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40000436B1 - 원통형 자물쇠용 열쇠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원통형 자물쇠용 열쇠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436B1
KR840000436B1 KR1019830005470A KR830005470A KR840000436B1 KR 840000436 B1 KR840000436 B1 KR 840000436B1 KR 1019830005470 A KR1019830005470 A KR 1019830005470A KR 830005470 A KR830005470 A KR 830005470A KR 840000436 B1 KR840000436 B1 KR 840000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pin
lock
cylindrical core
cylindr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5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이덴 보
Original Assignee
게에카아엔 슈텐만 아아베에
카알 후로리 보 비이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00002749A external-priority patent/KR840000435B1/ko
Application filed by 게에카아엔 슈텐만 아아베에, 카알 후로리 보 비이덴 filed Critical 게에카아엔 슈텐만 아아베에
Priority to KR1019830005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436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통형 자물쇠용 열쇠의 제작방법
제1도는 본 발명 즉 원통형 자물쇠용 열쇠의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열쇠가 사용되는 원통형 자물쇠의 부분 단면 투시도.
제2a도 및 제2b도는 각기 제1도에 나타낸 자물쇠의 열쇠 및 핀을 나타내는 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낸 자물쇠를 통한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열쇠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열쇠를 상기 자물쇠에 삽입하여 원통형 플러그를 돌린후의 자물쇠 부품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3도와 같은 단면도.
제5도는 상기 형상을 갖는 자물쇠용 열쇠의 제작원리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에서 선 VI-VI상으로 취한 단면도.
제7도는 측방으로 배열되고 플러그 주연을 따라 뻗는 측바아와 결합하는 핀열을 갖춘 본 발명 제작방법에 의한 열쇠가 사용되는 자물쇠의 단면도.
제8도는 상기 자물쇠에 열쇠를 삽입하여 원통형 플러그를 회전시킨 다음의 제7도에 따른 자물쇠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9도 및 제10도는 본 발명 제작방법에 의한 열쇠제작용 민자 열쇠의 투시도.
본 발명은 이하 명세서에서 기재된 종류의 원통형 자물쇠 등에 사용되는 열쇠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모든 열쇠 제작방법에서는 드릴이나 밀링 커터 등의 절삭 공구의 회전축이 열쇠의 평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면서 원하는 형상의 열쇠를 기계 가공하는 방법이 행하여져 왔다. 그러나 본원과 같은 기하학적 곡면을 갖는 열쇠의 제작에 있어서는 자물쇠의 핀열과 열쇠의 홈면의 상대적인 운동을 기초로 하여 설계되어진 열쇠의 홈면 형상을 기계 가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종래의 방법처럼 절삭공구가 열쇠의 평면에 대해 직각인 상태로 기계가공하여서는 원하는 열쇠홈의 형상을 높은 정밀도로 제작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 명세서에서 설명될 원통형 자물쇠에 사용하기 위한 열쇠를 제작하는데 있어 종래의 방법처럼 절삭공구의 회전축을 열쇠의 평면과 직각상태로 하여 상호 운동시켜 기계가공하지 않고 이하 열쇠의 제작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드릴이나 밀링커터등의 절삭공구를 열쇠의 평면과 평행한 상태로 상호운동시켜 기계가공하여서 원하는 형상의 홈면을 갖는 열쇠를 높은 정밀도로 용이하게 제작하는 방법이다.
독일 공보명세서(DOS) 제2,533,494호와 오스트리아 특허명세서 제344,531호에 대응하는 미국 특허명세서 제1,543,940호(Eaton)는 원통형 자물쇠가 갈지자형상으로 뻗으며 뾰족한 단부를 갖는 두개의 핀열을 가지며 각 핀열의 핀들은 열쇠의 두 평행-홈부의 각각 하나와 결합하는 방식의 원통형 자물쇠-열쇠 조합을 기술하고 있다. 그렇지만 그러한 자물쇠용 열쇠는 상기한 방식으로 서로 평행한 축부가 잠김핀의 뾰족한 단부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비교적 두꺼워야 한다. 그래서, 열쇠의 각 홈부의 두께는 핀두께의 반이상이 되어야 한다. 이것은 특정한 종류의 자물쇠의 경우에 흔히 있는 일이지만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 플러그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중대한 단점이 된다.
상기한공지장치가 갖는 또다른 단점은 잠긴의 포인트가 열쇠와의 반복된 접촉에 의해 빨리 마모되어서 자물쇠의 수명이 짧아지게 된다고 하는 것이다. 홈의 작용면과 뾰족한 핀의 점접촉에 따라 열쇠홈도 또한 마모된다.
프랑스 특허 제2,378,927호에 대응하는 스웨덴 특허공보 제78 00961-0호(Ymos)는 좁은 측면상에 어깨를 형성하는 두개의 리세스열을 나타낸 안전열쇠를 기술하고 있다. 이 안전열쇠는 평평한 레버 텀블러를 갖는 원통형 자물쇠용이다. 이러한 레버 템블러 자물쇠는 본 명세서에서 다루어지는 원통형 자물쇠의 핀과는 다른 것이고, 그러한 원통형 자물쇠에 어떠한 이점, 특히 그중에서도 제작면에 있어서의 어떠한 이점도 주지 못한다.
영국특허 메세서 제1,557,245호(Kaba)는 열쇠의 평면에 대해 90°와 45°로 배치된 핀과 접촉하는 홈을 양측상에 갖는 평평한 열쇠를 갖춘 원통형 자물쇠와 열쇠조합을 기재하고 있다. 그런데 이것은 홈의 작동부분 사이에 핀을 안내하는 것을 갖추지 못하기 때문에 핀과 열쇠가 사용중에 아주 심하게 마모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한 바와 같은 원통형 자물쇠 등에 사용되는 열쇠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열쇠 및 자물쇠를 통하여 공지의 열쇠 및 자물쇠의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작 방법에 다른 열쇠와 그 열쇠가 사용되는 원통형 자물쇠의 조합을 위해 다음 것들을 구비한다.
(a) 하우징, (b) 상기 하우징내에서 회전하도록 장치된 원통형 코어나 플러그, (c) 열쇠를 수용하기 위해 원통형 코어와 회전축에 대해 평행하게 그 원통형 코어내로 뻗는 열쇠구멍, (d) 보어 내경의 일부가 열쇠구멍과 겹쳐지고, 열쇠가 열쇠구멍에 삽입되는 경우에 핀이 스프링에 대해서 이동가능하며, 여러핀의 중심선들이 평면상에 놓이는 상태로 원통형 코어에 있는 보어 내경내에서 안내되는 원형단면을 가진 일련의 잠긴 핀을 구비함에 있어서, (e) 상기한 열쇠는 길이 방향으로 뻗는 가장자리 부분을 가진 것을 구비하고 그 깃의 한쪽은 핀의 단부와 접촉하는 홈표면을 갖추며, 이 홈면은 (f) 열쇠가 열쇠구멍 내에 있는 작동위치에 있게 되는 경우에 핀 중심선에서 떨어진 각 핀의 활꼴 단면하고만 접촉하므로써 각각의 핀을 예정된 위치로 유지하여 원통형 코어가 회전하도록 풀리게 하는 홈부를 갖추고, (g) 인접한 홈부 사이에서 길게 뻗고 열쇠가 작동위치로 삽입되거나 작동위치에서 이탈되도록 이동됨에 따라 핀과 접촉하여 그 핀을 인접한 핀들 사이의 전거리에 대해 실질적으로 안내하는 운반부를 갖추며, 각각의 운반부는 그 길이에 대해 가로지르는 오목한 곡단면 형태를 가지며, 그 곡단면은 운반부 전길이를 통해 일정하여 그 부분이 인접한 홈부 사이에 있는 운반부에 의해 핀이 안내됨에 따라 핀과 접촉하는 활모양의 영역을 갖도록하며, (h) 홈부와 운반부는 상기한 깃의 한쪽면 상으로 열리고 깃의 다른쪽 면과는 간격을 갖고 있어 상기한 홈부 및 운반부와 상기한 다른 한쪽면 사이에 재질 두께가 있도록 한다.
홈부와 운반부를 열쇠의 측면상에 바람직하게 갖추고 있는 홈면은 각각의 핀의 단면상에 있는 활형부분과 상호 작용하기 때문에 핀과 열쇠홈 사이에 "테 접촉"이 행하여진다. 즉, 핀과 열쇠 사이의 접촉은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는 그 열쇠와 핀이 둘다 적게 마모된다.
열쇠 깃이나 웨브상에 측부를 갖추기 때문에, 열쇠는 상기한 깃이 비교적 얇을지라도 열쇠의 깃에 비해 측부의 높이나 깊이가 적어지는 상태로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이것은 비록 간접적인 이접이라 할지라도, 원통형 플러그내에서 중앙에 배치될 필요는 없지만 그 플러그가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갖는 경우라도 그 플러그의 주연을 향해 배치될 수 있고 또 길이가 비교적 길다 하더라도 원통형 플러그내에 완전하게 수용될 수 있는 핀과 그 측부가 상호 작용한다고 하는 중요한 이점을 갖는다. 많은 경우에, 주연상에 배치된 그러한 핀은 종래의 원통형 자물쇠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결여되어 있던 중요한 이점을 완벽하게 갖춘 자물쇠 조합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러한 종류의 핀은, 플러그의 주연을 따라 뻗으며 잠김위치에서는 원통형 하우징에 있는 리세스와 접촉하면서 정확한 열쇠가 자물쇠에 삽입되므로써 원통형 코어가 회전되는 경우에, 그 리세스에서 풀림위치로 내향으로 이동 자재한 측바아와 간편한 방법으로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 다른 중요한 이점은 그 속에서 열쇠가 깃이나 웨브의 두 측면에 측부를 갖추어 각각의 측부가 분리된 핀열과 상호 작용하는 각각의 열쇠홈을 갖추고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열쇠의 한쪽 측부가 홈이 파였는지 관계없이 열쇠깃은 측부들과는 완전히 다른 형태로 적절히 만들어진 분리된 홈을 갖출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자물쇠의 부피가 작을지라도 그 자물쇠의 조합 가능한 수는 실제로 제한되지 않는다고 하는것을 알게 될 것이다.
열쇠의 측부와 상호 작용하는 잠긴핀은 열쇠의 깃을 통하여 평면과 평행으로뻗거나 그 평면에 대해 30°-35°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것 또한 자물쇠의 조합가능한 수를 증가시킨다. 평면 또는 평평한 단면을 갖고 있는 핀이 자물쇠를 비집어 여는 공구를 가지고 자물쇠를 비집어 여는 것을 어롭게 만든다는 것도 본 발명의 장점에 속한다.
전술한 측면부분의 특정한 홈의 형성은 실제상에서는 홈의 형성이 정확하게 제어되도록 하는 간단한 수단의 도움으로 성취되어 진다. 한편 종래의 기계장치로는 홈을 재제작하는 것이 어려워서 본 발명에 따른 자물쇠 조합을 위한 열쇠를 불법으로 복사 제작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실제상에서는 상기 측면부분의 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면내의 상기 회전축을 축방향 이동과 그에 수직인 평행이동을 시킴으로써 형성되어진다. 이는 상기 측면부분의 홈과 결합하며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열쇠 및 공구 또는 그중 하나가 움직이면서 축방향의 전후로 이동하는 드릴이나 밀링공구등의 수단에 의하여 홈이 제작될 수 있다는 것을 의한다. 측면 부분의 홈이 끝점을 가지며 그리고자 하는 형태로 되어 있는 선이나 곡선에 의해 그려지는 표면의 일부를 포함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선이나 곡선이 측면부분의 홈표면 형성을 위한 모선(generatrice)을 이룰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열쇠 제작방법과 그 열쇠가 사용되어지는 원통형 자물쇠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우선 제1도-제4도를 참조로 하면, 내부에 원통형 코어(core)나 플러그(4)가 그 원통형 코어의 중앙측에 대해 회전하도록 수용된 자물쇠 하우징(3)을 구비하는 원통형 자물쇠(1)가 나타나 있다. 원통형 코어의 회전축에 대해 평행하게 열쇠(2)를 수용하는 열쇠구멍(5)이 원통형 코어내로 뻗어있다. 본 발명의 열쇠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제2a도의 열쇠는 열쇠 손잡이(2a), 깃(2b) 및 그 깃상에 있는 측부(2c)를 구비한다.
원통형 코어(4)에 있는 열쇠구멍(5)은 열쇠의 깃이나 웨브를 수용하는 부분(5b), 열쇠의 측부(2c)를 수용하는 부분(5c), 및 열쇠의 깃과 측부의 저부를 수용하는 부분(5a)을 갖는다. 원통형 코어는, 원형단면을 갖는 잠김핀(7)을 수용하는 일련의 보어 내경(6)을 갖추고 있으며, 제3도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하우징(3) 내에서 상향으로 뻗는 보어 내경(17)이 다수의 상측 잠김핀(9)을 수용한다. 이러한 상측 잠김핀(9)은 원추대 단을 가지며 하우징 내에서 보어 내경(17)의 상부 첨단에 있는 플러그를 미는 스프링(16)에 의해 하향으로 편의된다. 잠김핀(7)은 평면 상, 하측 단면(7c, 7d)을 갖는다.
핀(7)의 축은 열쇠의 깃이나 웨브를 수용하는 열쇠구멍의 부분(5b)과 간격을 갖고 평행한 면상에 있다. 각각의 핀에서 단지 하측 단면부분(7d)만이 열쇠의 측부를 받는 열쇠구멍부분(5c)으로 뻗는다. 측부(2c)는 깃의 한쪽으로 개구하며 잠김핀을 보어 내경내의 각각의 위치로 보내는 열쇠홈을 제공하는데, 그 열쇠홈은 열쇠가 원통형 코어로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에, 핀의 하단면과 접촉하는 선반이나 푸라토우 형상을 한 열쇠홈부(2c')를 구비하고 보어 내경내에서 핀을 이동시키기 위해 열쇠홈 사이에 갖추어진 경사진 운반부(2c")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원통형 자물쇠와 마찬가지로, 정확한 열쇠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열쇠홈 표면에 있는 홈부(2c')의 높이가 잠김핀(7)의 길이에 대해, 핀의 상단면(7c)을 실제로 원통형 코어의 주연과 평면상에 놓이도록 하는 관계를 갖게 되어 원통형 코어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열쇠 측부에 있는 열쇠홈 표면의 열쇠홈부(2c')중 하나에 의해 핀의 위치가 결정되면 열쇠와 핀 사이에는 핀 하단면(7d) 원주 일부가 이루는 활모양 면과 평면접촉이 이루어진다. 열쇠홈 표면(2c)의 운반부(2c")는 그 부분을 따라 나타낸 오목한 단면형상을 가지므로써 핀이 그 운반위치에 안치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운반위치와의 사이에 활모양의 접촉영역이 있게 된다. 이러한 결과, 열쇠를 원통형 코어(4)에 있는 열쇠구멍(5)으로 삽입했다 뺐다 하는 경우에는, 핀이 각각의 보어 내경에서 쉽게 위, 아래로 이동하여 결국 그 내부에 정확하게 정한 위치에 있게 된다. 또 열쇠와 핀 사이에는 항상 비교적 큰 접촉 역(域)이 존재하기 때문에 서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열쇠의 홈표면은 기하학적으로, 열쇠깃에 대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상하로 이동하는 핀축과 평행한 축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하며 정해진 거리에서 회전하는 포인트에 의해 이루어진 면의 일부이다. 포인트가 회전하도록 정해진 거리는 실질상으로 핀의 반경보다 크거나 같다. 만약 포인트의 이동거리가 핀의 이동거리와 같고, 그 포인트의 축이 열쇠로부터의 거리리간격과 상대적인 방향에 있어서, 핀축을 수용하는 평면과 같이 열쇠에 대해 똑같은 관계를 유지하는 평면내에서 이동한다면 핀과 열쇠사이에 훌륭한 접촉이 이루어질 것이다. 다시 말해서, 열쇠의 홈표면을 새기는 점의 열쇠에 대한 이동은 실제로 열쇠가 원통형 코어로 삽입되고 이탈됨에 따라 핀과 열쇠 사이에 일어나는 상대적인 이동과 같다.
실제의 열쇠 제작방법에 있어서는 열쇠의 홈표면은 열쇠에 대한 핀의 이동과 똑같이 이동하는 절삭기에 의해 제작된다. 본 발명, 즉 열쇠의 제작방법과 그에 대한 제작 원리는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나 있다. 열쇠는 깃(2b)과 측부(2c)를 갖춘 제9도 및 제10도에 나타나 있는 민자열쇠를 사용하여 만들어지고 열쇠홈부(2')와 운반부(2c")는 핀축에 대해 평행한 열쇠를 향하는 축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밀링(milling)이나 드릴링 커터(drilling cutter)(25)에 의해 축부상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공구(25)의 반경이 핀 반경과 같은 것이고 공구의 축이 핀축들이 이룬 평면상에 놓이는 것이다. 그런 다음에 공구가 회전되어 공구의 회전축을 따라 열쇠의 길이방향으로, 공구와 민자열쇠 사이에 상대적인 변위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작동이 일어나는 동안, 민자열쇠는 적절한 고정구로 유지되어 절삭공구와 민자열쇠의 방향 및 공구에 있는 회전축의 거리가 변하지 않도록 한다.
제6도는 제5도의 선(VI-VI)상에서 본 것이고 또한 민자열쇠와 절삭공구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나타낸다. 열쇠의 깃(2b)은 종래의 텀블러 핀세트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된 가장자리 홈(2b')이 갖추어져도 좋다. 이 홈은 열쇠의 측부상에 홈(2c')이 갖추어지기 전이나 후에 갖추어질 수 있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2b')은 홈(2c')과는 다르다.
자물쇠에 대한 또다른 변형이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나 있다. 제7도 및 제8도는 자물쇠의 원통형 코어가 열쇠의 깃상에 있는 가장자리 홈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종래의 핀 텀블러(8)세트 [상측핀(9)가 하우징이 있는, 2보어 내경(19)에 수용되고 하측핀(8)이 원통형 코어에 있는 제3보어 내경(18)에 수용되어 스프링(16)에 의해 편의되는 상태로]를 갖는다. 그래서 핀(8)은 원통형 코어에 있는 열쇠의 깃에 일치하는 구멍부분(5b)으로 들어간다. 원통형 코어는 또한 핀(7)을 원통형 코어의 축으로부터 벗어나고 스프링(15)에 의해 편의되게 이동시켜 열쇠의 홈파인 축부와 연합되도록 한다.
각각의 핀(7)은 잘룩한 부분(7a, 7b)을 갖고, 원통형 코어의 측면에 있는 긴 리세스(20)에 수용되는 측바아(10)와 상호 작용한다. 측바아(10)는 하우징(3)에 있는 V-형 단면을 가진 리세스와 접촉하는 V형단면을 가진 외측부분(10a)을 갖는다. 핀(8, 9)이 적절한 작동위치에 배치되어 원통형 코어가 회전 자재하게 되도록 한 경우에는 열쇠에 의한 원통형 코어의 회전은, 핀(7)이 측바아의 내측에 있는 다수의 어깨나 귀가 제각기 각각의 핀(7)에 있는 잘룩한 부분(7a)으로 들어가도록 하는 적절한 위치에 있도록 제공되는 측바아의 내향 변위를 일으킨다. 이러한 측바아의 내향 변위된 위치는 제8도에 나타낸다.
모든 핀(7)은 같고, 측바아의 귀(10b)를 수용하기에 충분한만큼 파인 잘룩한 부분(7a)을 적어도 하나이상 갖는다. 귀(10b)는 측바아상에 높이가 다르게 배치되어 핀(7)이 그들의 보어내경내에서 열쇠의 홈이 있는 축부에 의해 다르게 배치되어 측바아를 내향 복구시키므로써 원통형 코어를 회전시켜야만 하도록 한다. 핀(7)의 잘록한 부분(7a)으로 들어가는 귀(10b)는 핀축과 평행하게 보이는 활형으로서 핀에 있는 주연표면의 주요부분과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자물쇠를 비집거나 부수어 열려고 하는 경우에, 귀가 잘룩한 부분으로 들어가지 않는다면, 측바아에 의해 잠김핀에 미치게 되는 힘은 전표면에 분포되어, 열기가 더 어렵게 되고 벗어지지 않을 것이다. 측바아(10)상에 있는 귀(10b)들 사이에는 핀(7)들 사이에서 원통형 코어에 있는 안내면과 접하는 부분(10c)이 있다. 이것들은 귀가 안쪽으로 복귀하게 이동하는 동안에 측바아가 기울거나 간격이 생길 수 있는 것을 방지하면서 리세스 내에서 측바아의 안내를 보조한다. 핀상에 있는 잘룩한 부분(7b)은 잘룩한 부분(7a)보다 얕다. 자물쇠를 비집어 열려고 한다면, 이러한 얕게 잘룩한 부분이 핀이 측바아가 안쪽으로 복귀하도록 제 위치 이동되는 잘못된 영향을 줄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그러한 복귀가 일어나도록 하지 않는다. 이것은 비집어 열려고 하는 것을 더 어렵게 한다. 핀들중 적어도 하나가 공지된 방법으로 완벽한 열쇠 설비를 제공하기 위해 측바아를 내부로 끌어들여 복귀시킬수 있는 적당한 깊이의 잘룩한 부분(7a)을 둘이나 그 이상 가질 수도 있다.
제9도와 제10도는 본 발명의 열쇠 제작방법에 따른 열쇠를 제작하는데 적절히 사용되는 민자열쇠를 나타낸다. 그러나, 예를들어 열쇠의 측부를 만들거나 축부상에 홈을 만들때, 깃을 열쇠에서 재질을 제거하므로써 만들수 있는 바와같이 다른 종류의 민자열쇠가 사용될 수도 있다.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나타낸 깃은 장방향의 단면형태를 갖는 것이지만 이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깃이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휘거나 세로로 뻗는 홈을 갖출 수도 있다. 핀(7)은 평평한 하단면(7d)을 갖는 것처럼 나타나 있다. 이것이 제조에 편리하지만, 핀이 다른 형태의 하단면, 예를들면 원형이나 원추대 같은 하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열쇠의 측부상에 홈표면을 이상적으로 만드는데 사용되는 절삭공구는 그 하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것이다. 그러나 열쇠와 핀 사이에 적절히 밀착된 접촉은 평평한 단부를 갖는 절삭공구가 사용되더라도 가능할 것이다.
열쇠에 대한 절삭공구의 방향이 열쇠에 대한 핀의 방향과 같아야 한다고 할지라도 근본적으로 완전히 같지는 않고 상기한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은 채 약간의 각 편차가 생길 수 있다.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깃(2b)상에 있는 홈표면(2b')은 열쇠의 측부상에 있는 홈표면(2c')보다 위쪽에 있다. 그렇지만 어떤 경우에는 그러한 두 홈표면이 서로 다른 홈표면을 지나게 만들어진 부분을 나타낼수도 있다.

Claims (1)

  1. 하우징, 이 하우징내에서 회전하도록 장치된 원통형 코어(4), 열쇠를 수용하기 위해 원통형 코어의 회전축에 대해 평행하게 원통형 코어내로 뻗는 열쇠구멍(5), 및 길이의 일부가 열쇠구멍을 차지한 상기한 원통형 코어에 있는 보어내에서 안내되는 원형단면을 가진 일련의 잠김핀(7)을 열쇠가 열쇠구멍에 삽입될때 핀이 스프링(16)에 대해 이동 가능토록 하고 핀(7)의 중심선이 평면상에 놓이도록 구비하고 있는 원통형 자물쇠용 열쇠제작에 있어서, 회전하는 절삭공구(25)에 대해 깃이나 웨브(2b)를 가진 민자열쇠(2)를 그 절삭공구의 회전축이 실제로 상기 평면과 평행하게 놓이도록 고정 설치하고, 깃의 가장자리 부분(2c)이 공구와 맞물린채 공구의 회전축을 따라 열쇠깃 길이방향으로 그 공구(25)와 민자열쇠(2) 사이의 상대적인 변위가 일어나 깃으로부터 재질을 절삭하므로써, 열쇠가 열쇠구멍에서 작동위치에 있을때 각각의 핀을 예정된 위치로 유지하는 홈부분(2c')과 열쇠가 작동위치로 삽입되거나 작동 위치에서 벗어남에 따라 인접한 홈부분 사이의 전거리에 대해 실제로 핀을 접촉 안내하도록 하기 위해 인접한 홈부분(2c')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각각의 운반부가 핀이 운반부에 의해 안내될때 핀과 활모양 접촉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운반부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는 일정한 형상의 오목하게 파인 단면형태를 갖는 운반부(2c")를 갖는 홈표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자물쇠용 열쇠의 제작방법.
KR1019830005470A 1980-07-10 1983-11-17 원통형 자물쇠용 열쇠의 제작방법 Expired KR840000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5470A KR840000436B1 (ko) 1980-07-10 1983-11-17 원통형 자물쇠용 열쇠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749A KR840000435B1 (ko) 1979-07-10 1980-07-10 원통형 자물쇠-열쇠조합
KR1019830005470A KR840000436B1 (ko) 1980-07-10 1983-11-17 원통형 자물쇠용 열쇠의 제작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749A Division KR840000435B1 (ko) 1979-07-10 1980-07-10 원통형 자물쇠-열쇠조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436B1 true KR840000436B1 (ko) 1984-04-06

Family

ID=26626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5470A Expired KR840000436B1 (ko) 1980-07-10 1983-11-17 원통형 자물쇠용 열쇠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4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031B1 (ko) * 2007-03-02 2007-06-28 주식회사 삼풍엔지니어링건축사 사무소 공동주택 단지 펜스 설치를 위한 줄기초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031B1 (ko) * 2007-03-02 2007-06-28 주식회사 삼풍엔지니어링건축사 사무소 공동주택 단지 펜스 설치를 위한 줄기초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0435B1 (ko) 원통형 자물쇠-열쇠조합
US4393673A (en) Cylinder lock
KR101005095B1 (ko) 열쇠 모재(母材), 열쇠 및 마스터 열쇠작용 시스템
US5131249A (en) Key for a cylinder lock, especially for locking systems
AU680991B2 (en) Cylinder lock and key combination including a profiled key
US4815307A (en) Key blad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5475998A (en) Lock assembly with locking bar
US20070186600A1 (en) Anti-pick mogul cylinder
JPH02112573A (ja) ロック装置及びリバーシブルなフラットキー
EP0623186A1 (en) A cylinder lock-key-combination
US20070028658A1 (en) Lock and key system with improved tumblers in the lock
KR900008653B1 (ko) 자물쇠
JPS6039837B2 (ja) 協働するフラツトキ−を伴つたシリンダ−錠
US11536047B1 (en) Key plug, a cylinder lock, a cylinder lock and key combination and a method to manufacture a key plug
EP0297929A2 (en) Pin-tumbler lock
KR101616550B1 (ko) 계층적 자물쇠 시스템의 자물쇠, 열쇠 블랭크 및 열쇠
KR840000436B1 (ko) 원통형 자물쇠용 열쇠의 제작방법
US3478549A (en) Pick resistant lock unit
KR20010033135A (ko) 개량형 실린더 자물쇠 시스템
KR850000417B1 (ko) 연관된 평 키이를 갖는 실린더 록
KR840001430B1 (ko) 원통 자물쇠
US3457829A (en) Fixture for drilling key recesses
JP2963124B2 (ja) ピンシリンダ錠および鍵
HK1003945B (en) Cylinder lock and key combination including a profiled key
GB2453624A (en) Cylinder assembly comprising telescopic tumbler p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803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198904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890407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