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30002195B1 - 광파이버용 원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파이버용 원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195B1
KR830002195B1 KR1019800002779A KR800002779A KR830002195B1 KR 830002195 B1 KR830002195 B1 KR 830002195B1 KR 1019800002779 A KR1019800002779 A KR 1019800002779A KR 800002779 A KR800002779 A KR 800002779A KR 830002195 B1 KR830002195 B1 KR 830002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raw material
center
granular
granular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2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375A (ko
Inventor
다까오 에다히로
고오다로우 다나까
미찌히사 쿄오토
도오루 구와하라
Original Assignee
닛본 덴신덴와고오샤
아끼구사 도꾸지
스미도모 덴끼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다부찌 노보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신덴와고오샤, 아끼구사 도꾸지, 스미도모 덴끼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다부찌 노보루 filed Critical 닛본 덴신덴와고오샤
Priority to KR1019800002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195B1/ko
Publication of KR830003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9/00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 C03B19/06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by sintering, e.g. by cold isostatic pressing of powders and subsequent sintering, by hot pressing of powders, by sintering slurries or dispersions not undergoing a liquid phase re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파이버용 원료의 제조방법
제1도는 GeO2도우프유리의 연화점을 표시함.
제2도는 본 발명의 광파이버용 원료 단면의 굴절율 분포를 표시한 것임.
제3도, 제4도는 그레이티드·인덱스형에서 벗어난 광파이버용 원료 단면의 굴절을 분포를 표시함.
본 발명은 입자의 유리체를 투명유리화하여 집속형(集束形) 광파이버용 원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여 특히 균일하고 전송손실이 적은 원료를 얻는 것을 기도한 것이다.
외간(外亂)이 매우 적다는 것과 대단히 가늘고 경량이라는 등의 허다한 특징을 갖는 광파이버는, 그 광대역성과 경제성 등으로 해서 종래의 동선(銅線) 등에 대신하는 통신분야에서의 정보전달 매체로서, 혹은 영상등의 전송수단으로서 최근 그 실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통신용 광파이버에는, 굴절율이 높인 코어부(core部)의 주위에 굴절이 낮은 크러드부를 피복한 광학섬유와 같은 크러드형(수텝인덱스형)과, 중심에서 제일 굴절율이 높고 주연부(周緣部)로 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굴절율이 작아지는 접속형(그레이티드 인덱스형) 등이 있으나, 이 접속형 광파이버의 제조방법으로서는 현재까지 몇 종류의 방법에 알려지고 있으며, 예를들면 특 개소 50-101416호 공보에 나타낸 발명도 그중의 하나이다. 이는, 유리원료와 유리의 굴절율을 변화시키는 물질(이하, 도오팬트라 호칭함)의 원료등을 화염중에 불어 넣어서 유리미립자를 합성하고, 도우팬트가 소정분포가 되도록 타아겟트 위에 이 유리 미립자를 퇴적시켜 원주상의 입상으로 된 유리체(다공질 유리)를 형성하고, 이 입상의 유리체를 고온가열하여 투명유리화한 다음, 이를 방사(紡●)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이와같은 방법에 의하여 입상유리체에서 투명유리화하여 얻어진 종래의 광파이버용 원료에는, 그 내부에 미소한 기포가 함유되고 있는 수가 있으며, 이 기포가 광파이버의 투명도를 저하시켜 전송손실을 극단적으로 크게 하는 원인으로 되고 있었다. 거기서, 입상 유리체를 투명유리화할 때에, 그 막대기모양으로 성형된 입상유리체를 통모양의 고온가열로 안으로 서서히 집어 넣어가는 방법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기포를 전혀 함유하지 않는 완전히 투명화한 광파이버용 원료를 얻을 수가 있지만, 이런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막대기 모양의 광파이버용 원료는, 도우팬트의 확산속도가 그을음중의 조직과 유리화된 후의 조직과는 다르므로, 장수방향(긴쪽)의 한쪽 끝에서부터 서서히 투명화되면, 도우팬트의 확산량의 원료의 장수방향에서 달라지며, 특히 주연부에 있어서의 굴절율이 원료의 일단과는 일치하지 않는 불균일한 것으로 되어버리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접속형 광파이버용 원료의 제조시에 있어서의 상술한 결점을 해소하고, 기포가 전혀 없고 더구나 전체길이에 걸쳐 균질인 접속형 광파이버용 원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입상의 유리체를 가열하여 투명유리화할 때에 발생하는 기포의 원인이 입상의 유리체의 가열방법에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종래의 방법에서는 입상의 유리체의 주연부가 먼저 연화하기 시작하고 차츰 중심부도 연화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중심부에 점유하고 있는 유리미립자 사이의 공기나 반응가스가 여기에 가두어져서 나오지 못하게 되는 것을 해결하였으며 중심부를 시점으로 하여 연화시킬 수 있다면 입상의 유리체의 중심부에 점유하고 있는 유리 미립자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방산시킬 수 있지만, 한편으로 도우팬트는 유리의 연화온도를 저하시키는 작용도 갖추고 있으며, 따라서 이 도우팬트의 농도분포가 입상의 유리체의 중심부만큼 높게 되도록 하여 두면 입상의 유리체의 연화를 그 중심부에서 시작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주연부에서 중심으로 향함에 따라서 도우팬트 농도가 높아지는 입상의 유리체를 형성하고, 이입상의 유리체의 연화가 그 중심에서 주연부로 차츰 퍼져나가도록 해당 입상 유리체를 그 중심에 점유하는 입상의 유리의 최저합체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서서히 승온가열하고, 이 입상의 유리체를 투명유리화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여기서 설명한 최저합체 온도란 입상 유리체의 온도를 승온시켜 갔을 때에, 수축이 생기기 시작하는 온도인 것이며, 제2도에 그 예를 나타냄. 이 온도는 유리체의 점성도로 표현한다면, 양 1013포아즈 정도의 점성으로 되는 온도이다.
즉, 본 발명의 의하면 유리의 굴절율을 높임과 동시에 연화온도마저도 저하시키는 도우팬트의 농도를 입상 유리체의 중심부에서 최대가 되도록하고, 주연부로 따라서 점차 감소시키도록 하고 있음으로 입상유리체의 중심부에서 최대가 되도록하고, 주연부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 감소시키도록 하고 있음으로 입상유리체의 중심부에 점유하고 있는 유리미립자의 최저합체 온도의 온도에서 서서히 승온시켜가면서 이 입상유리체를 가열하면, 먼저 연화점이 낮은 입상유리체의 중심에서 연화가 시작하여 차츰 그 주연부로 퍼져 감으로, 중심부에 점유하고 있던 유리미립자 사이의 공기나 반응가스가 모두 외부로 방산되며, 기포가 발생할 우려는 전혀 없다. 또 입상유리체 전체를 한꺼번에 균일하게 가열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전체길이에 걸쳐서 균질인 투명유리화된 광파이버용 원료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승온 가열하는 조건으로서는 He를 함유하는 대기하라도 좋고, 대기압보다 약간 큰 압력에서도 되며, 흙은 He를 함유하며, 대기압보다 약간 큰 압력하에서도 물론 좋다.
이어서 본 발명에 의한 광파이버용 원료의 제조방법도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4층으로 된 동심 원통상 버어너의 중심의 제1층에서 아르곤을 담체가스로 하여 유리원료가 되는 4염화규소를 매분 0.1ℓ가 도우팬트로 되는 4염화게르마늄 및 옥시염화인을 각각 매분 0.02ℓ, 0.004ℓ씩 공급하는 한편, 제2층에서 수소가스를 매분 3ℓ, 제3층에서 아르곤가스를 매분 1ℓ, 제4층에서 산소를 매분 5ℓ씩 공급하고, 불꽃산화반응에 의해서 생성하는 유리미립자 및 도우펜트를 매분 10회전의 비율로 회전하는 석영유리막대기의 선단에 부착퇴적시키고, 중심에서 주연부로 향함에 따라서 도우팬트 농도가 점차적으로 저하한 직경 5cm, 길이 30cm의 입상유리체를 얻었다.
이 입상 유리체의 주위를 균일하게 가열하는 원통상의 가열로의 중앙부에 해당입상유리체를 위치결정하고 이 입상유리체를 그 중심에 점유하는 미립자의 연화점보다 약 100℃ 낮은 800℃의 온도에서 매시간 300℃의 승온율로서 1450℃까지 가열하였던 바, 기포를 전혀 함유하지 않는 외부 직경 2cm, 길이 15cm의 투명한 광파이버용 원료를 얻을 수 있었다. 또, 그 양단부 및 중앙부에 잇어서의 게르마늄 및 인의 함유 농도를 X선 마이크로 아날라이저에 의하여 측정한 결과, 완전히 같은 농도분포였었다, 이 광파이버용 원료의 균질성의 증명되었다. 제2도에 이 광파이버용 원료의 단면의 굴절을 분포를 표시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한 입상유리체를 1400℃로 일정한 로체(爐體)에 유지하였던 바, 중심부에 다수의 기포를 갖는 원료가 얻어졌다.
[실시예 3]
제3도,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굴절율 분포를 갖는 입상유리체를 준비하고, 실시예 1과 같은 온도영역, 승온율로서 치밀화시켰던 바, 완전히 기포가 없는 원료를 얻어지지 않았다.

Claims (1)

  1. 주연부에서 중심으로 향함에 따라서 도우팬트 농도가 높아지는 입상(粒狀)유리체를 형성하고, 이 입상유리체의 연화(軟化)가 그 중심에서 주연부(周緣部)로 차츰 퍼지도록 해당 입상 유리체를 그 중심에 점유하는 입상유리의 최저합체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서서히 승온가열하고, 이 입상유리체를 투명유리화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용 원료의 제조방법.
KR1019800002779A 1980-07-12 1980-07-12 광파이버용 원료의 제조방법 KR830002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779A KR830002195B1 (ko) 1980-07-12 1980-07-12 광파이버용 원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779A KR830002195B1 (ko) 1980-07-12 1980-07-12 광파이버용 원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375A KR830003375A (ko) 1983-06-20
KR830002195B1 true KR830002195B1 (ko) 1983-10-19

Family

ID=19217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779A KR830002195B1 (ko) 1980-07-12 1980-07-12 광파이버용 원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1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375A (ko) 198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4550A (en) Germania containing optical waveguide
KR940002059B1 (ko) 굴절률 프로필을 지닌 유리제품의 제조방법.
US3868170A (en) Method of removing entrapped gas and/or residual water from glass
US3823995A (en) Method of forming light focusing fiber waveguide
CA1251044A (en) Fluorine doped optical waveguide
US5596668A (en) Single mode optical transmission fiber, and method of making the fiber
US3932160A (en) Method for forming low loss optical waveguide fibers
CA1102359A (en) Glass for optical transmission lin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030046960A1 (en) Single step laydown method of making dry fiber with complex fluorine doped profile
KR830002195B1 (ko) 광파이버용 원료의 제조방법
CA1114169A (en) Photoconductive communications-transmission fibre with high radiation stability
MY103723A (en) Method for producing glass preform for optical fiber
GB2029400A (en) An Optical Fibre
EP0171537B1 (en) Method for producing glass preform for optical fiber
KR100345358B1 (ko) 광파이버모재용 석영유리관 및 그 제조방법
JPS599491B2 (ja) 光フアイバ用母材の製造方法
EP0185362B1 (en)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optical fibres
KR870000383B1 (ko) 광파이버용 프리포옴의 제조방법
JPS62108744A (ja) 多孔質ガラス母材の透明ガラス化方法
JPH0561211B2 (ko)
JPS60251142A (ja) 光フアイバ用母材の製造方法
JPS6424041A (en) Production of base material for dispersed shift fiber
KR830002121B1 (ko) 광 파이버
JP3310159B2 (ja) Coドープ光減衰器用透明ガラス体の製造方法
JPH0735266B2 (ja) 光フアイ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00712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306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30915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4040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4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84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607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707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810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910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010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109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10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10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10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