시켜 단열재(14)를 둘러서 배치하고, 이 단열재(14)의 외주에 코일(22)을 감고, 상기 흑연 도가니(10)를, 용탕 빼기구멍(32)을 천설한 로바닥재(26) 위에 재치해서, 용탕 빼기구멍(32)을 상기 공기층(12)에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 도가니형 유도로.
KR2019820006528U 1982-08-17 1982-08-17 흑연 도가니형 유도로 Expired KR8400010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6528U KR840001032Y1 (ko) 1982-08-17 1982-08-17 흑연 도가니형 유도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6528U KR840001032Y1 (ko) 1982-08-17 1982-08-17 흑연 도가니형 유도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80003462 Division 1978-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121U KR830000121U (ko) 1983-03-25
KR840001032Y1 true KR840001032Y1 (ko) 1984-06-18

Family

ID=72473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6528U Expired KR840001032Y1 (ko) 1982-08-17 1982-08-17 흑연 도가니형 유도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0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121U (ko) 1983-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7380A (en) Electrode assembly for molten glass forehearth
KR840001032Y1 (ko) 흑연 도가니형 유도로
US3659029A (en) Electrical high-temperature melting furnace
US4205197A (en) Induction furnace of graphite crucible
US3317796A (en) Cooling arrangement for electrical apparatus
US4625192A (en) Superconducting apparatus with improved current lead-in
US5173920A (en) Direct-current electric-arc furnace
US3363049A (en) Joints for electric cables
US3589699A (en) Discharge tap for melting furnances
JP2002137997A (ja) 単結晶引き上げ装置
FI81197B (fi) Anordning foer taetning av genomfoeringen av elektroder.
US4101726A (en) Water cooling jacket for induction furnace water bushing
JPH033916Y2 (ko)
JPH02629B2 (ko)
JPS6112640B2 (ko)
JPS6133447Y2 (ko)
US3622137A (en) Device for securing a furnace head to the housing of an electrothermal furnace
US2756027A (en) Liquid-cooled gaseous-discharge tube
KR940000077Y1 (ko) 연소제어소자의 접속부의 절연장치
CN218633155U (zh) 一种密封防水的耐火建筑电缆槽盒
JPS59105593A (ja) 遮蔽プラグ
JPH08303965A (ja) 低融点金属めっき鋼板を溶解するるつぼ形誘導炉
JPH0214245Y2 (ko)
JPS62229886A (ja) クライオスタツト
JPS5967328A (ja) 保持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UA0105 Converted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9-cnv-UA0105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21-cnv-UA0105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UG15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UG1604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U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199106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U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10619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UN2301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U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