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30002214Y1 - 다이스(Dies) 나사 삭성장치 - Google Patents

다이스(Dies) 나사 삭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214Y1
KR830002214Y1 KR2019820004752U KR820004752U KR830002214Y1 KR 830002214 Y1 KR830002214 Y1 KR 830002214Y1 KR 2019820004752 U KR2019820004752 U KR 2019820004752U KR 820004752 U KR820004752 U KR 820004752U KR 830002214 Y1 KR830002214 Y1 KR 8300022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am
support
die
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47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우성
Original Assignee
삼익공업주식회사
진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익공업주식회사, 진우석 filed Critical 삼익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200047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2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2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214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8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cutting tools
    • B23P15/48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cutting tools threading tools
    • B23P15/5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cutting tools threading tools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5/00Thread-cutting tools; Die-heads
    • B23G5/02Thread-cutting tools; Die-heads without means for adjustment
    • B23G5/04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utting Proce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이스(Dies) 나사 삭성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스 삭성장치를 부착한 기계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다이스 삭성장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축의 중심이동 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나사 삭성장치의 다른 실시예.
제5도는 뒷면을 가진 다이스의 사시도.
제6도는 카터의 확대사시도 및 정면도.
제7도는 모우터와 회전축의 동력전달 상태도.
제8도는 캠과 카터 및 공작물의 작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요동중심축
3 : 지지대 4 : 회전축
7 : 캠 9 : 로울러
28, 29, 30, 31 : 변속기어 33 : 이송축
34 : 이송너트
본 고안은 파이프나 환봉에 나사를 삭성할때 사용되는 다이스에 뒷면여유각이 있는 나사를 삭성하는 다이스나사(나사산) 삭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작물(다이스 재료)을 좌·우로 요동시킴과 동시에 회전시키므로서 1회의 이송절삭으로 뒷면여유각이 있는 다이스의 나사를 정확하게 삭성하도록 한 다이스나사 삭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뒷면 여유각을 가진 다이스를 삭성할 경우 공작물의 중심을 여러번 이동시켜 부분 부분을 삭성하여야 했기 때문에 뒷면 여유각이 있는 다이스를 삭성하기 위해서는 선반과 같은 절삭기계의 척에 지지되어 있는 공작물의 회전중심을 여러번 변경해야 했으며, 이로 인해 공작물 지지척을 다시 고정해야 하는등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2회 이상의 고정으로 정밀도가 떨어져 정밀한 다이스를 기공하기가 매우 힘들었다.
또한, 정밀가공을 위하여 공장물의 회전을 느리게 하면 바이트의 절삭속도가 적정경제속도 이하로 떨어져 바이트의 마모가 빨리 되는등 비경제적이며 여러가지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체내에 있는 회전축상에 캠을 설치하여 캠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의 중심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되, 캠의 좌축에는 스프링 또는 유체를 이용한 시린더 등을 설치하여 항상 캠을 밀어주도록 하며 캠의 우측에는 캠을 지지하는 로울러를 설치함으로서, 한 번으ㅏㅣ 절삭가공에 의하여 뒷면 여유각을 갖는 다이스를 제조할 수 있는 다이스 나사 삭성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본체(1) 내측 저부에 요동중심축(2)을 설치하고 요동중심축(2)에 지지대(3)를 설치하며 지지대(3)의 상단에 회전축(4)을 설치하여 회전축(4)상에 요부()(5)와 철부()(6)를 갖는 캠(7)을 결합하고 캠(7)의 좌우에는 각각 스프링(8)과 지지로울러(9)를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0은 스프링(8)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볼트, 11은 로울러(9)를 본체(1)에 지지하기 위한 로울러 지지브러킷, 12는 스프링(8)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볼트(10)에 부착된 스프링판, 13은 스프링(8)과 결합하기 위한 돌출부, 14는 지지대브러키스, 15는 카터, 16은 홀다, 17은 카터축, 18은 보조모우터, 19와 19'는 동력전달기어(gear), 20은 공작물, 21은 척, 22는 주모우터, 23과 24,25,26은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풀리(pulley), 27은 중간축, 28,29,30,31은 변속기어, 32는 이송축(33)을 지지하기 위한 이송축지지브라켓트, 33은 이송축, 34는 이송너트, 35는 슬라이드면, 36은 공구대, 37은 공구대(36)와 이송축(33)이 설치된 베드, 38은 다이스, 39는 뒷면여유각, 40은 나사산, 41은 카터날, 42는 왕복슬라이드, 43은 가이드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주모우터(22)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4)이 회전하며, 회전축(4)과 함께 회전하는 캠(7)과 연하여 로울러(9)를 설치하되, 반대편에는 캠(7)과 로울러(9)가 연해서 회전할 수 있게 스프링(8)이 설치되어 항상 캠(7)을 우측으로 밀어주며, 스프링(8)의 한쪽은 조정볼트(10)로 본체(1)에 지지되는 스프링판(12)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한쪽은 돌출부(13)에 밀착되어 지지대(3)를 우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또한 지지대(3)의 요동중심축(2)은 브라켓트(14)에 의해 본체(1)에 지지되고 지지대(3)에 의해 회전축(4)이 지지되며 회전축(4)은 좌·우로 요동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제2도와 같이 회전축(4)의 회전에 따라 캠(7)의 요부(5)가 로울러(9)에 밀착되면 회전축(4)의 중심위치는 우측으로 밀리게 된다. 또한 제3도와 같이 회전축이 회전하여 캠(7)의 철부(6)가 로울러(9)에 연하게 되면 회전축(4)의 중심위치는 다시 좌측으로 이동하며 지지대(3)의 돌출부(13)와 밀착되어있는 스프링(8)을 압축하게 된다. 여기서 캠(7)의 요부(5)와 철부(6)가 로울러(9)에 접촉하여 회전축(4)이 좌·우로 이동될때 주모우터(22)의 동력전달은 제1도에서와 같이 풀리(23)(24)와 벨트에 의해 이루어지며, 주모우터(22)와 요동중심축(2) 및 회전축(4)이 동일수직평면상에 위치하고 캠(7)에 의한 회전축(4)의 좌·우 이동이 미세히므로 회전축(4)이 좌·우로 이동되더라도 주모우터(22)의 동력은 풀리(23)(24)와 벨트에 의해 원활히 회전축(4)에 전달된다.
이때의 작용상태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7도에서 풀리(23)와 풀리(24)가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고, 풀리(23)와 폴리(24)사이에 요동중심축(2)이 위치하되 요동중심축(2)은 풀리(23)와 근접하게 위치하며, 요동중심축(2)을 중심으로 좌·우 이동하는 회전축(4)의 이동거리는 다이스(38)의 뒷면여유각(39)만큼 이동하게 되므로 회전축(4)의 좌·우 이동에 의한 풀리(23)과 풀리(24)사이의 거리변화는 미세하게 된다.
따라서 벨트로 연결된 풀리(23)와 풀리(24)의 미세한 거리변화는 벨트의 탄력에 의해 소멸되므로 주모우터(22)의 동력전달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반복적용은 회전축(4)이 1회전하는 동안 4회 일어나게 되며 이는 캠의 요철회수에 따라 변하게 된다. 뒷면 여유각(39)을 가진 다이스(38)을 삭성함에 있어서 수개의 날을 가진 카타(15)는 홀다(16)로 카터축(17)에 고정되고 보조모우터(18)의 동력은 동력전달기어(19)(19')에 의해 카터축(17)에 전달된다.
다이스(38)를 가공할 공작물(20)은 척(21)에 고정되고, 주모우터(22)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풀리(23)(24)에 의해 회전축(4)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척(21)의 회전중심은 캠(7)에 의해 지지대(3)의 한쪽 끝에 마련된 요동중심축(2)을 중심으로 좌·우로 요동하게 되며, 척(21)의 회전중심이 요동함에 따라 공작물(20)의 회전중심도 요동하게 되어 공작물(20)을 척(21)에 다시 조정할 필요없이 다이스(38)의 뒷면 여유각(39)을 삭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캠(7)의 요부(5)와 로울러(9)가 밀착되면, 회전축(4)의 중심이 이동하게 되고 회전축(4) 중심의 이동에 따라 카터(15)는 다이스(38)의 뒷면여유각(39)을 삭성하게 되며, 캠(7)의 철부(6)와 로울러(4)가 연하게 되면 카터(15)는 다이스(38)의 나사산(40)을 삭성하게 된다. 이때 캠(7)의 요부(5)와 철부(6)가 로울러(9)에 밀착되므로 회전축(4)이 좌·우로 이동되어 다이스(38)의 나사산(40) 및 여유각(39)이 삭성되는 상태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8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이스(38)(여유각(39)과 나사산(40)이 완성되지 않은 공작물(20) 상태)와 카터(15)에 의해 여유각(39)과 나사산(40)이 삭성되며, 나사산(40)이 삭성될 때는 로울러(9)가 캠(7)의 철부(6)와 밀접하게 되는데 로울러(9)가 철부(6)와 밀접되면 회전축(4)이 좌측으로 밀리게 되며, 회전축(4)의 이동에 의해 다이스(38)도 좌측으로 이동되어 나사산(40)이 삭성된다. 특히 로울러(9)와 철부(6)의 밀접상태에서 철부(6)의 표면이 나사산(40)의 길이만큼 둥글게(원호에 일치되게) 형성되므로 회전축(4)이 이동되지 않아 나사산(40)을 용이하게 삭성할 수 있다.
또한 여유각(39)이 삭성될 때는 로울러(9)가 캠(7)의 요부(5)와 밀접하게 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로울러(9)와 요부(5)가 밀접함에 따라 회전축(4)이 우측으로 이동하고 회전축(4)의 이동에 의해 다이스(38)가 우측으로 이동되어 여유각(39)이 삭성되기 시작하는데 이때 요부(5)의 형태가 제8도에서와 같이 웨이브져있으므로 이 웨이브면의 경사각에 따라 다이스(38)의 여유각(39)이 삭성된다.
중간축(27)은 폴리(25)(26)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중간축(27)의 회전은 변속기어(28)(29)(30)(31)에 의해 이송축(33)에 전달되며 나사를 가진 이송축(33)의 회전에 의해 이송너트(34)가 이송되므로 이송너트(34)와 연결고정된 공구대(36)가 일정한 속도로 슬라이드면(35)을 따라 이송하게 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요동운동량이 클 경우, 지지대(3)에 의한 요동지지 보다는 왕복슬라이드(42)에 의한 요동지지가 효과적이므로 지지대(3) 대신에 왕복슬라이드(42)를 설치한 것으로 왕복슬라이드(42)는 본체에 찰설한 슬라이드 가이드(43)를 따라 좌·우로 요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뒷면여유각(39)을 가진 다이스를 삭성함에 있어서, 공작물의 중심을 여러번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1회의 절삭운동만으로 정밀한 나사를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삭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도의 정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본체(1) 내측 저부에 요동중심축(2)을 설치하고 요동중심축(2)에 지지대(3)을 설치하며 지지대(3)의 상단에 회전축(4)을 설치하여 회전축(4)상에 요부()(5)와 철부()(6)를 갖는 캠(7)을 결합하고, 캠(7)의 좌·우에는 각각 스프링(8)과 지지로울러(9)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스 나사 삭성장치.
  2. 제1항에 따르는 다이스 삭성장치에 있어서, 지지대(3)와 요동중심축(2) 대신에 왕복 슬라이드(42)와 슬라이드 가이드(43)를 이용하여 회전축(4)의 요동을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스나사 삭성장치.
KR2019820004752U 1982-06-17 1982-06-17 다이스(Dies) 나사 삭성장치 Expired KR8300022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4752U KR830002214Y1 (ko) 1982-06-17 1982-06-17 다이스(Dies) 나사 삭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4752U KR830002214Y1 (ko) 1982-06-17 1982-06-17 다이스(Dies) 나사 삭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214Y1 true KR830002214Y1 (ko) 1983-10-19

Family

ID=19225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4752U Expired KR830002214Y1 (ko) 1982-06-17 1982-06-17 다이스(Dies) 나사 삭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2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7536B2 (ja) ウエブ材料のロールまたはログを複数の小ロールに切断する機械および方法
US3564190A (en) Method of machining complicated surfaces
US3303522A (en) Vibrating tapping machine
KR830002214Y1 (ko) 다이스(Dies) 나사 삭성장치
US1759196A (en) Drill grinder
US3585665A (en) Screw slotting machine
US3812746A (en) Apparatus for forming epitrochoidal surfaces
US2284319A (en) Cam forming fixture
US2976772A (en) Machine tool
KR100658968B1 (ko) 베어링 내주면의 나선홈 가공장치
US2750852A (en) Shaper
FR2452345A1 (fr) Machine pour l'usinage de finition des flancs des dents de pieces dentees
RU21420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цилиндрических поверхностей вращения
US2158629A (en) Cutting machine for stone or other material
US4074603A (en) Nibbling tool
KR920003604Y1 (ko) 드릴머신의 드릴헤드 복합 이송장치
SU171728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работки внутренних фасонных поверхностей на токарных автоматах
US2871764A (en) Deburring device
US3851564A (en) Portable screw cutting machine
SU582962A1 (ru) Карусельный токарный станок
US4717293A (en) Method for chamfering the axially facing ends of toothed workpieces, a meshing engagement aid manufactured according to this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US2441915A (en) Grooving machine
SU498098A1 (ru) Станок дл обработки циклоидальных профилей
SU61947A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к затыловочному станку дл затыловани глобоидальных черв чных фрез
US1219813A (en) Metal-work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2061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2061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30624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30919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312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403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4032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406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10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Others

Termination date: 1994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