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30002131B1 - 개리감삽구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의 보강대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개리감삽구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의 보강대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131B1
KR830002131B1 KR1019800000748A KR800000748A KR830002131B1 KR 830002131 B1 KR830002131 B1 KR 830002131B1 KR 1019800000748 A KR1019800000748 A KR 1019800000748A KR 800000748 A KR800000748 A KR 800000748A KR 830002131 B1 KR830002131 B1 KR 830002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hain
fastener chain
intersection
faste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0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626A (ko
Inventor
게이이치 요시에다
가즈키 구세
Original Assignee
요시다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0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131B1/ko
Publication of KR830001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131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8Means at the end of stringer by which the slider can be freed from one stringer, e.g. stringers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개리감삽구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의 보강대 부착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부착장치에 의해 보강대가 파스너 체인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부착장치의 파스너 체인 주행로 계통의 요지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부착장치의 필름 주행로 계통의 요지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4도는 양 주행로 계통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고저속 변환 감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6도는 이송 정지 감지부의 감지 정지구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에 나타낸 부분의 정면도.
제8도는 제2도중 X-X선에 따른 단면도.
제9도는 체인을 끌어 당기는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정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0도는 체인을 끌어 당기는 장치에 있어 파스너 체인이 정지하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1도는 제3도중 Y-Y선에 따른 단면도.
제12도는 절단구 및 절단구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13도는 필름 안내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14도는 제3도중 Z-Z선에 따른 단면도.
제15도-제17도는 필름으로 보강대를 성형하여 파스너 체인에 부착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연속 파스너 체인의 주행로와 합성수지 필름의 주행로가 교차되고 양 주행로의 교차부에서 파스너 체인의 개리감삽구를 부착시킬 부분에 상기한 필름으로 형성된 보강대를 부착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파스너 체인의 개리감삽구를 부착할 부분을 검출하고 이 부분을 소정위치에 신속하고도 확실하며 긴장된 상태로 설정하는 동시에 필름으로 성형된 보강대가 파스너 체인에 대해 평형하고도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근접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양호하게 부착되는 동시에 완전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개리감삽구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의 보강대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개리감삽구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조하는 공정은 보통 길이가 긴 파스너 체인을 성형한 다음 소요하는 길이마다 엘레멘트를 제거한 스페이스부를 작성하고 뒤이어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페이스부(4)의 선위부(先位部)에 전지(前止, end stops)(3)을 부착하고 그후 스페이스부(4)의 후위부에 보강대(5)를 용착수단으로 부착시키며 보강대(5)를 부착하는 부분에 상자봉(箱子棒)과 접봉(蝶棒)으로 된 개리감삽구(도시하지 않음)을 부착시켜 되는 것으로 이 보강대(5)의 부착은 좌우 파스너 스트링거의 각 하이부(下里部)에 강성을 부여하고 사용중에 하이부가 연화되어 변형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공정에서 보강대를 부착하는 공정시에 적용되는 것으로 파스너 체인과 필름을 직교하도록 이송하고 이들 체인과 필름을 그 교차부에서 용착시킬 때, 파스너 체인을 고속으로 이송하고 스페이스부가 교차부에 가까워진 시점에서 부터 저속으로 이송하며, 교차부에 다시 접근한 시점에서 파스너 체인의 이송을 일단 정지하고 나서 이 파스너 체인을 다시 소정위치까지 끌어 당겨 위치결정을 한후 필름으로 성형된 보강대가 파스너 체인의 스페이스부에 부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8)은 파스너 체인의 주행로를 나타내며 화살표(9)는 필름 주행로를 나타낸다. 파스너 체인(1)은 그 주행로(8)을 좌우의 파스너 스트링거(1a)(1b)가 분리된 상태로 평행하게 주행되며 또 필름 주행로(9)는 파스너 체인 주행로(8)의 하방에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양 주행로(8)(9)의 교차부(10)에 상형(上型, upper die)(11)과 하형(lower die)(12)로 부터 이루어지는 보강대 용착 성형장치(A)가 설치되어 있다. 파스너 체인 주행로(8)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 보지장치(B), 체인이송장치(C) 및 위치 결정장치(D)가 배설되어 있고 필름 주행로(9)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이송장치(E), 보강대 성형장치(F), 필름안내장치(G) 및 필름보지장치(H)가 갖추어지며, 각 장치는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차례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선 보강대 용착 성형장치(A)부터 상세히 설명하면 제2도와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프레임(frame)(13)에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14)와 단열성 베이스(15)를 사이에 두고 상형(11)을 고착하며 하측 프레임(16)에 부착된 실린더(cylinder)(도시하지 않음)의 램(ram)(17)에 단열성 베이스(18)을 사이에 두고 하형(12)를 설치하고 램(17)의 상하움직임에 의해 하형(12)를 상형(11)쪽으로 접근 및 이반(離反)시키는 것으로서 하형(12)의 상면에 양 파스너 스트링거(1a)(1b)의 각 엘레멘트열(2)(2)가 감입될 요홈(19)(1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형(11)과 하형(12)는 히터(heater)(도시하지 않음)을 내장하고 있지만 이것 대신에 한쪽을 초음파 호온(horn)으로, 다른쪽을 앤빌(anvil)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 하형(12)의 하강은 타이머(timer)로서 지시된다.
다음에 파스너 체인 주행로(8) 계통의 각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면 체인보지장치(B)는 제2도,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교차부(10)의 전후에 갖추어져 있으며 상하 한쌍의 가이드판(guide板)(20)(21)을 파스너 체인(1)이 주행하는 데에 충분한 간격을 갖고 고정되며, 하측 가이드판(21)의 선단부(교차부를 가리킨다)의 클램퍼(clamper)(22)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한 것으로 상하의 가이드판(20)(21)사이로 파스너 체인(1)이 안내되며 양 클램퍼(22)(22)가 상승함에 따라 파스너 체인(1)을 이 클램퍼(22)(22)와 상측의 가이드판(20)(20)으로서 협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장치(B)는 안내와 잡는 것을 겸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측의 가이드판(21)은 상면에 엘레멘트열(2)(2)이 감입될 요홈(23)이 있으며 하측 프레임(16)에 가이드 홀더(24)를 사이에 두고 고정되며 또한 상측의 가이드판(20)은 상측 프레임(13)에 고정되어 있다.
체인이송장치(C)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차부(10)에 이르기전 즉 후방부에 설치한 장력 로울러(tension roller)(25)와 전방부에 설치한 프레스 로울러(26) 및 구동로울러(27)로 이루어졌으며 장력 로울러(25)보다 안내로울러(28)에 의해 파스너 체인(1)이 상기한 상하의 가이드판(20)(21) 사이로 수평유도되도록 안내된다. 또한 구동로울러(27)은 아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고속과 저속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위치 결정장치(D)는 제2도, 제4도-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저속 변환감지부(D1), 이송정지감지부(D2) 및 체인을 끌어 당기는 장치(D3)로 구성되는 것이다.
고저속 변환감지부(D1)은 교차부(10)보다 후방에 설치된 상측 가이드판(20) 상에 브라켓(bracket)(29)를 돌설하고 이 브라켓(29)에 추지(樞支)한 한쌍의 아암(arm)(30)(30)에 각각 감지로울러(31)(31)을 추착(樞着)하며, 또 각 감지로울러(31)(31)이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가이드판(20)에 뚫린 발공(拔孔)(32)를 관통하여 하측 가이드판(21)의 요홈(23)과 마주 보도록 설치하고 스프링(33)에 의해 감지 로울러(31)을 하방으로 힘을 주며 더우기 상기한 아암(30)에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레버(34)를 일체로 돌설하여 이 레버(34)의 하단부를 마이크로 스위치(35)와 마주 보게 한 것이다. 이 마이크로 스위치(35)는 파스너 체인(1)의 이송을 고속에서 저속으로 바꾸기 위한 신호발생기이며 엘레멘트가 제거된 스페이스부(4)가 감지로울러(31)의 하방에 이르렀을 때 엘레멘트열(2) 위를 회전하고 있던 감지로울러(31)이 하강하여 레버(34)를 흔들므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이송정지 감지부(D2)는 상기 감지부(D1)을 갖춘 가이드판(20)(21)과 같은쪽의 가이드 홀더(24)에 한쌍의 아암(36)(36)의 중간부를 추착하고, 각 아암(36)(36)의 전단부(교차부 측을 가리킨다)에 엘레멘트열(2)(2)와 대향하는 감지정지구(37)(37)을 상방쪽으로 돌설하고 아암(36)의 후단부에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35)와는 다른 별개의 마이크로 스위치(39)를 작동하는 레버(38)을 늘어뜨려 설치한 것이다. 이 스위치(39)는 파스너 체인(1)의 이송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다음 동작을 지시하는 기기(機器)로서 저속으로 보내는 파스너 체인(1)의 스페이스부(4)에 있어서위 엘레멘트열의 처음과 끝이 감지정지구(37)에 닿아서 이 정지구(37)이 하강함에 따라 작동되는 것이다.
체인을 끌어 당기는 장치(D3)는 교차부를 지난 전방의 체인보지장치(B)와 구동로울러(27) 사이에 설치되며 파스너 체인(1)의 주행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체인 그립퍼(40)과 전방의 체인보지장치(B)의 가이드 홀더(24)로 부터 교차부로 돌출해 직각진로운동(rectangular path ofmotion)하는 위치결정 정지구(5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체인 그립퍼(40)은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스너 스트링거(1a)(1b)의 좌우에 위치하며 이것을 잡아 주행방향으로 움직이고, 하측 프레임(16) 상에 접동가능하게 설치한 그립퍼홀더(41)에 하돌편(下突片)(42)를 고착시켜 상돌편을 상하로 요동할 수 있게 추지하며 스프링(44)로 상돌편(43)(42)를 폐쇄하듯이 압접하고 압핀(押 pin)(45)로 개방할 수 있게끔 되어 있으며 또한 하측 프레임(16)에 안내홈(46)를 파스너 체인(1)의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설치하고 그립퍼 홀더(41)에서 돌출한 쉬프터(shifter)(47)을 상기한 안내홈(46)에 감장하고, 쉬프터(47)에 전후로 요동하는 레버(48)을 계합하여 되는 구성에 의해 체인 그립퍼(40)은 이 레버(48)의 요동에 의해 전후로 접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양 돌편(42)(43)은 체인 그립퍼(40)이 구동로울러(27)쪽으로 전진할 때에는 스프링(44)의 탄력으로 폐쇄하고 후퇴할 때에는 상하로 요동하는 레버(49)로서 압핀(45)를 밀어올리기 때문에 개방되어 있다. 상기한 위치결정 정지구(50)은 교차부(10)을 지난 위치에 가이드 홀더(24) 내에 쉬프터(51)을 돌설한 정지 구홀더(52)를 전후로 접동이 자재롭게 설치하고 정지구 홀더(52)에 지간(支杆)(53)을 상하로 요동가능하게 추지하고, 이 지간(53)의 교차부(10)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상기한 위치결정 정지구(50)을 돌설하고 쉬프터(51)에 전후 방향으로 요동하는 레버(64)를 계합하여 지간(53)에 상하로 움직이는 압핀(55)를 대향되게 설치한 것으로서 이들 운동의 조합에 의해 위치결정 정지구(50)은 하위에 있는 위치에서 교차부(10) 내로 돌입하듯이 전진하고 계속 하위에서 상위로 상승하여 정지하며 이어서 상위 교차부(10) 내로 부터 탈출하여 원래의 하위로 하강하여 대기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결정 정지구(50)은 상술한 감지정지구(37)이 스페이스부(4)의 단부를 검출하여 파스너 체인(1)의 이송이 정지된 시점에서 교차부(10)내로 돌입하여 상위에서 정지한다. 또한 위치결정 정지구(50)은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에 한쌍의 요홉(56)(56)과 상면에 철조(凸條)가 있으며 상기한 돌입시에 정지구(50) 상면에서 좌우의 파스너 스프링거(1a)(1b)가 돌조(57)에 의해 갈라지면서 접촉하게 된다. 체인 그립퍼(4)은 위치결정 정지구의 정지후에 전진(구동로울러(27)측으로 나아감)하고,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엘레멘트열(2)의 단부가 요홈(56)에 계합할 때까지 파스너 체인(1)을 끌어 당겨서 보강대(5)의 부착위치를 정한다. 이 위치결정이 끝난 다음 체인보지장치(B)가 작동하여 파스너 체인(1)을 잡고 있는 동시에 위치결정 정지구(50)이 교차부(10)으로 부터 탈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술한 파스너 체인(1)의 이송이 정지된 다음의 연속제어(sequence control)는 예를 들면 이송정지 감지부(5)의 마이크로 스위치(39)로서 주동축(도시하지 않음)을 구동하고 주동축에 설치한 캠에 의해 차례로 작동하면 좋다.
다음에 필름주행로(9)계의 각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각 장치는 서로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유지하면서 상하의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제3도 및 제1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58)에 가이드핀(guide pin)(59)를 늘어뜨려 설치하고 가이드핀(59)를 하측프레임(16)에 감장하며 또한 상측 프레임(13)의 베이스 플레이트(14)에서 늘어뜨려 설치하고 가이드핀(60)을 하측의 베이스플레이트(58)의 가이드 부슈(guide bush)(61)에 감장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한 상하의 베이스 플레이트(14)(58)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 하측의 베이스 플레이트(58)이 에어실린더(actuator)(도시하지 않음)나 그외의 동력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필름이송장치(E)는 제3도 및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차부(10)에 이르기 직전에서 하측 베이스 플레이트(58)에서 돌출한 지주(支柱)(62)에 로울러 홀더(63)을 고착시키고, 이 홀더(63)에서 돌출한 가이드핀(64)를 상측 레임(13)에 감장하고, 이 홀더(63)에 이송 로울러(65)와 아암(arm)(66)으로 지지된 프레스 로울러(67)을 서로 압접하도록 설치하고 또 홀더(63)에 필름 가이드(film guide)(68)을 상기한 양 로울러(65)(67)가 감입(嵌入)된 상태로 설치하고 다시 이송 로울러(65)의 지축(69)에 아암(70)을 부착시키고 상측 프레임(13)에 고정된 실린더(71)의 피스톤 로드(piston rod)(72)와 상기한 아암(70)을 링크(link)(73)을 사이에 두고 연결하여 지축(69)와 이송로울러(65)의 사이에 일방향 클럿치(clutch)(74) 또는 라쳇트(ratchet)를 개재시킨 것이다. 따라서 이송로울러(65)는 실린더(71)의 전진에 의해 회전하며, 후퇴시에는 회전되지 않는 것으로서 이 로울러(65)가 회전하는 각도를 제어함에 따라 일정량의 필름이 간헐적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보강대 성형장치(F)는 제3도, 제12도, 제15도-제1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펀치(75)와 다이(76) 및 절단구(77)과 절단다이(78)로서 구성되는 것으로 펀치(75)는 상측 베이스 플레이트(14)에 후크(79)를 사이에 두고 고정시켰으며 다이(76)은 하측 베이스 플레이트(58)에서 일어선 다이홀더(80)상에 고착되고 그 상방에 필름(6)이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절단다이(78)이 고정되며 하측 베이스 플레이트(58)의 상승에 의해 필름(6)에 제1도의 쇄선과 같이 절단 다이(78)을 통과한 펀치(75)와 다이(76)으로 절결부(7)이 형성된다. 한편 절단구(77)은 다이홀더(80)의 교차부(10)과 대향하는 면에 필름(6)이 주행하는 방향과 직교해서 상하의 움직임이 자재롭게 추착하였으며 하형(12)의 베이스(18)에서 돌출한 플레이트(81)에 의해 절단구(77)의 자유단(自由端)이 밀어 올려지며 또한 스프링(82) 힘으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절결부(7)을 성형한 다음에 필름(6)의 절단이 행하여지며 이 절단에 의해 필름(6)으로 부터 보강대(5)가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필름안내장치(G)는 제3도, 제13도 및 제1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차부(10)을 지난 위치에 하측 베이스 플레이트(58)에서 돌출된 지판(支板)(83)에 한쌍의 레버(84)(84)를 좌우로 간격을 두고 필름(6)의 주행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추착하는 동시에 스프링(85)(85)로 서로 모여드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였으며 또 양레버(84)(84)의 중간부에 회전자(86)(86)을 설치하고 양 회전자(86)(86) 사이에 경사면이 있는 캠판(87)을 상하로 자재로히 움직이도록 설치하고 캠판(87)의 상승에 의해 양 레버(84)(84)가 좁아지며, 또한 하강에 의해 열리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상의 양 레버(84)(84)의 상단부에 각각 단면이
Figure kpo00001
자형인 필름가이드(88)(88)을 교차부(10)의 내측으로 향해 돌설하였다.
또 상기한 캠판(87)은 하측 베이스 플레이트(58)에 고착한 실린더(89)의 피스톤 로드에 지지되어 있다.
필름보지장치(H)는 돌출된 필름(6)의 선단부를 잡고 보지되는 것으로서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베이스 플레이트(58)에서 돌출된 기립판(91)에 실린더(92)를 필름(6)의 주행방향을 따라 고착시키고, 이 실린더(92)의 선단부에 일체로 설치한 브라겟(93)에 상하로 개폐하는 그립퍼(84)를 추지하고 피스톤 로드(도시하지 않음)의 선단부를 테이퍼(taper) 형상의 캠으로 하고 이 로오드의 전진(교차부(10)측으로 나아간다)에 의해 그립퍼(94)가 열리며 후퇴함에 따라 스프링의 힘에 의해 폐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필름주행로(9)의 각 장치(E)(F)(G)(H)는 이송장치(E)에서 필름(6)이 이송되며 안내장치(G)의 가이드(88)을 통과하여 보지장치(H)의 그립퍼(94)가 필름(6)의 선단부를 잡게 되고 또한 파스너 체인(1)의 위치결정 종료후에 하측 베이스 플레이트(58)이 상승하여 펀치(75)와 다이(76)에서 절결부를 형성한 다음 안내장치(G)의 필름가이드(88)이 열려서 교차부(10)으로 부터 피하면, 필름(6)이 파스너 체인(1)에 근접된 시점에서 절단되고 다시 하형(12)의 상승에 따라 그립퍼(94)가 개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구조로서 가공해야 할 파스너 체인(1)을 체인 주행로에 끼워 넣고 필름(6)의 선단부를 이송로울러(65)와 프레스 로울러(67) 사이로 끼워 넣어 운전지시를 부여하면 파스너 체인(1)은 구동로울러(27)가 제1도에서 보면 좌에서 우측방향으로 고속주행되며 스페이스부(4)가 고저속 변환 감지부(D1)를 통과하면 저속으로 송출되고 이송정지 감지부(D2)의 감지정지구(37)에 스페이스부에 있는 엘레멘트열의 처음과 끝이 닿았을 때 그 이송이 정지된다.
이어서 체인을 끌어 당기는 장치(D3)에 의해 스페이스부(4)의 보강대 부착부를 상형(11)의 바로 밑에 위치시킨 다음 전후 한쌍의 체인보지 장치(B)(B)로서 그 사이의 파스너 체인(1)을 긴장된 상태로 보지한다. 이상의 위치결정을 하는 사이에 필름(6)이 필름 이송장치(E)에 의해 소정의 길이를 교차부(10)으로 송출시킨다. 필름(6)은 다이(76)과 절단 다이(78) 사이로 나오며 또한 필름안내장치(G)의 필름가이드(88)(88)을 통과하여 선단부가 필름보지장치(H)의 그립퍼(94)에 이르렀을 때 그 이송이 정지되며 필름의 선단부가 그립퍼(94)에서 잡힌다. 또 이 필름(6)의 이송중에 하측 베이스 플레이트(58)이 상승하기 시작하여 그립퍼(94)가 필름(6)의 선단부를 잡는 동시에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펀치(75)와 다이(76)으로 필름에 절결부(7)을 형성하며 더구나 다이(76)이 더욱 상승하면 펀치(75)와 다이(76) 및 그립퍼(94)로 필름(6)을 파지하여 교차부(10) 내에 있는 필름(6)이 긴장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래서 하측 베이스 플레이트(58)의 상승이 정지되고 이어 필름 안내장치(G)의 필름가이드(88)(88)이 비켜나면 하형(12)가 상승하고 필름(6)을 절단해서 얻은 보강대(5)를 파스너 체인(1)에 열로 용착시킨다. 용착이 완료된 후에 하형(12)가 우선 하강하고 뒤이어 상술한 각 장치가 원위치로 되돌아가 재차 동일한 작동을 차례로 되풀이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개리감삽구가 부착된 슬파이드 파스너의 보강대 부착장치는 파스너 체인을 보내고 그 스페이스부를 필름과 교차하는 부분에 위치를 결정할 때 파스너 체인을 고속에서 저속으로 바꾸어 이송하면서 스페이스부를 소정위치 바로 앞에 위치시키고 이어서 체인을 끌어 당기는 장치에 의해 이 스페이스부를 소정의 위치까지 끌어서 작동시키는 것이므로 위치결정시간이 단축되어 위치결정의 신속화를 기할 수 있는 데다가 긴장한채로 움직여 위치 결정이 빗나가지 않고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다. 한편 필름의 주행계에서는 이 계(系)에 설치된 각 장치가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하면서 상하로 움직이기 때문에 어느 경우 일지라도 필름의 주행로는 일직선이면서 파스너 체인과 평행한 상태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그 부착상태가 매우 양호하게 되며 파스너 체인의 위치결정을 할 때 감지부에 의해서 차례로 동작을 바꾸므로 인하여 파스너 체인을 당초 공급한 이후는 전자동에 의한 조작으로 처리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파스너 체인 주행로(8)과 이에 직교하는 필름주행로(9)의 교차부(10)에 보강대 용착 성형장치(A)를 설치하고 파스너 체인 주행로(8)에 상기한 교차부(10)의 전후에 설치한 체인보지장치(B)와 고저속으로 바꿀 수 있는 체인이송장치(C), 고저속 변환 감지부(D1), 이송정지 감지부(D2) 및 소정위치까지 이송하는 체인을 끌어당기는 장치(D3)를 가진 위치결정장치(D)를 갖추고 필름주행로(9)에 필름이송장치(E)와 보강대 성형장치(F), 상기한 교차부(10) 내에서 출몰하는 필름안내장치(G)와 교차부(10)을 통과한 선단부를 잡을 필름보지장치(H)를 갖추고 또 필름주행로(9)의 각 장치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리감삽구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의 보강대 부착장치.
KR1019800000748A 1980-02-23 1980-02-23 개리감삽구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의 보강대 부착장치 Expired KR830002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748A KR830002131B1 (ko) 1980-02-23 1980-02-23 개리감삽구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의 보강대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748A KR830002131B1 (ko) 1980-02-23 1980-02-23 개리감삽구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의 보강대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626A KR830001626A (ko) 1983-05-18
KR830002131B1 true KR830002131B1 (ko) 1983-10-15

Family

ID=1921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748A Expired KR830002131B1 (ko) 1980-02-23 1980-02-23 개리감삽구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의 보강대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1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626A (ko) 198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2315B1 (ko)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의 개리감삽구 부착부분에 대한 보강대 부착방법 및 장치
CN104780803B (zh) 拉链组装装置
WO2015125278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組立装置
KR870000717B1 (ko) 태그핀 부착기
KR20010014625A (ko) 슬라이더-인수체 조립장치
US4299027A (en) Apparatus for applying reinforcing film pieces to a pair of slide fastener stringers
KR920002500B1 (ko) 연속 길이의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에 상지구를 부착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5102715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製造装置
KR890003511Y1 (ko) 슬라이드 파스너 자동제조장치
US4122594A (en) Method for engaging a slider automatically on a slide fastener chain
CS264344B2 (en) Device for fastening of voke couplings at the end of transport band
US4122988A (en) Pierce rivet machine
JPS637761B2 (ko)
KR830002131B1 (ko) 개리감삽구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의 보강대 부착장치
US4615668A (en) Apparatus for melt-forming bottom stop of slide fastener chain
KR870000030B1 (ko)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 절단방법
JPS5933367B2 (ja) 開離嵌插具付スライドフアスナ−用間歇フアスナ−チエ−ンの組合せ装置
GB2082249A (en) Applying top end stops to slider fasteners
EP0099065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lide fastener having separable end stop
JPS6126191B2 (ko)
KR850001720B1 (ko) 연속 파스너 체인으로부터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900006026B1 (ko) 파스너 부품 부착기
EP0123117A1 (en) A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adjustable shoulder-straps for clothing
JPH084525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上止め取付け装置
CN109549296B (zh) 拉链的最终加工机用的支架、拉链的最终加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002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30910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3122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4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84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6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707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807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909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008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109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9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9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9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801 Expiration of term